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C소비전력 대략적으로 알아보기(정정 및 4850vs5750 전력비교추가)
분류
일반
조회 수
2,033
추천 수
13
※ 비스타/윈7의 에어로가 전력소모가 크다고 생각했는데, 요번에 그래픽카드를 교체하면서 테스트해보니
별차이가 없는듯하네요. 진작에 좀더 테스트를 해봤어야하는데, 죄송합니다.
*비교는 맨 밑에 추가함*
===============================================================
- 소비전력 알아보기
1. 전력측정장비를 사용(돈이들죠.--;)
제가 아는건 잘만 mfc2,3, 마이크로닉스 파워와쳐 시리즈, 인스펙터2 정도로 활용/편의성은 인스펙터2가 높을듯합니다.
-----------------------------------------------------------------------------------------------------------------------------------------------
2. 사이트에서 가상으로 본체전력측정.
pc의 cpu/ram/vga 정보를 알아야하므로, 잘모르시는분은 cpuz 다운받아 확인하세요.
http://www.extreme.outervision.com/psucalculatorlite.jsp
pc부품의 소비전력을 바탕으로 가상으로 측정해 주는곳입니다.
잘 아시는분은 세밀하게 선택하시면 좋겠지만, cpu/ram갯수/vga/하드갯수정도만 선택하시면됩니다.
모두 선택하셨으면 끝에서 두번째항목 System Load(시스템사용률) 는 60% 로 바꿔주시고,
좌측상단이나 하단 'W'표시되있는 곳의 'Calculate' 버튼을 클릭하시면 pc전력이 나타납니다.
System Load 최소단위가 60%이기 때문에 다소 높게 나오는듯합니다.
(저의경우 mfc2로 측정해서 평상시 160, 사이트에서 60%시에 측정해서 200정도가 나옵니다.)
100%를 선택해서 최대 시스템 요구전력을 알아보는 것도 좋을듯...
게임,동영상,프로그램에 따라 cpu,vga등의 사용률이 달라서 소비전력도 차이가 납니다.
전력측정장비로 측정하지 않는이상 소비전력이 어느정도 수준인지 정도만 참고 하세요.
-----------------------------------------------------------------------------------------------------------------------------------------------
3. 모니터의 소비전력
제품뒷면라벨에 적혀있는 사양을 확인해보세요(안적혀있기도함). 대략적으로...
crt : 17인치 - 70W 이상, 19인치 - 100W이상
lcd : 17인치 - 20W 정도, 19인치 - 30~40W정도, 22인치 - 50W정도, 24인치 - 80W정도
자료를 찾다보니 CRT는 제품마다 차이가 좀 나는듯하고, 확실히 많이 먹더군요.
LCD의 경우는 제품마다 많은 차이는 안나지만, 밝기에 따른 전력차이가 크다고합니다.
제가 사용하는 제품이 디스플레이랜드 24인치로 표기전력이 60W이고,
mfc2로 측정해보니 검정색은 60, 흰색최대 65정도되는군요..
밝기 최대/최소의 전력차가 3W정도로 크지 않네요. 제품마다 다른듯...
또한 요즘 나오는 LED백라이트제품의 경우 소비전력이 낮다고 합니다.
(어떤글 보니 24인치가 표기전력 20W로 실제로는 28W정도라더군요. 일반24인치의 절반이하)
ips,pv등 광시야각패널 보다 tn패널이 소비전력이 낮다고 하구요.
http://www.parkoz.com/zboard/zboard.php?id=low_power
전력관련 게시판이니 참고하세요(crt, lcd, 모니터 등으로 검색해보세요)
===============================================================
- 전기요금에 대해
http://cyber.kepco.co.kr/cyber/01_personal/01_payment/payment_table/payment_table.jsp#1
한전 전기요금표입니다.
일반가정에서 사용되는 저압전력요금을 보시면 누진세로인해 300W부터 엄청나게 불어나는 것을 알수있습니다.
------------------------------------------------------------------------------------------------------------------------
본제 소비전력100W인 pc와 22인치(50W라 가정)를 10시간씩 한달(30일)을 사용한다면.
(100+50) x 10(시간) x 30(일) = 45000Wh = 45KWh 가 나옵니다.
만약 PC없이 200KWh(20,130원) 를 사용하던 가정이라면 245KWh(29,430원) 이 되므로,
9300원이 늘어납니다.
하지만 310KWh(45,040원) 인경우 355KWh(57,770원)로 13,730원이 늘어나고,
500KWh(115,550원) 인경우 545KWh(154,560원)로 무려 39,010원이 늘어나게됩니다.
------------------------------------------------------------------------------------------------------------------------
그러므로 현재 집에서 사용되는 전체 전력량이 얼마냐에 따라 pc사용시간에 따른 금액차이가 많이납니다.
===============================================================
- pc전력소모의 대부분은 모니터이다?
본체가 무엇이냐 모니터가 무엇이냐에 따라 다르겠지만, 요즘은 본체전력이 크다고 볼수있죠.
다만, 중요한건 둘다 전기를 많이 먹는다는거죠.
------------------------------------------------------------------------------------------------------------------------
- 부팅시 전력소모가 크다?
제 본체기준으로 아이들시(150~160W)보다 20%정도 많은 180~190W 정도로
보통때보다 전력소모가 큰건 맞습니다.
허나 어떤글보면 부팅시 전력소모가 20~30분 사용한것과 같다고 하더군요.
부팅시간이 1~2분정도라 보면 최소 10배이상의 전력소모라는건데, 말도안된다고봅니다.
(100W면 부팅시1000W? 보통 pc파워가 400~500W인데...)
다만 pc가 켜지고 꺼지는데 시간이 걸리는 만큼, 잠깐 사용안할땐 모니터만 꺼두면되겠죠.
===============================================================
===============================================================
기존에 쓰던 vga가 4850으로 전력소모가 큰편이라 다운그레이드할까 고민을 했었는데,
5750이 전력소모는 낮고, 성능은 비슷 혹은 우위에 있다는 자료를 보고 구매하게되어 비교해봤습니다.
*cpu - e6750(2660@3200), 측정장비 - MFC2
**간단히 테스트해본 것이므로 이것역시 참고만하세요.
1. 부팅/종료 비교.
부팅(약1분) | 윈도우진입(약1분) | 엑세스종료후 | 종료시 | |
ATI HD4850 | 185~198 | 160정도 | 152 | 160정도 |
ATI HD5750 | 165~172 | 130정도 | 123 | 130정도 |
차이 | 20~26 | 30정도 | 29 | 30정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