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12포트에 대해...
분류
디아관련
조회 수
4,468
추천 수
13
원래 올리려고 했는데, 먼저 올리신분이 계시군요.
그래도 나름 좀 더 추가된 내용이 있으니 올려봅니다.
먼저 6112포트 상태를 보기위해 아래의 내용을 메모장에 복사후
확장자를 bat이나 cmd(ex : uber.bat)로 만듭니다.(4000은 방IP확인시 사용)
---------------------------------------------------------
:loop
cls
@echo on
netstat -n | find "4000"
netstat -n | find "6112"
@echo off
pause
goto loop
---------------------------------------------------------
한번 보여준후 멈추고 키보드를 누르면 새로 나오는데 자동으로 계속 바뀌게 하려면 pause 를 삭제하면되고,
너무 빠르게 바뀌니 pause있던 자리에 핑하나 쏴주면 양호합니다.(예: ping 168.126.0.1)
1.실행전

아무것도 없습니다.
2.로그인전(로그인화면)

아시아1레더 기준으로 211.233.0.XX ESTABLISHED 가 생성됩니다.
원래는 1개만 나와야 하는데, 간혹 스샷처럼 TIME_WAIT 가 몇개 더 나오기도합니다.
잘은 모르지만 정상종료가 아닌 창종료등으로 인해 생기는게 아닌가 추측됩니다.
3.로그인후(캐릭선택화면)

211.233.16.XXX ESTABLISHED 가 하나 생성됩니다.
4. 캐릭터선택(로비화면)

원래는 변화가 없는데, 211.233.0.XX TIME_WAIT가 하나 생겼네요.
5. 방입장(만들기/조인 동일)

211.233.16.XXX ESTABLISHED 가 TIME_WAIT로 바뀌고, 4000포트에 하나 생성됩니다.
덧붙여서 로그아웃하면 211.233.0.XX ESTABLISHED, 211.233.16.XXX ESTABLISHED 모두
TIME_WAIT 상태가 됩니다.
여기서 중요한것은 방을 나오거나 재로그인시 TIME_WAIT가 ESTABLISHED로 바뀌는 것이 아니라 새로 생성되며
TIME_WAIT가 사라지는 시간은 대략 2분정도입니다.
211.233.16.XXX TIME_WAIT 가 많을 수록 짧은 시간에 방을 여러번 만든것이므로
6112포트가 렐따와 직접적인 관계가 있는지는 알수없으나 렐따 위험도를 어느정도 파악할수는 있겠죠.
직접 확인해보진 않았지만 4~5개정도면 위험하다고 하니 1~3개 정도로 유지하는것이 좋을듯합니다.
또한 새로 방만드는 간격을 최소 TIME_WAIT가 사라지는 2분에서 3분이상으로 한다면 렐따 위험도는 최소화될수있겠죠.
(차마 일부러 렐따 걸리도록 테스트해보지는 못하겠더군요.)
그외 비번을 여러번 틀리거나 로그인창을 여러번 접속하는경우 로그인따? 가 생기는데,
이경우는 211.233.0.XX TIME_WAIT 를 확인해보면 될듯합니다.
그리고 캐릭터 선택화면에서 로비화면으로 이동시 6112포트에 변화가 없지만,
짧은 시간에 여러면 반복하면 이것도 렐따가 걸리니 주의하셔야됩니다.
다만 봇등으로 다중접속하는 경우 그 수만큼 생기는것이므로 한시디키로 여러개의 TIME_WAIT가 생기는 것과는
다르지만, 봇수가 증가할수록 시간을 늘려줘야 하므로 영향이 전혀 없다고는 볼수없을꺼같습니다.
예를들어 1개일때 5번째 렐따가 온다면, 여러개일때는 합이 x개 일때 렐따가 온다던지요.
물론 하나의 시디키로 5번째가 생긴경우에는 합이 넘지 않아도 렐따가 오겠죠.
또한 ESTABLISHED, TIME_WAIT 외에도 CLOSE_WAIT와 또한가지를 보긴했지만,
어떤조건에 나타나는지는 모르겠네요.
단지 CLOSE_WAIT 나 다른게 있을때도 정상적으로 동작했었기에 신경은 쓰이지만,
딱히 렐따와 밀접해 보이지는 않더군요.
마지막으로 수동조작시(앵벌/창고정리등)에는 시간이 짧다할때 확인용으로 유용할수 있겠지만,
봇돌릴때는 언제 렐따가 올지 모르고 계속 모니터링 할수도 없기때문에 큰 의미는 없을 듯합니다.
제가 잘못알고있는 점은 알려주시면 수정토록하겠습니다.
이제 좀 있으면 시작하겠군요.
멋진경기가 되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