Skip to content

날아다녀님 18차 오리 디아런오류 질문드려요

분류 질문 조회 수 1,420 추천 수 0

안녕하세요.

삼스입니다.

오리지날 디아런을 돌리고 싶습니다.

근데

바바리안이 방을 만들고 팔라딘 소서리스가 입장하는데 소서리스와 팔라딘이 입장하는순간

바바리안이 정비중.. 이란 문구가 뜨고 방을 나가버립니다.

팔라딘과 소서리스는 움직이지 않구요.

뭐가 문제가 되는걸까요?

일단 쫄봇파일이구요 다음은 소서 팔라 바바는 파일로 넣어뒀습니다.

컴맹이라 혼자 연구한지 2달만에 머리를 감싸쥐고 있네요

도와주세요~!


var _MyJBC_JjolBotQueDropGisaAccount;
var _MyJBC_JjolBotQueDropJjolAccountList = new Array();
var _MyJBC_JjolBotAccountList = new Array();


//##############################################################################
// 퀘드랍용 쫄봇 설정하기
//------------------------
// 주의: 게임을 시작하기 전 이전 게임의 각종 정보를 저장한 'scripts/NTBot/MyData/JjolBotQueDrop/*.txt'를 삭제합니다.
// '퀘드랍용 쫄봇 설정하기'가 '쫄봇 설정하기'보다 우선합니다.
// 참고: _MyJBC_JjolBotQueDropGisaAccount가 방을 만들면 _MyJBC_JjolBotQueDropJjolAccountList에 설정한 순서대로 한 명의 쫄만 방에 들어갑니다.
// '퀘드랍용 쫄봇 설정하기'의 '쫄 계정이름 설정하기'에서 "쫄 계정이름"이 '쫄봇 설정하기'의 "기사 계정이름"과 같으면 '쫄봇 설정하기'에 설정한 것도 적용됩니다.
// 예) _MyJBC_JjolBotQueDropGisaAccount = "ㄱ"; // 퀘드랍용 쫄봇의 기사 "ㄱ"
// _MyJBC_JjolBotQueDropJjolAccountList.push("ㄴ"); // 퀘드랍용 쫄봇의 쫄 "ㄴ"
// _MyJBC_JjolBotAccountList.push([["ㄴ", true, 2], ["ㄷ", 1000], ["ㄹ", 3000], ["ㅁ", 6000]]); // 쫄봇의 기사 "ㄴ", 쫄봇의 쫄 "ㄷ", "ㄹ", "ㅁ"
// 퀘드랍용 쫄봇의 쫄 겸 쫄봇의 기사인 "ㄴ"과 쫄봇의 쫄 "ㄷ", "ㄹ", "ㅁ"은 로비에서 대기하다가 퀘드랍용 쫄봇의 기사 "ㄱ"이 방을 만들면 "ㄴ"이 방에 들어가고 그다음 "ㄷ", "ㄹ", "ㅁ"이 방에 들어갑니다.
//==============================================================================
// 기사 계정이름 설정하기
//------------------------
_MyJBC_JjolBotQueDropGisaAccount = "";

// 쫄 계정이름 설정하기
//----------------------
//_MyJBC_JjolBotQueDropJjolAccountList.push("쫄 계정이름");
//_MyJBC_JjolBotQueDropJjolAccountList.push("쫄 계정이름");
//_MyJBC_JjolBotQueDropJjolAccountList.push("쫄 계정이름");


//##############################################################################
// 쫄봇 설정하기
//---------------
// _MyJBC_JjolBotAccountList.push([["기사 계정이름", 자동으로 방 만들기, 채널에 있으면 방이름 및 방암호 알려 주기], ["쫄 계정이름", 방 들어가기 전 지연 시간] . . .])
// "기사 계정이름" : "캐릭터이름"이 아닌 "계정이름"입니다.
// 자동으로 방 만들기 : true = 자동으로 방 만들기, false = 수동으로 방을 만들거나 들어가기
// 채널에 있으면 방이름 및 방암호 알려주기: 0 = 사용 안 함, 1 = 방이름만 알려 주기, 2 = 방이름과 방암호 알려 주기 * 주의: 방이름은 'XXX-번호' 형식이어야 합니다.
//
// "쫄 계정이름" : "캐릭터이름"이 아닌 "계정이름"입니다.
// 방 들어가기 전 지연 시간: 1/1000초
//
// 예) _MyJBC_JjolBotAccountList.push([["ㄱ", true, 0], ["ㄴ", 0], ["ㄷ", 1000], ["ㄹ", 500]);
// 쫄 "ㄴ", "ㄷ", "ㄹ"은 로비에서 대기하다가 기사 "ㄱ"이 자동으로 방을 만들면 "ㄴ"은 0초, "ㄷ"은 1초, "ㄹ"은 0.5초 지연 후 방에 들어갑니다.
//
// 주의: 게임을 시작하기 전 이전 게임의 각종 정보를 저장한 'scripts/NTBot/MyData/JjolBot/*.txt'를 삭제합니다.
// 기사와 쫄을 운용하는 컴퓨터의 날짜와 시간은 같아야 합니다.
//==============================================================================
//_MyJBC_JjolBotAccountList.push([["기사 계정이름", true, 0], ["쫄 계정이름", 0]]);
_MyJBC_JjolBotAccountList.push([["skaqhfla2", true, 0], ["skaqhfla1", 1000], ["skaqhfla", 1000]]);
//_MyJBC_JjolBotAccountList.push([["", true, 0], ["", 0], ["", 0], ["", 0]]);

//_MyJBC_JjolBotAccountList.push([["sksmstkddnlek2", true, 1], ["sksmstkddnlek", 0], ["sksmstkddnlek1", 0], ["sksmstkddnlek3", 0]]);










소서 리스

/*
* 사냥터 설정하기
* 시간 설정하기
* 엔피씨, 포션, 치킨 설정하기
* 인벤토리 설정하기
* 벨트 설정하기
* 아이템 설정하기
* 도박 설정하기
* 메시지 설정하기
* 기타 옵션 설정하기
* 공격 설정하기
* 이동 중 사용할 성소 설정하기
* 창고지기 설정하기
* 큐빙 설정하기
*------------------------------------------------------------------------------
* 앞에 '//'가 있으면 : 사용 안 함
* 앞에 '//'가 없으면 : 사용
* true : 사용
* false : 사용 안 함
* 0 또는 -1 : 사용 안 함
* . . . : 무한정 설정할 수 있습니다. 설정한 것들 중에서 대부분 무작위로 하나의 설정이 적용됩니다.
* . . : 여러 개 설정할 수 있습니다.
* me.gametype : 자동으로 오리지널은 false, 확장은 true가 됩니다. 오리지널과 확장 모두 true로 설정하려면 me.gametype를 true로 수정합니다.
* 무기 번호 : 1 = 1번 무기, 2 = 2번 무기
* 사냥할 몬스터 종류 : 0x01 = 모든 몬스터, 0x02 = 슈퍼 유니크, 0x04 = 챔피언, 0x08 = 보스, 0x10 = 미니언, 0x11 = 노말 몬스터 제외
* MyConfig_사냥터Clear: [[0: 사용 안 함/ 1: 길목 사냥/ 2: 전체 사냥, 사냥할 몬스터 종류] . . .]
*------------------------------------------------------------------------------
* NTConfig_Script.push(["사냥터", "옵션" . . .])
* 옵션 목록:
* - "시작_엔티스크립트" * 참고: 사냥터를 시작할 때 적용됩니다. 예) NTConfig_Script.push(["MyHamseongBot.ntj", "시작_엔티스크립트/MyConfig_HamseongBotQueDropBot = ['개똥이', '소똥이', '말똥이']"])
* - "종료_엔티스크립트" * 참고: 사냥터를 종료할 때 적용됩니다. 예) NTConfig_Script.push(["MyCowBot.ntj", "종료_엔티스크립트/for (var i = 0; i < 3; i++) Delay(300);"])
* - "시작_메시지 . . ." * 참고: 사냥터를 시작할 때 메시지를 보냅니다. 예) "시작_메시지/시작합니다!/시작"
* - "종료_메시지 . . ." * 참고: 사냥터를 종료할 때 메시지를 보냅니다. 예) "종료_메시지/종료합니다!/끝/다음 방 '%G'로 갑니다!"
* - "시작_지연_시간" * 참고: 사냥터를 시작할 때 마을에서 지연할 시간(초)입니다. 예) "시작_지연_시간/1"
* - "종료_지연_시간" * 참고: 사냥터를 종료할 때 마을에서 지연할 시간(초)입니다. 예) "종료_지연_시간/1"
* - "공격_스킬 . ." * 참고: MyConfig_AttackSkill[X]는 해당 사냥터에만 적용됩니다. 예) "공격_스킬/MyConfig_AttackSkill[1] = [112, 2, 1, 113]/MyConfig_AttackSkill[3] = [112, 2, 1, 113]"
*------------------------------------------------------------------------------
* 아이템 ClassID: scripts/libs/common/NTItemAlias.ntl
* 스킬 번호 : sdk/스킬_번호.txt
* 몬스터 ClassID: mpqdata/monstats.txt
* 지역 번호 : sdk/areas.txt
*------------------------------------------------------------------------------
* 주의: 설정 옵션에 '.push'가 없을 경우에는 주석처리하거나 삭제하면 오류가 날 수 있습니다.
* 참고: 각종 메시지에서 특수 문자 '%G'는 'XXX-번호' 형식의 다음 방이름입니다.
*/

function NT_LoadConfig()
{
 //##########################################################################
 // 사냥터 설정하기
 //==========================================================================
 // 대기봇
 //--------------------------------------------------------------------------
 //NTConfig_Script.push(["MyDaegiBot.ntj"]); // 참고: 한 번 이상 설정해서 실행시킬 수 있습니다.
 MyConfig_DaegiBotMaster = []; // 설정한 캐릭터가 방에 있으면 대기봇 종료하기 = ["캐릭터이름" . . .]
 //--------------------------------------------------------------------------
 // 프리캐스트봇
 //--------------------------------------------------------------------------
 //NTConfig_Script.push(["MyPrecastBot.ntj"]);
 MyConfig_PrecastBotWaypoint = [35, 46, 101, 107, 129]; // [프리캐스트를 할 웨이포인트 . . .]
 //--------------------------------------------------------------------------
 // 만능 쫄봇
 //--------------------------------------------------------------------------
 //NTConfig_Script.push(["MyJjolBotGisa.ntj"]); // 기사용 만능 쫄봇 * 참고: 'scripts/NTBot/MyConfigs/Key.ntl'에서 명령키를 설정합니다. 'NTConfig_PublicMode = true'로 자동 설정됩니다.
 MyConfig_JjolBotGisaJjol = 0; // 쫄 인원수 = 0: 기사를 직접할 경우/ 1 이상: 기사가 봇일 경우 * 참고: 기사를 직접할 경우, 기사가 지역 이동 후 쫄이 따라오지 않으면 기사를 이리저리 움직이십시오.
 MyConfig_JjolBotGisaWait = 60; // 쫄 기다릴 최대 시간(초)
 NTConfig_Script.push(["MyJjolBotJjol.ntj"]); // 쫄용 만능 쫄봇 * 참고: 'NTConfig_PublicMode = false'로 자동 설정됩니다.
 MyConfig_JjolBotJjolItem = [true, true]; // [방 입장 후 아이템 등 정리하기, 도박하기]
 MyConfig_JjolBotJjolDistance = [10, 15]; // 기사와의 간격 = [최소, 최대]
 MyConfig_JjolBotJjolPrecast = 1000; // 프리캐스트하기 = 확인 시간(1/1000초) 간격 * 참고: '이동이나 사냥 중에 할 프리캐스트 설정하기'가 적용됩니다.
 MyConfig_JjolBotJjolAttack = [20, 1000]; // 몬스터 잡기 = [몬스터와의 간격, 공격 시간(1/1000초) 간격] * 참고: '이동이나 사냥 중에 할 프리캐스트 설정하기'가 적용됩니다.
 MyConfig_JjolBotJjolPick = 1000; // 아이템 줍기 = 확인 시간(1/1000초) 간격
 MyConfig_JjolBotJjolGisa = "kimjonghoon"; // 방에 있는 특정 캐릭터를 기사로 설정하기 = "기사가 될 캐릭터이름" * 주의: 기사가 될 캐릭터가 MyJjolBotGisa.ntj를 사용할 때는 설정하지 마십시오. * 참고: 설정하지 않으면 기사는 'scripts/NTBot/MyConfigs/JjolBot.ntl'에 설정한 기사가 적용됩니다.
 MyConfig_JjolBotJjolMessage = ["!쫄봇 준비 완료!"]; // 수동용 쫄봇의 준비 완료 메시지 = ["보낼 메시지" . . .]
 //--------------------------------------------------------------------------
 // 함성봇, 퀘드랍봇
 //--------------------------------------------------------------------------
 //NTConfig_Script.push(["MyHamseongBot.ntj"]); // 함성봇(함성해 주기) * 참고: 한 번 이상 설정해서 실행시킬 수 있습니다.
 // 퀘드랍봇에게만 함성해 줄 경우
 //...............................
 MyConfig_HamseongBotQueDropBot = []; // ["함성해 줄 퀘드랍봇 캐릭터이름" . . .] * 참고: "함성해 줄 퀘드랍봇 캐릭터이름"을 설정하지 않으면 '최대 게임 시간까지 파티원에게 함성해 줄 경우'가 적용됩니다.
 MyConfig_HamseongBotWait = 120; // 함성해 줄 퀘드랍봇을 기다릴 최대 시간(초)

 // 최대 게임 시간까지 파티원에게 함성해 줄 경우
 //..............................................
 MyConfig_HamseongBotLeftTime = 0; // 배틀 오더스 남은 시간(초)이 설정한 시간보다 적으면 함성해 주기
 MyConfig_HamseongBotMessage = [0, 0]; // [메시지 보내기(배틀 오더스 남은 시간(초)이 설정한 시간보다 적으면 메시지를 보냅니다), 메시지 안 보내기(배틀 오더스 남은 시간이 설정한 시간보다 적으면 메시지를 안 보냅니다)]
 MyConfig_HamseongBotEnchanter = ""; // MyConfig_HamseongBotLeftTime와 MyConfig_HamseongBotMessage를 적용하지 않을 캐릭터이름

 // 기타
 //......
 MyConfig_HamseongBotWaypoint = 107; // 함성해 줄 웨이포인트
 MyConfig_HamseongBotPortal = false; // 함성해 줄 웨이포인트로 이동 후 타운포탈 열기
 MyConfig_HamseongBotWeapon = [1, 1, 1]; // 함성해 줄 때 장착할 무기 번호 = [배틀 커맨드, 샤우트, 배틀 오더스]
 //NTConfig_Script.push(["MyQueDropBot.ntj"]); // 퀘드랍봇(함성 받기) * 참고: 한 번 이상 설정해서 실행시킬 수 있습니다.
 MyConfig_QueDropBotHamseongBot = ["", 120, 0, 120]; // 함성봇 = ["함성봇 캐릭터이름", 함성봇을 확인할 최대 시간(초), 함성 받을 웨이포인트(0: 함성봇이 있는 웨이포인트), 함성 받을 최대 시간(초)]
 //--------------------------------------------------------------------------
 // 디아런 도우미
 //--------------------------------------------------------------------------
 //NTConfig_Script.push(["MyDiaRunGisa.ntj"]); // 디아런 도우미(기사) * 참고: 'scripts/NTBot/MyConfigs/Key.ntl'에서 명령키를 설정합니다. 'NTConfig_PublicMode = true'로 자동 설정됩니다.
 //NTConfig_Script.push(["MyDiaRunHamseongBarba.ntj"]); // 디아런 도우미(함성바바) * 참고: 'NTConfig_PublicMode = true'로 자동 설정됩니다.
 //NTConfig_Script.push(["MyDiaRunFlySorce.ntj"]); // 디아런 도우미(플라이소서) * 참고: 'NTConfig_PublicMode = true'로 자동 설정됩니다.
 //--------------------------------------------------------------------------
 // 인첸트봇
 //--------------------------------------------------------------------------
 //NTConfig_Script.push(["MyEnchantBot.ntj"]); // 참고: 한 번 이상 설정해서 실행시킬 수 있습니다. 봇이 'scripts/NTBot/MyData/Hostile/HostileName.txt' 파일을 자동으로 만듭니다. HostileName.txt(적대적 플레이어 이름 기록)에 이름이 기록된 플레이어는 인첸트를 안 해 줍니다.
 MyConfig_EnchantBotWaypoint = 35; // 인첸트해 줄 웨이포인트(2: 액트 1 입구)
 MyConfig_EnchantBotPingDelay = 0; // 인첸트해 준 후 핑 지연 시간(1/1000초) * 참고: 핑 지연 시간이 적으면 인첸트를 계속 해 주는 오류가 날 수 있습니다.
 MyConfig_EnchantBotLeftTime = 0; // 인첸트 남은 시간(초)이 설정한 시간보다 적으면 인첸트해 주기
 MyConfig_EnchantBotBattleCommand = false; // 배틀 커맨드를 받은 상태에서만 인첸트해 주기
 MyConfig_EnchantBotHamseongBot = ""; // MyConfig_EnchantBotLeftTime와 MyConfig_EnchantBotMessage[0]를 적용하지 않을 캐릭터이름
 MyConfig_EnchantBotMessage[0] = [0, 0]; // 메시지 보내기 = [시작할 시간(초, 인첸트 남은 시간이 설정한 시간보다 적으면 메시지를 보냅니다), 멈출 시간(초, 인첸트 남은 시간이 설정한 시간보다 적으면 메시지를 안 보냅니다)]
 MyConfig_EnchantBotMessage[1] = [false, "인첸트가 필요할 땐 '.인첸트', '.ㅇㅊ', '.en' 등을 외칩니다!", "인첸트봇의 남은 시간을 알고 싶을 땐 '.시간', '.ㅅㄱ', '.time' 등을 외칩니다!"]; // [방에 새 플레이어가 들어오면 메시지 보내기, "보낼 메시지" . . .] * 참고: 특수 문자 '%N'은 방에 새로 들어 온 플레이어 이름입니다. 예) [true, "어서오세요!", "%N 님, 반갑습니다!"] = 무작위로 두 가지 중 하나의 메시지를 보냅니다.
 MyConfig_EnchantBotMessage[2] = [0, ""]; // 설정한 시간 간격마다 메시지 보내기 = [시간(초) 간격, "보낼 메시지" . . .] * 참고: 특수 문자 '%P'는 방에서 파티를 맺고 인첸트를 받은 플레이어 이름(무작위)입니다. 특수 문자 '%H', '%M', '%S'는 남은 시간입니다. 예) [60, "열심히...", "%P 님, 그냥...", "꾸준히...", "%P 님, 남은 시간은 %M분 %S초..."] = 60초 간격으로 무작위로 네 가지 중 하나의 메시지를 보냅니다.
 MyConfig_EnchantBotMessage[3] = [0, ""]; // 설정한 시간까지 인첸트해 준 후 MyEnchantBot.ntj 끝내기 = [인첸트해 줄 시간(초), "보낼 메시지" . . .] * 참고: 특수 문자 '%G'는 'XXX-번호' 형식의 다음 방이름입니다. 예) [600, "다음 방으로 갑니다!", "다음 방은 '%G'입니다!"] = 600초 후 무작위로 두 가지 중 하나의 메시지를 보낸 다음 스크립트를 종료합니다.
 //--------------------------------------------------------------------------
 // 샵봇
 //--------------------------------------------------------------------------
 //NTConfig_Script.push(["MyShopBot.ntj"]); // 샵봇 * 참고: 한 번 이상 설정해서 실행시킬 수 있습니다.
 MyConfig_ShopBotNpc = 7; // NPC 번호 * 참고: 'scripts/NTBot/bots/MyShopBot.ntj'에 NPC 번호가 있습니다. 시간 관리자와 자동 디아런에서 실행되는 샵봇에도 적용됩니다.
 MyConfig_ShopBotCowPortal = false; // 시크리트 카우 레벨 포탈 이용하기 * 참고: 시간 관리자와 자동 디아런에서 실행되는 샵봇에도 적용됩니다.
 MyConfig_ShopBotAnyaPortal = false; // 니라트하크의 사원 포탈 이용하기 * 참고: 시간 관리자와 자동 디아런에서 실행되는 샵봇에도 적용됩니다.
 MyConfig_ShopBotRunTime = [0, 600]; // 샵봇 실행 시간 = [0: 사용 안 함/ 1: 방 입장 시각부터/ 2: 샵봇 시작 시각부터, 실행 시간(초)]
 //NTConfig_Script.push(["MyShopBotStop.ntj"]); // 샵봇 중단시키기 * 참고: 한 번 이상 설정해서 실행시킬 수 있습니다.
 MyConfig_ShopBotStopShopBot = []; // ["중단 시킬 샵봇 캐릭터이름" . . .]
 //--------------------------------------------------------------------------
 // 성소봇
 //--------------------------------------------------------------------------
 //NTConfig_Script.push(["MySeongsoBot.ntj"]); // 참고: 'scripts/NTBot/MyConfigs/SeongsoBot.ntl'에서 설정합니다.
 //--------------------------------------------------------------------------
 // 장기봇
 //--------------------------------------------------------------------------
 //NTConfig_Script.push(["MyJanggiBot.ntj"]); // 장기봇 * 참고: 'scripts/NTBot/MyConfigs/JanggiBot.ntl'에서 창고지기를 설정합니다.
 MyConfig_JanggiBotExit = true; // 장기봇 종료할 때 방 나가기
 //NTConfig_Script.push(["MyJanggiBotKeeper.ntj"]); // 장기봇용 방 만들고 지키기 * 참고: 'scripts/NTBot/MyConfigs/JjolBot.ntl 또는 WarehouseKeeper.ntl'에서 방 만들고 지킬 캐릭터는 쫄봇의 기사 또는 창고지기의 장기봇용 방 만들고 지키기를 설정하고, 장기봇은 쫄봇의 쫄을 설정합니다.

 //--------------------------------------------------------------------------
 // 액트 1
 //--------------------------------------------------------------------------
 //NTConfig_Script.push(["MyCorpsefire.ntj"]); // 액트 1: 콜드 플레인으로 이동 -> 블러드 무어로 이동 -> 케이브 1층으로 이동 -> 불타는 시체 사냥
 MyConfig_CorpsefireClear = [[0, 0x01], [0, 0x01], [0, 0x01]]; // [콜드 플레인, 블러드 무어, 케이브 1층]
 //NTConfig_Script.push(["MyBishibosh.ntj"]); // 액트 1: 콜드 플레인으로 이동 -> 비쉬보쉬 사냥
 MyConfig_BishiboshClear = [0, 0x01]; // [콜드 플레인]
 MyConfig_BishiboshMausoleum = false; // MyMausoleum.ntj 실행하기 * 주의: 실행할 경우 NTConfig_Script.push("MyMausoleum.ntj")는 주석처리합니다.
 //NTConfig_Script.push(["MyColdcrow.ntj"]); // 액트 1: 콜드 플레인으로 이동 -> 케이브 1층으로 이동 -> 콜드크로우 사냥 -> 케이브 2층으로 이동 -> 상자 열기
 MyConfig_ColdcrowClear = [[0, 0x01], [0, 0x01], [0, 0x01]]; // [콜드 플레인, 케이브 1층, 케이브 2층]
 //NTConfig_Script.push(["MyHole.ntj"]); // 액트 1: 블랙 마쉬로 이동 -> 홀 1, 2층으로 이동 -> 상자 열기/전체 사냥
 MyConfig_HoleClear = [[0, 0x01], [1, 0x01], [2, 0x01]]; // [블랙 마쉬, 홀 1층, 홀 2층]
 //NTConfig_Script.push(["MyMausoleum.ntj"]); // 액트 1: 콜드 플레인으로 이동 -> 베리얼 그라운드로 이동 -> (블러드 레이븐 사냥 ->) 머설리엄으로 이동 -> 상자 열기/전체 사냥 (-> 베리얼 그라운드로 이동 -> 크립트로 이동 -> 상자 열기)
 MyConfig_MausoleumKill = true; // 블러드 레이븐 잡기
 MyConfig_MausoleumClear = [[0, 0x01], [0, 0x01], [2, 0x01], [0, 0x01]]; // [콜드 플레인, 베리얼 그라운드, 머설리엄, 크립트]
 //NTConfig_Script.push(["MyTristram.ntj"]); // 액트 1: 스토니 필드로 이동 -> 라카니슈 사냥 -> 트리스트럼으로 이동 -> 그리스월드 사냥
 MyConfig_TristramClear = [[0, 0x01], [0, 0x01]]; // [스토니 필드, 트리스트럼]
 //NTConfig_Script.push(["MyUndergroundPassage.ntj"]); // 액트 1: 스토니 필드로 이동 -> 지하통로 1, 2층으로 이동 -> 상자 열기/전체 사냥
 MyConfig_UndergroundPassageClear = [[0, 0x01], [1, 0x01], [2, 0x01]]; // [스토니 필드, 지하통로 1층, 지하통로 2층]
 //NTConfig_Script.push(["MyTreeheadWoodfist.ntj"]); // 액트 1: 다크 우드로 이동 -> 트리헤드 우드피스트 사냥
 MyConfig_TreeheadWoodfistClear = [0, 0x01]; // [다크 우드]
 //NTConfig_Script.push(["MyPit.ntj"]); // 액트 1: 블랙 마쉬로 이동 -> 타모에 고지로 이동 -> 피트 1, 2층으로 이동 -> 전체 사냥/상자 열기
 MyConfig_PitClear = [[0, 0x01], [0, 0x01], [1, 0x01], [2, 0x01]]; // [블랙 마쉬, 타모에 고지, 피트 1층, 피트 2층]
 //NTConfig_Script.push(["MySmith.ntj"]); // 액트 1: 수도원 외곽으로 이동 -> 병영으로 이동 -> 스미스 사냥
 MyConfig_SmithClear = [[0, 0x01], [0, 0x01]]; // [수도원 외곽, 병영]
 //NTConfig_Script.push(["MyCountess.ntj"]); // 액트 1: 블랙 마쉬로 이동 -> 포카튼 타워로 이동 -> 타워 지하 1, 2, 3, 4, 5층으로 이동 -> 카운테스 사냥
 MyConfig_CountessClear = [[0, 0x01], [0, 0x01], [0, 0x01], [0, 0x01], [0, 0x01], [0, 0x01]]; // [블랙 마쉬, 타워 지하 1층, 타워 지하 2층, 타워 지하 3층, 타워 지하 4층, 타워 지하 5층]
 //NTConfig_Script.push(["MyPitspawnFouldog.ntj"]); // 액트 1: 감옥 1, 2층으로 이동 -> 핏스톤 파울도그 사냥 * 참고: 이동 오류가 잦은 사냥터입니다.
 MyConfig_PitspawnFouldogClear = [[0, 0x01], [0, 0x01]]; // [감옥 1층, 감옥 2층]
 //NTConfig_Script.push(["MyBoneAsh.ntj"]); // 액트 1: 수도원 안쪽으로 이동 -> 시체 뒤지기 -> 대성당으로 이동 -> 본 애쉬 사냥
 MyConfig_BoneAshClear = [0, 0x01]; // [대성당]
 //NTConfig_Script.push(["MyAndariel.ntj"]); // 액트 1: 카타콤 2, 3, 4층으로 이동 -> 안다리엘 사냥
 MyConfig_AndarielJjolBot = 0; // 만능 쫄봇 = 0: 사용 안 함/ 1: 쫄봇(멈춤)/ 2: 쫄봇(움직임)
 MyConfig_AndarielAntidotePotion = 0; // 사 먹을 해독포션 개수
 MyConfig_AndarielClear = [[0, 0x01], [0, 0x01], [0, 0x01]]; // [카타콤 2층, 카타콤 3층, 카타콤 4층]
 MyConfig_AndarielKill = 0; // 안다리엘 잡기 = 0: 왼쪽 벽/ 1: 머리 찍기/ 2: 거리 유지하기/ 3: 입구 근처 상자 쌓여 있는 곳 * 참고: 'MyConfig_AndarielJjolBot = 0'이 아니면 3으로 자동 설정됩니다.
 //--------------------------------------------------------------------------
 // 액트 2
 //--------------------------------------------------------------------------
 //NTConfig_Script.push(["MyRadament.ntj"]); // 액트 2: 하수구 2, 3층으로 이동 -> 라다먼트 사냥/상자 열기
 MyConfig_RadamentClear = [[0, 0x01], [0, 0x01]]; // [하수구 2층, 하수구 3층]
 //NTConfig_Script.push(["MyStonyTomb.ntj"]); // 액트 2: 메마른 언덕으로 이동 -> 로키 황무지로 이동 -> 스토니 툼 1, 2층으로 이동 -> 크리핑 피쳐 사냥/몬스터 사냥/상자 열기
 MyConfig_StonyTombClear = [[0, 0x01], [0, 0x01], [0, 0x01], [0, 0x01]]; // [메마른 언덕, 로키 황무지, 스토니 툼 1층, 스토니 툼 2층]
 //NTConfig_Script.push(["MyHalls.ntj"]); // 액트 2: 죽음의 홀 2, 3층으로 이동 -> 미치광이 블러드윗치 사냥/상자 열기
 MyConfig_HallsClear = [[0, 0x01], [0, 0x01]]; // [죽음의 홀 2층, 죽음의 홀 3층]
 //NTConfig_Script.push(["MyBeetleburst.ntj"]); // 액트 2: 파 오아시스로 이동 -> 비틀버스트 사냥
 MyConfig_BeetleburstClear = [0, 0x01]; // [파 오아시스]
 //NTConfig_Script.push(["MyColdworm.ntj"]); // 액트 2: 파 오아시스로 이동 -> 마고트 동굴 1, 2, 3층으로 이동 -> 콜드웜 버로워 사냥/상자 열기
 MyConfig_ColdwormClear = [[0, 0x01], [0, 0x01], [0, 0x01], [0, 0x01]]; // [파 오아시스, 마고트 동굴 1층, 마고트 동굴 2층, 마고트 동굴 3층]
 //NTConfig_Script.push(["MyDarkElder.ntj"]); // 액트 2: 잊혀진 도시로 이동 -> 사악한 장로 사냥
 MyConfig_DarkElderClear = [0, 0x01]; // [잊혀진 도시]
 MyConfig_DarkElderAncientTunnels = false; // MyAncientTunnels.ntj 실행하기 * 주의: 실행할 경우 NTConfig_Script.push("MyAncientTunnels.ntj")는 주석처리합니다.
 //NTConfig_Script.push(["MyAncientTunnels.ntj"]); // 액트 2: 잊혀진 도시로 이동 -> 고대 하수도로 이동 -> 상자 열기
 MyConfig_AncientTunnelsClear = [[0, 0x01], [2, 0x01]]; // [잊혀진 도시, 고대 하수도]
 //NTConfig_Script.push(["MyFangskin.ntj"]); // 액트 2: 잊혀진 도시로 이동 -> 스네이크 벨리로 이동 -> 클러 바이퍼 사원 1, 2층으로 이동 -> 팽스킨 사냥
 MyConfig_FangskinClear = [[0, 0x01], [0, 0x01], [0, 0x01]]; // [잊혀진 도시, 클러 바이퍼 사원 1층, 클러 바이퍼 사원 2층]
 //NTConfig_Script.push(["MySummoner.ntj"]); // 액트 2: 아케인 생츄어리로 이동 -> (궁전 지하 3층으로 이동 -> 파이어 아이 사냥 -> 아케인 생츄어리로 이동 ->) 소환술사 사냥 (-> 마기의 캐니언으로 이동 -> (상자 열기 ->) 듀리얼 사냥)
 MyConfig_SummonerFireEye = false; // 파이어 아이 잡기
 MyConfig_SummonerClear = [0, 0x01]; // [아케인 생츄어리]
 MyConfig_SummonerKill = 0; // 소환술사 잡기 = 0: 호라즌의 일지/ 1: 머리 찍기/ 2: 안전한 자리에서 잡기 * 참고: 근접 공격 캐릭터는 머리 찍기로만 공격합니다.
 MyConfig_SummonerDuriel = false; // MyDuriel.ntj 실행하기 * 주의: 실행할 경우 NTConfig_Script.push("MyDuriel.ntj")는 주석처리합니다.
 //NTConfig_Script.push(["MyDuriel.ntj"]); // 액트 2: 마기의 캐니언으로 이동 -> (상자 열기 ->) 듀리얼 사냥
 MyConfig_DurielJjolBot = 0; // 만능 쫄봇 = 0: 사용 안 함/ 1: 쫄봇(멈춤)/ 2: 쫄봇(움직임)
 MyConfig_DurielChest = 0; // 황금상자 열기 = 0: 사용 안 함/ 1: 열기/ 2: 주변 몬스터 정리 후 열기
 MyConfig_DurielClear = [[0, 0x01], [0, 0x01]]; // [마기의 캐니언, 탈 라샤 무덤]
 MyConfig_DurielKill = 0; // 듀리얼 잡기 = 0: 맞짱/ 1: 거리 유지하기/ 2: 티리얼 있는 곳으로 유인하기 * 참고: 'MyConfig_DurielJjolBot = 0'이 아니면 0으로 자동 설정됩니다.
 //--------------------------------------------------------------------------
 // 액트 3
 //--------------------------------------------------------------------------
 //NTConfig_Script.push(["MySszarkTheBurning.ntj"]); // 액트 3: 스파이더 포레스트로 이동 -> 스파이더 동굴로 이동 -> 불타는 스자크 사냥/상자 열기
 MyConfig_SszarkTheBurningClear = [[0, 0x01], [0, 0x01]]; // [스파이더 포레스트, 스파이더 동굴]
 //NTConfig_Script.push(["MyFlayerDungeon.ntj"]); // 액트 3: 프레이어 정글로 이동 -> 프레이어 던전 1, 2, 3층으로 이동 -> 마법사 엔두구 사냥/상자 열기
 MyConfig_FlayerDungeonClear = [[0, 0x01], [0, 0x01], [0, 0x01], [0, 0x01]]; // [프레이어 정글, 프레이어 던전 1층, 프레이어 던전 2층, 프레이어 던전 3층]
 //NTConfig_Script.push(["MyStormtree.ntj"]); // 액트 3: 남부 쿠라스트로 이동 -> 프레이어 정글로 이동 -> 스톰트리 사냥
 MyConfig_StormtreeClear = [0, 0x01]; // [남부 쿠라스트]
 //NTConfig_Script.push(["MyAct3Sewers.ntj"]); // 액트 3: 쿠라스트 바자로 이동 -> (폐허의 사원으로 이동 -> 전체 사냥 -> 버려진 신전으로 이동 -> 전체 사냥) -> 하수구 1층으로 이동 -> 아이스호크 리프트윙 사냥 -> 하수구 2층으로 이동 -> 상자 열기
 MyConfig_Act3SewersRuinedTemple = false; // 폐허의 사원 전체 사냥하기
 MyConfig_Act3SewersDisusedFane = false; // 버려진 신전 전체 사냥하기
 MyConfig_Act3SewersClear = [[0, 0x01], [0, 0x01]]; // [쿠라스트 바자, 하수구 1층]
 //NTConfig_Script.push(["MyKurastTravel.ntj"]); // 액트 3: 북부 쿠라스트로 이동 -> 잊혀진 유적으로 이동 -> 전체 사냥 -> 잊혀진 사원으로 이동 -> 전체 사냥 -> 쿠라스트 커즈웨이로 이동 -> 폐허의 신전으로 이동 -> 전체 사냥 -> 버려진 유적으로 이동 -> 전체 사냥
 MyConfig_KurastTravelClear = [[0, 0x01], [0, 0x01]]; // [북부 쿠라스트, 쿠라스트 커즈웨이]
 MyConfig_KurastTravelTravincal = false; // MyTravincal.ntj 실행하기 * 주의: 실행할 경우 NTConfig_Script.push("MyTravincal.ntj")는 주석처리합니다.
 //NTConfig_Script.push(["MyTravincal.ntj"]); // 액트 3: 트라빈컬로 이동 -> 카운슬 멤버 사냥
 MyConfig_TravincalClear = [0, 0x01]; // [트라빈컬]
 MyConfig_TravincalMephisto = false; // MyMephisto.ntj 실행하기 * 주의: 실행할 경우 NTConfig_Script.push("MyMephisto.ntj")는 주석처리합니다.
 MyConfig_TravincalSafe = !me.gametype; // 안전한 자리에서 잡기 * 참고: 소서리스만 적용됩니다. 공격 스킬이 스태틱 필드일 때는 적용되지 않습니다. 자동 버스의 기사가 트라빈컬 사냥할 때도 적용됩니다.
 //NTConfig_Script.push(["MyMephisto.ntj"]); // 액트 3: 증오의 사원 2, 3층으로 이동 -> 메피스토 사냥/상자 열기
 MyConfig_MephistoJjolBot = 0; // 만능 쫄봇 = 0: 사용 안 함/ 1: 쫄봇(멈춤)/ 2: 쫄봇(움직임)
 MyConfig_MephistoClear = [[0, 0x01], [0, 0x01], [0, 0x01]]; // [증오의 사원 1층, 증오의 사원 2층, 증오의 사원 3층] * 참고: 증오의 사원 1층은 'MyConfig_TravincalMephisto = false'로 설정하면 전체 사냥만 적용되고 'MyConfig_TravincalMephisto = true'는 길목 사냥과 전체 사냥 모두 적용됩니다. 오리지널에서는 증오의 사원 3층을 전체 사냥으로 설정하면 카운슬 멤버를 잡습니다.
 MyConfig_MephistoKill = 0; // 메피스토 잡기 = 0: 맞짱/ 1: 강 쪽으로 유인하기 * 참고: 'MyConfig_MephistoJjolBot = 0'이 아니면 0으로 자동 설정됩니다.
 //--------------------------------------------------------------------------
 // 액트 4
 //--------------------------------------------------------------------------
 //NTConfig_Script.push(["MyIzual.ntj"]); // 액트 4: 지옥 망령의 도시로 이동 -> 절망의 평원으로 이동 -> 이주얼 사냥
 MyConfig_IzualClear = [[0, 0x01], [0, 0x01]]; // [지옥 망령의 도시, 절망의 평원]
 //NTConfig_Script.push(["MyHephasto.ntj"]); // 액트 4: 불길의 강으로 이동 -> 대장장이 헤파스토 사냥
 MyConfig_HephastoClear = [0, 0x01]; // [불길의 강]
 //NTConfig_Script.push(["MyDiaBot.ntj"]); // 액트 4: 불길의 강으로 이동 -> 카오스 생츄어리로 이동 -> 씨일 열고 소환 몬스터 사냥 -> 디아블로 사냥
 MyConfig_DiaBotDiaJjolBot = [0, ""]; // 디아봇용 쫄봇 = [0: 사용 안 함/ 1: 기사/ 2: 부기사/ 3: 쫄, "기사 캐릭터이름"] * 기사 캐릭터이름: 부기사와 쫄일 때만 설정하며, 설정하지 않으면 기사 캐릭터이름은 'scripts/NTBot/MyConfigs/JjolBot.ntl'에 설정한 기사의 캐릭터이름이 적용됩니다. * 주의: 디아봇용 쫄봇과 만능 쫄봇을 같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 참고: 기사는 'NTConfig_PublicMode = true', 부기사와 쫄은 'NTConfig_PublicMode = false'로 자동 설정됩니다.
 MyConfig_DiaBotJjolBot = 0; // 만능 쫄봇 = 0: 사용 안 함/ 1: 쫄봇(멈춤)/ 2: 쫄봇(움직임) * 주의: 만능 쫄봇은 디아봇용 쫄봇, MyConfig_DiaBotPortalOpen, MyConfig_DiaBotPortalUse 등과 같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MyConfig_DiaBotHelp = 0; // 채팅으로 'ㄷ', 'h', 'H'를 외치면 해당 플레이어의 주위에 있는 몬스터를 잡아 주기 = 잡아 줄 횟수
 MyConfig_DiaBotPotion = [0, 0]; // 사 먹을 포션 개수 = [해독포션, 해빙포션]
 MyConfig_DiaBotClear = [[0, 0x01], [0, 0x01], [1, 0x01]]; // [웨이포인트부터 입구까지, 입구부터 중앙까지, 중앙부터 디아블로 소환 전까지]
 MyConfig_DiaBotPortalOpen = [false, 0, 120, true]; // 카오스 생츄어리에 타운포탈 열기 = [사용 여부, 0: 사용 안 함/ 1: 어다/그로테스크/머어 피엔드/대장장이 헤파스토가 있으면 타운포탈 열기(길목)/ 2: 같이 잡기(길목)/ 3: 타운포탈 열기(전체)/ 4: 같이 잡기(전체), 카오스 생츄어리에 파티원이 있는지 확인할 최대 시간(초), 카오스 생츄어리에서 사냥하기] * 주의: 만능 쫄봇과 같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MyConfig_DiaBotPortalUse = [0, true]; // 카오스 생츄어리에 열린 타운포탈 이용하기 = [타운포탈이 열렸는지 확인할 최대 시간(초), 어다/그로테스크/머어 피엔드/대장장이 헤파스토 잡기] * 주의: 디아봇용 쫄봇의 부기사와 쫄 및 만능 쫄봇과는 같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 참고: 타운포탈을 이용하는데 실패하면 웨이포인트를 통해 카오스 생츄어리로 이동합니다.
 MyConfig_DiaBotPortalPosition = 0; // 타운포탈 열 위치 = 0: 입구/ 1: 중앙 * 참고: 공방이거나 디아봇용 쫄봇, 만능 쫄봇, MyConfig_DiaBotPortalOpen 등을 사용할 때 적용됩니다.
 MyConfig_DiaBotPortalCenter = false; // 중앙 근처에 타운포탈 열기 * 참고: 공방에서 중앙 근처에 타운포탈을 열지 않았을 때만 적용됩니다.
 MyConfig_DiaBotKill = 0; // 디아블로 잡기 = 0: 잡기/ 1: 대기/ 2: 포기
 MyConfig_DiaBotInventory = 0; // 디아블로 잡기 전 인벤토리에 있는 아이템 정리하기 = 0: 사용 안 함/ 1: 마지막 씨일 연 후 아이템 정리하기/ 2: 아이템 정리 후 마지막 씨일 열기
 MyConfig_DiaBotParty = false; // 디아블로 잡기 전 주위에 파티원 8명이 있으면 탈퇴하라는 메시지 보내기
 MyConfig_DiaBotMessage[0] = ["도움이 필요할 땐 'ㄷ', 'h', 'H' 등을 외칩니다!"]; // ["보낼 메시지" . . .]
 MyConfig_DiaBotMessage[1] = ["타운포탈, 위험합니다!"]; // ["보낼 메시지" . . .]
 MyConfig_DiaBotMessage[2] = ["타운포탈, 안전합니다!"]; // ["보낼 메시지" . . .]
 MyConfig_DiaBotMessage[3] = ["디아블로를 잡습니다!"]; // ["보낼 메시지" . . .]
 MyConfig_DiaBotMessage[4] = ["다음 방으로 갑니다!"]; // ["보낼 메시지" . . .]
 //--------------------------------------------------------------------------
 // 액트 5
 //--------------------------------------------------------------------------
 //NTConfig_Script.push(["MyEldritch.ntj"]); // 액트 5: 프리지드 하이랜드로 이동 -> 엘드리치 더 랙터파이어 사냥 (-> 블러디 풋힐로 이동 -> 쉔크 더 오버시어 사냥/덱 패른 사냥)
 MyConfig_EldritchClear = [[0, 0x01], [0, 0x01]]; // [프리지드 하이랜드, 블러디 풋힐]
 MyConfig_EldritchKill = 0; // 엘드리치 더 랙터파이어 잡기 = 0: 잡기/ 1: 주변 몬스터 정리 후 잡기/ 2: 머리 찍기
 MyConfig_EldritchSharptooth = false; // 샤프투쓰 슬레이어 잡기
 MyConfig_EldritchChest = false; // 상자 열기
 MyConfig_EldritchShenk = 2; // 쉔크 더 오버시어 잡기 = 0: 잡지 않음/ 1: 주변 몬스터 정리 후 잡기/ 2: 머리 찍기
 MyConfig_EldritchDacFarren = false; // 덱 패른 잡기
 MyConfig_EldritchAbaddon = false; // MyAbaddon.ntj 실행하기 * 주의: 실행할 경우 NTConfig_Script.push("MyAbaddon.ntj")는 주석처리합니다.
 //NTConfig_Script.push(["MyAbaddon.ntj"]); // 액트 5: 프리지드 하이랜드로 이동 -> 어배던으로 이동 -> 상자 열기
 MyConfig_AbaddonClear = [[0, 0x01], [0, 0x01]]; // [프리지드 하이랜드, 어배던]
 //NTConfig_Script.push(["MyThreshSocket.ntj"]); // 액트 5: 아리앗 고원으로 이동 -> 쓰레쉬 소켓 사냥 (-> 피트 오브 아케런으로 이동 -> 상자 열기)
 MyConfig_ThreshSocketClear = [0, 0x01]; // [아리앗 고원]
 MyConfig_ThreshSocketPitOfAcheron = false; // MyPitOfAcheron.ntj 실행하기 * 주의: 실행할 경우 NTConfig_Script.push("MyPitOfAcheron.ntj")는 주석처리합니다.
 //NTConfig_Script.push(["MyPitOfAcheron.ntj"]); // 액트 5: 아리앗 고원으로 이동 -> 피트 오브 아케런으로 이동 -> 상자 열기
 MyConfig_PitOfAcheronClear = [[0, 0x01], [0, 0x01]]; // [아리앗 고원, 피트 오브 아케런]
 //NTConfig_Script.push(["MyPindleskin.ntj"]); // 액트 5: 니라트하크의 사원 포탈로 이동 -> 핀들스킨 사냥 (-> 홀스 오브 앵귀쉬로 이동 -> 홀스 오브 페인으로 이동 -> 홀스 오브 보우트로 이동 -> 니라트하크 사냥)
 MyConfig_PindleskinNihlathak = 0; // 니라트하크 잡기 = 0: 잡지 않음/ 1: 멀리서/ 2: 머리 찍기
 MyConfig_PindleskinTombViper = false; // 툼 바이퍼 있으면 니라트하크 잡지 않기
 MyConfig_PindleskinClear = [[0, 0x01], [0, 0x01], [0, 0x01]]; // [홀스 오브 앵귀쉬, 홀스 오브 페인, 홀스 오브 보우트] * 참고: 'MyConfig_PindleskinNihlathak = 1 또는 2'로 설정했을 때만 작동합니다.
 //NTConfig_Script.push(["MyNihlathak.ntj"]); // 액트 5: 홀스 오브 페인으로 이동 -> 홀스 오브 보우트로 이동 -> 니라트하크 사냥 (-> 홀스 오브 페인으로 이동 -> 홀스 오브 앵귀쉬로 이동 -> 니라트하크의 사원으로 이동 -> 핀들스킨 사냥)
 MyConfig_NihlathakKill = false; // 니라트하크 머리 찍기
 MyConfig_NihlathakTombViper = false; // 툼 바이퍼 있으면 니라트하크 잡지 않기
 MyConfig_NihlathakPindleskin = false; // 핀들스킨 잡기
 MyConfig_NihlathakClear = [[0, 0x01], [0, 0x01], [0, 0x01]]; // [홀스 오브 페인, 홀스 오브 보우트, 홀스 오브 앵귀쉬] * 참고: 홀스 오브 앵귀쉬는 'MyConfig_NihlathakPindleskin = true'로 설정했을 때만 작동합니다.
 //NTConfig_Script.push(["MyFrozenRiver.ntj"]); // 액트 5: 크리스탈라인으로 이동 -> 프로즌 리버로 이동 -> 프로즌스타인 사냥
 MyConfig_FrozenRiverClear = [[0, 0x01], [0, 0x01]]; // [크리스탈라인, 프로즌 리버]
 //NTConfig_Script.push(["MyGlacialTrail.ntj"]); // 액트 5: 글레이셜 트레일로 이동 -> 본소우 브리커 사냥/상자 열기 -> 드리프터 동굴로 이동 -> 상자 열기
 MyConfig_GlacialTrailClear = [[0, 0x01], [0, 0x01]]; // [글레이셜 트레일, 드리프터 동굴]
 //NTConfig_Script.push(["MyIcyCellar.ntj"]); // 액트 5: 고대인의 길로 이동 -> 아이시 셀라로 이동 -> 스넵치프 쉐터 사냥/상자 열기
 MyConfig_IcyCellarClear = [[0, 0x01], [0, 0x01]]; // [고대인의 길, 아이시 셀라]
 //NTConfig_Script.push(["MyBaalBot.ntj"]); // 액트 5: 월드스톤 성채 2, 3층으로 이동 -> 쓰론 오브 디스트럭션으로 이동 -> 바알 소환 몬스터 사냥 (-> 월드스톤 체임버로 이동 -> 바알 사냥)
 MyConfig_BaalBotBaalJjolBot = [0, ""]; // 바알봇용 쫄봇 = [0: 사용 안 함/ 1: 기사/ 2: 부기사/ 3: 쫄, "기사 캐릭터이름"] * 기사 캐릭터이름: 부기사와 쫄만 설정 가능하며, 설정하지 않으면 기사 캐릭터이름은 'scripts/NTBot/MyConfigs/JjolBot.ntl'에 설정한 기사의 캐릭터이름이 적용됩니다. * 주의: 바알봇용 쫄봇과 만능 쫄봇을 같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 참고: 기사는 'NTConfig_PublicMode = true', 부기사와 쫄은 'NTConfig_PublicMode = false'로 자동 설정됩니다.
 MyConfig_BaalBotJjolBot = 0; // 만능 쫄봇 = 0: 사용 안 함/ 1: 쫄봇(멈춤)/ 2: 쫄봇(움직임) * 주의: 만능 쫄봇과 바알봇용 쫄봇을 같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MyConfig_BaalBotClear = [[0, 0x01], [0, 0x01], [0, 0x01], [0, 0x01]]; // [월드스톤 성채 1층, 월드스톤 성채 2층, 월드스톤 성채 3층, 쓰론 오브 디스트럭션] * 참고: 월드스톤 성채 1층은 전체 사냥만 적용됩니다.
 MyConfig_BaalBotCheckMonster = [false, false, false, false, 691]; // 몬스터를 발견하면 사냥 중지하기 = [월드스톤 성채 1층, 월드스톤 성채 2층, 월드스톤 성채 3층, 쓰론 오브 디스트럭션, 몬스터 ClassID . . .]
 MyConfig_BaalBotPortalFirst = false; // 쓰론 오브 디스트럭션에 도착하면 타운포탈부터 열기
 MyConfig_BaalBotPortalXy[0] = [15116, 5068]; // 타운포탈 "타운포탈, 위험합니다!" 열 좌표 = [X, Y]
 MyConfig_BaalBotPortalXy[1] = [15116, 5068]; // 타운포탈 "타운포탈, 안전합니다!" 열 좌표 = [X, Y]
 MyConfig_BaalBotWaitingXy[0] = [15092, 5040]; // 바알이 몬스터를 소환할 때 쫄봇(움직임)이 대기할 좌표 = [X, Y]
 MyConfig_BaalBotWaitingXy[1] = [15092, 5040]; // 바알이 몬스터를 소환할 때 대기할 좌표 = [X, Y]
 MyConfig_BaalBotKill = true; // 바알 잡기
 MyConfig_BaalBotInventory = false; // 바알 잡기 전 인벤토리에 있는 아이템 정리하기
 MyConfig_BaalBotMessage[0] = ["타운포탈, 위험합니다!"]; // ["보낼 메시지" . . .]
 MyConfig_BaalBotMessage[1] = ["타운포탈, 안전합니다!"]; // ["보낼 메시지" . . .]
 MyConfig_BaalBotMessage[2] = ["바알을 잡습니다!"]; // ["보낼 메시지" . . .]
 MyConfig_BaalBotMessage[3] = ["다음 방으로 갑니다!"]; // ["보낼 메시지" . . .]
 //--------------------------------------------------------------------------
 // 카우봇
 //--------------------------------------------------------------------------
 //NTConfig_Script.push(["MyCowBot.ntj", "시작_엔티스크립트/MyConfig_OpenChest[0] = true"]);
 MyConfig_CowBotClear = [[0, 0x01], [0, 0x01]]; // [스토니 필드, 트리스트럼]
 MyConfig_CowBotGriswold = false; // 그리스월드 잡기
 MyConfig_CowBotChicken = 127; // 헬에서 카우킹의 피가 설정치 이하면 치킨하기 * 참고: 카우킹의 피 최대치는 128입니다.
 MyConfig_CowBotPortalXy = 0; // 시크리트 카우 레벨 포탈 열 위치 = 0: 큐브가 있는 곳/ 1: 3시 구석/ 2: 6시 구석/ 3: 9시 구석/ 4: 12시 구석/ 5: 무작위(1~4)
 MyConfig_CowBotPortalOpen = false; // 사냥하지 않고 시크리트 카우 레벨 포탈만 열기


 //##########################################################################
 // 시간 설정하기
 //==========================================================================
 MyConfig_MaxGameTime = 2400; // 최대 게임 시간(초, 0: 무한정)
 NTConfig_StartDelay = 10000; // 방 입장 후 지연 시간(1/1000초)
 MyConfig_WaypointDelay = 40; // 웨이포인트 이동 시도 시간(1/5초)
 NTConfig_AreaDelay = 0; // 지역 이동 후 지연 시간(1/1000초)
 MyConfig_MaxHpMpDelay = 150; // 라이프 및 마나의 최대치가 바뀔 때의 지연 시간(1/1000초) * 참고: 오크 세이지로 인한 치킨 오류를 방지합니다.
 MyConfig_TimeManager = [0, 0]; // 시간 관리자 = [만들 방 수, 가동 시간(분)] * 예) [20, 100] = 봇이 20방을 돈 시간이 100분 보다 적으면 21번 방에서 샵봇으로 100분을 채운 후 사냥을 시작합니다.


 //##########################################################################
 // 엔피씨, 포션, 치킨 설정하기
 //==========================================================================
 NTConfig_SkipHealLife = 90; // 마을에 있을 때 라이프가 설정치 미만이면 엔피씨 만나 라이프 채우기 = 백분율
 NTConfig_SkipHealMana = 70; // 마을에 있을 때 마나가 설정치 미만이면 엔피씨 만나 마나 채우기 = 백분율

 NTConfig_LifeThresh = 60; // 라이프가 설정치 미만이면 힐링포션 먹기 = 백분율
 NTConfig_LifeRejuvThresh = 40; // 라이프가 설정치 미만이면 활력포션 먹기 = 백분율
 NTConfig_ManaThresh = 30; // 마나가 설정치 미만이면 마나포션 먹기 = 백분율
 NTConfig_ManaRejuvThresh = 0; // 마나가 설정치 미만이면 활력포션 먹기 = 백분율
 NTConfig_LifeChicken = 30; // 라이프가 설정치 미만이면 치킨하기 = 백분율
 NTConfig_ManaChicken = 0; // 마나가 설정치 미만이면 치킨하기 = 백분율

 NTConfig_MercLifeThresh = 50; // 용병의 라이프가 설정치 미만이면 힐링포션 먹기 = 백분율
 NTConfig_MercRejuvThresh = 30; // 용병의 라이프가 설정치 미만이면 활력포션 먹기 = 백분율
 NTConfig_MercChicken = 0; // 용병의 라이프가 설정치 미만이면 치킨하기 = 백분율

 MyConfig_LifeChickenTown = 0; // 라이프가 설정치 미만이면 마을로 치킨하기 = 백분율
 MyConfig_ManaChickenTown = 0; // 마나가 설정치 미만이면 마을로 치킨하기 = 백분율


 //##########################################################################
 // 인벤토리 설정하기
 //-------------------
 // NTConfig_Columns[X] = [아이템을 인벤토리에 보관할지 여부 . .]
 // 아이템을 인벤토리에 보관할지 여부: 0 = 다른 곳에 사용하지 않고 항상 인벤토리에 보관하기, 1 = 바닦에 버리기/상점에 팔기/스태쉬나 큐브로 옮기기
 //==========================================================================
 NTConfig_Columns[0] = [1,1,1,1,1,1,1,1,1,0]; // 0: 아이템을 다른 곳에 사용하지 않고 항상 인벤토리에 보관합니다.
 NTConfig_Columns[1] = [1,1,1,1,1,1,1,1,1,0]; // 1: 아이템을 바닦에 버리기/ 상점에 팔기/ 스태쉬나 큐브로 옮기기 등을 합니다.
 NTConfig_Columns[2] = [1,1,1,1,1,1,1,1,1,0];
 NTConfig_Columns[3] = [1,1,1,1,1,1,1,1,0,0];

 NTConfig_MinGoldToStash = 300000; // 인벤토리에 있는 골드를 스태쉬에 보관하기 = 보관하러 갈 최소 골드

 //##########################################################################
 // 벨트 설정하기
 //---------------
 // NTConfig_BeltColType = ["벨트 1번째에 넣고 사용할 아이템", "2번째", "3번째", "4번째"]
 // "벨트 X번째에 넣고 사용할 아이템": "hp" = 힐링포션, "mp" = 마나포션, "rv" = 활력포션, "tsc" = 타운포탈 스크롤
 //==========================================================================
 NTConfig_BeltColType = ["hp", "mp", "mp", "rv"];

 MyConfig_RefillScroll = false; // 타운포탈 스크롤 주워 벨트에 채우기


 //##########################################################################
 // 아이템 설정하기
 //==========================================================================
 // 확장용 하급 아이템이니
 //------------------------
 //NTConfig_NIPFilePath.push("normal/craft.nip");
 //NTConfig_NIPFilePath.push("normal/magic_rare.nip");
 //NTConfig_NIPFilePath.push("normal/normal.nip");
 //NTConfig_NIPFilePath.push("normal/set.nip");
 //NTConfig_NIPFilePath.push("normal/unique.nip");

 // 확장용 중급 아이템이니
 //------------------------
 //NTConfig_NIPFilePath.push("advance/craft.nip");
 //NTConfig_NIPFilePath.push("advance/magic_rare.nip");
 //NTConfig_NIPFilePath.push("advance/normal.nip");
 //NTConfig_NIPFilePath.push("advance/set.nip");
 //NTConfig_NIPFilePath.push("advance/unique.nip");

 // 확장용 상급 아이템이니
 //------------------------
 //NTConfig_NIPFilePath.push("extreme/craft.nip");
 //NTConfig_NIPFilePath.push("extreme/magic_rare.nip");
 //NTConfig_NIPFilePath.push("extreme/normal.nip");
 //NTConfig_NIPFilePath.push("extreme/set.nip");
 //NTConfig_NIPFilePath.push("extreme/unique.nip");

 // 한글815 님의 확장용 최상급 아이템이니입니다.
 //----------------------------------------------
 //NTConfig_NIPFilePath.push("한글815/craft_amulet.nip");
 //NTConfig_NIPFilePath.push("한글815/craft_armor.nip");
 //NTConfig_NIPFilePath.push("한글815/craft_ring.nip");
 //NTConfig_NIPFilePath.push("한글815/key_essence.nip");
 //NTConfig_NIPFilePath.push("한글815/magic_charm.nip");
 //NTConfig_NIPFilePath.push("한글815/magic_rare_amulet.nip");
 //NTConfig_NIPFilePath.push("한글815/magic_rare_arm.nip");
 //NTConfig_NIPFilePath.push("한글815/magic_rare_armor.nip");
 //NTConfig_NIPFilePath.push("한글815/magic_rare_jewel.nip");
 //NTConfig_NIPFilePath.push("한글815/magic_rare_ring.nip");
 //NTConfig_NIPFilePath.push("한글815/normal.nip");
 //NTConfig_NIPFilePath.push("한글815/orb.nip");
 //NTConfig_NIPFilePath.push("한글815/set.nip");
 //NTConfig_NIPFilePath.push("한글815/unique.nip");

/*
 // 오리지널용 아이템 이니
 NTConfig_NIPFilePath.push("ori/gems_ori.nip");
 NTConfig_NIPFilePath.push("ori/magics_ori.nip");
 NTConfig_NIPFilePath.push("ori/potions.nip");
 NTConfig_NIPFilePath.push("ori/rares_ori.nip");
 NTConfig_NIPFilePath.push("ori/ringsamulets_ori.nip");
 NTConfig_NIPFilePath.push("ori/sets_ori.nip");
 NTConfig_NIPFilePath.push("ori/uniques_ori.nip");
 NTConfig_NIPFilePath.push("ori/whites_ori.nip");
 NTConfig_NIPFilePath.push("ori/MyShopBot.nip");

*/
 // 오리지널용 아이템 이니
 NTConfig_NIPFilePath.push("서금식/gems_ori.nip");
 NTConfig_NIPFilePath.push("서금식/magics_ori.nip");
 NTConfig_NIPFilePath.push("서금식/potions.nip");
 NTConfig_NIPFilePath.push("서금식/rares_ori.nip");
 NTConfig_NIPFilePath.push("서금식/ringsamulets_ori.nip");
 NTConfig_NIPFilePath.push("서금식/sets_ori.nip");
 NTConfig_NIPFilePath.push("서금식/uniques_ori.nip");
 NTConfig_NIPFilePath.push("서금식/whites_ori.nip");
 NTConfig_NIPFilePath.push("서금식/MyShopBot.nip");


/*
 // 흰여울 님의 최상급 아이템이니입니다.
 //--------------------------------------
 if (me.gametype)
 { // 확장용 최상급 아이템이니
 NTConfig_NIPFilePath.push("흰여울/gems.nip");
 NTConfig_NIPFilePath.push("흰여울/charmsjewels.nip");
 NTConfig_NIPFilePath.push("흰여울/crafteds.nip");
 NTConfig_NIPFilePath.push("흰여울/keys.nip");
 NTConfig_NIPFilePath.push("흰여울/magics.nip");
 NTConfig_NIPFilePath.push("흰여울/potions.nip");
 NTConfig_NIPFilePath.push("흰여울/rares.nip");
 NTConfig_NIPFilePath.push("흰여울/ringsamulets.nip");
 NTConfig_NIPFilePath.push("흰여울/runes.nip");
 NTConfig_NIPFilePath.push("흰여울/runewords.nip");
 NTConfig_NIPFilePath.push("흰여울/sets.nip");
 NTConfig_NIPFilePath.push("흰여울/uniques.nip");
 NTConfig_NIPFilePath.push("흰여울/whites.nip");
 }
 else
 { // 오리지널용 최상급 아이템이니
 NTConfig_NIPFilePath.push("흰여울/gems_ori.nip");
 NTConfig_NIPFilePath.push("흰여울/magics_ori.nip");
 NTConfig_NIPFilePath.push("흰여울/potions.nip");
 NTConfig_NIPFilePath.push("흰여울/rares_ori.nip");
 NTConfig_NIPFilePath.push("흰여울/ringsamulets_ori.nip");
 NTConfig_NIPFilePath.push("흰여울/sets_ori.nip");
 NTConfig_NIPFilePath.push("흰여울/uniques_ori.nip");
 NTConfig_NIPFilePath.push("흰여울/whites_ori.nip");
 }
*/
 NTConfig_NIPFilePath.push("MyCubing.nip"); // 큐빙용 아이템이니
 //NTConfig_NIPFilePath.push("MyShopBot.nip"); // 오리지널 샵봇용 아이템이니

 NTConfig_SnagRange = 60; // 사냥 후 아이템을 확인하여 주울 시야
 NTConfig_SnagDelay = [500, 100]; // 아이템 주울 때의 핑 지연 시간(1/1000초) = [줍기 전, 주운 후]
 MyConfig_SnagPotion = [0, 0, 0, 0]; // [보관할 힐링포션 개수, 보관할 마나포션 개수, 보관할 활력포션 개수, 보관할 대량의 활력포션 개수] * 참고: 힐링포션과 마나포션은 아이템이니에 설정된 포션만 인벤토리에 보관하고, 활력포션과 대량의 활력포션은 설정과 관계 없이 모든 보관함에 보관합니다. 대량의 활력포션을 설정치 이상 보관 중이면 활력포션을 줍지 않습니다.
 //MyConfig_SnagPotion = [0, 0, 7, 7];
 MyConfig_SnagClear = 0; // 아이템 줍기 전 주변 몬스터 잡기 = 확인할 범위
 MyConfig_SnagPick = false; // 텔레포트로 이동할 때, 몬스터를 죽일 때, 상자를 열 때, 파인드 아이템 사용할 때마다 아이템 줍기

 NTConfig_OpenChest = true; // 상자 열기 * 주의: 상점에 팔지 않도록 '인벤토리 설정하기'에서 0으로 설정한 곳에 키를 보관하도록 합니다.
 MyConfig_OpenChest = [false, false, false, false, false]; // [사냥하면서 모든 상자 열기, 통, 항아리, 바구니, 병] * 참고: 'NTConfig_OpenChest = true'로 설정했을 때만 작동합니다.

 MyConfig_MoneyMaker = [0, 0]; // 아이템 주워다 팔기 = [아이템 식별 스크롤이 필요없는 아이템의 칸당 가격, 아이템 식별 스크롤이 필요한 아이템의 칸당 가격] * 참고: 'scripts/NTBot/MyConfigs/MoneyMaker.ntl'에서 설정합니다.

 MyConfig_VisitCain = [0, 0, 0, 0, 0]; // 케인한테서 아이템 확인하기 = [액트 1에서 확인하러 갈 미확인 아이템 개수, 액트 2, 액트 3, 액트 4, 액트 5] * 참고: 인벤토리에 미확인 상태로 줍도록 한 아이템이 있으면 확인하지 않습니다.

 MyConfig_ShopInventory = [false, 2, 4]; // [마을에서 인벤토리의 빈 공간이 설정치 미만이면 상점 가기, 가로, 세로]
 MyConfig_ShopPotion = [true, 3, 3]; // [마을에서 포션이 설정치 이하면 상점 가기, 힐링포션, 마나포션]

 MyConfig_MiniShopBot = true; // 미니 샵봇 * 참고: 상점에 들렀을 때만 살 아이템이 있는지 한 번 확인합니다.

 MyConfig_ItemLog = [0, 0, 0]; // 아이템 로그 만들기 = [0: 사용 안 함/ 1: ItemLog/ 2: ItemLog[날짜]/ 3: ItemLog[캐릭터이름]/ 4: ItemLog[캐릭터이름][날짜], 0: text/ 1: html, 0: 보관할 아이템/ 1: 상점에 판 아이템/ 2: 모든 아이템] * 참고: 'scripts/NTBot/MyData/ItemLog' 폴더에 저장합니다. 아이템 로그는 'scripts/NTBot/MyConfigs/ItemLog.ntl'에서 설정합니다.
 MyConfig_ItemList = 0; // 아이템 목록 만들기 = 0: 사용 안 함/ 1: text/ 2: html * 참고: 'scripts/NTBot/MyData/ItemList' 폴더에 저장합니다. 아이템 목록은 'scripts/NTBot/MyConfigs/ItemLog.ntl'에서 설정합니다.

 MyConfig_StoreItemMode = [2, 2]; // 아이템 보관 방식 = [보관 아이템, 재료 아이템] * 보관 방식: 0 = 좌상단부터 좌우, 1 = 우하단부터 우좌, 2 = 좌상단부터 상하, 3 = 우하단부터 하상

 MyConfig_StopBot = false; // 아이템을 보관할 공간이 부족하면 8시간 동안 봇 중단하기


 //##########################################################################
 // 도박 설정하기
 //==========================================================================
 NTConfig_Gamble = [true, 2, "도박을 합니다!"]; // [도박하기, 도박할 액트(0: 현재 액트), "보낼 메시지" . . .] * 참고: 공방에서만 메시지를 보냅니다.
 NTConfig_GambleStartGold = 3300000; // 도박을 시작할 골드
 NTConfig_GambleStopGold = 2500000; // 도박을 멈출 골드

 NTConfig_GambleItem.push(520); // Amulets
 NTConfig_GambleItem.push(522); // Rings
 //NTConfig_GambleItem.push(418); // Circlets
 //NTConfig_GambleItem.push(419); // Coronets
 //NTConfig_GambleItem.push(334); // Leather Gloves
 //NTConfig_GambleItem.push(335); // Heavy Gloves
 //NTConfig_GambleItem.push(336); // Chain Gloves
 //NTConfig_GambleItem.push(337); // Light Gauntlets
 //NTConfig_GambleItem.push(338); // Gauntlets


 //##########################################################################
 // 메시지 설정하기
 //-----------------
 // 참고: 설정한 순서대로 출력합니다.
 //==========================================================================
 // 매니저의 상태 표시줄에 출력할 메시지 설정하기
 //-----------------------------------------------
 MyConfig_SendMessageManagerList.push(["서버_아이피", "[", "]"]); // MyConfig_SendMessageManagerList.push(["메시지 종류", "메시지 앞에 출력할 문자", "메시지 뒤에 출력할 문자"])
 MyConfig_SendMessageManagerList.push(["방이름", " ", "/"]);
 //MyConfig_SendMessageManagerList.push(["방암호", "", ""]);
 //MyConfig_SendMessageManagerList.push(["액트", "", ""]);
 //MyConfig_SendMessageManagerList.push(["지역명", "", ""]);
 //MyConfig_SendMessageManagerList.push(["사냥터_스크립트명", "", ""]);
 MyConfig_SendMessageManagerList.push(["인벤토리_빈_공간_수", "", ""]);
 //MyConfig_SendMessageManagerList.push(["스태쉬_빈_공간_수", "", ""]);

 // 상태 메시지 상자에 출력할 메시지 설정하기
 //-------------------------------------------
 MyConfig_SendMessageStatus = true; // 상태 메시지 상자에 각종 메시지 출력하기 * 주의: 메시지를 상태 메시지 상자에 출력하면 응답 없음이 될 수도 있습니다.

 MyConfig_SendMessageStatusList.push(["서버_아이피", "", " ", 4]); // MyConfig_SendMessageStatusList.push(["메시지 종류", "메시지 앞에 출력할 문자", "메시지 뒤에 출력할 문자", 색깔])
 //MyConfig_SendMessageStatusList.push(["계정이름", "", " ", 9]); // 색깔: 0 = 흰색, 1 = 빨간색, 2 = 녹색, 3 = 파란색, 4 = 금색, 5 = 회색, 6 = 검은색, 7 = 금색2, 8 = 주황색, 9 = 노란색
 MyConfig_SendMessageStatusList.push(["캐릭터이름", "", "", 8]);
 MyConfig_SendMessageStatusList.push(["사냥터_스크립트명", "", "", 2]);

 // 일시정지 상태일 때 출력할 메시지 설정하기
 //-------------------------------------------
 MyConfig_SendMessagePause = [1, 1, 10]; // 출력할 메시지 = [0: 사용 안 함/ 1: 캐릭터/ 2: 몬스터/ 3: 물체, 0: 전체 화면/ 1: 캐릭터 머리, 몬스터나 물체와의 간격]

 MyConfig_SendMessageCharacterList.push(["캐릭터_지역_번호", "", ","]); // MyConfig_SendMessageCharacterList.push(["캐릭터의 메시지 종류", "메시지 앞에 출력할 문자", "메시지 뒤에 출력할 문자"])
 MyConfig_SendMessageCharacterList.push(["캐릭터_X_좌표", "", ","]);
 MyConfig_SendMessageCharacterList.push(["캐릭터_Y_좌표", "", ""]);

 MyConfig_SendMessageMonsterList.push(["몬스터_이름", "", " ("]); // MyConfig_SendMessageMonsterList.push(["몬스터의 메시지 종류", "메시지 앞에 출력할 문자", "메시지 뒤에 출력할 문자"])
 MyConfig_SendMessageMonsterList.push(["몬스터_ClassID", "", ") "]);
 MyConfig_SendMessageMonsterList.push(["몬스터_지역_번호", "", ","]);
 MyConfig_SendMessageMonsterList.push(["몬스터_X_좌표", "", ","]);
 MyConfig_SendMessageMonsterList.push(["몬스터_Y_좌표", "", ""]);

 MyConfig_SendMessageObjectList.push(["물체_이름", "", " ("]); // MyConfig_SendMessageObjectList.push(["물체의 메시지 종류", "메시지 앞에 출력할 문자", "메시지 뒤에 출력할 문자"])
 MyConfig_SendMessageObjectList.push(["물체_ClassID", "", ") "]);
 MyConfig_SendMessageObjectList.push(["물체_지역_번호", "", ","]);
 MyConfig_SendMessageObjectList.push(["물체_X_좌표", "", ","]);
 MyConfig_SendMessageObjectList.push(["물체_Y_좌표", "", ""]);


 //##########################################################################
 // 기타 옵션 설정하기
 //==========================================================================
 //NTConfig_PublicMode = false; // 공방 * 참고: 자동으로 파티하기, 타운포탈 열어 놓기, 전체 창에 메시지 보내기 등을 합니다. * 주의: 일부 스크립트에서는 자동으로 설정됩니다.
 NTConfig_PublicMode = true;

 MyConfig_PartyMaster = Purpose_Master; // 특정 캐릭터의 파티 초대만 승인하기 = "파티 초대를 승인할 캐릭터이름" * 참고: NTConfig_PublicMode의 설정과 무관하게 작동합니다.

 MyConfig_CheckHostile = [1, [], []]; // 적대적 플레이어 감시하기 = [0: 사용 안 함/ 1: 적대적 메시지가 있으면 방 나가기/ 2: 마을 밖에서 적대적 플레이어 만나면 방 나가기/ 3: 적대적 플레이어가 방을 나갈 때까지 마을에서 대기하기/ 4: 적대적 플레이어 공격하기, ["적대적 플레이어를 발견했을 때 보낼 메시지" . . .], ["적대적 플레이어가 죽었을 때 보낼 메시지" . . .]] * 참고: 'scripts/NTBot/MyData/Hostile/HostileName.txt'에 적대적 플레이어의 이름을 기록합니다. * 특수 문자 '%H'는 적대적 플레이어의 이름입니다. 예) [4, ["죽어라!"], ["%H, 죽었다!"]]

 NTConfig_CheckCloneDiablo = [false, false]; // [위버디아 메시지 검사하기, 위버디아 로그] * 참고: 위버디아 로그는 'scripts/NTBot/MyData/CloneDiabloLog' 폴더에 저장합니다.
 MyConfig_JordanMessage = [false, 1800, 3]; // [조던 메시지 검사하기, 마을에서 대기할 시간(초), 대기하는 동안 확인할 조던 메시지 수]

 MyConfig_VisitHratli = 4; // 액트 3에 있는 흐라틀리 대신 다른 액트에 있는 엔피씨 만나기 = 액트 * 참고: 아이템 수리와 키를 살 때 흐라틀리를 만납니다.

 MyConfig_ChickenLog = false; // 치킨 로그 * 참고: 'scripts/NTBot/MyData/ChickenLog' 폴더에 저장합니다.

 MyConfig_Suicide = [0, 90]; // 자살 = [레벨, 경험치(백분율)] * 참고: 트라빈컬에서 30초간 자살을 시도합니다.

 MyConfig_ExitServerIp = [false, "다음 방으로 갑니다!", 204]; // [설정한 서버 아이피면 방 나가기, "방 나갈 때 보낼 메시지", 확인할 서버 아이피("XXX.XXX.XXX.OOO"에서 마지막 OOO) . . .]
 //MyConfig_ExitJjolBot = ["", 0]; //특정 캐릭터가 방을 나가면 따라 나가기 = ["따라 나갈 캐릭터이름", 따라 나갈 캐릭터가 처음부터 방에 없었다면 설정한 시간(초) 동안 기다린 후 방 나가기]
 MyConfig_ExitJjolBot = [Purpose_Master, 50]; // 기사(10)->방장, 방장(120)->텔포, 텔포(50)->기사, 쫄(30,50)->방장
 MyConfig_ExitHalt = 0; // 마을 밖에서 멈춰 있으면(멍때림) 방 나가기 = 멈춰 있는 시간(초)

 MyConfig_SorceressTelekinesis = true; // 텔레키네시스로 스태쉬, 웨이포인트, 포탈 이용하기 * 참고: 텔레키네시스 거리 내에 있으면 설정과 관계 없이 이용합니다.













다음은 팔라딘




/*
* 사냥터 설정하기
* 시간 설정하기
* 엔피씨, 포션, 치킨 설정하기
* 인벤토리 설정하기
* 벨트 설정하기
* 아이템 설정하기
* 도박 설정하기
* 메시지 설정하기
* 기타 옵션 설정하기
* 공격 설정하기
* 이동 중 사용할 성소 설정하기
* 창고지기 설정하기
* 큐빙 설정하기
*------------------------------------------------------------------------------
* 앞에 '//'가 있으면 : 사용 안 함
* 앞에 '//'가 없으면 : 사용
* true : 사용
* false : 사용 안 함
* 0 또는 -1 : 사용 안 함
* . . . : 무한정 설정할 수 있습니다. 설정한 것들 중에서 대부분 무작위로 하나의 설정이 적용됩니다.
* . . : 여러 개 설정할 수 있습니다.
* me.gametype : 자동으로 오리지널은 false, 확장은 true가 됩니다. 오리지널과 확장 모두 true로 설정하려면 me.gametype를 true로 수정합니다.
* 무기 번호 : 1 = 1번 무기, 2 = 2번 무기
* 사냥할 몬스터 종류 : 0x01 = 모든 몬스터, 0x02 = 슈퍼 유니크, 0x04 = 챔피언, 0x08 = 보스, 0x10 = 미니언, 0x11 = 노말 몬스터 제외
* MyConfig_사냥터Clear: [[0: 사용 안 함/ 1: 길목 사냥/ 2: 전체 사냥, 사냥할 몬스터 종류] . . .]
*------------------------------------------------------------------------------
* NTConfig_Script.push(["사냥터", "옵션" . . .])
* 옵션 목록:
* - "시작_엔티스크립트" * 참고: 사냥터를 시작할 때 적용됩니다. 예) NTConfig_Script.push(["MyHamseongBot.ntj", "시작_엔티스크립트/MyConfig_HamseongBotQueDropBot = ['개똥이', '소똥이', '말똥이']"])
* - "종료_엔티스크립트" * 참고: 사냥터를 종료할 때 적용됩니다. 예) NTConfig_Script.push(["MyCowBot.ntj", "종료_엔티스크립트/for (var i = 0; i < 3; i++) Delay(300);"])
* - "시작_메시지 . . ." * 참고: 사냥터를 시작할 때 메시지를 보냅니다. 예) "시작_메시지/시작합니다!/시작"
* - "종료_메시지 . . ." * 참고: 사냥터를 종료할 때 메시지를 보냅니다. 예) "종료_메시지/종료합니다!/끝/다음 방 '%G'로 갑니다!"
* - "시작_지연_시간" * 참고: 사냥터를 시작할 때 마을에서 지연할 시간(초)입니다. 예) "시작_지연_시간/1"
* - "종료_지연_시간" * 참고: 사냥터를 종료할 때 마을에서 지연할 시간(초)입니다. 예) "종료_지연_시간/1"
* - "공격_스킬 . ." * 참고: MyConfig_AttackSkill[X]는 해당 사냥터에만 적용됩니다. 예) "공격_스킬/MyConfig_AttackSkill[1] = [112, 2, 1, 113]/MyConfig_AttackSkill[3] = [112, 2, 1, 113]"
*------------------------------------------------------------------------------
* 아이템 ClassID: scripts/libs/common/NTItemAlias.ntl
* 스킬 번호 : sdk/스킬_번호.txt
* 몬스터 ClassID: mpqdata/monstats.txt
* 지역 번호 : sdk/areas.txt
*------------------------------------------------------------------------------
* 주의: 설정 옵션에 '.push'가 없을 경우에는 주석처리하거나 삭제하면 오류가 날 수 있습니다.
* 참고: 각종 메시지에서 특수 문자 '%G'는 'XXX-번호' 형식의 다음 방이름입니다.
*/

function NT_LoadConfig()
{
 //##########################################################################
 // 사냥터 설정하기
 //==========================================================================
 // 대기봇
 //--------------------------------------------------------------------------
 //NTConfig_Script.push(["MyDaegiBot.ntj"]); // 참고: 한 번 이상 설정해서 실행시킬 수 있습니다.
 MyConfig_DaegiBotMaster = []; // 설정한 캐릭터가 방에 있으면 대기봇 종료하기 = ["캐릭터이름" . . .]
 //--------------------------------------------------------------------------
 // 프리캐스트봇
 //--------------------------------------------------------------------------
 //NTConfig_Script.push(["MyPrecastBot.ntj"]);
 MyConfig_PrecastBotWaypoint = [35, 46, 101, 107, 129]; // [프리캐스트를 할 웨이포인트 . . .]
 //--------------------------------------------------------------------------
 // 만능 쫄봇
 //--------------------------------------------------------------------------
 NTConfig_Script.push(["MyJjolBotGisa.ntj"]); // 기사용 만능 쫄봇 * 참고: 'scripts/NTBot/MyConfigs/Key.ntl'에서 명령키를 설정합니다. 'NTConfig_PublicMode = true'로 자동 설정됩니다.
 MyConfig_JjolBotGisaJjol = 2; // 쫄 인원수 = 0: 기사를 직접할 경우/ 1 이상: 기사가 봇일 경우 * 참고: 기사를 직접할 경우, 기사가 지역 이동 후 쫄이 따라오지 않으면 기사를 이리저리 움직이십시오.
 MyConfig_JjolBotGisaWait = 150; // 쫄 기다릴 최대 시간(초)
 //NTConfig_Script.push(["MyJjolBotJjol.ntj"]); // 쫄용 만능 쫄봇 * 참고: 'NTConfig_PublicMode = false'로 자동 설정됩니다.
 MyConfig_JjolBotJjolItem = [true, true]; // [방 입장 후 아이템 등 정리하기, 도박하기]
 MyConfig_JjolBotJjolDistance = [10, 20]; // 기사와의 간격 = [최소, 최대]
 MyConfig_JjolBotJjolPrecast = 1000; // 프리캐스트하기 = 확인 시간(1/1000초) 간격 * 참고: '이동이나 사냥 중에 할 프리캐스트 설정하기'가 적용됩니다.
 MyConfig_JjolBotJjolAttack = [0, 1000];
 MyConfig_JjolBotJjolPick = 1000; // 아이템 줍기 = 확인 시간(1/1000초) 간격
 MyConfig_JjolBotJjolGisa = ""; // 방에 있는 특정 캐릭터를 기사로 설정하기 = "기사가 될 캐릭터이름" * 주의: 기사가 될 캐릭터가 MyJjolBotGisa.ntj를 사용할 때는 설정하지 마십시오. * 참고: 설정하지 않으면 기사는 'scripts/NTBot/MyConfigs/JjolBot.ntl'에 설정한 기사가 적용됩니다.
 MyConfig_JjolBotJjolMessage = ["!쫄봇 준비 완료!"]; // 수동용 쫄봇의 준비 완료 메시지 = ["보낼 메시지" . . .]
 //--------------------------------------------------------------------------
 // 함성봇, 퀘드랍봇
 //--------------------------------------------------------------------------
 //NTConfig_Script.push(["MyHamseongBot.ntj"]); // 함성봇(함성해 주기) * 참고: 한 번 이상 설정해서 실행시킬 수 있습니다.
 // 퀘드랍봇에게만 함성해 줄 경우
 //...............................
 MyConfig_HamseongBotQueDropBot = []; // ["함성해 줄 퀘드랍봇 캐릭터이름" . . .] * 참고: "함성해 줄 퀘드랍봇 캐릭터이름"을 설정하지 않으면 '최대 게임 시간까지 파티원에게 함성해 줄 경우'가 적용됩니다.
 MyConfig_HamseongBotWait = 120; // 함성해 줄 퀘드랍봇을 기다릴 최대 시간(초)

 // 최대 게임 시간까지 파티원에게 함성해 줄 경우
 //..............................................
 MyConfig_HamseongBotLeftTime = 0; // 배틀 오더스 남은 시간(초)이 설정한 시간보다 적으면 함성해 주기
 MyConfig_HamseongBotMessage = [0, 0]; // [메시지 보내기(배틀 오더스 남은 시간(초)이 설정한 시간보다 적으면 메시지를 보냅니다), 메시지 안 보내기(배틀 오더스 남은 시간이 설정한 시간보다 적으면 메시지를 안 보냅니다)]
 MyConfig_HamseongBotEnchanter = ""; // MyConfig_HamseongBotLeftTime와 MyConfig_HamseongBotMessage를 적용하지 않을 캐릭터이름

 // 기타
 //......
 MyConfig_HamseongBotWaypoint = 107; // 함성해 줄 웨이포인트
 MyConfig_HamseongBotPortal = false; // 함성해 줄 웨이포인트로 이동 후 타운포탈 열기
 MyConfig_HamseongBotWeapon = [1, 1, 1]; // 함성해 줄 때 장착할 무기 번호 = [배틀 커맨드, 샤우트, 배틀 오더스]
 //NTConfig_Script.push(["MyQueDropBot.ntj"]); // 퀘드랍봇(함성 받기) * 참고: 한 번 이상 설정해서 실행시킬 수 있습니다.
 MyConfig_QueDropBotHamseongBot = ["", 120, 0, 120]; // 함성봇 = ["함성봇 캐릭터이름", 함성봇을 확인할 최대 시간(초), 함성 받을 웨이포인트(0: 함성봇이 있는 웨이포인트), 함성 받을 최대 시간(초)]
 //--------------------------------------------------------------------------
 // 디아런 도우미
 //--------------------------------------------------------------------------
 NTConfig_Script.push(["MyDiaRunGisa.ntj"]); // 디아런 도우미(기사) * 참고: 'scripts/NTBot/MyConfigs/Key.ntl'에서 명령키를 설정합니다. 'NTConfig_PublicMode = true'로 자동 설정됩니다.
 //NTConfig_Script.push(["MyDiaRunHamseongBarba.ntj"]); // 디아런 도우미(함성바바) * 참고: 'NTConfig_PublicMode = true'로 자동 설정됩니다.
 //NTConfig_Script.push(["MyDiaRunFlySorce.ntj"]); // 디아런 도우미(플라이소서) * 참고: 'NTConfig_PublicMode = true'로 자동 설정됩니다.
 //--------------------------------------------------------------------------
 // 인첸트봇
 //--------------------------------------------------------------------------
 //NTConfig_Script.push(["MyEnchantBot.ntj"]); // 참고: 한 번 이상 설정해서 실행시킬 수 있습니다. 봇이 'scripts/NTBot/MyData/Hostile/HostileName.txt' 파일을 자동으로 만듭니다. HostileName.txt(적대적 플레이어 이름 기록)에 이름이 기록된 플레이어는 인첸트를 안 해 줍니다.
 MyConfig_EnchantBotWaypoint = 35; // 인첸트해 줄 웨이포인트(2: 액트 1 입구)
 MyConfig_EnchantBotPingDelay = 0; // 인첸트해 준 후 핑 지연 시간(1/1000초) * 참고: 핑 지연 시간이 적으면 인첸트를 계속 해 주는 오류가 날 수 있습니다.
 MyConfig_EnchantBotLeftTime = 0; // 인첸트 남은 시간(초)이 설정한 시간보다 적으면 인첸트해 주기
 MyConfig_EnchantBotBattleCommand = false; // 배틀 커맨드를 받은 상태에서만 인첸트해 주기
 MyConfig_EnchantBotHamseongBot = ""; // MyConfig_EnchantBotLeftTime와 MyConfig_EnchantBotMessage[0]를 적용하지 않을 캐릭터이름
 MyConfig_EnchantBotMessage[0] = [0, 0]; // 메시지 보내기 = [시작할 시간(초, 인첸트 남은 시간이 설정한 시간보다 적으면 메시지를 보냅니다), 멈출 시간(초, 인첸트 남은 시간이 설정한 시간보다 적으면 메시지를 안 보냅니다)]
 MyConfig_EnchantBotMessage[1] = [false, "인첸트가 필요할 땐 '.인첸트', '.ㅇㅊ', '.en' 등을 외칩니다!", "인첸트봇의 남은 시간을 알고 싶을 땐 '.시간', '.ㅅㄱ', '.time' 등을 외칩니다!"]; // [방에 새 플레이어가 들어오면 메시지 보내기, "보낼 메시지" . . .] * 참고: 특수 문자 '%N'은 방에 새로 들어 온 플레이어 이름입니다. 예) [true, "어서오세요!", "%N 님, 반갑습니다!"] = 무작위로 두 가지 중 하나의 메시지를 보냅니다.
 MyConfig_EnchantBotMessage[2] = [0, ""]; // 설정한 시간 간격마다 메시지 보내기 = [시간(초) 간격, "보낼 메시지" . . .] * 참고: 특수 문자 '%P'는 방에서 파티를 맺고 인첸트를 받은 플레이어 이름(무작위)입니다. 특수 문자 '%H', '%M', '%S'는 남은 시간입니다. 예) [60, "열심히...", "%P 님, 그냥...", "꾸준히...", "%P 님, 남은 시간은 %M분 %S초..."] = 60초 간격으로 무작위로 네 가지 중 하나의 메시지를 보냅니다.
 MyConfig_EnchantBotMessage[3] = [0, ""]; // 설정한 시간까지 인첸트해 준 후 MyEnchantBot.ntj 끝내기 = [인첸트해 줄 시간(초), "보낼 메시지" . . .] * 참고: 특수 문자 '%G'는 'XXX-번호' 형식의 다음 방이름입니다. 예) [600, "다음 방으로 갑니다!", "다음 방은 '%G'입니다!"] = 600초 후 무작위로 두 가지 중 하나의 메시지를 보낸 다음 스크립트를 종료합니다.
 //--------------------------------------------------------------------------
 // 샵봇
 //--------------------------------------------------------------------------
 //NTConfig_Script.push(["MyShopBot.ntj"]); // 샵봇 * 참고: 한 번 이상 설정해서 실행시킬 수 있습니다.
 MyConfig_ShopBotNpc = 7; // NPC 번호 * 참고: 'scripts/NTBot/bots/MyShopBot.ntj'에 NPC 번호가 있습니다. 시간 관리자와 자동 디아런에서 실행되는 샵봇에도 적용됩니다.
 MyConfig_ShopBotCowPortal = false; // 시크리트 카우 레벨 포탈 이용하기 * 참고: 시간 관리자와 자동 디아런에서 실행되는 샵봇에도 적용됩니다.
 MyConfig_ShopBotAnyaPortal = false; // 니라트하크의 사원 포탈 이용하기 * 참고: 시간 관리자와 자동 디아런에서 실행되는 샵봇에도 적용됩니다.
 MyConfig_ShopBotRunTime = [1, 90]; // 샵봇 실행 시간 = [0: 사용 안 함/ 1: 방 입장 시각부터/ 2: 샵봇 시작 시각부터, 실행 시간(초)]
 //NTConfig_Script.push(["MyShopBotStop.ntj"]); // 샵봇 중단시키기 * 참고: 한 번 이상 설정해서 실행시킬 수 있습니다.
 MyConfig_ShopBotStopShopBot = []; // ["중단 시킬 샵봇 캐릭터이름" . . .]
 //--------------------------------------------------------------------------
 // 성소봇
 //--------------------------------------------------------------------------
 //NTConfig_Script.push(["MySeongsoBot.ntj"]); // 참고: 'scripts/NTBot/MyConfigs/SeongsoBot.ntl'에서 설정합니다.
 //--------------------------------------------------------------------------
 // 장기봇
 //--------------------------------------------------------------------------
 //NTConfig_Script.push(["MyJanggiBot.ntj"]); // 장기봇 * 참고: 'scripts/NTBot/MyConfigs/JanggiBot.ntl'에서 창고지기를 설정합니다.
 MyConfig_JanggiBotExit = true; // 장기봇 종료할 때 방 나가기
 //NTConfig_Script.push(["MyJanggiBotKeeper.ntj"]); // 장기봇용 방 만들고 지키기 * 참고: 'scripts/NTBot/MyConfigs/JjolBot.ntl 또는 WarehouseKeeper.ntl'에서 방 만들고 지킬 캐릭터는 쫄봇의 기사 또는 창고지기의 장기봇용 방 만들고 지키기를 설정하고, 장기봇은 쫄봇의 쫄을 설정합니다.

 //--------------------------------------------------------------------------
 // 액트 1
 //--------------------------------------------------------------------------
 //NTConfig_Script.push(["MyCorpsefire.ntj"]); // 액트 1: 콜드 플레인으로 이동 -> 블러드 무어로 이동 -> 케이브 1층으로 이동 -> 불타는 시체 사냥
 MyConfig_CorpsefireClear = [[0, 0x01], [0, 0x01], [0, 0x01]]; // [콜드 플레인, 블러드 무어, 케이브 1층]
 //NTConfig_Script.push(["MyBishibosh.ntj"]); // 액트 1: 콜드 플레인으로 이동 -> 비쉬보쉬 사냥
 MyConfig_BishiboshClear = [0, 0x01]; // [콜드 플레인]
 MyConfig_BishiboshMausoleum = false; // MyMausoleum.ntj 실행하기 * 주의: 실행할 경우 NTConfig_Script.push("MyMausoleum.ntj")는 주석처리합니다.
 //NTConfig_Script.push(["MyColdcrow.ntj"]); // 액트 1: 콜드 플레인으로 이동 -> 케이브 1층으로 이동 -> 콜드크로우 사냥 -> 케이브 2층으로 이동 -> 상자 열기
 MyConfig_ColdcrowClear = [[0, 0x01], [0, 0x01], [0, 0x01]]; // [콜드 플레인, 케이브 1층, 케이브 2층]
 //NTConfig_Script.push(["MyHole.ntj"]); // 액트 1: 블랙 마쉬로 이동 -> 홀 1, 2층으로 이동 -> 상자 열기/전체 사냥
 MyConfig_HoleClear = [[0, 0x01], [1, 0x01], [2, 0x01]]; // [블랙 마쉬, 홀 1층, 홀 2층]
 //NTConfig_Script.push(["MyMausoleum.ntj"]); // 액트 1: 콜드 플레인으로 이동 -> 베리얼 그라운드로 이동 -> (블러드 레이븐 사냥 ->) 머설리엄으로 이동 -> 상자 열기/전체 사냥 (-> 베리얼 그라운드로 이동 -> 크립트로 이동 -> 상자 열기)
 MyConfig_MausoleumKill = true; // 블러드 레이븐 잡기
 MyConfig_MausoleumClear = [[0, 0x01], [0, 0x01], [2, 0x01], [0, 0x01]]; // [콜드 플레인, 베리얼 그라운드, 머설리엄, 크립트]
 //NTConfig_Script.push(["MyTristram.ntj"]); // 액트 1: 스토니 필드로 이동 -> 라카니슈 사냥 -> 트리스트럼으로 이동 -> 그리스월드 사냥
 MyConfig_TristramClear = [[0, 0x01], [0, 0x01]]; // [스토니 필드, 트리스트럼]
 //NTConfig_Script.push(["MyUndergroundPassage.ntj"]); // 액트 1: 스토니 필드로 이동 -> 지하통로 1, 2층으로 이동 -> 상자 열기/전체 사냥
 MyConfig_UndergroundPassageClear = [[0, 0x01], [1, 0x01], [2, 0x01]]; // [스토니 필드, 지하통로 1층, 지하통로 2층]
 //NTConfig_Script.push(["MyTreeheadWoodfist.ntj"]); // 액트 1: 다크 우드로 이동 -> 트리헤드 우드피스트 사냥
 MyConfig_TreeheadWoodfistClear = [0, 0x01]; // [다크 우드]
 //NTConfig_Script.push(["MyPit.ntj"]); // 액트 1: 블랙 마쉬로 이동 -> 타모에 고지로 이동 -> 피트 1, 2층으로 이동 -> 전체 사냥/상자 열기
 MyConfig_PitClear = [[0, 0x01], [0, 0x01], [1, 0x01], [2, 0x01]]; // [블랙 마쉬, 타모에 고지, 피트 1층, 피트 2층]
 //NTConfig_Script.push(["MySmith.ntj"]); // 액트 1: 수도원 외곽으로 이동 -> 병영으로 이동 -> 스미스 사냥
 MyConfig_SmithClear = [[0, 0x01], [0, 0x01]]; // [수도원 외곽, 병영]
 //NTConfig_Script.push(["MyCountess.ntj"]); // 액트 1: 블랙 마쉬로 이동 -> 포카튼 타워로 이동 -> 타워 지하 1, 2, 3, 4, 5층으로 이동 -> 카운테스 사냥
 MyConfig_CountessClear = [[0, 0x01], [0, 0x01], [0, 0x01], [0, 0x01], [0, 0x01], [0, 0x01]]; // [블랙 마쉬, 타워 지하 1층, 타워 지하 2층, 타워 지하 3층, 타워 지하 4층, 타워 지하 5층]
 //NTConfig_Script.push(["MyPitspawnFouldog.ntj"]); // 액트 1: 감옥 1, 2층으로 이동 -> 핏스톤 파울도그 사냥 * 참고: 이동 오류가 잦은 사냥터입니다.
 MyConfig_PitspawnFouldogClear = [[0, 0x01], [0, 0x01]]; // [감옥 1층, 감옥 2층]
 //NTConfig_Script.push(["MyBoneAsh.ntj"]); // 액트 1: 수도원 안쪽으로 이동 -> 시체 뒤지기 -> 대성당으로 이동 -> 본 애쉬 사냥
 MyConfig_BoneAshClear = [0, 0x01]; // [대성당]
 //NTConfig_Script.push(["MyAndariel.ntj"]); // 액트 1: 카타콤 2, 3, 4층으로 이동 -> 안다리엘 사냥
 MyConfig_AndarielJjolBot = 0; // 만능 쫄봇 = 0: 사용 안 함/ 1: 쫄봇(멈춤)/ 2: 쫄봇(움직임)
 MyConfig_AndarielAntidotePotion = 0; // 사 먹을 해독포션 개수
 MyConfig_AndarielClear = [[0, 0x01], [0, 0x01], [0, 0x01]]; // [카타콤 2층, 카타콤 3층, 카타콤 4층]
 MyConfig_AndarielKill = 0; // 안다리엘 잡기 = 0: 왼쪽 벽/ 1: 머리 찍기/ 2: 거리 유지하기/ 3: 입구 근처 상자 쌓여 있는 곳 * 참고: 'MyConfig_AndarielJjolBot = 0'이 아니면 3으로 자동 설정됩니다.
 //--------------------------------------------------------------------------
 // 액트 2
 //--------------------------------------------------------------------------
 //NTConfig_Script.push(["MyRadament.ntj"]); // 액트 2: 하수구 2, 3층으로 이동 -> 라다먼트 사냥/상자 열기
 MyConfig_RadamentClear = [[0, 0x01], [0, 0x01]]; // [하수구 2층, 하수구 3층]
 //NTConfig_Script.push(["MyStonyTomb.ntj"]); // 액트 2: 메마른 언덕으로 이동 -> 로키 황무지로 이동 -> 스토니 툼 1, 2층으로 이동 -> 크리핑 피쳐 사냥/몬스터 사냥/상자 열기
 MyConfig_StonyTombClear = [[0, 0x01], [0, 0x01], [0, 0x01], [0, 0x01]]; // [메마른 언덕, 로키 황무지, 스토니 툼 1층, 스토니 툼 2층]
 //NTConfig_Script.push(["MyHalls.ntj"]); // 액트 2: 죽음의 홀 2, 3층으로 이동 -> 미치광이 블러드윗치 사냥/상자 열기
 MyConfig_HallsClear = [[0, 0x01], [0, 0x01]]; // [죽음의 홀 2층, 죽음의 홀 3층]
 //NTConfig_Script.push(["MyBeetleburst.ntj"]); // 액트 2: 파 오아시스로 이동 -> 비틀버스트 사냥
 MyConfig_BeetleburstClear = [0, 0x01]; // [파 오아시스]
 //NTConfig_Script.push(["MyColdworm.ntj"]); // 액트 2: 파 오아시스로 이동 -> 마고트 동굴 1, 2, 3층으로 이동 -> 콜드웜 버로워 사냥/상자 열기
 MyConfig_ColdwormClear = [[0, 0x01], [0, 0x01], [0, 0x01], [0, 0x01]]; // [파 오아시스, 마고트 동굴 1층, 마고트 동굴 2층, 마고트 동굴 3층]
 //NTConfig_Script.push(["MyDarkElder.ntj"]); // 액트 2: 잊혀진 도시로 이동 -> 사악한 장로 사냥
 MyConfig_DarkElderClear = [0, 0x01]; // [잊혀진 도시]
 MyConfig_DarkElderAncientTunnels = false; // MyAncientTunnels.ntj 실행하기 * 주의: 실행할 경우 NTConfig_Script.push("MyAncientTunnels.ntj")는 주석처리합니다.
 //NTConfig_Script.push(["MyAncientTunnels.ntj"]); // 액트 2: 잊혀진 도시로 이동 -> 고대 하수도로 이동 -> 상자 열기
 MyConfig_AncientTunnelsClear = [[0, 0x01], [2, 0x01]]; // [잊혀진 도시, 고대 하수도]
 //NTConfig_Script.push(["MyFangskin.ntj"]); // 액트 2: 잊혀진 도시로 이동 -> 스네이크 벨리로 이동 -> 클러 바이퍼 사원 1, 2층으로 이동 -> 팽스킨 사냥
 MyConfig_FangskinClear = [[0, 0x01], [0, 0x01], [0, 0x01]]; // [잊혀진 도시, 클러 바이퍼 사원 1층, 클러 바이퍼 사원 2층]
 //NTConfig_Script.push(["MySummoner.ntj"]); // 액트 2: 아케인 생츄어리로 이동 -> (궁전 지하 3층으로 이동 -> 파이어 아이 사냥 -> 아케인 생츄어리로 이동 ->) 소환술사 사냥 (-> 마기의 캐니언으로 이동 -> (상자 열기 ->) 듀리얼 사냥)
 MyConfig_SummonerFireEye = false; // 파이어 아이 잡기
 MyConfig_SummonerClear = [0, 0x01]; // [아케인 생츄어리]
 MyConfig_SummonerKill = 0; // 소환술사 잡기 = 0: 호라즌의 일지/ 1: 머리 찍기/ 2: 안전한 자리에서 잡기 * 참고: 근접 공격 캐릭터는 머리 찍기로만 공격합니다.
 MyConfig_SummonerDuriel = false; // MyDuriel.ntj 실행하기 * 주의: 실행할 경우 NTConfig_Script.push("MyDuriel.ntj")는 주석처리합니다.
 //NTConfig_Script.push(["MyDuriel.ntj"]); // 액트 2: 마기의 캐니언으로 이동 -> (상자 열기 ->) 듀리얼 사냥
 MyConfig_DurielJjolBot = 0; // 만능 쫄봇 = 0: 사용 안 함/ 1: 쫄봇(멈춤)/ 2: 쫄봇(움직임)
 MyConfig_DurielChest = 0; // 황금상자 열기 = 0: 사용 안 함/ 1: 열기/ 2: 주변 몬스터 정리 후 열기
 MyConfig_DurielClear = [[0, 0x01], [0, 0x01]]; // [마기의 캐니언, 탈 라샤 무덤]
 MyConfig_DurielKill = 0; // 듀리얼 잡기 = 0: 맞짱/ 1: 거리 유지하기/ 2: 티리얼 있는 곳으로 유인하기 * 참고: 'MyConfig_DurielJjolBot = 0'이 아니면 0으로 자동 설정됩니다.
 //--------------------------------------------------------------------------
 // 액트 3
 //--------------------------------------------------------------------------
 //NTConfig_Script.push(["MySszarkTheBurning.ntj"]); // 액트 3: 스파이더 포레스트로 이동 -> 스파이더 동굴로 이동 -> 불타는 스자크 사냥/상자 열기
 MyConfig_SszarkTheBurningClear = [[0, 0x01], [0, 0x01]]; // [스파이더 포레스트, 스파이더 동굴]
 //NTConfig_Script.push(["MyFlayerDungeon.ntj"]); // 액트 3: 프레이어 정글로 이동 -> 프레이어 던전 1, 2, 3층으로 이동 -> 마법사 엔두구 사냥/상자 열기
 MyConfig_FlayerDungeonClear = [[0, 0x01], [0, 0x01], [0, 0x01], [0, 0x01]]; // [프레이어 정글, 프레이어 던전 1층, 프레이어 던전 2층, 프레이어 던전 3층]
 //NTConfig_Script.push(["MyStormtree.ntj"]); // 액트 3: 남부 쿠라스트로 이동 -> 프레이어 정글로 이동 -> 스톰트리 사냥
 MyConfig_StormtreeClear = [0, 0x01]; // [남부 쿠라스트]
 //NTConfig_Script.push(["MyAct3Sewers.ntj"]); // 액트 3: 쿠라스트 바자로 이동 -> (폐허의 사원으로 이동 -> 전체 사냥 -> 버려진 신전으로 이동 -> 전체 사냥) -> 하수구 1층으로 이동 -> 아이스호크 리프트윙 사냥 -> 하수구 2층으로 이동 -> 상자 열기
 MyConfig_Act3SewersRuinedTemple = false; // 폐허의 사원 전체 사냥하기
 MyConfig_Act3SewersDisusedFane = false; // 버려진 신전 전체 사냥하기
 MyConfig_Act3SewersClear = [[0, 0x01], [0, 0x01]]; // [쿠라스트 바자, 하수구 1층]
 //NTConfig_Script.push(["MyKurastTravel.ntj"]); // 액트 3: 북부 쿠라스트로 이동 -> 잊혀진 유적으로 이동 -> 전체 사냥 -> 잊혀진 사원으로 이동 -> 전체 사냥 -> 쿠라스트 커즈웨이로 이동 -> 폐허의 신전으로 이동 -> 전체 사냥 -> 버려진 유적으로 이동 -> 전체 사냥
 MyConfig_KurastTravelClear = [[0, 0x01], [0, 0x01]]; // [북부 쿠라스트, 쿠라스트 커즈웨이]
 MyConfig_KurastTravelTravincal = false; // MyTravincal.ntj 실행하기 * 주의: 실행할 경우 NTConfig_Script.push("MyTravincal.ntj")는 주석처리합니다.
 //NTConfig_Script.push(["MyTravincal.ntj"]); // 액트 3: 트라빈컬로 이동 -> 카운슬 멤버 사냥
 MyConfig_TravincalClear = [0, 0x01]; // [트라빈컬]
 MyConfig_TravincalMephisto = false; // MyMephisto.ntj 실행하기 * 주의: 실행할 경우 NTConfig_Script.push("MyMephisto.ntj")는 주석처리합니다.
 //NTConfig_Script.push(["MyMephisto.ntj"]); // 액트 3: 증오의 사원 2, 3층으로 이동 -> 메피스토 사냥/상자 열기
 MyConfig_MephistoJjolBot = 0; // 만능 쫄봇 = 0: 사용 안 함/ 1: 쫄봇(멈춤)/ 2: 쫄봇(움직임)
 MyConfig_MephistoClear = [[0, 0x01], [0, 0x01], [0, 0x01]]; // [증오의 사원 1층, 증오의 사원 2층, 증오의 사원 3층] * 참고: 증오의 사원 1층은 'MyConfig_TravincalMephisto = false'로 설정하면 전체 사냥만 적용되고 'MyConfig_TravincalMephisto = true'는 길목 사냥과 전체 사냥 모두 적용됩니다. 오리지널에서는 증오의 사원 3층을 전체 사냥으로 설정하면 카운슬 멤버를 잡습니다.
 MyConfig_MephistoKill = 0; // 메피스토 잡기 = 0: 맞짱/ 1: 강 쪽으로 유인하기 * 참고: 'MyConfig_MephistoJjolBot = 0'이 아니면 0으로 자동 설정됩니다.
 //--------------------------------------------------------------------------
 // 액트 4
 //--------------------------------------------------------------------------
 //NTConfig_Script.push(["MyIzual.ntj"]); // 액트 4: 지옥 망령의 도시로 이동 -> 절망의 평원으로 이동 -> 이주얼 사냥
 MyConfig_IzualClear = [[0, 0x01], [0, 0x01]]; // [지옥 망령의 도시, 절망의 평원]
 //NTConfig_Script.push(["MyHephasto.ntj"]); // 액트 4: 불길의 강으로 이동 -> 대장장이 헤파스토 사냥
 MyConfig_HephastoClear = [0, 0x01]; // [불길의 강]
 //NTConfig_Script.push(["MyDiaBot.ntj"]); // 액트 4: 불길의 강으로 이동 -> 카오스 생츄어리로 이동 -> 씨일 열고 소환 몬스터 사냥 -> 디아블로 사냥
 MyConfig_DiaBotDiaJjolBot = [0, ""]; // 디아봇용 쫄봇 = [0: 사용 안 함/ 1: 기사/ 2: 부기사/ 3: 쫄, "기사 캐릭터이름"] * 기사 캐릭터이름: 부기사와 쫄일 때만 설정하며, 설정하지 않으면 기사 캐릭터이름은 'scripts/NTBot/MyConfigs/JjolBot.ntl'에 설정한 기사의 캐릭터이름이 적용됩니다. * 주의: 디아봇용 쫄봇과 만능 쫄봇을 같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 참고: 기사는 'NTConfig_PublicMode = true', 부기사와 쫄은 'NTConfig_PublicMode = false'로 자동 설정됩니다.
 MyConfig_DiaBotJjolBot = 0; // 만능 쫄봇 = 0: 사용 안 함/ 1: 쫄봇(멈춤)/ 2: 쫄봇(움직임) * 주의: 만능 쫄봇은 디아봇용 쫄봇, MyConfig_DiaBotPortalOpen, MyConfig_DiaBotPortalUse 등과 같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MyConfig_DiaBotHelp = 0; // 채팅으로 'ㄷ', 'h', 'H'를 외치면 해당 플레이어의 주위에 있는 몬스터를 잡아 주기 = 잡아 줄 횟수
 MyConfig_DiaBotPotion = [0, 0]; // 사 먹을 포션 개수 = [해독포션, 해빙포션]
 MyConfig_DiaBotClear = [[0, 0x01], [0, 0x01], [1, 0x01]]; // [웨이포인트부터 입구까지, 입구부터 중앙까지, 중앙부터 디아블로 소환 전까지]
 MyConfig_DiaBotPortalOpen = [false, 0, 120, true]; // 카오스 생츄어리에 타운포탈 열기 = [사용 여부, 0: 사용 안 함/ 1: 어다/그로테스크/머어 피엔드/대장장이 헤파스토가 있으면 타운포탈 열기(길목)/ 2: 같이 잡기(길목)/ 3: 타운포탈 열기(전체)/ 4: 같이 잡기(전체), 카오스 생츄어리에 파티원이 있는지 확인할 최대 시간(초), 카오스 생츄어리에서 사냥하기] * 주의: 만능 쫄봇과 같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MyConfig_DiaBotPortalUse = [0, true]; // 카오스 생츄어리에 열린 타운포탈 이용하기 = [타운포탈이 열렸는지 확인할 최대 시간(초), 어다/그로테스크/머어 피엔드/대장장이 헤파스토 잡기] * 주의: 디아봇용 쫄봇의 부기사와 쫄 및 만능 쫄봇과는 같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 참고: 타운포탈을 이용하는데 실패하면 웨이포인트를 통해 카오스 생츄어리로 이동합니다.
 MyConfig_DiaBotPortalPosition = 0; // 타운포탈 열 위치 = 0: 입구/ 1: 중앙 * 참고: 공방이거나 디아봇용 쫄봇, 만능 쫄봇, MyConfig_DiaBotPortalOpen 등을 사용할 때 적용됩니다.
 MyConfig_DiaBotPortalCenter = false; // 중앙 근처에 타운포탈 열기 * 참고: 공방에서 중앙 근처에 타운포탈을 열지 않았을 때만 적용됩니다.
 MyConfig_DiaBotKill = 0; // 디아블로 잡기 = 0: 잡기/ 1: 대기/ 2: 포기
 MyConfig_DiaBotInventory = 0; // 디아블로 잡기 전 인벤토리에 있는 아이템 정리하기 = 0: 사용 안 함/ 1: 마지막 씨일 연 후 아이템 정리하기/ 2: 아이템 정리 후 마지막 씨일 열기
 MyConfig_DiaBotParty = false; // 디아블로 잡기 전 주위에 파티원 8명이 있으면 탈퇴하라는 메시지 보내기
 MyConfig_DiaBotMessage[0] = ["도움이 필요할 땐 'ㄷ', 'h', 'H' 등을 외칩니다!"]; // ["보낼 메시지" . . .]
 MyConfig_DiaBotMessage[1] = ["타운포탈, 위험합니다!"]; // ["보낼 메시지" . . .]
 MyConfig_DiaBotMessage[2] = ["타운포탈, 안전합니다!"]; // ["보낼 메시지" . . .]
 MyConfig_DiaBotMessage[3] = ["디아블로를 잡습니다!"]; // ["보낼 메시지" . . .]
 MyConfig_DiaBotMessage[4] = ["다음 방으로 갑니다!"]; // ["보낼 메시지" . . .]
 //--------------------------------------------------------------------------
 // 액트 5
 //--------------------------------------------------------------------------
 //NTConfig_Script.push(["MyEldritch.ntj"]); // 액트 5: 프리지드 하이랜드로 이동 -> 엘드리치 더 랙터파이어 사냥 (-> 블러디 풋힐로 이동 -> 쉔크 더 오버시어 사냥/덱 패른 사냥)
 MyConfig_EldritchClear = [[0, 0x01], [0, 0x01]]; // [프리지드 하이랜드, 블러디 풋힐]
 MyConfig_EldritchKill = 0; // 엘드리치 더 랙터파이어 잡기 = 0: 잡기/ 1: 주변 몬스터 정리 후 잡기/ 2: 머리 찍기
 MyConfig_EldritchSharptooth = false; // 샤프투쓰 슬레이어 잡기
 MyConfig_EldritchChest = false; // 상자 열기
 MyConfig_EldritchShenk = 2; // 쉔크 더 오버시어 잡기 = 0: 잡지 않음/ 1: 주변 몬스터 정리 후 잡기/ 2: 머리 찍기
 MyConfig_EldritchDacFarren = false; // 덱 패른 잡기
 MyConfig_EldritchAbaddon = false; // MyAbaddon.ntj 실행하기 * 주의: 실행할 경우 NTConfig_Script.push("MyAbaddon.ntj")는 주석처리합니다.
 //NTConfig_Script.push(["MyAbaddon.ntj"]); // 액트 5: 프리지드 하이랜드로 이동 -> 어배던으로 이동 -> 상자 열기
 MyConfig_AbaddonClear = [[0, 0x01], [0, 0x01]]; // [프리지드 하이랜드, 어배던]
 //NTConfig_Script.push(["MyThreshSocket.ntj"]); // 액트 5: 아리앗 고원으로 이동 -> 쓰레쉬 소켓 사냥 (-> 피트 오브 아케런으로 이동 -> 상자 열기)
 MyConfig_ThreshSocketClear = [0, 0x01]; // [아리앗 고원]
 MyConfig_ThreshSocketPitOfAcheron = false; // MyPitOfAcheron.ntj 실행하기 * 주의: 실행할 경우 NTConfig_Script.push("MyPitOfAcheron.ntj")는 주석처리합니다.
 //NTConfig_Script.push(["MyPitOfAcheron.ntj"]); // 액트 5: 아리앗 고원으로 이동 -> 피트 오브 아케런으로 이동 -> 상자 열기
 MyConfig_PitOfAcheronClear = [[0, 0x01], [0, 0x01]]; // [아리앗 고원, 피트 오브 아케런]
 //NTConfig_Script.push(["MyPindleskin.ntj"]); // 액트 5: 니라트하크의 사원 포탈로 이동 -> 핀들스킨 사냥 (-> 홀스 오브 앵귀쉬로 이동 -> 홀스 오브 페인으로 이동 -> 홀스 오브 보우트로 이동 -> 니라트하크 사냥)
 MyConfig_PindleskinNihlathak = 0; // 니라트하크 잡기 = 0: 잡지 않음/ 1: 멀리서/ 2: 머리 찍기
 MyConfig_PindleskinTombViper = false; // 툼 바이퍼 있으면 니라트하크 잡지 않기
 MyConfig_PindleskinClear = [[0, 0x01], [0, 0x01], [0, 0x01]]; // [홀스 오브 앵귀쉬, 홀스 오브 페인, 홀스 오브 보우트] * 참고: 'MyConfig_PindleskinNihlathak = 1 또는 2'로 설정했을 때만 작동합니다.
 //NTConfig_Script.push(["MyNihlathak.ntj"]); // 액트 5: 홀스 오브 페인으로 이동 -> 홀스 오브 보우트로 이동 -> 니라트하크 사냥 (-> 홀스 오브 페인으로 이동 -> 홀스 오브 앵귀쉬로 이동 -> 니라트하크의 사원으로 이동 -> 핀들스킨 사냥)
 MyConfig_NihlathakKill = false; // 니라트하크 머리 찍기
 MyConfig_NihlathakTombViper = false; // 툼 바이퍼 있으면 니라트하크 잡지 않기
 MyConfig_NihlathakPindleskin = false; // 핀들스킨 잡기
 MyConfig_NihlathakClear = [[0, 0x01], [0, 0x01], [0, 0x01]]; // [홀스 오브 페인, 홀스 오브 보우트, 홀스 오브 앵귀쉬] * 참고: 홀스 오브 앵귀쉬는 'MyConfig_NihlathakPindleskin = true'로 설정했을 때만 작동합니다.
 //NTConfig_Script.push(["MyFrozenRiver.ntj"]); // 액트 5: 크리스탈라인으로 이동 -> 프로즌 리버로 이동 -> 프로즌스타인 사냥
 MyConfig_FrozenRiverClear = [[0, 0x01], [0, 0x01]]; // [크리스탈라인, 프로즌 리버]
 //NTConfig_Script.push(["MyGlacialTrail.ntj"]); // 액트 5: 글레이셜 트레일로 이동 -> 본소우 브리커 사냥/상자 열기 -> 드리프터 동굴로 이동 -> 상자 열기
 MyConfig_GlacialTrailClear = [[0, 0x01], [0, 0x01]]; // [글레이셜 트레일, 드리프터 동굴]
 //NTConfig_Script.push(["MyIcyCellar.ntj"]); // 액트 5: 고대인의 길로 이동 -> 아이시 셀라로 이동 -> 스넵치프 쉐터 사냥/상자 열기
 MyConfig_IcyCellarClear = [[0, 0x01], [0, 0x01]]; // [고대인의 길, 아이시 셀라]
 //NTConfig_Script.push(["MyBaalBot.ntj"]); // 액트 5: 월드스톤 성채 2, 3층으로 이동 -> 쓰론 오브 디스트럭션으로 이동 -> 바알 소환 몬스터 사냥 (-> 월드스톤 체임버로 이동 -> 바알 사냥)
 MyConfig_BaalBotBaalJjolBot = [0, ""]; // 바알봇용 쫄봇 = [0: 사용 안 함/ 1: 기사/ 2: 부기사/ 3: 쫄, "기사 캐릭터이름"] * 기사 캐릭터이름: 부기사와 쫄만 설정 가능하며, 설정하지 않으면 기사 캐릭터이름은 'scripts/NTBot/MyConfigs/JjolBot.ntl'에 설정한 기사의 캐릭터이름이 적용됩니다. * 주의: 바알봇용 쫄봇과 만능 쫄봇을 같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 참고: 기사는 'NTConfig_PublicMode = true', 부기사와 쫄은 'NTConfig_PublicMode = false'로 자동 설정됩니다.
 MyConfig_BaalBotJjolBot = 0; // 만능 쫄봇 = 0: 사용 안 함/ 1: 쫄봇(멈춤)/ 2: 쫄봇(움직임) * 주의: 만능 쫄봇과 바알봇용 쫄봇을 같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MyConfig_BaalBotClear = [[0, 0x01], [0, 0x01], [0, 0x01], [0, 0x01]]; // [월드스톤 성채 1층, 월드스톤 성채 2층, 월드스톤 성채 3층, 쓰론 오브 디스트럭션] * 참고: 월드스톤 성채 1층은 전체 사냥만 적용됩니다.
 MyConfig_BaalBotCheckMonster = [false, false, false, false, 691]; // 몬스터를 발견하면 사냥 중지하기 = [월드스톤 성채 1층, 월드스톤 성채 2층, 월드스톤 성채 3층, 쓰론 오브 디스트럭션, 몬스터 ClassID . . .]
 MyConfig_BaalBotPortalFirst = false; // 쓰론 오브 디스트럭션에 도착하면 타운포탈부터 열기
 MyConfig_BaalBotPortalXy[0] = [15116, 5068]; // 타운포탈 "타운포탈, 위험합니다!" 열 좌표 = [X, Y]
 MyConfig_BaalBotPortalXy[1] = [15116, 5068]; // 타운포탈 "타운포탈, 안전합니다!" 열 좌표 = [X, Y]
 MyConfig_BaalBotWaitingXy[0] = [15092, 5040]; // 바알이 몬스터를 소환할 때 쫄봇(움직임)이 대기할 좌표 = [X, Y]
 MyConfig_BaalBotWaitingXy[1] = [15092, 5028]; // 바알이 몬스터를 소환할 때 대기할 좌표 = [X, Y]
 MyConfig_BaalBotKill = true; // 바알 잡기
 MyConfig_BaalBotInventory = false; // 바알 잡기 전 인벤토리에 있는 아이템 정리하기
 MyConfig_BaalBotMessage[0] = ["타운포탈, 위험합니다!"]; // ["보낼 메시지" . . .]
 MyConfig_BaalBotMessage[1] = ["타운포탈, 안전합니다!"]; // ["보낼 메시지" . . .]
 MyConfig_BaalBotMessage[2] = ["바알을 잡습니다!"]; // ["보낼 메시지" . . .]
 MyConfig_BaalBotMessage[3] = ["다음 방으로 갑니다!"]; // ["보낼 메시지" . . .]
 //--------------------------------------------------------------------------
 // 카우봇
 //--------------------------------------------------------------------------
 //NTConfig_Script.push(["MyCowBot.ntj", "시작_엔티스크립트/MyConfig_OpenChest[0] = true"]);
 MyConfig_CowBotClear = [[0, 0x01], [0, 0x01]]; // [스토니 필드, 트리스트럼]
 MyConfig_CowBotGriswold = false; // 그리스월드 잡기
 MyConfig_CowBotChicken = 127; // 헬에서 카우킹의 피가 설정치 이하면 치킨하기 * 참고: 카우킹의 피 최대치는 128입니다.
 MyConfig_CowBotPortalXy = 0; // 시크리트 카우 레벨 포탈 열 위치 = 0: 큐브가 있는 곳/ 1: 3시 구석/ 2: 6시 구석/ 3: 9시 구석/ 4: 12시 구석/ 5: 무작위(1~4)
 MyConfig_CowBotPortalOpen = false; // 사냥하지 않고 시크리트 카우 레벨 포탈만 열기


 //--------------------------------------------------------------------------
 // 실제 사냥코스 설정하기
 //--------------------------------------------------------------------------
 //NTConfig_Script.push(["MyHephasto.ntj"]); // 액트 4: 불길의 강으로 이동 -> 대장장이 헤파스토 사냥
 MyConfig_HephastoClear = [1, 0x01]; // [불길의 강]
 // 걸어가며 길목/전체 사냥

 //NTConfig_Script.push(["MyAndariel.ntj"]); // 액트 1: 카타콤 2, 3, 4층으로 이동 -> 안다리엘 사냥
 MyConfig_AndarielJjolBot = 2; // 만능 쫄봇 = 0: 사용 안 함/ 1: 쫄봇(멈춤)/ 2: 쫄봇(움직임)
 MyConfig_AndarielAntidotePotion = 0; // 사 먹을 해독포션 개수
 MyConfig_AndarielClear = [[0, 0x01], [0, 0x01], [1, 0x01]]; // [카타콤 2층, 카타콤 3층, 카타콤 4층]
 MyConfig_AndarielKill = 1; // 안다리엘 잡기 = 0: 왼쪽 벽/ 1: 머리 찍기/ 2: 거리 유지하기/ 3: 입구 근처 상자 쌓여 있는 곳 * 참고: 'MyConfig_AndarielJjolBot = 0'이 아니면 3으로 자동 설정됩니다.
 // 카타콤4층까지 텔레 (보쌈)

 //NTConfig_Script.push(["MyPit.ntj"]); // 액트 1: 블랙 마쉬로 이동 -> 타모에 고지로 이동 -> 피트 1, 2층으로 이동 -> 전체 사냥/상자 열기
 MyConfig_PitClear = [[0, 0x01], [0, 0x01], [1, 0x01], [2, 0x01]]; // [블랙 마쉬, 타모에 고지, 피트 1층, 피트 2층]
 // 피트1층까지 텔레, 피트2층 진입 포탈오픈

 //NTConfig_Script.push(["MyDuriel.ntj"]); // 액트 2: 마기의 캐니언으로 이동 -> (상자 열기 ->) 듀리얼 사냥
 MyConfig_DurielJjolBot = 2; // 만능 쫄봇 = 0: 사용 안 함/ 1: 쫄봇(멈춤)/ 2: 쫄봇(움직임)
 MyConfig_DurielChest = 0; // 황금상자 열기 = 0: 사용 안 함/ 1: 열기/ 2: 주변 몬스터 정리 후 열기
 MyConfig_DurielClear = [[0, 0x01], [1, 0x01]]; // [마기의 캐니언, 탈 라샤 무덤]
 MyConfig_DurielKill = 0; // 듀리얼 잡기 = 0: 맞짱/ 1: 거리 유지하기/ 2: 티리얼 있는 곳으로 유인하기 * 참고: 'MyConfig_DurielJjolBot = 0'이 아니면 0으로 자동 설정됩니다.
 // 듀리얼방까지 텔레 (보쌈)

 //NTConfig_Script.push(["MyMephisto.ntj"]); // 액트 3: 증오의 사원 2, 3층으로 이동 -> 메피스토 사냥/상자 열기
 MyConfig_MephistoJjolBot = 2; // 만능 쫄봇 = 0: 사용 안 함/ 1: 쫄봇(멈춤)/ 2: 쫄봇(움직임)
 MyConfig_MephistoClear = [[0, 0x01], [0, 0x01], [1, 0x01]]; // [증오의 사원 1층, 증오의 사원 2층, 증오의 사원 3층] * 참고: 증오의 사원 1층은 'MyConfig_TravincalMephisto = false'로 설정하면 전체 사냥만 적용되고 'MyConfig_TravincalMephisto = true'는 길목 사냥과 전체 사냥 모두 적용됩니다. 오리지널에서는 증오의 사원 3층을 전체 사냥으로 설정하면 카운슬 멤버를 잡습니다.
 MyConfig_MephistoKill = 0; // 메피스토 잡기 = 0: 맞짱/ 1: 강 쪽으로 유인하기 * 참고: 'MyConfig_MephistoJjolBot = 0'이 아니면 0으로 자동 설정됩니다.
 // 매피방까지 텔레 (보쌈)

 NTConfig_Script.push(["MyDiaBot.ntj"]); // 액트 4: 불길의 강으로 이동 -> 카오스 생츄어리로 이동 -> 씨일 열고 소환 몬스터 사냥 -> 디아블로 사냥
 MyConfig_DiaBotDiaJjolBot = [0, ""]; // 디아봇용 쫄봇 = [0: 사용 안 함/ 1: 기사/ 2: 부기사/ 3: 쫄, "기사 캐릭터이름"] * 기사 캐릭터이름: 부기사와 쫄일 때만 설정하며, 설정하지 않으면 기사 캐릭터이름은 'scripts/NTBot/MyConfigs/JjolBot.ntl'에 설정한 기사의 캐릭터이름이 적용됩니다. * 주의: 디아봇용 쫄봇과 만능 쫄봇을 같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 참고: 기사는 'NTConfig_PublicMode = true', 부기사와 쫄은 'NTConfig_PublicMode = false'로 자동 설정됩니다.
 MyConfig_DiaBotJjolBot = 2; // 만능 쫄봇 = 0: 사용 안 함/ 1: 쫄봇(멈춤)/ 2: 쫄봇(움직임) * 주의: 만능 쫄봇은 디아봇용 쫄봇, MyConfig_DiaBotPortalOpen, MyConfig_DiaBotPortalUse 등과 같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MyConfig_DiaBotHelp = 0; // 채팅으로 'ㄷ', 'h', 'H'를 외치면 해당 플레이어의 주위에 있는 몬스터를 잡아 주기 = 잡아 줄 횟수
 MyConfig_DiaBotPotion = [0, 0]; // 사 먹을 포션 개수 = [해독포션, 해빙포션]
 //MyConfig_DiaBotClear = [[1, 0x01], [1, 0x01], [2, 0x01]]; // [웨이포인트부터 입구까지, 입구부터 중앙까지, 중앙부터 디아블로 소환 전까지]
 //MyConfig_DiaBotClear = [[0, 0x01], [2, 0x01], [2, 0x01]]; // [웨이포인트부터 입구까지, 입구부터 중앙까지, 중앙부터 디아블로 소환 전까지]
 MyConfig_DiaBotClear = [[0, 0x01], [0, 0x01], [2, 0x01]]; // [웨이포인트부터 입구까지, 입구부터 중앙까지, 중앙부터 디아블로 소환 전까지]
 // -> 캐릭이니 지정대로 자동 텔레포트 수정완료 (불길의강 웨이부터, 카오스 입구부터, 카오스 중앙부터) <-
 MyConfig_DiaBotPortalOpen = [true, 1, 120, true]; // 카오스 생츄어리에 타운포탈 열기 = [사용 여부, 0: 사용 안 함/ 1: 어다/그로테스크/머어 피엔드/대장장이 헤파스토가 있으면 타운포탈 열기(길목)/ 2: 같이 잡기(길목)/ 3: 타운포탈 열기(전체)/ 4: 같이 잡기(전체), 카오스 생츄어리에 파티원이 있는지 확인할 최대 시간(초), 카오스 생츄어리에서 사냥하기] * 주의: 만능 쫄봇과 같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MyConfig_DiaBotPortalUse = [0, true]; // 카오스 생츄어리에 열린 타운포탈 이용하기 = [타운포탈이 열렸는지 확인할 최대 시간(초), 어다/그로테스크/머어 피엔드/대장장이 헤파스토 잡기] * 주의: 디아봇용 쫄봇의 부기사와 쫄 및 만능 쫄봇과는 같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 참고: 타운포탈을 이용하는데 실패하면 웨이포인트를 통해 카오스 생츄어리로 이동합니다.
 MyConfig_DiaBotPortalPosition = 0; // 타운포탈 열 위치 = 0: 입구/ 1: 중앙 * 참고: 공방이거나 디아봇용 쫄봇, 만능 쫄봇, MyConfig_DiaBotPortalOpen 등을 사용할 때 적용됩니다.
 MyConfig_DiaBotPortalCenter = false; // 중앙 근처에 타운포탈 열기 * 참고: 공방에서 중앙 근처에 타운포탈을 열지 않았을 때만 적용됩니다.
 MyConfig_DiaBotKill = 0; // 디아블로 잡기 = 0: 잡기/ 1: 대기/ 2: 포기
 MyConfig_DiaBotInventory = 0; // 디아블로 잡기 전 인벤토리에 있는 아이템 정리하기 = 0: 사용 안 함/ 1: 마지막 씨일 연 후 아이템 정리하기/ 2: 아이템 정리 후 마지막 씨일 열기
 MyConfig_DiaBotParty = false; // 디아블로 잡기 전 주위에 파티원 8명이 있으면 탈퇴하라는 메시지 보내기
 MyConfig_DiaBotMessage[0] = ["도움이 필요할 땐 'ㄷ', 'h', 'H' 등을 외칩니다!"]; // ["보낼 메시지" . . .]
 MyConfig_DiaBotMessage[1] = ["타운포탈, 위험합니다!"]; // ["보낼 메시지" . . .]
 MyConfig_DiaBotMessage[2] = ["타운포탈, 안전합니다!"]; // ["보낼 메시지" . . .]
 MyConfig_DiaBotMessage[3] = ["디아블로를 잡습니다! 막탈 필요없어요"]; // ["보낼 메시지" . . .]
 //MyConfig_DiaBotMessage[4] = ["다음 방으로 갑니다!"]; // ["보낼 메시지" . . .]
 MyConfig_DiaBotMessage[4] = ["다음 방 %G 채널은 prob "]; // ["보낼 메시지" . . .]
 //--------------------------------------------------------------------------------------------------------------
 //Purpose_QueDrop = ""; // 공방 사냥.
 //Purpose_QueDrop = "InGameMaker"; // 방 만드는 캐릭만 노사냥 대기로 경치먹기.
 //Purpose_QueDrop = "OutGameMaker"; // 방 만드는 캐릭만 마을로 보내기.
 //Purpose_QueDrop = "OnlyMaster"; // 쫄 모두 마을 보내고 기사혼자 잡기.
 //Purpose_QueDrop = "InMarried"; // 방 만드는 캐릭과 지정2캐릭은 노사냥 대기로 경치먹기.
 //Purpose_QueDrop = "OutMarried"; // 방 만드는 캐릭과 지정2캐릭은 마을 보내기.
 //Purpose_QueDrop = "InMarried1"; // 지정1캐릭 마을 보내고 방 만드는 캐릭과 지정2캐릭은 노사냥 대기로 경치먹기.
 //Purpose_QueDrop = "OutMarried1"; // 지정1캐릭, 방 만드는 캐릭, 지정2캐릭 모두 마을 보내기.
 //Purpose_QueDrop = "OnlyOne"; // 지정1캐릭만 마을 보내기.
 //--------------------------------------------------------------------------------------------------------------
 // ===== [주 의] : 하나만 지정 할것 (이 수정본은 한방 8케릭 풀방에 최적화) =====
 //--------------------------------------------------------------------------------------------------------------
 // 지정1캐릭, 지정2캐릭, 보조함성바바, [카오스사냥시 씨일열기, 사냥방향 설정] 은 NTConfig.ntl 에서 설정할것
 //--------------------------------------------------------------------------------------------------------------


 //##########################################################################
 // 시간 설정하기
 //==========================================================================
 MyConfig_MaxGameTime = 2400; // 최대 게임 시간(초, 0: 무한정)
 NTConfig_StartDelay = 10000; // 방 입장 후 지연 시간(1/1000초)
 MyConfig_WaypointDelay = 40; // 웨이포인트 이동 시도 시간(1/5초)
 NTConfig_AreaDelay = 0; // 지역 이동 후 지연 시간(1/1000초)
 MyConfig_MaxHpMpDelay = 150; // 라이프 및 마나의 최대치가 바뀔 때의 지연 시간(1/1000초) * 참고: 오크 세이지로 인한 치킨 오류를 방지합니다.
 MyConfig_TimeManager = [0, 0]; // 시간 관리자 = [만들 방 수, 가동 시간(분)] * 예) [20, 100] = 봇이 20방을 돈 시간이 100분 보다 적으면 21번 방에서 샵봇으로 100분을 채운 후 사냥을 시작합니다.

 //##########################################################################
 // 엔피씨, 포션, 치킨 설정하기
 //==========================================================================
 NTConfig_SkipHealLife = 90; // 마을에 있을 때 라이프가 설정치 미만이면 엔피씨 만나 라이프 채우기 = 백분율
 NTConfig_SkipHealMana = 70; // 마을에 있을 때 마나가 설정치 미만이면 엔피씨 만나 마나 채우기 = 백분율

 NTConfig_LifeThresh = 70; // 라이프가 설정치 미만이면 힐링포션 먹기 = 백분율
 NTConfig_LifeRejuvThresh = 40; // 라이프가 설정치 미만이면 활력포션 먹기 = 백분율
 NTConfig_ManaThresh = 30; // 마나가 설정치 미만이면 마나포션 먹기 = 백분율
 NTConfig_ManaRejuvThresh = 0; // 마나가 설정치 미만이면 활력포션 먹기 = 백분율
 NTConfig_LifeChicken = 25; // 라이프가 설정치 미만이면 치킨하기 = 백분율
 NTConfig_ManaChicken = 0; // 마나가 설정치 미만이면 치킨하기 = 백분율

 NTConfig_MercLifeThresh = 50; // 용병의 라이프가 설정치 미만이면 힐링포션 먹기 = 백분율
 NTConfig_MercRejuvThresh = 30; // 용병의 라이프가 설정치 미만이면 활력포션 먹기 = 백분율
 NTConfig_MercChicken = 0; // 용병의 라이프가 설정치 미만이면 치킨하기 = 백분율

 MyConfig_LifeChickenTown = 0; // 라이프가 설정치 미만이면 마을로 치킨하기 = 백분율
 MyConfig_ManaChickenTown = 0; // 마나가 설정치 미만이면 마을로 치킨하기 = 백분율


 //##########################################################################
 // 인벤토리 설정하기
 //-------------------
 // NTConfig_Columns[X] = [아이템을 인벤토리에 보관할지 여부 . .]
 // 아이템을 인벤토리에 보관할지 여부: 0 = 다른 곳에 사용하지 않고 항상 인벤토리에 보관하기, 1 = 바닦에 버리기/상점에 팔기/스태쉬나 큐브로 옮기기
 //==========================================================================
 NTConfig_Columns[0] = [1,1,1,1,1,1,1,1,0,0];
 NTConfig_Columns[1] = [1,1,1,1,1,1,1,1,0,0];
 NTConfig_Columns[2] = [1,1,1,1,1,1,1,1,0,0];
 NTConfig_Columns[3] = [1,1,1,1,1,1,1,0,0,0];

 NTConfig_MinGoldToStash = 500000; // 인벤토리에 있는 골드를 스태쉬에 보관하기 = 보관하러 갈 최소 골드


 //##########################################################################
 // 벨트 설정하기
 //---------------
 // NTConfig_BeltColType = ["벨트 1번째에 넣고 사용할 아이템", "2번째", "3번째", "4번째"]
 // "벨트 X번째에 넣고 사용할 아이템": "hp" = 힐링포션, "mp" = 마나포션, "rv" = 활력포션, "tsc" = 타운포탈 스크롤
 //==========================================================================
 NTConfig_BeltColType = ["hp", "mp", "mp", "rv"];

 MyConfig_RefillScroll = false; // 타운포탈 스크롤 주워 벨트에 채우기












다음은 바바리안입니다.



/*
* 사냥터 설정하기
* 시간 설정하기
* 엔피씨, 포션, 치킨 설정하기
* 인벤토리 설정하기
* 벨트 설정하기
* 아이템 설정하기
* 도박 설정하기
* 메시지 설정하기
* 기타 옵션 설정하기
* 공격 설정하기
* 이동 중 사용할 성소 설정하기
* 창고지기 설정하기
* 큐빙 설정하기
*------------------------------------------------------------------------------
* 앞에 '//'가 있으면 : 사용 안 함
* 앞에 '//'가 없으면 : 사용
* true : 사용
* false : 사용 안 함
* 0 또는 -1 : 사용 안 함
* . . . : 무한정 설정할 수 있습니다. 설정한 것들 중에서 대부분 무작위로 하나의 설정이 적용됩니다.
* . . : 여러 개 설정할 수 있습니다.
* me.gametype : 자동으로 오리지널은 false, 확장은 true가 됩니다. 오리지널과 확장 모두 true로 설정하려면 me.gametype를 true로 수정합니다.
* 무기 번호 : 1 = 1번 무기, 2 = 2번 무기
* 사냥할 몬스터 종류 : 0x01 = 모든 몬스터, 0x02 = 슈퍼 유니크, 0x04 = 챔피언, 0x08 = 보스, 0x10 = 미니언, 0x11 = 노말 몬스터 제외
* MyConfig_사냥터Clear: [[0: 사용 안 함/ 1: 길목 사냥/ 2: 전체 사냥, 사냥할 몬스터 종류] . . .]
*------------------------------------------------------------------------------
* NTConfig_Script.push(["사냥터", "옵션" . . .])
* 옵션 목록:
* - "시작_엔티스크립트" * 참고: 사냥터를 시작할 때 적용됩니다. 예) NTConfig_Script.push(["MyHamseongBot.ntj", "시작_엔티스크립트/MyConfig_HamseongBotQueDropBot = ['개똥이', '소똥이', '말똥이']"])
* - "종료_엔티스크립트" * 참고: 사냥터를 종료할 때 적용됩니다. 예) NTConfig_Script.push(["MyCowBot.ntj", "종료_엔티스크립트/for (var i = 0; i < 3; i++) Delay(300);"])
* - "시작_메시지 . . ." * 참고: 사냥터를 시작할 때 메시지를 보냅니다. 예) "시작_메시지/시작합니다!/시작"
* - "종료_메시지 . . ." * 참고: 사냥터를 종료할 때 메시지를 보냅니다. 예) "종료_메시지/종료합니다!/끝/다음 방 '%G'로 갑니다!"
* - "시작_지연_시간" * 참고: 사냥터를 시작할 때 마을에서 지연할 시간(초)입니다. 예) "시작_지연_시간/1"
* - "종료_지연_시간" * 참고: 사냥터를 종료할 때 마을에서 지연할 시간(초)입니다. 예) "종료_지연_시간/1"
* - "공격_스킬 . ." * 참고: MyConfig_AttackSkill[X]는 해당 사냥터에만 적용됩니다. 예) "공격_스킬/MyConfig_AttackSkill[1] = [112, 2, 1, 113]/MyConfig_AttackSkill[3] = [112, 2, 1, 113]"
*------------------------------------------------------------------------------
* 아이템 ClassID: scripts/libs/common/NTItemAlias.ntl
* 스킬 번호 : sdk/스킬_번호.txt
* 몬스터 ClassID: mpqdata/monstats.txt
* 지역 번호 : sdk/areas.txt
*------------------------------------------------------------------------------
* 주의: 설정 옵션에 '.push'가 없을 경우에는 주석처리하거나 삭제하면 오류가 날 수 있습니다.
* 참고: 각종 메시지에서 특수 문자 '%G'는 'XXX-번호' 형식의 다음 방이름입니다.
*/

Include("libs/common/MyBbingBarba.ntl");


function NT_LoadConfig()
{
 //##########################################################################
 // 사냥터 설정하기
 //==========================================================================
 // 대기봇
 //--------------------------------------------------------------------------
 //NTConfig_Script.push(["MyDaegiBot.ntj"]); // 참고: 한 번 이상 설정해서 실행시킬 수 있습니다.
 MyConfig_DaegiBotMaster = []; // 설정한 캐릭터가 방에 있으면 대기봇 종료하기 = ["캐릭터이름" . . .]
 //--------------------------------------------------------------------------
 // 프리캐스트봇
 //--------------------------------------------------------------------------
 //NTConfig_Script.push(["MyPrecastBot.ntj"]);
 MyConfig_PrecastBotWaypoint = [35, 46, 101, 107, 129]; // [프리캐스트를 할 웨이포인트 . . .]
 //--------------------------------------------------------------------------
 // 만능 쫄봇
 //--------------------------------------------------------------------------
 //NTConfig_Script.push(["MyJjolBotGisa.ntj"]); // 기사용 만능 쫄봇 * 참고: 'scripts/NTBot/MyConfigs/Key.ntl'에서 명령키를 설정합니다. 'NTConfig_PublicMode = true'로 자동 설정됩니다.
 MyConfig_JjolBotGisaJjol = 0; // 쫄 인원수 = 0: 기사를 직접할 경우/ 1 이상: 기사가 봇일 경우 * 참고: 기사를 직접할 경우, 기사가 지역 이동 후 쫄이 따라오지 않으면 기사를 이리저리 움직이십시오.
 MyConfig_JjolBotGisaWait = 60; // 쫄 기다릴 최대 시간(초)
 NTConfig_Script.push(["MyJjolBotJjol.ntj"]); // 쫄용 만능 쫄봇 * 참고: 'NTConfig_PublicMode = false'로 자동 설정됩니다.
 MyConfig_JjolBotJjolItem = [true, true]; // [방 입장 후 아이템 등 정리하기, 도박하기]
 MyConfig_JjolBotJjolDistance = [4, 8]; // 기사와의 간격 = [최소, 최대]
 MyConfig_JjolBotJjolPrecast = 1000; // 프리캐스트하기 = 확인 시간(1/1000초) 간격 * 참고: '이동이나 사냥 중에 할 프리캐스트 설정하기'가 적용됩니다.
 MyConfig_JjolBotJjolAttack = [17, 1000];
 MyConfig_JjolBotJjolPick = 1000; // 아이템 줍기 = 확인 시간(1/1000초) 간격
 MyConfig_JjolBotJjolGisa = "kimjonghoon"; // 방에 있는 특정 캐릭터를 기사로 설정하기 = "기사가 될 캐릭터이름" * 주의: 기사가 될 캐릭터가 MyJjolBotGisa.ntj를 사용할 때는 설정하지 마십시오. * 참고: 설정하지 않으면 기사는 'scripts/NTBot/MyConfigs/JjolBot.ntl'에 설정한 기사가 적용됩니다.
 MyConfig_JjolBotJjolMessage = ["!쫄봇 준비 완료!"]; // 수동용 쫄봇의 준비 완료 메시지 = ["보낼 메시지" . . .]
 //--------------------------------------------------------------------------
 // 함성봇, 퀘드랍봇
 //--------------------------------------------------------------------------
 //NTConfig_Script.push(["MyHamseongBot.ntj"]); // 함성봇(함성해 주기) * 참고: 한 번 이상 설정해서 실행시킬 수 있습니다.
 // 퀘드랍봇에게만 함성해 줄 경우
 //...............................
 MyConfig_HamseongBotQueDropBot = []; // ["함성해 줄 퀘드랍봇 캐릭터이름" . . .] * 참고: "함성해 줄 퀘드랍봇 캐릭터이름"을 설정하지 않으면 '최대 게임 시간까지 파티원에게 함성해 줄 경우'가 적용됩니다.
 MyConfig_HamseongBotWait = 120; // 함성해 줄 퀘드랍봇을 기다릴 최대 시간(초)

 // 최대 게임 시간까지 파티원에게 함성해 줄 경우
 //..............................................
 MyConfig_HamseongBotLeftTime = 0; // 배틀 오더스 남은 시간(초)이 설정한 시간보다 적으면 함성해 주기
 MyConfig_HamseongBotMessage = [0, 0]; // [메시지 보내기(배틀 오더스 남은 시간(초)이 설정한 시간보다 적으면 메시지를 보냅니다), 메시지 안 보내기(배틀 오더스 남은 시간이 설정한 시간보다 적으면 메시지를 안 보냅니다)]
 MyConfig_HamseongBotEnchanter = ""; // MyConfig_HamseongBotLeftTime와 MyConfig_HamseongBotMessage를 적용하지 않을 캐릭터이름

 // 기타
 //......
 MyConfig_HamseongBotWaypoint = 107; // 함성해 줄 웨이포인트
 MyConfig_HamseongBotPortal = false; // 함성해 줄 웨이포인트로 이동 후 타운포탈 열기
 MyConfig_HamseongBotWeapon = [1, 1, 1]; // 함성해 줄 때 장착할 무기 번호 = [배틀 커맨드, 샤우트, 배틀 오더스]
 //NTConfig_Script.push(["MyQueDropBot.ntj"]); // 퀘드랍봇(함성 받기) * 참고: 한 번 이상 설정해서 실행시킬 수 있습니다.
 MyConfig_QueDropBotHamseongBot = ["", 120, 0, 120]; // 함성봇 = ["함성봇 캐릭터이름", 함성봇을 확인할 최대 시간(초), 함성 받을 웨이포인트(0: 함성봇이 있는 웨이포인트), 함성 받을 최대 시간(초)]
 //--------------------------------------------------------------------------
 // 디아런 도우미
 //--------------------------------------------------------------------------
 //NTConfig_Script.push(["MyDiaRunGisa.ntj"]); // 디아런 도우미(기사) * 참고: 'scripts/NTBot/MyConfigs/Key.ntl'에서 명령키를 설정합니다. 'NTConfig_PublicMode = true'로 자동 설정됩니다.
 NTConfig_Script.push(["MyDiaRunHamseongBarba.ntj"]); // 디아런 도우미(함성바바) * 참고: 'NTConfig_PublicMode = true'로 자동 설정됩니다.
 //NTConfig_Script.push(["MyDiaRunFlySorce.ntj"]); // 디아런 도우미(플라이소서) * 참고: 'NTConfig_PublicMode = true'로 자동 설정됩니다.
 //--------------------------------------------------------------------------
 // 인첸트봇
 //--------------------------------------------------------------------------
 //NTConfig_Script.push(["MyEnchantBot.ntj"]); // 참고: 한 번 이상 설정해서 실행시킬 수 있습니다. 봇이 'scripts/NTBot/MyData/Hostile/HostileName.txt' 파일을 자동으로 만듭니다. HostileName.txt(적대적 플레이어 이름 기록)에 이름이 기록된 플레이어는 인첸트를 안 해 줍니다.
 MyConfig_EnchantBotWaypoint = 35; // 인첸트해 줄 웨이포인트(2: 액트 1 입구)
 MyConfig_EnchantBotPingDelay = 0; // 인첸트해 준 후 핑 지연 시간(1/1000초) * 참고: 핑 지연 시간이 적으면 인첸트를 계속 해 주는 오류가 날 수 있습니다.
 MyConfig_EnchantBotLeftTime = 0; // 인첸트 남은 시간(초)이 설정한 시간보다 적으면 인첸트해 주기
 MyConfig_EnchantBotBattleCommand = false; // 배틀 커맨드를 받은 상태에서만 인첸트해 주기
 MyConfig_EnchantBotHamseongBot = ""; // MyConfig_EnchantBotLeftTime와 MyConfig_EnchantBotMessage[0]를 적용하지 않을 캐릭터이름
 MyConfig_EnchantBotMessage[0] = [0, 0]; // 메시지 보내기 = [시작할 시간(초, 인첸트 남은 시간이 설정한 시간보다 적으면 메시지를 보냅니다), 멈출 시간(초, 인첸트 남은 시간이 설정한 시간보다 적으면 메시지를 안 보냅니다)]
 MyConfig_EnchantBotMessage[1] = [false, "인첸트가 필요할 땐 '.인첸트', '.ㅇㅊ', '.en' 등을 외칩니다!", "인첸트봇의 남은 시간을 알고 싶을 땐 '.시간', '.ㅅㄱ', '.time' 등을 외칩니다!"]; // [방에 새 플레이어가 들어오면 메시지 보내기, "보낼 메시지" . . .] * 참고: 특수 문자 '%N'은 방에 새로 들어 온 플레이어 이름입니다. 예) [true, "어서오세요!", "%N 님, 반갑습니다!"] = 무작위로 두 가지 중 하나의 메시지를 보냅니다.
 MyConfig_EnchantBotMessage[2] = [0, ""]; // 설정한 시간 간격마다 메시지 보내기 = [시간(초) 간격, "보낼 메시지" . . .] * 참고: 특수 문자 '%P'는 방에서 파티를 맺고 인첸트를 받은 플레이어 이름(무작위)입니다. 특수 문자 '%H', '%M', '%S'는 남은 시간입니다. 예) [60, "열심히...", "%P 님, 그냥...", "꾸준히...", "%P 님, 남은 시간은 %M분 %S초..."] = 60초 간격으로 무작위로 네 가지 중 하나의 메시지를 보냅니다.
 MyConfig_EnchantBotMessage[3] = [0, ""]; // 설정한 시간까지 인첸트해 준 후 MyEnchantBot.ntj 끝내기 = [인첸트해 줄 시간(초), "보낼 메시지" . . .] * 참고: 특수 문자 '%G'는 'XXX-번호' 형식의 다음 방이름입니다. 예) [600, "다음 방으로 갑니다!", "다음 방은 '%G'입니다!"] = 600초 후 무작위로 두 가지 중 하나의 메시지를 보낸 다음 스크립트를 종료합니다.
 //--------------------------------------------------------------------------
 // 샵봇
 //--------------------------------------------------------------------------
 //NTConfig_Script.push(["MyShopBot.ntj"]); // 샵봇 * 참고: 한 번 이상 설정해서 실행시킬 수 있습니다.
 MyConfig_ShopBotNpc = 7; // NPC 번호 * 참고: 'scripts/NTBot/bots/MyShopBot.ntj'에 NPC 번호가 있습니다. 시간 관리자와 자동 디아런에서 실행되는 샵봇에도 적용됩니다.
 MyConfig_ShopBotCowPortal = false; // 시크리트 카우 레벨 포탈 이용하기 * 참고: 시간 관리자와 자동 디아런에서 실행되는 샵봇에도 적용됩니다.
 MyConfig_ShopBotAnyaPortal = false; // 니라트하크의 사원 포탈 이용하기 * 참고: 시간 관리자와 자동 디아런에서 실행되는 샵봇에도 적용됩니다.
 MyConfig_ShopBotRunTime = [0, 600]; // 샵봇 실행 시간 = [0: 사용 안 함/ 1: 방 입장 시각부터/ 2: 샵봇 시작 시각부터, 실행 시간(초)]
 //NTConfig_Script.push(["MyShopBotStop.ntj"]); // 샵봇 중단시키기 * 참고: 한 번 이상 설정해서 실행시킬 수 있습니다.
 MyConfig_ShopBotStopShopBot = []; // ["중단 시킬 샵봇 캐릭터이름" . . .]
 //--------------------------------------------------------------------------
 // 성소봇
 //--------------------------------------------------------------------------
 //NTConfig_Script.push(["MySeongsoBot.ntj"]); // 참고: 'scripts/NTBot/MyConfigs/SeongsoBot.ntl'에서 설정합니다.
 //--------------------------------------------------------------------------
 // 장기봇
 //--------------------------------------------------------------------------
 //NTConfig_Script.push(["MyJanggiBot.ntj"]); // 장기봇 * 참고: 'scripts/NTBot/MyConfigs/JanggiBot.ntl'에서 창고지기를 설정합니다.
 MyConfig_JanggiBotExit = true; // 장기봇 종료할 때 방 나가기
 //NTConfig_Script.push(["MyJanggiBotKeeper.ntj"]); // 장기봇용 방 만들고 지키기 * 참고: 'scripts/NTBot/MyConfigs/JjolBot.ntl 또는 WarehouseKeeper.ntl'에서 방 만들고 지킬 캐릭터는 쫄봇의 기사 또는 창고지기의 장기봇용 방 만들고 지키기를 설정하고, 장기봇은 쫄봇의 쫄을 설정합니다.

 //--------------------------------------------------------------------------
 // 삥바바용 사냥터
 //--------------------------------------------------------------------------
 //NTConfig_Script.push(["MyBbingBarbaBishibosh.ntj"]); // 참고: 삥바바는 휠윈드, 버서크, 리프, 리프 어택을 반드시 배워야 합니다.
 //NTConfig_Script.push(["MyBbingBarbaPit.ntj"]); // 참고: 삥바바는 공격 스킬을 설정하지 않습니다. 자동으로 스킬을 사용합니다.
 //NTConfig_Script.push(["MyBbingBarbaTravincal.ntj"]); // 참고: 삥바바는 달리기와 리프, 리프 어택을 사용하여 이동합니다. 텔레포트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NTConfig_Script.push(["MyBbingBarbaIzual.ntj"]); // 참고: 'scripts/NTBot/MyConfigs/BbingBarba.ntl'에서 설정합니다.
 //NTConfig_Script.push(["MyBbingBarbaHephasto.ntj"]);
 //NTConfig_Script.push(["MyBbingBarbaDiablo.ntj"]);
 //NTConfig_Script.push(["MyBbingBarbaEldritch.ntj"]);
 //NTConfig_Script.push(["MyBbingBarbaPindleskin.ntj"]);
 //NTConfig_Script.push(["MyBbingBarbaSecretCowLevel.ntj"]);

 //--------------------------------------------------------------------------
 // 액트 1
 //--------------------------------------------------------------------------
 //NTConfig_Script.push(["MyCorpsefire.ntj"]); // 액트 1: 콜드 플레인으로 이동 -> 블러드 무어로 이동 -> 케이브 1층으로 이동 -> 불타는 시체 사냥
 MyConfig_CorpsefireClear = [[0, 0x01], [0, 0x01], [0, 0x01]]; // [콜드 플레인, 블러드 무어, 케이브 1층]
 //NTConfig_Script.push(["MyBishibosh.ntj"]); // 액트 1: 콜드 플레인으로 이동 -> 비쉬보쉬 사냥
 MyConfig_BishiboshClear = [0, 0x01]; // [콜드 플레인]
 MyConfig_BishiboshMausoleum = false; // MyMausoleum.ntj 실행하기 * 주의: 실행할 경우 NTConfig_Script.push("MyMausoleum.ntj")는 주석처리합니다.
 //NTConfig_Script.push(["MyColdcrow.ntj"]); // 액트 1: 콜드 플레인으로 이동 -> 케이브 1층으로 이동 -> 콜드크로우 사냥 -> 케이브 2층으로 이동 -> 상자 열기
 MyConfig_ColdcrowClear = [[0, 0x01], [0, 0x01], [0, 0x01]]; // [콜드 플레인, 케이브 1층, 케이브 2층]
 //NTConfig_Script.push(["MyHole.ntj"]); // 액트 1: 블랙 마쉬로 이동 -> 홀 1, 2층으로 이동 -> 상자 열기/전체 사냥
 MyConfig_HoleClear = [[0, 0x01], [1, 0x01], [2, 0x01]]; // [블랙 마쉬, 홀 1층, 홀 2층]
 //NTConfig_Script.push(["MyMausoleum.ntj"]); // 액트 1: 콜드 플레인으로 이동 -> 베리얼 그라운드로 이동 -> (블러드 레이븐 사냥 ->) 머설리엄으로 이동 -> 상자 열기/전체 사냥 (-> 베리얼 그라운드로 이동 -> 크립트로 이동 -> 상자 열기)
 MyConfig_MausoleumKill = true; // 블러드 레이븐 잡기
 MyConfig_MausoleumClear = [[0, 0x01], [0, 0x01], [2, 0x01], [0, 0x01]]; // [콜드 플레인, 베리얼 그라운드, 머설리엄, 크립트]
 //NTConfig_Script.push(["MyTristram.ntj"]); // 액트 1: 스토니 필드로 이동 -> 라카니슈 사냥 -> 트리스트럼으로 이동 -> 그리스월드 사냥
 MyConfig_TristramClear = [[0, 0x01], [0, 0x01]]; // [스토니 필드, 트리스트럼]
 //NTConfig_Script.push(["MyUndergroundPassage.ntj"]); // 액트 1: 스토니 필드로 이동 -> 지하통로 1, 2층으로 이동 -> 상자 열기/전체 사냥
 MyConfig_UndergroundPassageClear = [[0, 0x01], [1, 0x01], [2, 0x01]]; // [스토니 필드, 지하통로 1층, 지하통로 2층]
 //NTConfig_Script.push(["MyTreeheadWoodfist.ntj"]); // 액트 1: 다크 우드로 이동 -> 트리헤드 우드피스트 사냥
 MyConfig_TreeheadWoodfistClear = [0, 0x01]; // [다크 우드]
 //NTConfig_Script.push(["MyPit.ntj"]); // 액트 1: 블랙 마쉬로 이동 -> 타모에 고지로 이동 -> 피트 1, 2층으로 이동 -> 전체 사냥/상자 열기
 MyConfig_PitClear = [[0, 0x01], [0, 0x01], [1, 0x01], [2, 0x01]]; // [블랙 마쉬, 타모에 고지, 피트 1층, 피트 2층]
 //NTConfig_Script.push(["MySmith.ntj"]); // 액트 1: 수도원 외곽으로 이동 -> 병영으로 이동 -> 스미스 사냥
 MyConfig_SmithClear = [[0, 0x01], [0, 0x01]]; // [수도원 외곽, 병영]
 //NTConfig_Script.push(["MyCountess.ntj"]); // 액트 1: 블랙 마쉬로 이동 -> 포카튼 타워로 이동 -> 타워 지하 1, 2, 3, 4, 5층으로 이동 -> 카운테스 사냥
 MyConfig_CountessClear = [[0, 0x01], [0, 0x01], [0, 0x01], [0, 0x01], [0, 0x01], [0, 0x01]]; // [블랙 마쉬, 타워 지하 1층, 타워 지하 2층, 타워 지하 3층, 타워 지하 4층, 타워 지하 5층]
 //NTConfig_Script.push(["MyPitspawnFouldog.ntj"]); // 액트 1: 감옥 1, 2층으로 이동 -> 핏스톤 파울도그 사냥 * 참고: 이동 오류가 잦은 사냥터입니다.
 MyConfig_PitspawnFouldogClear = [[0, 0x01], [0, 0x01]]; // [감옥 1층, 감옥 2층]
 //NTConfig_Script.push(["MyBoneAsh.ntj"]); // 액트 1: 수도원 안쪽으로 이동 -> 시체 뒤지기 -> 대성당으로 이동 -> 본 애쉬 사냥
 MyConfig_BoneAshClear = [0, 0x01]; // [대성당]
 //NTConfig_Script.push(["MyAndariel.ntj"]); // 액트 1: 카타콤 2, 3, 4층으로 이동 -> 안다리엘 사냥
 MyConfig_AndarielJjolBot = 0; // 만능 쫄봇 = 0: 사용 안 함/ 1: 쫄봇(멈춤)/ 2: 쫄봇(움직임)
 MyConfig_AndarielAntidotePotion = 0; // 사 먹을 해독포션 개수
 MyConfig_AndarielClear = [[0, 0x01], [0, 0x01], [0, 0x01]]; // [카타콤 2층, 카타콤 3층, 카타콤 4층]
 MyConfig_AndarielKill = 0; // 안다리엘 잡기 = 0: 왼쪽 벽/ 1: 머리 찍기/ 2: 거리 유지하기/ 3: 입구 근처 상자 쌓여 있는 곳 * 참고: 'MyConfig_AndarielJjolBot = 0'이 아니면 3으로 자동 설정됩니다.
 //--------------------------------------------------------------------------
 // 액트 2
 //--------------------------------------------------------------------------
 //NTConfig_Script.push(["MyRadament.ntj"]); // 액트 2: 하수구 2, 3층으로 이동 -> 라다먼트 사냥/상자 열기
 MyConfig_RadamentClear = [[0, 0x01], [0, 0x01]]; // [하수구 2층, 하수구 3층]
 //NTConfig_Script.push(["MyStonyTomb.ntj"]); // 액트 2: 메마른 언덕으로 이동 -> 로키 황무지로 이동 -> 스토니 툼 1, 2층으로 이동 -> 크리핑 피쳐 사냥/몬스터 사냥/상자 열기
 MyConfig_StonyTombClear = [[0, 0x01], [0, 0x01], [0, 0x01], [0, 0x01]]; // [메마른 언덕, 로키 황무지, 스토니 툼 1층, 스토니 툼 2층]
 //NTConfig_Script.push(["MyHalls.ntj"]); // 액트 2: 죽음의 홀 2, 3층으로 이동 -> 미치광이 블러드윗치 사냥/상자 열기
 MyConfig_HallsClear = [[0, 0x01], [0, 0x01]]; // [죽음의 홀 2층, 죽음의 홀 3층]
 //NTConfig_Script.push(["MyBeetleburst.ntj"]); // 액트 2: 파 오아시스로 이동 -> 비틀버스트 사냥
 MyConfig_BeetleburstClear = [0, 0x01]; // [파 오아시스]
 //NTConfig_Script.push(["MyColdworm.ntj"]); // 액트 2: 파 오아시스로 이동 -> 마고트 동굴 1, 2, 3층으로 이동 -> 콜드웜 버로워 사냥/상자 열기
 MyConfig_ColdwormClear = [[0, 0x01], [0, 0x01], [0, 0x01], [0, 0x01]]; // [파 오아시스, 마고트 동굴 1층, 마고트 동굴 2층, 마고트 동굴 3층]
 //NTConfig_Script.push(["MyDarkElder.ntj"]); // 액트 2: 잊혀진 도시로 이동 -> 사악한 장로 사냥
 MyConfig_DarkElderClear = [0, 0x01]; // [잊혀진 도시]
 MyConfig_DarkElderAncientTunnels = false; // MyAncientTunnels.ntj 실행하기 * 주의: 실행할 경우 NTConfig_Script.push("MyAncientTunnels.ntj")는 주석처리합니다.
 //NTConfig_Script.push(["MyAncientTunnels.ntj"]); // 액트 2: 잊혀진 도시로 이동 -> 고대 하수도로 이동 -> 상자 열기
 MyConfig_AncientTunnelsClear = [[0, 0x01], [2, 0x01]]; // [잊혀진 도시, 고대 하수도]
 //NTConfig_Script.push(["MyFangskin.ntj"]); // 액트 2: 잊혀진 도시로 이동 -> 스네이크 벨리로 이동 -> 클러 바이퍼 사원 1, 2층으로 이동 -> 팽스킨 사냥
 MyConfig_FangskinClear = [[0, 0x01], [0, 0x01], [0, 0x01]]; // [잊혀진 도시, 클러 바이퍼 사원 1층, 클러 바이퍼 사원 2층]
 //NTConfig_Script.push(["MySummoner.ntj"]); // 액트 2: 아케인 생츄어리로 이동 -> (궁전 지하 3층으로 이동 -> 파이어 아이 사냥 -> 아케인 생츄어리로 이동 ->) 소환술사 사냥 (-> 마기의 캐니언으로 이동 -> (상자 열기 ->) 듀리얼 사냥)
 MyConfig_SummonerFireEye = false; // 파이어 아이 잡기
 MyConfig_SummonerClear = [0, 0x01]; // [아케인 생츄어리]
 MyConfig_SummonerKill = 0; // 소환술사 잡기 = 0: 호라즌의 일지/ 1: 머리 찍기/ 2: 안전한 자리에서 잡기 * 참고: 근접 공격 캐릭터는 머리 찍기로만 공격합니다.
 MyConfig_SummonerDuriel = false; // MyDuriel.ntj 실행하기 * 주의: 실행할 경우 NTConfig_Script.push("MyDuriel.ntj")는 주석처리합니다.
 //NTConfig_Script.push(["MyDuriel.ntj"]); // 액트 2: 마기의 캐니언으로 이동 -> (상자 열기 ->) 듀리얼 사냥
 MyConfig_DurielJjolBot = 0; // 만능 쫄봇 = 0: 사용 안 함/ 1: 쫄봇(멈춤)/ 2: 쫄봇(움직임)
 MyConfig_DurielChest = 0; // 황금상자 열기 = 0: 사용 안 함/ 1: 열기/ 2: 주변 몬스터 정리 후 열기
 MyConfig_DurielClear = [[0, 0x01], [0, 0x01]]; // [마기의 캐니언, 탈 라샤 무덤]
 MyConfig_DurielKill = 0; // 듀리얼 잡기 = 0: 맞짱/ 1: 거리 유지하기/ 2: 티리얼 있는 곳으로 유인하기 * 참고: 'MyConfig_DurielJjolBot = 0'이 아니면 0으로 자동 설정됩니다.
 //--------------------------------------------------------------------------
 // 액트 3
 //--------------------------------------------------------------------------
 //NTConfig_Script.push(["MySszarkTheBurning.ntj"]); // 액트 3: 스파이더 포레스트로 이동 -> 스파이더 동굴로 이동 -> 불타는 스자크 사냥/상자 열기
 MyConfig_SszarkTheBurningClear = [[0, 0x01], [0, 0x01]]; // [스파이더 포레스트, 스파이더 동굴]
 //NTConfig_Script.push(["MyFlayerDungeon.ntj"]); // 액트 3: 프레이어 정글로 이동 -> 프레이어 던전 1, 2, 3층으로 이동 -> 마법사 엔두구 사냥/상자 열기
 MyConfig_FlayerDungeonClear = [[0, 0x01], [0, 0x01], [0, 0x01], [0, 0x01]]; // [프레이어 정글, 프레이어 던전 1층, 프레이어 던전 2층, 프레이어 던전 3층]
 //NTConfig_Script.push(["MyStormtree.ntj"]); // 액트 3: 남부 쿠라스트로 이동 -> 프레이어 정글로 이동 -> 스톰트리 사냥
 MyConfig_StormtreeClear = [0, 0x01]; // [남부 쿠라스트]
 //NTConfig_Script.push(["MyAct3Sewers.ntj"]); // 액트 3: 쿠라스트 바자로 이동 -> (폐허의 사원으로 이동 -> 전체 사냥 -> 버려진 신전으로 이동 -> 전체 사냥) -> 하수구 1층으로 이동 -> 아이스호크 리프트윙 사냥 -> 하수구 2층으로 이동 -> 상자 열기
 MyConfig_Act3SewersRuinedTemple = false; // 폐허의 사원 전체 사냥하기
 MyConfig_Act3SewersDisusedFane = false; // 버려진 신전 전체 사냥하기
 MyConfig_Act3SewersClear = [[0, 0x01], [0, 0x01]]; // [쿠라스트 바자, 하수구 1층]
 //NTConfig_Script.push(["MyKurastTravel.ntj"]); // 액트 3: 북부 쿠라스트로 이동 -> 잊혀진 유적으로 이동 -> 전체 사냥 -> 잊혀진 사원으로 이동 -> 전체 사냥 -> 쿠라스트 커즈웨이로 이동 -> 폐허의 신전으로 이동 -> 전체 사냥 -> 버려진 유적으로 이동 -> 전체 사냥
 MyConfig_KurastTravelClear = [[0, 0x01], [0, 0x01]]; // [북부 쿠라스트, 쿠라스트 커즈웨이]
 MyConfig_KurastTravelTravincal = false; // MyTravincal.ntj 실행하기 * 주의: 실행할 경우 NTConfig_Script.push("MyTravincal.ntj")는 주석처리합니다.
 //NTConfig_Script.push(["MyTravincal.ntj"]); // 액트 3: 트라빈컬로 이동 -> 카운슬 멤버 사냥
 MyConfig_TravincalClear = [0, 0x01]; // [트라빈컬]
 MyConfig_TravincalMephisto = false; // MyMephisto.ntj 실행하기 * 주의: 실행할 경우 NTConfig_Script.push("MyMephisto.ntj")는 주석처리합니다.
 //NTConfig_Script.push(["MyMephisto.ntj"]); // 액트 3: 증오의 사원 2, 3층으로 이동 -> 메피스토 사냥/상자 열기
 MyConfig_MephistoJjolBot = 0; // 만능 쫄봇 = 0: 사용 안 함/ 1: 쫄봇(멈춤)/ 2: 쫄봇(움직임)
 MyConfig_MephistoClear = [[0, 0x01], [0, 0x01], [0, 0x01]]; // [증오의 사원 1층, 증오의 사원 2층, 증오의 사원 3층] * 참고: 증오의 사원 1층은 'MyConfig_TravincalMephisto = false'로 설정하면 전체 사냥만 적용되고 'MyConfig_TravincalMephisto = true'는 길목 사냥과 전체 사냥 모두 적용됩니다. 오리지널에서는 증오의 사원 3층을 전체 사냥으로 설정하면 카운슬 멤버를 잡습니다.
 MyConfig_MephistoKill = 0; // 메피스토 잡기 = 0: 맞짱/ 1: 강 쪽으로 유인하기 * 참고: 'MyConfig_MephistoJjolBot = 0'이 아니면 0으로 자동 설정됩니다.
 //--------------------------------------------------------------------------
 // 액트 4
 //--------------------------------------------------------------------------
 //NTConfig_Script.push(["MyIzual.ntj"]); // 액트 4: 지옥 망령의 도시로 이동 -> 절망의 평원으로 이동 -> 이주얼 사냥
 MyConfig_IzualClear = [[0, 0x01], [0, 0x01]]; // [지옥 망령의 도시, 절망의 평원]
 //NTConfig_Script.push(["MyHephasto.ntj"]); // 액트 4: 불길의 강으로 이동 -> 대장장이 헤파스토 사냥
 MyConfig_HephastoClear = [0, 0x01]; // [불길의 강]
 //NTConfig_Script.push(["MyDiaBot.ntj"]); // 액트 4: 불길의 강으로 이동 -> 카오스 생츄어리로 이동 -> 씨일 열고 소환 몬스터 사냥 -> 디아블로 사냥
 MyConfig_DiaBotDiaJjolBot = [0, ""]; // 디아봇용 쫄봇 = [0: 사용 안 함/ 1: 기사/ 2: 부기사/ 3: 쫄, "기사 캐릭터이름"] * 기사 캐릭터이름: 부기사와 쫄일 때만 설정하며, 설정하지 않으면 기사 캐릭터이름은 'scripts/NTBot/MyConfigs/JjolBot.ntl'에 설정한 기사의 캐릭터이름이 적용됩니다. * 주의: 디아봇용 쫄봇과 만능 쫄봇을 같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 참고: 기사는 'NTConfig_PublicMode = true', 부기사와 쫄은 'NTConfig_PublicMode = false'로 자동 설정됩니다.
 MyConfig_DiaBotJjolBot = 0; // 만능 쫄봇 = 0: 사용 안 함/ 1: 쫄봇(멈춤)/ 2: 쫄봇(움직임) * 주의: 만능 쫄봇은 디아봇용 쫄봇, MyConfig_DiaBotPortalOpen, MyConfig_DiaBotPortalUse 등과 같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MyConfig_DiaBotHelp = 0; // 채팅으로 'ㄷ', 'h', 'H'를 외치면 해당 플레이어의 주위에 있는 몬스터를 잡아 주기 = 잡아 줄 횟수
 MyConfig_DiaBotPotion = [0, 0]; // 사 먹을 포션 개수 = [해독포션, 해빙포션]
 MyConfig_DiaBotClear = [[0, 0x01], [0, 0x01], [1, 0x01]]; // [웨이포인트부터 입구까지, 입구부터 중앙까지, 중앙부터 디아블로 소환 전까지]
 MyConfig_DiaBotPortalOpen = [false, 0, 120, true]; // 카오스 생츄어리에 타운포탈 열기 = [사용 여부, 0: 사용 안 함/ 1: 어다/그로테스크/머어 피엔드/대장장이 헤파스토가 있으면 타운포탈 열기(길목)/ 2: 같이 잡기(길목)/ 3: 타운포탈 열기(전체)/ 4: 같이 잡기(전체), 카오스 생츄어리에 파티원이 있는지 확인할 최대 시간(초), 카오스 생츄어리에서 사냥하기] * 주의: 만능 쫄봇과 같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MyConfig_DiaBotPortalUse = [0, true]; // 카오스 생츄어리에 열린 타운포탈 이용하기 = [타운포탈이 열렸는지 확인할 최대 시간(초), 어다/그로테스크/머어 피엔드/대장장이 헤파스토 잡기] * 주의: 디아봇용 쫄봇의 부기사와 쫄 및 만능 쫄봇과는 같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 참고: 타운포탈을 이용하는데 실패하면 웨이포인트를 통해 카오스 생츄어리로 이동합니다.
 MyConfig_DiaBotPortalPosition = 0; // 타운포탈 열 위치 = 0: 입구/ 1: 중앙 * 참고: 공방이거나 디아봇용 쫄봇, 만능 쫄봇, MyConfig_DiaBotPortalOpen 등을 사용할 때 적용됩니다.
 MyConfig_DiaBotPortalCenter = false; // 중앙 근처에 타운포탈 열기 * 참고: 공방에서 중앙 근처에 타운포탈을 열지 않았을 때만 적용됩니다.
 MyConfig_DiaBotKill = 0; // 디아블로 잡기 = 0: 잡기/ 1: 대기/ 2: 포기
 MyConfig_DiaBotInventory = 0; // 디아블로 잡기 전 인벤토리에 있는 아이템 정리하기 = 0: 사용 안 함/ 1: 마지막 씨일 연 후 아이템 정리하기/ 2: 아이템 정리 후 마지막 씨일 열기
 MyConfig_DiaBotParty = false; // 디아블로 잡기 전 주위에 파티원 8명이 있으면 탈퇴하라는 메시지 보내기
 MyConfig_DiaBotMessage[0] = ["도움이 필요할 땐 'ㄷ', 'h', 'H' 등을 외칩니다!"]; // ["보낼 메시지" . . .]
 MyConfig_DiaBotMessage[1] = ["타운포탈, 위험합니다!"]; // ["보낼 메시지" . . .]
 MyConfig_DiaBotMessage[2] = ["타운포탈, 안전합니다!"]; // ["보낼 메시지" . . .]
 MyConfig_DiaBotMessage[3] = ["디아블로를 잡습니다!"]; // ["보낼 메시지" . . .]
 MyConfig_DiaBotMessage[4] = ["다음 방으로 갑니다!"]; // ["보낼 메시지" . . .]
 //--------------------------------------------------------------------------
 // 액트 5
 //--------------------------------------------------------------------------
 //NTConfig_Script.push(["MyEldritch.ntj"]); // 액트 5: 프리지드 하이랜드로 이동 -> 엘드리치 더 랙터파이어 사냥 (-> 블러디 풋힐로 이동 -> 쉔크 더 오버시어 사냥/덱 패른 사냥)
 MyConfig_EldritchClear = [[0, 0x01], [0, 0x01]]; // [프리지드 하이랜드, 블러디 풋힐]
 MyConfig_EldritchKill = 0; // 엘드리치 더 랙터파이어 잡기 = 0: 잡기/ 1: 주변 몬스터 정리 후 잡기/ 2: 머리 찍기
 MyConfig_EldritchSharptooth = false; // 샤프투쓰 슬레이어 잡기
 MyConfig_EldritchChest = false; // 상자 열기
 MyConfig_EldritchShenk = 2; // 쉔크 더 오버시어 잡기 = 0: 잡지 않음/ 1: 주변 몬스터 정리 후 잡기/ 2: 머리 찍기
 MyConfig_EldritchDacFarren = false; // 덱 패른 잡기
 MyConfig_EldritchAbaddon = false; // MyAbaddon.ntj 실행하기 * 주의: 실행할 경우 NTConfig_Script.push("MyAbaddon.ntj")는 주석처리합니다.
 //NTConfig_Script.push(["MyAbaddon.ntj"]); // 액트 5: 프리지드 하이랜드로 이동 -> 어배던으로 이동 -> 상자 열기
 MyConfig_AbaddonClear = [[0, 0x01], [0, 0x01]]; // [프리지드 하이랜드, 어배던]
 //NTConfig_Script.push(["MyThreshSocket.ntj"]); // 액트 5: 아리앗 고원으로 이동 -> 쓰레쉬 소켓 사냥 (-> 피트 오브 아케런으로 이동 -> 상자 열기)
 MyConfig_ThreshSocketClear = [0, 0x01]; // [아리앗 고원]
 MyConfig_ThreshSocketPitOfAcheron = false; // MyPitOfAcheron.ntj 실행하기 * 주의: 실행할 경우 NTConfig_Script.push("MyPitOfAcheron.ntj")는 주석처리합니다.
 //NTConfig_Script.push(["MyPitOfAcheron.ntj"]); // 액트 5: 아리앗 고원으로 이동 -> 피트 오브 아케런으로 이동 -> 상자 열기
 MyConfig_PitOfAcheronClear = [[0, 0x01], [0, 0x01]]; // [아리앗 고원, 피트 오브 아케런]
 //NTConfig_Script.push(["MyPindleskin.ntj"]); // 액트 5: 니라트하크의 사원 포탈로 이동 -> 핀들스킨 사냥 (-> 홀스 오브 앵귀쉬로 이동 -> 홀스 오브 페인으로 이동 -> 홀스 오브 보우트로 이동 -> 니라트하크 사냥)
 MyConfig_PindleskinNihlathak = 0; // 니라트하크 잡기 = 0: 잡지 않음/ 1: 멀리서/ 2: 머리 찍기
 MyConfig_PindleskinTombViper = false; // 툼 바이퍼 있으면 니라트하크 잡지 않기
 MyConfig_PindleskinClear = [[0, 0x01], [0, 0x01], [0, 0x01]]; // [홀스 오브 앵귀쉬, 홀스 오브 페인, 홀스 오브 보우트] * 참고: 'MyConfig_PindleskinNihlathak = 1 또는 2'로 설정했을 때만 작동합니다.
 //NTConfig_Script.push(["MyNihlathak.ntj"]); // 액트 5: 홀스 오브 페인으로 이동 -> 홀스 오브 보우트로 이동 -> 니라트하크 사냥 (-> 홀스 오브 페인으로 이동 -> 홀스 오브 앵귀쉬로 이동 -> 니라트하크의 사원으로 이동 -> 핀들스킨 사냥)
 MyConfig_NihlathakKill = false; // 니라트하크 머리 찍기
 MyConfig_NihlathakTombViper = false; // 툼 바이퍼 있으면 니라트하크 잡지 않기
 MyConfig_NihlathakPindleskin = false; // 핀들스킨 잡기
 MyConfig_NihlathakClear = [[0, 0x01], [0, 0x01], [0, 0x01]]; // [홀스 오브 페인, 홀스 오브 보우트, 홀스 오브 앵귀쉬] * 참고: 홀스 오브 앵귀쉬는 'MyConfig_NihlathakPindleskin = true'로 설정했을 때만 작동합니다.
 //NTConfig_Script.push(["MyFrozenRiver.ntj"]); // 액트 5: 크리스탈라인으로 이동 -> 프로즌 리버로 이동 -> 프로즌스타인 사냥
 MyConfig_FrozenRiverClear = [[0, 0x01], [0, 0x01]]; // [크리스탈라인, 프로즌 리버]
 //NTConfig_Script.push(["MyGlacialTrail.ntj"]); // 액트 5: 글레이셜 트레일로 이동 -> 본소우 브리커 사냥/상자 열기 -> 드리프터 동굴로 이동 -> 상자 열기
 MyConfig_GlacialTrailClear = [[0, 0x01], [0, 0x01]]; // [글레이셜 트레일, 드리프터 동굴]
 //NTConfig_Script.push(["MyIcyCellar.ntj"]); // 액트 5: 고대인의 길로 이동 -> 아이시 셀라로 이동 -> 스넵치프 쉐터 사냥/상자 열기
 MyConfig_IcyCellarClear = [[0, 0x01], [0, 0x01]]; // [고대인의 길, 아이시 셀라]
 //NTConfig_Script.push(["MyBaalBot.ntj"]); // 액트 5: 월드스톤 성채 2, 3층으로 이동 -> 쓰론 오브 디스트럭션으로 이동 -> 바알 소환 몬스터 사냥 (-> 월드스톤 체임버로 이동 -> 바알 사냥)
 MyConfig_BaalBotBaalJjolBot = [0, ""]; // 바알봇용 쫄봇 = [0: 사용 안 함/ 1: 기사/ 2: 부기사/ 3: 쫄, "기사 캐릭터이름"] * 기사 캐릭터이름: 부기사와 쫄만 설정 가능하며, 설정하지 않으면 기사 캐릭터이름은 'scripts/NTBot/MyConfigs/JjolBot.ntl'에 설정한 기사의 캐릭터이름이 적용됩니다. * 주의: 바알봇용 쫄봇과 만능 쫄봇을 같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 참고: 기사는 'NTConfig_PublicMode = true', 부기사와 쫄은 'NTConfig_PublicMode = false'로 자동 설정됩니다.
 MyConfig_BaalBotJjolBot = 0; // 만능 쫄봇 = 0: 사용 안 함/ 1: 쫄봇(멈춤)/ 2: 쫄봇(움직임) * 주의: 만능 쫄봇과 바알봇용 쫄봇을 같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MyConfig_BaalBotClear = [[0, 0x01], [0, 0x01], [0, 0x01], [0, 0x01]]; // [월드스톤 성채 1층, 월드스톤 성채 2층, 월드스톤 성채 3층, 쓰론 오브 디스트럭션] * 참고: 월드스톤 성채 1층은 전체 사냥만 적용됩니다.
 MyConfig_BaalBotCheckMonster = [false, false, false, false, 691]; // 몬스터를 발견하면 사냥 중지하기 = [월드스톤 성채 1층, 월드스톤 성채 2층, 월드스톤 성채 3층, 쓰론 오브 디스트럭션, 몬스터 ClassID . . .]
 MyConfig_BaalBotPortalFirst = false; // 쓰론 오브 디스트럭션에 도착하면 타운포탈부터 열기
 MyConfig_BaalBotPortalXy[0] = [15116, 5068]; // 타운포탈 "타운포탈, 위험합니다!" 열 좌표 = [X, Y]
 MyConfig_BaalBotPortalXy[1] = [15116, 5068]; // 타운포탈 "타운포탈, 안전합니다!" 열 좌표 = [X, Y]
 MyConfig_BaalBotWaitingXy[0] = [15092, 5040]; // 바알이 몬스터를 소환할 때 쫄봇(움직임)이 대기할 좌표 = [X, Y]
 MyConfig_BaalBotWaitingXy[1] = [15092, 5028]; // 바알이 몬스터를 소환할 때 대기할 좌표 = [X, Y]
 MyConfig_BaalBotKill = true; // 바알 잡기
 MyConfig_BaalBotInventory = false; // 바알 잡기 전 인벤토리에 있는 아이템 정리하기
 MyConfig_BaalBotMessage[0] = ["타운포탈, 위험합니다!"]; // ["보낼 메시지" . . .]
 MyConfig_BaalBotMessage[1] = ["타운포탈, 안전합니다!"]; // ["보낼 메시지" . . .]
 MyConfig_BaalBotMessage[2] = ["바알을 잡습니다!"]; // ["보낼 메시지" . . .]
 MyConfig_BaalBotMessage[3] = ["다음 방으로 갑니다!"]; // ["보낼 메시지" . . .]
 //--------------------------------------------------------------------------
 // 카우봇
 //--------------------------------------------------------------------------
 //NTConfig_Script.push(["MyCowBot.ntj", "시작_엔티스크립트/MyConfig_OpenChest[0] = true"]);
 MyConfig_CowBotClear = [[0, 0x01], [0, 0x01]]; // [스토니 필드, 트리스트럼]
 MyConfig_CowBotGriswold = false; // 그리스월드 잡기
 MyConfig_CowBotChicken = 127; // 헬에서 카우킹의 피가 설정치 이하면 치킨하기 * 참고: 카우킹의 피 최대치는 128입니다.
 MyConfig_CowBotPortalXy = 0; // 시크리트 카우 레벨 포탈 열 위치 = 0: 큐브가 있는 곳/ 1: 3시 구석/ 2: 6시 구석/ 3: 9시 구석/ 4: 12시 구석/ 5: 무작위(1~4)
 MyConfig_CowBotPortalOpen = false; // 사냥하지 않고 시크리트 카우 레벨 포탈만 열기


 //##########################################################################
 // 시간 설정하기
 //==========================================================================
 MyConfig_MaxGameTime = 2400; // 최대 게임 시간(초, 0: 무한정)
 NTConfig_StartDelay = 12000; // 방 입장 후 지연 시간(1/1000초)
 MyConfig_WaypointDelay = 40; // 웨이포인트 이동 시도 시간(1/5초)
 NTConfig_AreaDelay = 1000; // 지역 이동 후 지연 시간(1/1000초)
 MyConfig_MaxHpMpDelay = 150; // 라이프 및 마나의 최대치가 바뀔 때의 지연 시간(1/1000초) * 참고: 오크 세이지로 인한 치킨 오류를 방지합니다.
 MyConfig_TimeManager = [0, 0]; // 시간 관리자 = [만들 방 수, 가동 시간(분)] * 예) [20, 100] = 봇이 20방을 돈 시간이 100분 보다 적으면 21번 방에서 샵봇으로 100분을 채운 후 사냥을 시작합니다.


 //##########################################################################
 // 엔피씨, 포션, 치킨 설정하기
 //==========================================================================
 NTConfig_SkipHealLife = 90; // 마을에 있을 때 라이프가 설정치 미만이면 엔피씨 만나 라이프 채우기 = 백분율
 NTConfig_SkipHealMana = 70; // 마을에 있을 때 마나가 설정치 미만이면 엔피씨 만나 마나 채우기 = 백분율

 NTConfig_LifeThresh = 70; // 라이프가 설정치 미만이면 힐링포션 먹기 = 백분율
 NTConfig_LifeRejuvThresh = 50; // 라이프가 설정치 미만이면 활력포션 먹기 = 백분율
 NTConfig_ManaThresh = 30; // 마나가 설정치 미만이면 마나포션 먹기 = 백분율
 NTConfig_ManaRejuvThresh = 0; // 마나가 설정치 미만이면 활력포션 먹기 = 백분율
 NTConfig_LifeChicken = 30; // 라이프가 설정치 미만이면 치킨하기 = 백분율
 NTConfig_ManaChicken = 0; // 마나가 설정치 미만이면 치킨하기 = 백분율

 NTConfig_MercLifeThresh = 50; // 용병의 라이프가 설정치 미만이면 힐링포션 먹기 = 백분율
 NTConfig_MercRejuvThresh = 30; // 용병의 라이프가 설정치 미만이면 활력포션 먹기 = 백분율
 NTConfig_MercChicken = 0; // 용병의 라이프가 설정치 미만이면 치킨하기 = 백분율

 MyConfig_LifeChickenTown = 0; // 라이프가 설정치 미만이면 마을로 치킨하기 = 백분율
 MyConfig_ManaChickenTown = 0; // 마나가 설정치 미만이면 마을로 치킨하기 = 백분율


 //##########################################################################
 // 인벤토리 설정하기
 //-------------------
 // NTConfig_Columns[X] = [아이템을 인벤토리에 보관할지 여부 . .]
 // 아이템을 인벤토리에 보관할지 여부: 0 = 다른 곳에 사용하지 않고 항상 인벤토리에 보관하기, 1 = 바닦에 버리기/상점에 팔기/스태쉬나 큐브로 옮기기
 //==========================================================================
 NTConfig_Columns[0] = [1,1,1,1,1,1,1,1,1,0];
 NTConfig_Columns[1] = [1,1,1,1,1,1,1,1,1,0];
 NTConfig_Columns[2] = [1,1,1,1,1,1,1,1,1,0];
 NTConfig_Columns[3] = [1,1,1,1,1,1,1,1,0,0];

 NTConfig_MinGoldToStash = 300000; // 인벤토리에 있는 골드를 스태쉬에 보관하기 = 보관하러 갈 최소 골드


 //##########################################################################
 // 벨트 설정하기
 //---------------
 // NTConfig_BeltColType = ["벨트 1번째에 넣고 사용할 아이템", "2번째", "3번째", "4번째"]
 // "벨트 X번째에 넣고 사용할 아이템": "hp" = 힐링포션, "mp" = 마나포션, "rv" = 활력포션, "tsc" = 타운포탈 스크롤
 //==========================================================================
 NTConfig_BeltColType = ["hp", "mp", "mp", "rv"];

 MyConfig_RefillScroll = false; // 타운포탈 스크롤 주워 벨트에 채우기

  • AmSalx삼스x 2011.04.11 20:38
    간절합니다. 정말 오랜시간 다른분들께 수소문 하고 듣고 보고 했지만.. 해결책을 못찾았네요.. 그래도 이젠 다함께 방을 들어가지만.. 그 더이상은 어떻게 해야하는지 모르겠네요..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항상 건강하시구요~!!
  • 제이 2011.04.12 01:12
    올려주신 자료를 읽어보니, 정강란에 올려드린 17차와 자료실의 18차가 혼합되어 있습니다. 자료실의 18차수정 자료는 기본적인 설정은 되어 있으므로 자료실 18차 단이로 테스트 해 보시길 바랍니다. 감사 합니다..^^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게시판 푸시 알림 / 통합 앱 서비스 32 file 트디개발자 2023.09.20 865.3k
공지 안내 D2NT 처음 이용하는 분은 튜토리얼을 참고바랍니다. 135 우녕자 2014.12.21 50.7k
6171 질문 날아다녀님 19차버전 봇 로딩 에러 문제 입니다. 3 file 달빛아래홀로 2011.04.11 1.2k
6170 질문 아탬 이니만 설정하면 에러가뜹니다..(스샷첨부) 7 file 텀터수다꾼[A1L] 2011.04.11 296
6169 질문 19차 쫄봇이 방만든후 가만히 서있네요. 7 흘러가다 2011.04.11 1.7k
6168 질문 18차 만능 쫄봇 쫄 명단 실패가 너무 자주 있습니다. 5 chuls 2011.04.11 1.8k
6167 일반 봇을 돌리는데 적대적 플레이어가... 2 JinMei 2011.04.11 1.2k
6166 질문 18차 제이님 오리디아런 2팀돌리는 방법점 부탁드립니다 2 마각 2011.04.11 315
6165 질문 날아다녀님 18차 만능쫄 /빠른사냥/완전한 퀘드랍 지연시간 질문입니다. 3 땅끝사나이 2011.04.11 828
6164 질문 원본5군데파일은 어느자료에서 얻을수있나요 1 SeDa_시나브로 2011.04.11 2.1k
6163 질문 10방마다 시디키 바꾸게 하려면 3 Go_West 2011.04.11 742
> 질문 날아다녀님 18차 오리 디아런오류 질문드려요 2 AmSalx삼스x 2011.04.11 1.4k
6161 질문 18차 날아다녀님 봇을 쓰고 있습니다. 불길의 강포탈 질문입니다. 1 SENSIBLE 2011.04.11 1.4k
6160 질문 도대체..이걸 어떻게 풀어나가야 할지.. 12 file 텀터수다꾼[A1L] 2011.04.11 1.2k
6159 질문 안녕하세요 아이템이니질문입니다 2 초짜디압 2011.04.12 299
6158 질문 19차 리스타트에 관한 질문입니다... 2 둘리메니아 2011.04.12 348
6157 질문 탈셋소서 치킨이 너무자주 일어납니다. 4 밍럽 2011.04.12 1.3k
6156 질문 19차 만능쫄봇 저렙 쫄 질문 좀 드릴꼐요 2 원이아빠 2011.04.12 1.7k
6155 질문 배넷따이후 8봇이 안됩니다 2 토토니7 2011.04.12 1.8k
6154 질문 19차 함성봇 함성바바가 못들어올 경우 질문입니다. 2 사이보그[009] 2011.04.12 1.4k
6153 질문 19차 쫄봇 설정 질문드립니다. [해결] 5 프라다악마 2011.04.12 1.7k
6152 질문 소서가 카오스 중앙에 포탈 열라면 어떻게 해야죠! 1 CoDeNaMe™ 2011.04.13 1.6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