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팁 게시판

XP 어벤저 4.0 '텔포없는 캐릭봇 조금이라도 앵벌 해보자' 팁입니다.

분류 봇관련 조회 수 2,277 추천 수 2

 이 내용이 정보란에 올리는게 맞는건지 모르겟습니다만...
 걸어서도 봇 돌려봐야죠.. 봇 게시판에 문의하시는 분들이 많아서 올려드립니다.

 걸어다니는 케릭으로 봇 돌리시려면 갈만한데가 몇군데 없습니다.
 전부는 나열 못하겟고.... 일단 갈 수 없는곳과 걸어서 하는 팁 몇가지 말씀드리겟습니다.
 XP 어벤저 4.0기준입니다. 여기서 XP 어벤져 올려주신 '디아블로네'님께 감사를 드립니다. 덕분에 정말 잘 쓰고 있습니다.

 1 : 텔포로는 이동할 수 있으나 걸어서는 클릭해서 문등을 열어서 이동하는곳(예 : 탈무덤, 카타콤보, 감옥등등) 못갑니다. 이건 봇에 door handler란 플러그인을 만들어 넣으면 될듯하던데 지금은 소서로 봇 돌리고 있어서 깊이 안봤습니다.

 2 : 캐릭설정 파일에 XP_ClearPath 라는 스위치 변수가 있는데 이것은 반드시 true (길가다가 걸리는 몹들은 정리하면서 가야 합니다.) 걸어서 봇돌리시는 분들이 가장 많이 고생하는 부분입니다. 몹에 걸려서 길못찻겟다고 다음코스로 넘어갑니다. 일단 몹부터 정리하면 이부분 많이 해소가 됩니다.

 3 : 카운테스 있는 타워에 가다보면 좁은통로에 가끔 통이 딱 막고 있어서 발로 차고 가야합니다. 그런 경우 XP_OpenChests 를 true 로 해도 통을 발로 차서 지나가지 않고 그냥 못가겟다 하고 다음 코스로 넘어갑니다. 통을 발로 안차면 발로 차게 해줘야죠.
 libs/common/d2jsp-chests.d2l 파일을 열어서 70라인 정도에 가면 아래와 같을겁니다.
 // Check if it is a evil urn
 if (classid == 466 && DCH_OpenEvilUrns) { return 1; }
 
 // Otherwise, check if it is a form of chest
 // (baskets, chests of varied sizes, rocks, dead bodies, etc...)
 
 아마 비슷할것입니다. 이렇게 바꿉니다.
 // Check if it is a evil urn
 if (classid == 466 && DCH_OpenEvilUrns) { return 1; }
 if (classid == 11 ) { return 1; } // 통코드 추가 2006년 5월 deer
 if (classid == 7 ) { return 1; } // 통코드 추가 2006년 5월 deer
 
 // Otherwise, check if it is a form of chest

 통코드 11,7을 추가 했습니다. 별도로 통을 찰건지 말건지 확인 스위치를 두려면 캐릭터 설정파일에 XP_OpenBarrel = true 이란 스위치 변수를 만들고 필요시 true,false 하세요. 그리고 이경우 코드는 아래와 같습니다.
 // Check if it is a evil urn
 if (classid == 466 && DCH_OpenEvilUrns) { return 1; }
 if (classid == 11 && XP_OpenBarrel) { return 1; } // 통코드 추가 2006년 6월 ddeer
 if (classid == 7 && XP_OpenBarrel) { return 1; } // 통코드 추가 2006년 6월 ddeer

 // Otherwise, check if it is a form of chest

 4 : 메피는 앵벌 필수코스인데 거긴 현재 어벤저 4.0기준으로 반드시 텔포있는 캐릭만 갈 수 있게 스크립터가 짜여 있습니다. XP_ClearPath 를 true로 해줘도 2층은 청소 안하고 3층은 좌표가 텔포기준으로 잡혀있습니다. 따라서 걸어서는 절대로 못갑니다. 어찌어찌 3층까지 내려갔다해도 3층에서 조금가다가 서있습니다.
 걸어서 메피 다니게 하려면 bots\MephXP.d2j 파일을 걸어서 갈 수 있게 완전히 개조해야 합니다.

 5 : 카오스는 안돌려봤습니다. 거기도 '불길의강' 구조상... 힘들지 않을까 합니다만....

 하여간 위의 1,2,3 항만 적용해서 봇을 돌리면 1,4번 항에 걸리지 않는곳은 대부분 갈 수 있습니다.

 캐릭이 활마, 자벨마라면.. 화살,자벨등 소모품 소모하는거 감시하는 스크립터 만들어 넣어서 떨어지면 마을로 치킨하게 하는 것도 새로 만들어야 합니다.

 그리고 아마존(다른 것도 마찬가지일려나..) 이라면 무기 1번과 2번을 번갈아 가며 쓰는 스킬은 가급적 사용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봇이 무기 변환이 좀 원할 하지 않습니다.
 예를 들면 활로 쏘다가 물리이뮨등을 만나 자벨로 전환하면 자벨 기술 쓰고는 다시 꼭 활로 변환해야 하는 상황이 아니라면 그대로 자벨기술 씁니다. 활로 변환해야 하는 상황(라이팅 이뮨등)을 만나야 그때 변환함.

 걸어서 앵벌 좀해서 텔포 가능한 소서 새로 키우시던가 수수를 사 든가.. 하세요. 하하.
 전 이렇게 키웠습니다.

 대부분 공개된 봇 파일들은 텔포기준이므로 걸어서 가려면 쓰는분이 독자적으로 봇 튜닝을 많이 해 줘야 합니다. '걸어서는 안돼','실력이 없어 안돼!'라고 단정은 하지 맙시다. 사람이 만든 스크립트인데 노력만 하면 뭔짓이든 못하겟습니까.

(봇게시판에 걸어다니는 아마분이 올리신 글을 보고 처음에 댓글로 만들다보니 내용에 아마관련된것도 있네요.)
수정 약간 하엿습니다.
댓글11
  • 슬픈사슴 2006.05.27 20:07
    제가 직접 만들어서 쓰는 화살, 자벨 던지는 회수 떨어지면 마을로 치킨해서 다시 사는 파일입니다. 자료실에 올릴 수도 있으나.. 얼마전에 자료실 여기에 필요한 자료 하나 올렸는데.. 그게 아마도 필요없다고 생각하셨는지 등록이 안됩니다. 이거도 원래 자료실에 올려 드릴려고 했다가 자료실에 올리지 못했습니다. 반쪼가리 파일로는 자료의 의미가 없다고 생각했거든요. 그래서 이건 참고만 하시구요. 직접 사용하시려면 아래부분 긁어서 XP/Libs/ 폴더에 UE_ConsumableStack.d2l 라는 이름으로 넣구요. 그다음 인터넷에서 Sy_Constants.d2l 라는 파일을 찻아서 같은 폴더에 넣어두세요. ////////////////////////////////////////////////////////////////////// // deer Consumable stack event script // 소모품 이벤트 스크립터. // for D2JSP_1.1.4+XP.bot_Avenger.Ver4.0 // // The script will use any char. // // Updated on 2006/05/11 // // Original authors : deer // Collaboration : 고치고 싶은 사람은 고쳐 쓰세요. // // 이하 D2jsp 의 어나운서입니다. // Legal stuff : // 1. D2jsp is NOT free, to use it you MUST pay 25$ to njaguar ( see details at www.d2jsp.org ) and d2jsp software // must ONLY be used with a legit and paid for d2jsp.key which can only be obtained by paying. // 2. You may NOT redistribute this or any files which resides on the site www.d2jsp.org in any way what so ever //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making it available for download/upload to anyone without the expressed consent // ( in writing or otherwise ) of the authors of the files. All headers and text documents must remain and contents stay intact. // The usage of scripts, part of scripts and/or files are permitted as long as they are used for scripts // which is being hosted at www.d2jsp.org with credit of the authors which made the parts of the scripts or files used. // 3. MODIFICATIONS for redistribution can only be done by submitting to the core scripters team for approval. If you don't // want to submit the modifications you may not redistribute any files from the d2jsp core or scripts // 4. You may not modify or change the existing code other than for your own personal use. // 5. Any copies of this software must always be compatible with the current d2jsp-common libs // 6. The sale of this software is strictly forbidden // 7. Only a person which has paid for ( or otherwise proven that key was paid for) the d2jsp key // to njaguar ( mr Paul Taulborg) may use the scripts and/or files from www.d2jsp.org // // This program is distributed in the hope that it will be useful, but // WITHOUT ANY WARRANTY; without even the implied warranty of MERCHANTIBILITY // or FITNESS FOR A PARTICULAR PURPOSE. // ////////////////////////////////////////////////////////////////////// /* ** 주의 ** 이 스크립터를 사용함에 있어서 발생할 수 있는 어떠한 문제라도 제작자는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여기에 동의하시는 분만 아래를 true로 설정하고 사용하십시요. 2006년 5월 deer var UE_ChickenOnOutOfConsumable = true/false 화살등 소모품이 떨어질시 마을로 치킨하는 여부. var UE_ChickenConsumableStack = xx 마을로 최대량에서 xx% 이하로 떨어지면 마을로 치킨. */ var UE_ChickenOnOutOfConsumable = true; var UE_ChickenConsumableStack = 1; // 이값이 DT_AmmoPercent 값보다 크면 타운에서 리필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Private function section start // Event handler // 이 파일은 인터넷에서 찻아서 써야 합니다. print("Now loading UE_ConsumableStack.d2l"); if ( !isIncluded("XP/Libs/Sy_Constants.d2l") ) { include("XP/Libs/Sy_Constants.d2l"); } // 이 stat 이 무기에 쓰는건가?? // 현재, 활, 석궁, 자벨린만 설정되어 있다. function _UE_IS_WeaponComsumableStat(Item,stat) { if(Item == null || stat != c_UnitStat_Quantity) return false; if( Item.itemtype != c_ItemType_BowQuiver && Item.itemtype != c_ItemType_CrossbowQuiver && Item.itemtype != c_ItemType_Javelin && Item.itemtype != c_ItemType_AmazonJavelin) return false; return true; } //-------------------------------------------------------------------------------------------------- // 발생한 이벤트이 소유자 확인. function _UE_IS_Owner(pUnit,pOwner) { var uParent = null; if(arguments.length < 2 || pOwner == null) pOwner = me; uParent = pUnit.getParent(); if(uParent.gid == pOwner.gid) return true; return false; } //-------------------------------------------------------------------------------------------------- // 아이템의 최대 스택 개수 확인. if ( !isIncluded("baseStats/base_items.d2l") ) { // This is for D2JSP_BASE_ITEMS_MAXSTACK in DT_GetMaxStackSizeEx include("baseStats/base_items.d2l"); } // d2js-town.d2j 에 GetMaxStackSize 함수가 있으나 여기선 약간 확장됨. // 그렇다고 바로 끌어오기도 그렇고. // item의 최대 Stack 개수를 돌려준다. function _UE_GetMaxStackSizeEx(item) { if( item.itemtype == c_ItemType_BowQuiver ) return 350; if( item.itemtype == c_ItemType_CrossbowQuiver ) return 250; return getBaseStat(c_UnitBaseStat_items,item.classid,D2JSP_BASE_ITEMS_MAXSTACK); } //-------------------------------------------------------------------------------------------------- // Private function section end // Public section // 화살이나 소모품 소모 이벤트. function UE_itemStatEvent( gid, stat, value ) { var Item = getUnit(c_UnitType_Item,null,null,gid); var _maxstack = 0; var _percent = 0; // DT_AmmoPercent 의 값보다 UE_ChickenConsumalleStack 의 값이 크면 타운에서 리필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if(DT_AmmoPercent < UE_ChickenConsumableStack) { DC_Print("There is a problem with your UE_ChickenConsumableStack settings!"); DC_Print("Please check that you have at least UE_ChickenConsumableStack " + UE_ChickenConsumableStack+" DT_AmmoPercent " + DT_AmmoPercent + " to work with the current setting."); DC_Print("Current seting is doe't refill Consumable Stack in town!"); DC_Print("Also check that UE_ChickenConsumableStack <= DT_AmmoPercent"); DC_Print("Now automaticaly adjust for UE_ChickenConsumableStack equal to DT_AmmoPercent"); UE_ChickenConsumableStack = DT_AmmoPercent; } if(_UE_IS_WeaponComsumableStat(Item,stat) && _UE_IS_Owner(Item)) { _maxstack = _UE_GetMaxStackSizeEx(Item); _percent = Math.floor((value / _maxstack) * 100); if (_percent < UE_ChickenConsumableStack) { DC_Print("UE_itemStatEvent : Will chicken to town [ refill Consumables Stack ]"); scriptBroadcast( "SM_Town" ); } } } //-------------------------------------------------------------------------------------------------- // Test Life event var oldlife = 0; // static 변수가 왜 안먹는고야... function UE_meLifeMsg( life, mana ) { if(oldlife <= life) { oldlife = life; return; } DC_Print( "Me Life Event: Life = " + life + " oldlife = " + oldlife ); oldlife = life; } //-------------------------------------------------------------------------------------------------- // Test new NPC move event function UE_newNPCMsg( gid, classid, mode ) { DC_Print( "New NPC: gid = " + gid + " classid=" + classid + " mode = " + mode ); } //-------------------------------------------------------------------------------------------------- function UE_mouseUp( b, w, l ) { var pUnit = null; var msgStr = null; if(b != 1) return; DC_Print( "MouseUp: " + b + " [" + w + ":" + l + "]" ); pUnit = getUnit( 100 ) ; if(pUnit) { msgStr = "Selected Unit : Class ID = " + pUnit.classid + " Name = " + pUnit.name + " area =" + pUnit.area; DC_Print( msgStr ); DC_LogToLoader(msgStr); } } //-------------------------------------------------------------------------------------------------- //////////////////////////////////////////////////////////////////////////////////////////////////// // main function // 사용법 // 아마 캐릭터 설정파일 아래쪽에 function XP_AmazonConfig() 을 찻아 그 함수의 가장 아래쪽에 다음과 같은 코드를 추가한다. // // 화살 소모시 마을로 이동이벤트 적재. // if ( !isIncluded("XP/Libs/UE_ConsumableStack.d2l") ) // { // include("XP/Libs/UE_ConsumableStack.d2l"); // UE_registerEvent( ); // } function UE_registerEvent( ) { // DC_Print("UE_registerEvent() start"); // registerEvent( EVENT_MELIFE, UE_meLifeMsg ); // registerEvent( EVENT_NEWNPC, UE_newNPCMsg ); // registerEvent( EVENT_MOUSEUP, UE_mouseUp ); if(UE_ChickenOnOutOfConsumable == true) registerEvent( EVENT_ITEMSTAT, UE_itemStatEvent ); // DC_Print("UE_registerEvent() end"); } ////////////////////////////////////////////////////////////////////////////////////////////////////
  • 카레덮밥 2006.05.29 00:41
    ㅎ_ㅎ ... 갈수 있는 곳이 안써있어요.. ;; 오리지날 하는 중이라..... (게다가.. 하코...) 앵벌코스 어디가 좋을까요? 오리하코에서는 극 오브소서로 나메 액1, 액2만 돌아댕기는데... 걸어다니는 햄딘 맹글면.. 헬도 입성 가능할것 같네요..
  • 카즈야 2006.05.29 00:49
    대단히 유용한 정보네요 ㅎㅎ
  • 슬픈사슴 2006.05.29 02:12
    음.. 카레님..저.. 5번 바로 아래에 갈 수 있는곳 대충 언급했습니다. 대충이라고 쓴게, 이후로는 본인의 봇 튜닝 나름이지요. 예를 들면 제봇이 활마와, 파볼오브소서가 다인데 게시판에 파볼오브는 나락 힘들다 하더군요. 그래서 봇 행동방법을 좀 바꿔서 집어 넣었더니 나락에서 피 400/마나1400 캐릭이 생존률 90%가까이 갑니다. 봇캐릭에 마나올인한게 그야말로 삽질이였지만.. 그래도 봇 튜닝좀 하니까 살아나더군요. 아 캐릭이 빵빵하다구요? 그렇지 않습니다. 제 파볼오브소서 룬워드라곤 모넉스프릿이 다입니다. 용병 통찰 줬다가 마나가 별로 부족하지 않아서 뺏고 역시 이케릭이 줏은 안다머리, 듀리엘갑, 앰룬박은 툼리버?인가 하는 도끼.. 그거들고.. 활보합니다. 하코는 님께서 직접 경험해보신 사항을 정보로 올리시는게.. 하하...
  • 슬픈사슴 2006.05.29 02:25
    카즈님 감사합니다.
  • 인군 2006.05.29 11:20
    대단하십니다.. 쓰레셔 바바를 봇돌리로 돌릴욕망이 스멀스멀 기어나옵니다^^;;
  • 술쟁이[원로원] 2006.06.01 09:45
    맨땅 헤딩이어서 소서로 앵벌좀 하고 있는데 헬에서는 참 힘들더군요 해머딘 대충 세팅만 해도 잘 안죽는데...수수만 있으면 해머딘으로 앵벌 하는게 훨 좋겠다고 생각하던중 이글을 읽어 대단히 도움이 되었습니다. 걸어서 카운티스 잘죽이고 피트 앵벌도 되더군요. 문론 텔레보다 시간이 걸리지요 그래서 좀이라도 빨리 걸어보자 소스를 뒤적이던중 /scripts/libs/XP/Libs/XP_Include.d2l 파일에 function XP_AuraIdle() 에서 밑에 처럼 수정 // If no idle aura is found or needed, put the standard aura else { //DC_PutSkill(XP_PallyAura,0); //일반시에 비거 켜기 XP_VigorAura = 115 ; if (me.getSkill(2) != XP_VigorAura) { DC_PutSkill(XP_VigorAura,0); } } 아래부분을 수정 function XP_KillMonsters( radius ) { // If no radius is entered, use the general one if (arguments.length < 1) { radius = XP_MonsterSearchRange; } // If there is monsters around, kill them first if (XP_IsMonstersNearby(25)) { //디폴트 오라 세팅 if (me.classid==3) { if (me.getSkill(2) != XP_PallyAura) { DC_PutSkill(XP_PallyAura,0); } } 위의 두군데를 수정하니 비거 켜고 걷고 적 발견시 컨센 키고 해머 돌립니다. 해머딘 비거 만땅 찍기때문에 비거 키고 걸으면 무지 빨리 걷습니다. 조금이라도 빨리 걸어보고자 수정해봤습니다. 잘 돌아가는군요 만족 합니다.
  • 콩이다 2006.06.01 19:00
    좋은정보 ㄳㅅ
  • 슬픈사슴 2006.06.08 00:59
    Sy_Constants.d2l 파일을 인터넷에서 못찻겟다고 쪽지주신분이 계십니다. 아래 사이트에 가면 있는데 방대한 d2jsp 스크립터 데이터베이스 사이트이므로 찻기가 쉽지 않을것입니다. CTRL + F 찻기로 찻으시던가 아니면 분류 d2jsp SCRIPTS DATABASE -> LIBRARIES -> MISC 를 찻아가시면 있습니다. http://rpg-exploiters.shoq.net/forums/viewtopic.php?t=3848 저 파일은 제가 확인한바 별 이상은 없었습니다만, 어쨋던 봇파일을 받아 쓰는것은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으므로 여기처럼 검증되지 않은 사이트에서 봇파일을 받으실때는 쓰시는분이 위험을 감수 하셔야 합니다. 제가 이메일등으로 봇파일을 보내드리지 않는것도 이러한 맥락입니다. 혹 저 파일을 받아서 쓰는데 reference 에러가 생긴다면 그 메세지를 쪽지로 보내주세요. 그럼 답변드리겟습니다. 제가 Sy_Constants.d2l 여기에 몇가지 추가 한것이 있는데 그전에 화살 충전을 만든건지 후에 만든건지... 잘 모르겟네요. 따라서 혹 reference 에러가 생길 수도 있습니다.
  • 지우개 2006.06.09 15:13
    좋은 정보네요
  • 지존 글상 2006.06.24 16:58
    감사합니다...... 유용하게 쓸게요

팁 게시판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게시판 푸시 알림 / 통합 앱 서비스 31 file 트디개발자 2023.09.20 834.4k
공지 디아관련 에테리얼 벅큐빙 표 219 eunnanoDiablo™ 2008.03.05 140.4k
공지 디아관련 케릭별 갑옷 착용 모습 325 수린[아빠] 2009.06.09 111.5k
공지 디아관련 디아블로 각종 팁과 정보 간추림 입니다 (_ _) 1547 조은아저씨 2010.05.24 211.7k
공지 봇관련 유니크 업글 표 366 file 카인 2013.11.02 413.1k
236 봇관련 방만들기에 실패확률이 많다고 하시는데^^ 8 스피드넷 2006.06.20 2.7k
235 봇관련 stuck 메시지를 보기 쉽게 바꾸어보자.. 8 바다 2006.06.19 1.3k
234 봇관련 나만의 방만들기 실패 줄이기[수정]... 21 바다 2006.06.18 2.1k
233 봇관련 [수정]봇순이 혹사시키기? 시간죽이기 또는 간식먹기.. 공격입니다. 20 슬픈사슴 2006.06.17 2.6k
232 봇관련 white 중에서 혼돈 관련된 이니 입니다 10 질주청년[A1L] 2006.06.15 1.7k
231 봇관련 봇 사용 - 렘 이상 움 이하 하급 하이룬을 고급 하이룬으로 업글하기 12 [A1L] Ke2X 2006.06.13 3.4k
230 봇관련 소서..용병이 죽으면 다음 방으로 가보자 7 DiaJisoo 2006.06.13 2.3k
229 봇관련 Whites이니 추가내용(수수.드림.섭터콜투.혼돈.노말통찰.대표위원.화이트) 13 kknd1004 2006.06.08 3.7k
228 봇관련 봇(bot) 설치못하시는분들위해 설치법 동영상으로 만들엇어요~(초보자용) 32 file 토야11 2006.06.08 5.3k
227 봇관련 봇돌릴시 '죽지않는케릭' 에 대한 정보입니다..(붓초보분보세요) 21 월하령 2006.06.01 4.6k
226 봇관련 봇 설치시 간단한 TIP 몇가지 4 디아블러네[A1L] 2006.05.31 3.8k
225 봇관련 바다의 봇 복귀 일지 ^^* 12 바다 2006.05.30 2.5k
224 봇관련 몇일전에 올라온 아1래더 시세표 기준 스몰참 이니 16 사령관정복자 2006.05.30 2.9k
> 봇관련 XP 어벤저 4.0 '텔포없는 캐릭봇 조금이라도 앵벌 해보자' 팁입니다. 11 슬픈사슴 2006.05.27 2.3k
222 봇관련 초보자를 위한 쉽게 이니파일 이해하는법... 16 goodgame 2006.05.27 5.4k
221 봇관련 봇 초보를 위한 정보 10 디아블러네[A1L] 2006.05.24 6.3k
220 봇관련 여러분들 이니에 빠진것 같아 올립니다... 15 goodgame 2006.05.23 3.3k
219 봇관련 조폭넥 봇돌릴때 자꾸 클레이 골렘을 만든다는 분들. 6 소소초보 2006.05.20 2.0k
218 봇관련 씨디키 크랙할때. 9 ]묵이a[A1L 2006.05.20 3.8k
217 봇관련 이럴 경우 렐따에 걸린다... ^^; 23 DiaJisoo 2006.05.17 3.5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