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직찬스와 앵벌장소에 대해
분류
아이템/앵벌
조회 수
11,340
추천 수
25
<앵벌과 매찬에 대하여>
몹을 잡았을때 아이템의 생성순서는 크게 3가지 스텝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① 아이템을 떨어뜨릴 것인가 / 떨어뜨리지 않을 것인가.
방의 인원수에 영향을 받습니다.
② 어떤 종류(type)의 아이템을 떨어뜨릴 것인가.
잡는 몹의 종류와 사냥 장소에 영향을 받습니다.
③ 어떤 품질(quality)의 아이템을 떨어뜨릴 것인가.
매찬의 영향을 받습니다.
위 세가지 변수를 주제로 한가지씩 살펴보겠습니다.
♣ 방의 인원수 ♣
방의 인원수에 따라 드롭되는 아이템의 숫자가 변하게 되는데 방의 인원이 많을수록 더 많은
아이템을 드롭하게 됩니다.
인원수 몹라이프 경험치+% 아이템 드롭율%
2 *2 +75% 37.5%
3 *3 +150% 61.22%
4 *4 +225% 61.22%
5 *5 +275% 75.94%
6 *6 +300% 75.94%
7 *7 +325% 85.71%
8 *8 +350% 85.71%
그러나 같은 수의 인원이라도 파티조건에 따라 차이가 있습니다.
① 파티원과 동일지역에서 앵벌할때
② 파티원과 다른 지역에서 앵벌할때
③ 비파티원과 같은 지역에서 앵벌할때
④ 비파티원과 다른 지역에서 앵벌할때
파티원과 동일지역에서 앵벌할때 최고의 드롭율을 가지게되며 ②③④ 는 같은 드롭율이 같지만
①에 비해 낮은 드롭율을 가지게 됩니다.
카우방에서 같은 풀방이라도 모두 파티하고 사냥할때는 드롭되는 아이템이 많지만
혼자 사냥하면 드롭되는 아이템이 상대적으로 적다는 것을 느끼셨을 것입니다.
방 인원수가 많을수록 드롭율이 높기는 하지만 인원이 많아질수록 증가폭은 줄어들어
큰 차이를 보이지 않으므로 3명이상인 방에서 파티후 같은 지역에서 앵벌한다면 충분한 조건을
갖춘셈이 됩니다.
♣ 어느 장소에서 어떤 몹을 잡을 것인가 ♣
이것을 설명하려면 TC에 대한 개념이 있어야 할것 같습니다.
TC(Treasure Class)란 무엇일까요?
TC를 복잡하게 생각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그냥 단순하게 아이템 등급 정도로 생각하시면 무난합니다.
디아블로의 모든 아이템은 고유의 TC를 가지고 있으며 고급 아이템일수록 높은 TC를 가지게 됩니다.
몬스터는 레벨과 TC한계치를 가지고 있으며 레벨이 높을수록 고급 아이템을 드롭하게 됩니다.
예외는 있지만 몬스터의 레벨은 TC 한계치와 비례하기 때문에 레벨이 높은 몬스터를 사냥해야
고급 아이템을 얻을 수 있습니다.
여기서 말하는 고급아이템의 의미는 두가지입니다.
첫째, 노말/익셉셔널/엘리트 중 상위버젼을 말합니다.
샤코의 예를 든다면 노말버젼은 캡이고 익셉셔널 버젼은 워햇, 엘리트 버젼이 샤코지요.
둘째, TC가 높은 아이템을 말합니다.
하이드라보우를 예로 들어 보겠습니다.
하이드라보우의 TC는 87인데 메피스토의 TC한계는 78입니다.
메피스토의 TC가 78로 하이드라보우보다 낮기 때문에 메피스토는 하이드라보우를 드롭할 수 없고
따라서 메피스토에게서는 유닉윈포를 얻을 수 없습니다.
그런데 액트의 각 지역도 레벨이 있고 1.10 패치후에는 몬스터의 레벨이 지역 레벨에 따라 상향됩니다.
몬스터의 레벨은 몬스터 원래 레벨과 지역레벨 둘 중 높은 쪽의 레벨을 가지게 됩니다.
- 지역레벨 1인 곳에서 레벨 2의 일반 몬스터의 레벨은 2가 됩니다.
- 지역레벨 3인 곳에서 레벨 2의 일반 몬스터의 레벨은 3이 됩니다.
- 챔피언 몬스터는 지역레벨 +2의 레벨 보너스를 가집니다.
- 유닉 몬스터는 지역레벨 +3의 레벨 보너스를 가집니다.
- 각 액트 보스 및 일부 슈퍼유닉 몬스터는 지역레벨의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헬에서는 대부분 지역레벨이 몬스터 레벨보다 높기 때문에 지역레벨이 높은 곳에서 사냥을 하는 것이
유리하고 헬의 지역레벨은 최하 67부터 최고 85까지입니다.
당연히 지역레벨 85인 곳에서 사냥을 하는 것이 가장 유리하겠지요.
지역레벨 85인 지역의 유닉몬스터는 +3의 보너스를 받아 레벨 88이되며 이 몬스터들은
모든 아이템을 다 떨굴 수 있는 TC를 가지게 됩니다.
통상 액트1에서부터 액트5까지 순차적으로 지역레벨이 상향되지만 예외적으로
지역레벨이 높은 곳이 많이 있습니다. 지역레벨 85인 장소를 모두 정리해 보았습니다.
참조 : 헬의 모든 지역레벨
[ 액트 1 ]
- 머셜리엄 (콜드플레인)
- 피트 (타모에 고지)
[ 액트 2 ]
- 마고트 동굴 3층 (파오아시스)
- 고대인 하수도(잊혀진 도시)
[ 액트 3 ]
- 하수도 2층 (쿠라스트)
- 잊혀진 사원 (북부쿠라스트)
- 버려진 유적 (쿠라스트 커즈웨이)
- 폐허의 신전 (쿠라스트 커즈웨이)
[ 액트 4 ]
- 불길의 강
- 카오스 생츄어리
[ 액트 5 ]
- 월드스톤성채 1,2,3 층
- 쓰론 오브 디스트럭션
- 월드스톤 챔버
지역 레벨이 높다고해서 무조건 앵벌장소로 좋은 것은 아닙니다.
그 지역의 몹숫자, 난이도, 캐릭특성 등을 고려하여 효율적인 곳을 선택해야 하는데
가장 대표적인 곳이 피트입니다. 피트는 몹이 많고 비교적 약해서 앵벌장소로 사랑받고 있지요.
액트3의 85지역은 몹이 적어서 앵벌장소로 적당하지 않습니다.
액트4, 5의 85지역은 난이도가 높아서 햄딘, 무공체라소서등이 아니면 앵벌이 어려운 곳이지요.
♣ 매찬은 얼마가 적당할 것인가 ♣
매찬의 역할은 드롭되는 아이템의 품질(quality)을 결정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TC에 의해 콜로서스블레이드가 드롭되기로 결정 되었을때
그 콜로서스블레이드가 세트냐 레어냐 유닉이냐 등등 품질을 결정하는 것이 바로 매찬입니다.
매직,레어,유닉 구분이 없는 아이템(룬,키 등)은 매찬의 영향을 받지 않겠지요.
여기서 품질이란 노말 > 슈페리어 > 매직 > 레어 > 세트 > 유니크 를 말하며
후순위일수록 품질이 높다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즉, 매찬이 높을수록 상위 품질로 나올 확률이 높아진다는 것입니다.
그럼 매찬이 100%면 몹 잡을때마다 100% 유닉이 드롭되어야 하는 것 아닌가?
물론 그렇게 계산되지 않습니다.
각 아이템에는 고유의 드롭율이 정해져 있습니다.
매찬 0%인 캐릭이 바알을 잡았을때 바알이 유닉 샤코를 떨어뜨릴 확률은 0.031165% 입니다.
매찬 300%인 캐릭이 바알을 잡으면 0.031165% 의 300%인 0.0933495%가 추가되어서
0.12466% 가 되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매찬은 높을수록 좋은 것인가?
그렇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두가지 이유에 의해서 매찬이 높을수록 효율성은 떨어지게 됩니다.
첫째, 매찬이 높은만큼 캐릭이 약해지므로 그만큼 사냥속도가 떨어진다는 것입니다.
사냥속도가 떨어진다는 것은 드롭율을 낮추는 결과가 되므로 오히려 역효과가 있을 수 있습니다.
둘째, 아래 표에서 보시는바와 같이 매찬이 높아질수록 실제 적용되는 매찬수치가
상대적으로 줄어든다는 것입니다.
※ 매찬이 게임상에서 실제 적용되는 수치
매찬 매직 레어 세트 유니크
0% 0% 0% 0% 0%
50% 50% 50% 50% 50%
100% 100% 100% 100% 100%
110% 110% 110% 110% 110%
120% 120% 119% 119% 118%
130% 130% 130% 128% 128%
140% 140% 138% 137% 135%
150% 150% 146% 145% 141%
200% 200% 185% 183% 171%
250% 250% 220% 215% 193%
300% 300% 250% 242% 211%
400% 400% 300% 287% 236%
500% 500% 340% 322% 253%
600% 600% 372% 350% 266%
800% 800% 423% 391% 284%
1000% 1000% 460% 421% 295%
1200% 1200% 494% 448% 305%
1500% 1500% 520% 468% 312%
즉, 유닉의 경우 매찬 500% 맞춘 캐릭과 800% 맞춘 캐릭의 매찬차이는 300%지만 실제 적용매찬 차이는
1/10인 31%에 불과하다는 것입니다.
무리해서 매찬을 높이느니 300~500% 매찬만 맞추어 빠른 사냥을 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라는
결론이지요.
또 매찬이 높으면 룬워드 재료의 획득에는 더 불리합니다.
<앵벌장소로는.. >
= ACT1 =
◆ Pit (피트)
워낙 유명한 앵벌명소라 다들 잘 아시리라 생각됩니다. 룬,유니크,레어,참 무작위로 나옵니다.
꼭 들릴만 합니다. 1,2층으로 나눠져있으며 1층부터 유니크몬스터와 졸개들을 잡는 식으로
2층까지 정리합니다.
가는길 : Outer Cloister (수도원외곽)이나 Black Marsh (블랙마쉬)에서 Tamoe Highland
(태모 하일랜드) 로 이동후 필드상에서 Pit 동굴을 찾으시면 됩니다.
◆ Countess (카운테스)
룬과 더불어 트리스탐퀘스트를 위한 Key of Terror (공포키)를 주는 몬스터입니다.
1~5층까지 유니크몬스터들이 괜찮은 것들을 종종주긴하지만 방대한 맵크기로
주로 5층의 유니크몬스터와 카운테스만 잡는게 효과적일 것입니다.
카운테스는 Lo룬까지 줍니다.
가는길 : Black Marsh (블랙마쉬) 에서 Foggotten Tower (잃어버린 탑)을 찾으시면 됩니다.
5층 카운테스가 있어요.
◆ Andariel (안다리엘)
안다리엘은 액트1의 보스몬스터죠. 더 말할 필요없는듯... ^^;
가는길 : 카타콤4층에 있습니다.
= ACT2 =
◆ Arcane Sanctuary (아케인 생츄어리)
Summoner (소환술사) 가 주는 Key of Hate (증오키)를 획득하시면 됩니다.
그렇지만 꼭 소환술사가 아니라도 괜찮은 룬이나 유니크등이 이 맵 전체에서 드랍될 수 있습니다.
가는길 : 아케인 생츄어리 4갈래길 중 한쪽 끝에 소환술사가 있습니다.
= ACT3 =
◆ Travincal (트라빈컬)
트라빈컬의 Counsil Members (카운실멤버들) 친구들이 룬을 잘준다는 소문이 있습니다.
그치만 제 견해로는 룬은 어차피 운빨이라고 봅니다. 그래도 이 친구들이 괜찮은 주얼이나 참,
유니크도 종종 주는 편이기에 잡고 넘어갈 만 하죠.. ㅎ
가는길 : 트라빈컬에서 Durance of Hate (증오의사원) 입구를 지키는 카운실 친구들을 찾으면 됩니다.
◆ Mephisto (메피스토)
가장 유니크를 잘 주는 몬스터로 알고 있습니다. 이놈은 거르지 말고 잡으시는게 좋습니다.
더이상 설명이 필요없는 액트3 보스몬스터. 그외 메피스토주변의 하이카운실도 굿입니다.
가는길 : 증오의사원3층에 있습니다.
= ACT4 =
◆ Hephasto the armorer (헤파스토)
액트4의 헬포지퀘스트의 보스몬스터입니다. 저는 잘 잡지 않으나 종종 좋은걸 준다고 합니다.
가는길 : River of Flame (불길의강)에서 Hadriel (하드리엘)과 반대편쪽에서 헬포지를 찾으시면 됩니다.
◆ Chaos Sanctuary (카오스 생츄어리)
액트4의 최고 앵벌장소죠. 막판 보스 디아까지 차근히 잡아주시면 됩니다.
개인적으로 시간과 아메의 공포때문에 잘 가지는 않습니다. ^^;;
가는길 : 불길의강에서 Hadriel을 지나 계속 가다보면 카오스 생츄어리가 나옵니다.
= ACT5 =
◆ Eldritch the Rectifier (엘드리치 더 렉티파이어), Shenk the Overseer (샌크 디 오버시어)
비교적 가는길이 간편하고 스피디하게 잡을 수 있기때문에 좋습니다.
몬스터레벨자체가 그리 높은편은 아니지만 주얼,참,유니크,레어등 종종 쓸만한 것도
주는편입니다.
가는길 : Frigid Highland (프리지드 하이랜드) 웨이포인트에서 바로 위쪽에 엘드리치,
웨이포인트에서 밑쪽 계단을 내려가면 오버시어가 있습니다.
◆ Abaddon (아바돈)
예전부터 각광받던 앵벌 장소입니다. Hell witch (헬 윗치)와 Demon Imp (데몬임프)
들이 상당수 나오며 등장 몬스터렙이 80이상입니다.
가는길 : 프리지드 하이랜드 어딘가 존재하는 빨간포털(아바돈포털)을 찾으시면 됩니다.
포털위치는 랜덤으로 바뀝니다.
◆ 고급아이템을 주는 4인방유니크몬스터
윈포,할배등 고급템을 주는 확률이 상당히 높은 몬스터입니다. 하지만 가는길이 험해
가장 쉬운 핀들스킨(핀도리)가 학살의 대상이 되고 있지요.
Thresh Socket (쓰레쉬 소켓)
아리앗 고원 맨끝 Crystalline passage 동굴 앞에 상자를 등에 지고 다니는 놈을 찾으시면 됩니다.
Pindle Skin (핀들스킨)
앤냐가 열어주는 Nihlathak's Temple (닐라탁의 사원) 포털로 들어가서 Halls of Anguish 입구에
있습니다.
Frozenstein (프로즌스타인)
앤냐 퀘스트를 해보신분들은 다 보셨을겁니다. 앤냐를 지키고있는 털복숭이중의 대장입니다.
Crystalline passage에서 Frozen River로 가시면 됩니다.
Snapchip Shatter (스냅칩 셰터)
생소한 놈일 겁니다. The Ancients' Way (고대인의길)에서 Icy Cellar (아이시 셀라)로 가신 후
보물상자를 지키고 있는 놈을 찾으시면 됩니다.
◆ Nihlatak (닐라탁)
Key of Destruction (파괴의 키)와 더불어 참,주얼,유니크등을 뱉어내는 놈입니다.
닐라탁의 시폭과 주변의 가래침뱉는 뱀만 조심하시면 됩니다.
가는길 : 닐라탁사원->Halls of Pain (홀스옵페인)->Halls of Vaught (홀스옵보트)로 가시면 4갈래길중 한군데 있습니다.
◆ Baal, Minions of Baal (바알과 그 미니언들)
Throne of Destruction 에서 만나실 수 있습니다..
이놈들도 설명불필요
가는길 : Worldstone Keep (월드스톤 키퍼) 3층에서 쓰론오브디스트럭션을 찾으시면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