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팁 게시판

NTbot 로비에러 해결(전면 재수정, 테스트 결과)

분류 봇관련 조회 수 2,947 추천 수 4


==============================
제가 밤새 테스트한 결과 wihle문이 계속적으로 반복수행되어야 하지만
로비에러가 났을시에는 반복수행 자체가 멈추더군요;;

아래 수정 방법으로는 해결이 안될듯 싶습니다..
(어후 밤새 헛고생만 한 꼴이 됐네요 ㅠㅠ)

이번 재수정글로 고치셨던 분들께서는 죄송하지만 이 코드를 적용하지 않은
스크립트로 돌려서 사용해 주세요
기존 제가 올렸던 방법으로 사용해서 성공하셨던 분들은 다시 그걸 사용해서
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이자료로 적용해 보시고 테스트 해 보셨던 분들께 감사함니다

혹 지금 이 자료를 참고하셔서 더욱 완벽한 로비에러 해결에 도전하실분들을 위해
자료는 그대로 남겨놓겠습니다...
==============================


이전 로비에러에 대한글로 해결되셨던 분들도 필독해주세요(제목에 쓰니 범위를 넘어가네요;;)

아랫글에 로비에러 해결에 대한 글을 썼었습니다^^

많은분들께서 관심 보여 주신것 감사드려요~

이번에 다시 로비에러에 대해 올리게 된 이유는 우선 저 아래쪽의 해결방안은
케릭이 로비에있는지를 체크하는 타이밍을 조절함으로써 로비에러를 해결했었습니다

하지만 각 컴퓨터 시스템 성능마다 렉이 좀더 있다든지 하는 이유로
해결이 안된다고 하시는분들이 몇분 있었습니다 이점 죄송하게 생각함니다(_ _)a

그래서 다시한번 야심차게 준비해봤습니다^^

지금부터 설명드리는 해결방안은 타이밍을 조절해서 하는 불안정한 해결방안이 아닙니다^^(고민 마니했어요ㅎㅎ)

그럼 지금 바로 본론으로 들어갈께요~!!

1--------------------------------------
 scripts폴더에 있는 starter.dbj파일을 에디트 플러스나 메모장등 편집프로그램으로 불러옵니다
2--------------------------------------
 controlData.click(controlData.controls.lobby.button.create); << 이부분이 씌여있는 라인을 찾아
 각 앞쪽과 뒷쪽에 delay(1000);를 추가해 줍니다
 (이미 delay(1000); 이라던지 이렇게 고치신분들은 그냥 두셔도 됩니다!!)

 
 아레 처럼 바뀌었겠죠??
 delay(1000);
 controlData.click(controlData.controls.lobby.button.create);
 delay(1000);

3--------------------------------------
 지금부터 두눈 크게 뜨고 잘 따라하셔야 합니다 조금은 어려울수도 있으니까요

 만약 제가 이전에 올린 글을 잘 따라 하셨다면 starter.dbj파일의 내용은 아래와 같이 되어있을 것입니다(이건 제가 자료실에 올린 starter.dbj파일과 코딩이 같습니다^^)
이렇게 고치지 않으 셨다 해도 상관은없습니다^^ 어짜피 이전에 소개한 방법과는 완전히 다르기 때문이죠

##################################################################
생략......

function main()
{
 delay(1000);

 var _ingame = false;

 controlData.clickDelay = clickDelay;
 controlData.textDelay = textDelay;
 controlData.clickDelayRandom = clickDelayRandom;
 controlData.textDelayRandom = textDelayRandom;

 while(1)
 { 
 if(me.ingame)
 {
 if(!inGameAt)
 inGameAt = getTickCount();

 if(getTickCount()-lastGameMade < gameMaxLength)
 {
 if(!_ingame)
 {
 _ingame = true;

 sendEventToOOG(126, "In Game", parseInt(gameMinLength/1000));
 lastGameStatus = 2; // in game successful
 }

 delay(1000);
 }
 else
 {
 sendEventToOOG(65535, "Maximum game length reached!", 65535);
 quit();
 delay(2000);

 while(me.ingame)
 delay(500);
 }
 }
 else
 {
 if(_ingame)
 _ingame = false;

 delay(1000);
 locationAction(controlData.getLocation());

 delay(1000);
 }
 }
}

생략......
##################################################################



자 죽 훓어 보셨습니까??
그럼 이 함수 바로 아래에 다음과 같은 함수를 추가함니다



#########################################(이 줄까지 추가하시는 분은 없겠죠?^^;;)
function locationislobby(location)
{
 if(location.id >= 1 && location.id <= 28)
 {
 return true
 }
 return false
 
}
#########################################



그럼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바뀌어있겠군요~



######################################################
생략......

function main()
{
 delay(1000);

 var _ingame = false;

 controlData.clickDelay = clickDelay;
 controlData.textDelay = textDelay;
 controlData.clickDelayRandom = clickDelayRandom;
 controlData.textDelayRandom = textDelayRandom;

 while(1)
 { 
 if(me.ingame)
 {
 if(!inGameAt)
 inGameAt = getTickCount();

 if(getTickCount()-lastGameMade < gameMaxLength)
 {
 if(!_ingame)
 {
 _ingame = true;

 sendEventToOOG(126, "In Game", parseInt(gameMinLength/1000));
 lastGameStatus = 2; // in game successful
 }

 delay(1000);
 }
 else
 {
 sendEventToOOG(65535, "Maximum game length reached!", 65535);
 quit();
 delay(2000);

 while(me.ingame)
 delay(500);
 }
 }
 else
 {
 if(_ingame)
 _ingame = false;

 delay(1000);
 locationAction(controlData.getLocation());

 delay(1000);
 }
 }
}


function locationislobby(location)
{
 if(location.id >= 1 && location.id <= 28)
 {
 return true
 }
 return false
 
}

생략......
###############################################################

여기까지만 하셨으면 벌써 40%는 성공하신 겁니다^^

4--------------------------------------
이제부터는 위쪽의 메인 함수를 뜯어 고쳐야 할 시간입니다
제가 이전에 추가하라고 했던 딜레이중 하나를 삭제 합니다(2번의 내용만 빼구..)

###############################################################
function main()
{
 delay(1000);

 var _ingame = false;

 controlData.clickDelay = clickDelay;
 controlData.textDelay = textDelay;
 controlData.clickDelayRandom = clickDelayRandom;
 controlData.textDelayRandom = textDelayRandom;

 while(1)
 { 
 if(me.ingame)
 {
 if(!inGameAt)
 inGameAt = getTickCount();

 if(getTickCount()-lastGameMade < gameMaxLength)
 {
 if(!_ingame)
 {
 _ingame = true;

 sendEventToOOG(126, "In Game", parseInt(gameMinLength/1000));
 lastGameStatus = 2; // in game successful
 }

 delay(1000);
 }
 else
 {
 sendEventToOOG(65535, "Maximum game length reached!", 65535);
 quit();
 delay(2000); <<--- 이런 부분이 있다면 삭제, 없다면 넘어가세요

 while(me.ingame)
 delay(500);
 }
 }
 else
 {
 if(_ingame)
 _ingame = false;

 delay(1000);
 locationAction(controlData.getLocation());

 delay(1000);
 }
 }
}
################################################################

자 여기까지 따라 오셨습니까??

5--------------------------------------
위의 고쳐진 메인 함수를 다음과 같이 고칩시다 자 어디가 바뀌었을까요??
################################################################
function main()
{
 delay(1000);

 var _ingame = false;

 controlData.clickDelay = clickDelay;
 controlData.textDelay = textDelay;
 controlData.clickDelayRandom = clickDelayRandom;
 controlData.textDelayRandom = textDelayRandom;

 while(1)
 { 
 if(me.ingame)
 {
 delay(1000); //이부분 추가
 if(!locationislobby(controlData.getLocation())) //<<<이부분 추가
 { //<<<이부분 추가

 if(!inGameAt)
 inGameAt = getTickCount();

 if(getTickCount()-lastGameMade < gameMaxLength)
 {
 if(!_ingame)
 {
 _ingame = true;

 sendEventToOOG(126, "In Game", parseInt(gameMinLength/1000));
 lastGameStatus = 2; // in game successful
 }

 delay(1000);
 }
 else
 {
 sendEventToOOG(65535, "Maximum game length reached!", 65535);
 quit();
 
 while(me.ingame)
 delay(500);
 }
  } //<<<이부분 추가
 else //<<<이부분 추가
 { //<<<이부분 추가
 if(_ingame) //<<<이부분 추가
 _ingame = false; //<<<이부분 추가
 delay(1000); //<<<이부분 추가 
 locationAction(controlData.getLocation()); //<<<이부분 추가
 //<<<이부분 추가
 delay(1000); //<<<이부분 추가
 } //<<<이부분 추가

 }
 else
 {
 if(_ingame)
 _ingame = false;
 
 delay(1000);
 locationAction(controlData.getLocation());

 delay(1000);
 }
 }
}
###############################################################


여기까지 빼놓지 않고 수정하셨다면 성공입니다^^
생각보단 그렇게 어렵지 않죠??

자 왜 위처럼 고쳤는지 이해가 잘 안되시는 분을 위해 설명 들어갈께요

2단계에서 했던 내용은
제가 예전에 설명했던 바와 같이 방에 나와서 방을 만드는동작을 약간 천천히 바꾼것입니다
1초의 딜레이를 두고 방을 생성합니다

3단계에 함수 추가가 있었습니다
왠만 큼 하시는 분이라면 한눈에 아!!! 이러실꺼에요
바로 케릭이 로비에있을땐 true값을 리턴하고
그 이외의 상황(방안에서 사냥하고있는 상황이겠죠??)에서는 false값을 리턴하도록 하는 함수입니다
이 함수는 계속적인 케릭의 위치를 알아내기 위해 사용합니다

4단계
이부분을 뺀이유는 코드를 보니 이미 아래부분에
 while(me.ingame)
 delay(500);
위와 같은 애용으로 대기하는 부분이 있으므로 필요없다 판단 했습니다

5단계
여기가 중요한 부분입니다
NTmanager는 이 스타터의 스크립트에 씌여진대로
while(1)이라는 반복문 안의 내용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됩니다 <<반복문 1이기 때문에 무한 반복
while문 안에있는 if(me.ingame) 라는 줄이 보이시죠?? 여기서 me.ingame이 true라면 매니져는 케릭이 방에있는것으로 인식하여
이 if문 안의 명령들을 수행하게됩니다

이 if문 안의 내용은 케릭이 방안에 있고 아직 타이머가 최대 사냥시간을 넘지 않았다면
매니져에 IN GAME(~~s)라고 표시하며 계속적으로 타이머를 증가시키는 일을 합니다

그런데 이전에도 말했듯이 케릭이 방에서 빠져나올때 me.ingame를 false로 바꾸어 주는 명령이 실행되어야 하는데
렉이나 기타 알려지지 않은 오류로 인해 케릭은 방에서 나와 로비에 있지만 me.ingame가 false로 변경되지 않아
매니져는 me.ingame를 true로 인식하고 케릭이 계속 방에 있는것으로 간주하는 것 입니다..

그래서 me.ingame이 ture인지 false인지를 검사한 이 후에 me.ingame가 true인 경우에 케릭의 진짜 위치를 한번더 검사해서
진짜 위치가 로비라면 NTmanager에게 케릭이 로비에 있는걸로 인식시켜주도록 한것입니다

한마디로 IN GAME 즉 me.ingame가 true인 상태에서도 계속 케릭이 로비인지 아닌지를 검사한다는 내용이죠
(이전의 스크립트는 me.ingame가 true이면 무조껀 케릭은 방에있다 이렇게 확정되었지만 말이죠)

머 길게 설명하긴했지만 어느정도 볼줄 아는 분들이시라면 어떤 원리인지 한눈에 보실수 있으실 껍니다
댓글35
  • 블레이더 2008.08.24 01:03
    // 요표시도 넣는건가요?
  • dud 2008.08.24 01:09
    //표시는 주석입니다 혹시나 타이핑 귀찮으셔서 죽 긁어 붙이기 하시는 분들을 위해 주석처리 표시를 한것이니 //건 넣어도 되고 빼도 상관없어요
  • 멋진기우[나눔] 2008.08.24 01:38
    오호 이 대로수정하면 17돌이를 돌리는 저로써는 각컴터의 부담을 약간식 줄여줄수도 있겠네요.. 한컴터당 8봇이 가동되니 각케릭이 동시에 입장한다거나 그러면 약간 렉이생겨서 리스타트가 되는데... 흐음.. 집에가서 실험해봐야겠네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 dud 2008.08.24 01:53
    ㅎㅎ 네^^현재까진 로비에러가 없지만 저도 오랜시간 테스트를 못해봤기때문에 혹시 테스트 하시다가 로비에러가 발견되시면 리플달아주세요^^ 로비에러가 일어나는 상황도 알수있으시다면 그런것들도 함께요..ㅎ
  • DeeP_SorroW 2008.08.24 01:54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이전에 올려주신 자료만으로도 현저히 ingame에러가 줄어서 lobbyfix를 쓰지 않아도 될 정도여서 매우 만족하고 있어서, 그냥 그대로 써도 될 정도더군요 ^^ 그래도 신경 쓰셔서 수정해서 올려주신 글이니, 마루타라도 돼보자 싶어서 읽고 수정하고 지금 돌리면서 눈으로 확인 중입니다. 좋은 정보 감사드리고, 추천 한 방 올리고 갑니다 ^^
  • 달수[변태] 2008.08.24 04:19
    마루타 한명 더 출발합니다 ^^ 약 10시간 테스트 후 결과 올릴게요 ^^ 좋은 자료 감사드립니다 ^^
  • 캐돌이 2008.08.24 04:29
    컴맹이 마루타 중이지만 이해가 갈듯하네요 !
  • DeeP_SorroW 2008.08.24 08:14
    어제 새벽에 수정하고 눈으로 보다가 잤네요. 눈팅하는 동안에는 별 다른 이상을 찾지는 못 했지만, 방금 일어나서 확인해보니, 매니져상으론 ingame상태지만 실제론 로비에 있는 버그가 아직도 있습니다. 발생빈도까지는 아직 정확히 확인하지 못했습니다만, 정확진 않으나(다른 요인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원래 제 봇돌이들 리스타트율이 5마리정도는 평균적으로 7~8:1 정도, 나머지 한 마리는 3:1 정돈데, 지금 확인하니 6마리가 거의 리스타트율이 2:1 정도 됩니다. 이 부분은 좀 더 확인이 필요할 거 같습니다.
  • CDW_Family 2008.08.24 08:51
    제가멀 잘못 고쳤는가봅니다.. .저는 에러가 ㄷㄷㄷㄷ 다시 시간 날때 해봐야겠어요
  • dud 2008.08.24 08:57
    네ㅠㅠ 이공 밤새 테스트해서 알아낸 결과는 인게림오류가 발생하게되면 while문의 무한반복까지 멈추더군요.. while문 안쪽에 변수 하날 써서 repeatwhile++; 이런식으로 while문의 수행을 검사해봣는데 역시나 로비에러거 아닌경우는 계속 증가했지만 로비에러인경우는 증가하던게 멈추네요.. 반복수행 자체가 멈추게되면 위에처럼 코드 삽입한것도 아무 소용 없게되는거죠 ㅠㅠ
  • DeeP_SorroW 2008.08.24 09:05
    dud님// ㅎㅎ 왜 우시나요 ? 요렇게 확인해보고 수정할 거 수정하고, (전 프로그램 하나도 몰라서 ㅎㅎ;) 고치다보면 좋아지는 거죠 ㅎㅎ 걱정마시고 언제든지 요런 자료 올려주세요 ㅎㅎ. 튼튼한 마루타가 저 말고도 두루네엔 널리고 널렸습니다 ㅎㅎ 좋은 자료 감사드리구요 ^^
  • dud 2008.08.24 09:08
    DeeP_SorroW님 때문에 그나마 맘이 편하네요^^ 밤새 고생해서 고치고 고쳐봤는데 기존 해결방법보다 나아지지 않아 속상했는데 ㅠㅠ 우선 이건 좀 보류하고 좀더 연구해 봐야겠네요^^ 테스트해주신것 감사드려요^^
  • 크로이체르 2008.08.24 10:10
    Nt에서 Jsp로 갈아탄지 한참됬지만 윗분 말씀처럼 이런자료는 언제던지 올려주시면 됩니다..마루타 요거 잼나거던요..
  • 천샤 2008.08.24 10:37
    dud님 스타터.dbj 올려주시면 안될까요? 너무어렵네요 ㅎㅎ
  • 멋진기우[나눔] 2008.08.24 11:29
    천샤님 기존 꺼는 자료실에 있습니다.. 그거사용하시면되구요... dud님이 올려주신거 적용해봐서 테스트중이지만 5방 제로 할때도있고 1:1,2:1 정도로 리슷률이 나올때도잇네요.. 기존에 올려주셧던게 아직까지는 더 안정적인거같아요 ㅎㅎ 저도 완전컴맹수준이라 도움은 못드리겠고 이제 함수공부 입문하기 시작했는데 영어렵네요 ㅠㅠ 그래도 기존 좋은자료 덕분에 잘~돌아가네요 감사합니다 ^^
  • 천샤 2008.08.24 11:42
    기우님 이렇게 수정된게 자료실에 있는것 인가요???
  • 율아빠 2008.08.24 11:59
    dud님꺼 전에 올려주셨던거 계속사용중인데 너무 만족스럽습니다. 전에 항상 30퍼센트의 리슷율을 기록했는데 그자료 받고나서는 100방에 2리슷꼴로나니.. 엄청나네요..잘쓰고있어요~
  • 용바바바바바 2008.08.24 12:18
    정말 고생 많으셨습니다...그리고 감사 합니다.
  • 신딱지 2008.08.24 13:23
    기존의 것에서 수정된 부분을 좀 더 늘려주시면 지금 처럼 안해도 리슷 하나도 안나오네요 저는 그렇게 해서 사용하고 잇습니다.. ^^
  • 창고케릭 2008.08.24 13:53
    저도 지난 번 자료 사용하고 있는데 렉에 의한 리셋 말고는 전혀 문제가 없습니다.
  • 극빈서생(변태) 2008.08.24 14:13
    지난번 자료는 제 플러그인이랑 안맞아서 헤이가이즈가 많아 났는데 이번자료는 괜찮군요 문제는 인게임 나오는군요 코스 다돌고 인게임이 나는건지 치킨되서 나는건진 보지 못했지만 확실히 인게임이 나는군요 리슷률은 그닥 신경쓰지 않습니다-_-;; 보니깐 젤 많은게 143런에 43이고 젤작은게 133런에 28이군요 각설하고 고생이 많으세요^^
  • 안녕놔의솨뢍 2008.08.24 16:17
    아템염장,우버염장보다 부러운 노로비에러 ㅠ... 저도 수정해서 막 돌리고있네요^^ 이번에는 로비에러없기를!!
  • 안녕놔의솨뢍 2008.08.24 16:27
    저는 절대안고쳐지나봅니다.. ㅠ 어딜 나가든 로비에러네요.. 흐...
  • [無敵] CliMaX 2008.08.24 16:31
    훔... 전 더 심해진 경우인가요.. ㄷㄷ;;
  • HamDinZZang 2008.08.24 17:26
    와 진짜 리슷도 줄어들었네요 ㅋㅋ
  • HamDinZZang 2008.08.24 17:27
    좋은정보 감사드립니다 ^^
  • pindle-mind 2008.08.24 17:46
    D@BS-M 에서 { delay(500); //<---- 이부분추가 locationAction(controlData.getLocation()); } 위와같이 delay(500); 만 추가했는데 리슷이 많이 줄었네요 유용한 정보 감사드립니다.
  • 캐돌이 2008.08.24 18:46
    음 마루타 해봤는데요 리슷률은 아무래도 저번자료에서 부터 이어진 딜레이 덕분에 줄어든거 같은데.. 인게임은 딱히 나아지는건지는 모르겠습니다. 컴사양이 안좋은 문제인거같기도
  • 크로우 2008.08.24 19:29
    조만간 로비에러는 자취를 감추겠군요... 감사합니다^^
  • 흔들어보자 2008.08.24 21:15
    이렇게 수정하여도 제가 마지막으로도는 피트를 딱돌고 나와서 로비에서 계속 방에있는것처럼 인식하고 초가 계속가서 20분을 채우고 다시 방을만들고시작됩니다..몇번계속그러네요 로비에잇을때 인식하고 방으로 들어가게 수정된것이라고 알고해봣는데..
  • 뉴비 2008.08.25 14:00
    오호~ 감사합니다. 다시 해봐야 겠네요.
  • ISU 2008.08.26 02:01
    전 예전글로 충분히 로비에러 90%이상 안걸려서 잘되는데 더 업그레이드하셧나봐요ㅎㅎ
  • 이슬먹고살아요 2008.08.27 10:47
    저 역시 딜레이 추가로 인해 로비에러는 거의 없어졌습니다..좀 더 줄여볼까 따라하다보니 제 starter.dbj와는 다른 구문이 자주보이네요 무시하고 따라했더니 봇 스탑..역시 백업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꼈습니다 ㅡ,.ㅡ;;
  • happu 2008.08.28 08:46
    저같은 경우에는 첫번째 항목이 많이 다릅니다 . 위에것 복사해서 제것에 붙여넣기 해도 괜찬은지 궁금합니다 . 제것의 파일 내용은 while(1) { if(!inGameAt) inGameAt = getTickCount(); if (me.ingame) { sendEventToOOG(126, "In Game", parseInt(gameMinLength/1000)); lastGameStatus = 2; // in game successful delay(6969); } location = controlData.getLocation(); locationAction( location ); delay(1313); } runGC(); }
  • 슬픈장난감 2008.09.01 17:50
    음.. 주석이 뭐지? 석에는 주석과 부석이 있는데 주석은 중요하니깐 꼭 들어가야 하고 수정하면 안되는거?

팁 게시판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게시판 푸시 알림 / 통합 앱 서비스 31 file 트디개발자 2023.09.20 831.3k
공지 디아관련 에테리얼 벅큐빙 표 219 eunnanoDiablo™ 2008.03.05 140.2k
공지 디아관련 케릭별 갑옷 착용 모습 325 수린[아빠] 2009.06.09 111.4k
공지 디아관련 디아블로 각종 팁과 정보 간추림 입니다 (_ _) 1547 조은아저씨 2010.05.24 211.6k
공지 봇관련 유니크 업글 표 366 file 카인 2013.11.02 412.9k
456 봇관련 NT 봇, Dac Farren 잡게 하기[수정] 13 봉구입니다 2008.09.03 1.2k
455 봇관련 NT 봇, 마을 웨이 줄줄이 에러(?) 해결 18 file 봉구입니다 2008.09.03 2.2k
454 봇관련 NT봇 로그인 시 꺼지는 현상 해결법 5 구구단 2008.09.03 1.9k
453 봇관련 NT봇, 타운포탈 관련 8 봉구입니다 2008.09.03 1.6k
452 봇관련 NTbot 리슷율 줄이기? 19 camus 2008.09.02 2.6k
451 봇관련 NTbot 동일명의 봇 스크립트를 케릭별로 사용하기 3 [無情]디아블러네 2008.09.02 1.7k
450 봇관련 Pc방 알바를 위한 Tip 4 댜쟙쟈 2008.09.02 2.2k
449 봇관련 [ntbot] 스태틱 거리수정. 5 file nation 2008.08.29 1.8k
448 봇관련 봇돌이 에러와의 싸움후... 16 트리스트럼™ 2008.08.25 2.8k
447 봇관련 [NTBot] NTBot.ntj (시간설정) 대략적인 설명 20 날퍼맨_2 2008.08.24 8.5k
> 봇관련 NTbot 로비에러 해결(전면 재수정, 테스트 결과) 35 dud 2008.08.24 2.9k
445 봇관련 디아만켜도 자동으로 봇이 켜진다는분. 18 H@ppy 2008.08.23 2.5k
444 봇관련 봇순이 스킬 (파볼체라소서) 추가수정 34 zzz365 2008.08.21 3.4k
443 봇관련 [d2jsp] 핀들 잡은 후 리뎀션 사용하기 2 Kridnia 2008.08.20 1.1k
442 봇관련 [답변글中] NT봇 바알런시 파티원들에게 갇힙니다 2 [無情]디아블러네 2008.08.20 1.4k
441 봇관련 nt봇 로비에러 해결~ㅋ 110 dud 2008.08.19 5.0k
440 봇관련 XP봇, failed snag error 해결방법(추가 사항) 13 봉구입니다 2008.08.18 1.1k
439 봇관련 쫄봇으로 디아런을 즐겨보자 (오리지널 유저 강추) 17 @털남이 2008.08.18 5.6k
438 봇관련 [D2JSP]중저사양컴 멀티봇+nohide무난히 적용하기 14 NoQuestion。[A2L] 2008.08.17 2.9k
437 봇관련 xp봇 + bp메니져 사용자 9 [無情]디아블러네 2008.08.16 2.3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