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팁 게시판

아이템이니 설정방법 - Tip & KnowHow

분류 봇관련 조회 수 9,717 추천 수 34

안녕하세요^^


오늘은 D2NT를 이용한 아이템이니 설정방법 마지막으로 Tip & KnowHow편을 적어볼까 합니다.


 


Tip & KnowHow편아이템이니 변천사자주 묻는 질문, 그리고 몇가지 팁을 위주로 알려드릴건데요~


잘 보시고 여러분들도 아이템이니 만드는 방법에 대해 고수가 되시길 바랍니다ㅋ


 


 


 


1. 아이템이니 기호 변천사


 


1) 28차 이하 버전 : 28차 이하버전에서의 기호는 %, ^, @, $ 네가지 입니다.


※ 28차에서만 각 기호들의 쓰임새와 예문을 쓰고, 이후버전에선 바뀐점이나 새 기호에 대해서만 설명합니다.


 


% : 보관할 아이템의 개수(이하)를 설정할때 쓰는 기호입니다.


※ 참고 : #이 있을땐 #뒤 제일 끝에 설정해야 하며 @보단 앞에 와야 합니다.


예1) [Name] == FlawlessSkull %3 -> 상급해골을 3개까지 보관합니다.


예2) [Type] == Ring && [Quality] == Unique # [ItemMaxManaPercent] >= 25 %5 @


-> 조던링을 큐빙용으로 5개까지 보관합니다.


 


$ : 보관할 아이템의 개수(이상)을 설정할때 쓰는 기호입니다.


※ 참고 : ^를 설정했을때는 ^의 오른쪽 끝에 설정하며, %와 $를 같이 설정할 수 없습니다.


※ 주의 : 착용아이템, 벨트아이템, 인벤토리에 보관하도록 설정한 아이템 등에는 적용되지 않습니다.


예) [Name] == FlawlessSkull %7 @ ^ [Name] == PerfectSkull $2


-> 퍼해골을 2개 이상 보관중일때 상급해골을 큐빙용으로 7개까지 보관합니다.


 


^ : 특정 아이템을 보관 중일때만 보관할 아이템으로 설정할때 쓰는 기호입니다.


※ 참고


1) #, %, @ 뒤에 설정해야하며 한번만 설정할 수 있습니다.


예) [Name] == FlawlessSkull %3 @ ^ [Name] == PerfectSkull %3 


-> 퍼해골이 3개미만일때 상급해골을 3개까지 큐빙용으로 보관합니다.


2) ^는 한 줄에 여러번 적용할 수 없으며, ^의 오른쪽에 %를 설정했을때 오른쪽 설정이 왼쪽 설정에 포함되면 왼쪽의 개수 설정 %이 제대로 적용되지 않습니다.


 


@ : 큐빙용 아이템을 설정할때 쓰는 기호입니다.


※ 참고1 : #, % 뒤에 쓰이며, @를 설정하면 미확인 아이템은 확인 후에 보관하게 됩니다.


※ 참고2 : 큐빙용으로 설정하면 매니저의 아이템 로그창 및 아이템리스트에 나타나지 않습니다.  


예) [Type] == Ring && [Quality] == Magic @


-> 매직링을 큐빙용으로 보관합니다.(식별후 아이템이니에 보관할 아이템이 아닌경우 큐빙용으로 보관)


 


 


 


2) 29차수정 버전


※ %, $, ^, @는 28차와 동일합니다.


 


["문자열"] : 아이템 옵션에 있는 모든 문자열을 검사할때 쓰입니다.


※ 참고 : 아이템 옵션의 "문자열"에 해당되는 문자열이 있으면 0이상, 없으면 -1이 되며, #의 구분 없이 모든 곳에 설정할 수 있습니다.


예1) ["장착시 17레벨의 메디테이션 오라의 효과 적용"] != -1


 -> 아이템 옵션에 "장착시 17레벨의 메디테이션 오라의 효과 적용"이라는 문자열이 없으면 거짓(있으면 참)입니다.


예2) ["장착시 17레벨의 메디테이션 오라의 효과 적용"] == -1


-> 아이템 옵션에 "장착시 17레벨의 메디테이션 오라의 효과 적용"이라는 문자열이 없으면 참입니다.


예3) ["(어쎄신 전용)"] != -1


-> 아이템 옵션에 "(어쎄신 전용)"이라는 문자열이 없으면 거짓(있으면 참)입니다.


 


 


 


3) 30차수정 버전


※ %, $, ^, @는 28차와 동일하며, ["문자열"]29차와 동일합니다.


 


■ 개선 사항


29차수정에서 ["문자열"]에 %를 설정할 수 없던 문제 수정


 


 


 


4) 31차수정 버전


※ %, $, ^, @는 28차와 동일하며, ["*문자열"]이 추가되었습니다.


 


["*문자열"] : 문자열 앞에 *(숫자) 표시가 가능해졌습니다.


예) ["*메디테이션 오라"] >= 16


-> 아이템 옵션에 "메디테이션 오라"란 문자열과 맨 앞의 숫자가 16이상이면 참


 


 


 


5) 32차 ~ 33수정 버전


※ %, $, ^, @는 28차와 동일하며, ["문자열"]과 ["*문자열"]은 31차와 동일합니다.


※ 주의 : 새 텍스트문서로 아이템이니를 작성할때는 반드시 유니코드로 저장해야하며, 문자열 검사는 바닥에 있는 아이템에는 적용되지 않습니다.


 


■ 개선 사황


(1) ["*문자열"]로 설정할때 앞의 2자리만 검사하던 문제 수정


(2) 길잡이 -> 캐릭터이니 -> 아이템 하단의 nip+ 삭제버튼 추가(이니 수정후 반드시 눌러줘야 적용)


(3) 보관중인 아이템의 개수를 확인하는 옵션 $가 적용되지 않던 문제 수정


 


 


 


6) 34수정 버전


※ 34차수정부터 기호 등 아이템이니의 지각변동이 시작됩니다. 큐빙의 @는 그대로 유지됩니다.


 


■ %와 $를 삭제하고 [Total] 추가 : 보관 중인 아이템 개수 설정이 [Total]로 변경되었습니다.


※ 주의 : ## 뒤에 설정하며, @ 앞에 옵니다.


예) [Type] == Ring && [Quality] == Unique # [ItemMaxManaPercent] >= 25 ## [Total] < 5 @


-> 조던링을 큐빙용으로 최대 5개까지 보관합니다.


 


■ ^를 삭제하고 ^=, ^! 추가 : 특정 아이템을 보관중일때만 보관할 아이템 설정이 ^=, ^!로 변경되었습니다.


※ 주의 : ^=(참)과 ^!(거짓)는 한번만 설정할 수 있으며, ^=과 ^! 오른쪽에 설정하면 적용되지 않습니다.


예) 옵션1 # 옵션1 ## 옵션1 @(적용) ^=(or ^!) 옵션2 # 옵션2 ## 옵션2 @(적용되지 않음)


 


※ 참고1 : 옵션1 ^= 옵션2면 옵션1과 옵션2가 모두 참이며, 옵션1 ^! 옵션2면 옵션2가 거짓이면 옵션1이 참입니다.


예1) [Name] == FlawlessSkull ## [Total] < 0 @ ^= [Name] == PerfectSkull ## [Total] >= 3


-> 퍼해골이 3개 이상이면 상급해골을 큐빙용으로 0개까지 보관합니다.(상급해골을 보관하지 않음)


예2) [Name] == FlawlessSkull ## [Total] < 3 @ ^! [Name] == PerfectSkull ## [Total] < 3


-> 퍼해골이 3개 미만이면 상급해골을 큐빙용으로 3개까지 보관합니다.


 


※ 참고 : 옵션1 ^=(or ^!) 옵션2 ## [Total] > 3에서 옵션2에 설정한 [ToTal]은 옵션2의 설정이 옵션1의 설정에 포함되면 제대로 적용되지 않습니다.


예) [Type] == Ring && [Quality] == Magic ## [Total] < 3 @ ^= [Type] == Ring && [Quality] == Magic # [FireResist] >= 1 ## [Total] < 10 -->> '[Type] == Ring && [Quality] == Magic # [FireResist] >= 1'이 '[Type] == Ring && [Quality] == Magic'에 포함됩니다.


 


■ ["문자열"], ["*문자열"]을 삭제하고 ['문자열'], ['{숫자위치}문자열'] 추가


※ 참고 : ['문자열'], ['{숫자위치}문자열']은 [Keyword]가 적용되지 않는 옵션(오오라등)을 검사할 때 사용됩니다.


 


(1) ['문자열']은 아이템 옵션에 '문자열'에 해당되는 문자열이 있으면 0이상(해당 문자열의 위치), 없으면 -1이 됩니다. 


(2) ['{숫자 위치}문자열']에서 {숫자 위치}는 아이템 옵션의 문자열에서 '{숫자 위치} + 1'번째 숫자를 검사합니다.


예) '20살 갑돌이의 몸무게는 50kg, 키는 170cm입니다.'에 ['{1}갑돌이']를 적용하면 두번째 숫자이므로 50이 됩니다.


 


(3) ['{숫자 위치}문자열']은 아이템 옵션에 '문자열'에 해당되는 문자열{숫자 위치}에 숫자가 있으면 숫자, 없으면 -1이 됩니다. 


(4) ['문자열'], ['{숫자 위치}문자열'] 등은 #의 구분 없이 모든 곳에 설정할 수 있습니다.


 


 


 


7) 35차수정 버전


 


■ 34차에서 사용되었던 ##, [Total], ^=, ^! 등을 삭제하고 ['{Total:방식}아이템 옵션{개수}']가 추가 되었습니다. 보관중인 아이템 개수 검사는 ['{Total:방식}아이템 옵션{개수}']로 바뀌었습니다.


※ 방식 


(1) Keep -> 보관 여부를 확인할 때마다 개수 검사하기 * 줍기, 풀기, 큐빙한 후 보관 여부 등을 확인할 경우 적용


적용방법 : ['{Total:keep}아이템옵션{개수}'] 


(2) Cubing -> 큐빙할 때만 개수 검사하기


적용방법 : ['{Total:Cubing}아이템옵션{개수}'] 


(3) Warehouse -> 창고지기를 이용할 때만 개수 검사하기


적용방법 : ['{Total:Warehouse}아이템옵션{개수}'] 


※ 참고1 : 방식을 여러개 설정할 때는 ,로 분리합니다. 예) ['{Total:Keep,Cubing}아이템옵션{개수}']


※ 참고2 : Total, Keep, Cubing, Warehouse 등은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습니다.


(4) 실제 적용방법


예1) [Name] == Ruby # ['{total:keep}[Name] == Ruby{< 3}']


-> 루비를 3개까지 보관합니다.


예2) [Name] == Ruby # ['{total:keep}[Name] == Ruby{< 3}'] @


-> 루비를 큐빙용으로 3개까지 보관합니다.


예3) [Name] == FlawlessRuby # ['{total:keep}[Name] == FlawlessRuby{< 3}'] && ['{total:keep}[Name] == PerfectRuby{< 1}'] @


-> 퍼루비가 1개미만일때 상급루비를 3개까지 큐빙용으로 보관합니다.


예4) [Name] == Ruby # ['{total:keep}[Name] == Ruby{< 1}'] && ['{total:keep}[Name] == GulRune{>= 2}'] @


-> 굴룬이 2개 이상일때 루비를 큐빙용으로 1개까지 보관합니다.


 


■ 문자열 검사 옵션인  ['문자열'], ['{숫자위치}문자열']는 34차와 동일합니다.


 


 


 


 


8) 36차수정 버전


※ 문자열 관련하여 몇가지가 보완되었으며,  문자열 안의 @ 오류가 수정되었습니다. 나머지는 35차와 동일합니다.


 


■ ? 추가 : ['{Total:keep}아이템옵션{개수}'] 에서 아이템옵션을 ?로 설정하면 ['{Total:keep}아이템옵션{개수}'] 보다 앞에 있는 설정으로 대체됩니다.


예) [Name] == Skull # ['{Total:Keep}[Name] == Skull{< 3}']


 -> [Name] == Skull # ['{Total:Keep}?{< 3}']와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Total:keep}아이템옵션 @{개수}'] @ 와 같이 @가 두개 있을 경우 아이템옵션 뒤의 @를 큐빙으로 인식하지 않고 아이템옵션으로 인식했던 오류가 수정되었습니다.


예) [Type] == Jewel # ['{Total:Keep}[Type] == Jewel @{< 1}'] @


-> 35차에서는 오류로 인식, 36차에선 정상적으로 인식


 


 


 


 


2. 아이템이니 설정 Tip & KnowHow & 자주 묻는 질문


※ 35차수정 기준이며 글 작성 이후에도 생각나는 것이 있으면 꾸준히 추가하겠습니다.


 


■ 여러줄? 한줄?


 


통찰력 이니를 예로 들어봅시다.


[Name] == Thresher && [Quality] == normal && [Flag] == ethereal # [Sockets] == 4


[Name] == CrypticAxe && [Quality] == normal && [Flag] == ethereal # [Sockets] == 4


[Name] == GiantThresher && [Quality] == normal && [Flag] == ethereal # [Sockets] == 4


[Name] == GreatPoleaxe && [Quality] == normal && [Flag] == ethereal # [Sockets] == 4


[Name] == ColossusVoulge && [Quality] == normal && [Flag] == ethereal # [Sockets] == 4


 


위처럼 여러줄로 표현하는 방법도 있지만... 비교문구를 이용하여 한줄로 표현할 수도 있습니다.


([Name] == Thresher || [Name] == CrypticAxe || [Name] == GiantThresher || [Name] == GreatPoleaxe || [Name] == ColossusVoulge) && [Quality] == normal && [Flag] == ethereal # [Sockets] == 4 //


 


위처럼 일일히 이름을 나열할 수도 있지만.. [Type] 키워드를 이용하면 더욱 간결해집니다.


[Type] == polearm && [Class] == elite && [Name] != ogreaxe && [Quality] == normal && [Flag] == ethereal # [Sockets] == 4


※ 에테 엘리트 폴암중 오우거액스는 통찰력 재료가 아니므로 제외시켰습니다.


 


 


 


MyCubing.nip은 반드시 있어야 한다?


 


실전편에도 썼던 내용이지만 사용하는 이니폴더에 nip파일이 여러개인것은 눈으로 보기 쉽고, 수정하기 쉽도록 분류를 해놓은 것일뿐 하나의 파일로 합쳐도 상관없습니다.


MyCubing.nip도 마찬가지로 큐빙에 관련된 이니를 따로 만들어 쉽게 보기 위함이기 때문에 없어도 상관은 없습니다.


 


 


 


■ 아이템이니를 여러개 쓰면 각 이니별로 설정된 모든 아이템은 다 줍는다?


 


결론적으로 말씀드리면 '그렇지 않다'입니다.


샤코를 예를 들어 말씀드려보겠습니다.


4개의 이니를 같이 쓰고 있고 각 이니의 유니크파일에 아래와 같이 각각 있다고 가정해봅시다.


 


(1) [Name] == Shako && [Quality] == Unique


(2) [Name] == Shako && [Quality] == Unique # [Defense] >= 130


(3) [Name] == Shako && [Quality] == Unique # [Defense] >= 141


(4) [Name] == Shako && [Quality] == Unique && [Flag] == ethereal # [Defense] >= 211


 


각기 다른 조건의 이니입니다. 그럼 4개를 다 줏을까요? 결론은 (1)의 유닉 샤코면 다 줍게 됩니다.


왜냐~ (2),(3),(4)의 조건이 (1)의 조건에 포함되기 때문이죠.


 


쉽게 이렇게 생각하면 됩니다. 같은 이니일 경우 가장 짧은 문장의 이니를 따르게 된다^^


 


큐빙이니도 마찬가지입니다.


[Name] == PerfectRuby


[Name] == PerfectRuby @


 


이렇게 두개가 있다고 하면 문장이 짧은것이 [Name] == PerfectRuby죠?


따라서 [Name] == PerfectRuby @는 무시됩니다.


 


 


 


■ 자동사냥을 하다가 갑자기 멈춘 후 동작하지 않습니다.(일명 멍때림)


 


여러가지 증상으로 멈출 수 있지만 우선 메세지창 보기인 M을 눌러줍니다.


그런 후 C:\............\scripts\libs\common\MyPick.ntl(...) : SynTax error 라는 빨간색 줄이 있다면 100% 아이템이니쪽 에러입니다.


 


에러가 났을 경우 Pause/Break 를 누르게되면 엔티봇이 종료되고 한번 더 Pause/Break를 누르면 엔티봇이 재시작하게 됩니다. 이때 PageUp 버튼을 누르면 진입점이 AutoItem으로 바뀌게 됩니다.


(화면상에선 날아다녀의 오토아이템 세계에 오신걸 환영합니다.. 이 비슷한 메세지가 나옵니다.)


그런 후 키보드 알파벳 위의 숫자 0을 누르면 아이템이니 검사를 하게되고, 메세지창을 보시고 경로와 라인을 찾아 잘못된 부분을 수정하신 뒤 저장하시고 길잡이 -> 캐릭터이니 -> 아이템 탭에서 nip+ 삭제 버튼을 누르시고 봇을 재시작 하거나 새로운 방을 만드시면 수정된 사항이 적용됩니다.


 


 


 


■ 제대로 수정을 하였는데 실제로 들어가서 사냥하면 수정된 사항이 반영되지 않습니다.


 


위의 경우는 3가지로 압축될 수 있습니다.


 


1) 아이템이니를 수정하신 뒤 nip+ 삭제 버튼을 누르지 않았을때 위와 같은 현상이 나타납니다.


반드시 길잡이에서 nip+ 삭제버튼을 누르시거나 \scripts\NTBot\item_configs\Optimization 폴더에서 Optimization_삭제하기.bat를 눌러주시고 봇을 재시작하거나 새로 방을 만들면 정상적으로 작동합니다.


 


2) 진입점이 자동사냥(NTAutoHunt.ntj)이 아닌 오토무브(NTAutoMove.ntj)일 경우에 그럴 수 있습니다.


길잡이 -> 캐릭터이니를 보시면 AutoHunt, AutoMove, AutoItem 이 세가지가 있습니다.


이 세가지 다 각각 아이템이니를 따로 설정하셔야 하는데 보통 AutoHunt만 아이템이니를 설정하고 나머지 2개에 대해서는 설정 안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이런 현상이 생기죠. 모두 동일한 아이템이니로 설정하시면 증상이 없어질 수 있습니다.


 


3) 아이템이니 검사를 했는데, 분명히 수정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계속 같은 에러가 나는 경우에 그럴 수 있습니다.


이는 AutoHunt의 아이템이니와 길잡이 -> AutoItem에서의 아이템이니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아이템이니 검사AutoItem에서 아이템이니 -> 검사할 아이템이니에 등록된 이니를 검사합니다.


AutoHunt와 AutoItem의 아이템이니를 동일하게 등록시키시면 해당 증상이 사라집니다.


 


 


 


■ nip+ 삭제 버튼이 계속 빨간색으로 활성화가 됩니다. 계속 눌러줘야 하나요?


 


nip+ 삭제 버튼아이템이니를 최적화시켜 랙을 줄여주는 역활을 하게 됩니다.


실제로 봇을 몇마리 안돌릴 때는 크게 느끼질 못하지만, 수십~수백봇을 돌리는 사람에게는 효과가 아주 크다고 합니다.


 


아이템이니를 수정할때도 nip+ 삭제버튼이 빨갛게 활성화 되지만, 새로운 방을 만들고 사냥을 시작해도 활성화가 되기 때문에 일일히 버튼을 누르실 필요는 없습니다.


 


 


 


■ 아이템이니를 보면 //가 있는데 무슨 기호인가요?


 


아이템이니를 유심히 살펴보시면 //가 자주 등장합니다.


//는 주석을 넣을 때 사용하는 기호로 //뒤의 내용은 봇이 알아보지 못합니다. 


즉... 아이템이니를 작성하고 부연설명을 하거나 해당 라인을 숨기고 싶을때 이니 뒤에 //를 넣고 한글 또는 영어로 설명을 하시면 됩니다.


 


예1) [Name] == Thresher && [Quality] == normal && [Flag] == ethereal # [Sockets] == 4 // 통찰재료(쓰레셔) -> 이렇게 쓰면 // 뒤에 통찰재료(쓰레셔)는 봇이 인식하지 않습니다.


예2) //[Name] == Thresher && [Quality] == normal && [Flag] == ethereal # [Sockets] == 4


-> 이렇게 하면 해당 라인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흔히 주석처리를 한다라고 말합니다.


 


 


 


■ 이전 버전의 아이템이니를 그대로 옮겨왔는데 이상하게 노멀or매직 액스류를 자꾸 줍습니다.


 


위의 버전별 아이템이니 기호 변천사를 보시면 아시겠지만.. 각 버전별로 개수 지정방식이 많이 바뀌었습니다.


바뀐 개수 지정 기호를 사용하지 않고 이전버전의 기호를 사용하게 되면 우리 눈에는 정상적으로 보일지 모르지만


봇이 볼때는 그게 매직액스로 보이게 됩니다.


따라서 각 차수별로 바뀐 기호를 숙지하시고 해당 기호를 쓰면 문제가 해결됩니다.


 


 


 


■ 아이템을 줏었는데 매니저의 아이템로그창에 나타나질 않습니다.


 


매니저의 아이템로그창에 보관한 아이템이 나타나지 않는 현상은 크게 두가지로 압축됩니다.


 


1) 큐빙용으로 설정된 아이템일 경우 매니저의 아이템 로그창에 나타나지 않습니다.


2) 길잡이 -> AutoHunt -> 캐릭터이니 로드 -> 아이템 -> 로그 -> 보관용 아이템 탭에서 '아이템 로그를 만들지 않을 아이템 목록'에 해당 아이템이 있을 경우 나타나지 않습니다. 이런 경우라면 체크를 해제하시면 됩니다.


 


 


 


자~ 이렇게 아이템이니 설정방법의 마지막을 장식하게 되었습니다.


제일 위에 말씀드렸드시 이 글은 앞으로도 수시로 업데이트 될 예정입니다.


제가 빠뜨린 부분이나 수정되거나 추가할 부분이 있다면 알려주세요. 업데이트에 반영하겠습니다^^


 


 

댓글28
  • 깨몽돌 2013.09.14 17:31
    잘보았습니다. 그런데 타입형이니에서 궁금한게 [Type] == polearm && [Class] == elite && [Name] != ogreaxe && [Quality] == normal && [Flag] == ethereal # [Sockets] == 4 && [Name] != ogreaxe <= 요게 필요한지요? 어차피 오우거액스가 4솟이 드롭될리가 없으니 굳이 적지 않아도 되지않을까요? 화이트 재료에도 1솟만 있는 완드를 제외시킨 이니를 보았을 때도 들었던 궁금증입니다.
  • 라니 2013.09.14 20:39
    깨몽돌님 // 오우거액스의 최대소켓은 3솟이 맞습니다.(예리하시군요ㅎㅎ) 위 이니에서 말씀드리고자 한 부분은 엘리트 폴암 중 오우거액스도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제외시키라는 뜻에서 적어놓은거에요^^ 만약 큐빙용 재료이니에 위의 식을 대입하면 [Type] == polearm && [Class] == elite && [Name] != ogreaxe && [Quality] == normal && [Flag] == ethereal # [Sockets] == 0 @ 이렇게 써야하는데 이때 오우거액스는 제외시켜야겠죠^^
  • 카인 2013.09.15 00:28
    제가 복귀하고 35차였기에 35차에 익숙해지고 보니 참 재미 있네요 아이템 이니란게 어차피 자기가 구하고 싶은 아이템을 나열한다고 할때, 라니님 말처럼 사람마다 다르기에 아이템이니 수정방법은 꼭 알고 있어야된다고 생각합니다. 봇에 초보분이라면 라니님 글을 정독하시면 자기가 구하고자 하는 모든 아이템을 표현할수 있을겁니다. 너무 어렵게 생각하지 말고, 자신에게 편하게 적으세요. ([Name] >= Thresher && [Name] <= GiantThresher) && [Quality] == normal && [Flag] == ethereal # [Sockets] == 0 이렇게 간단하게도 있지만 [Name] == Thresher && [Quality] == normal && [Flag] == ethereal # [Sockets] == 0 [Name] == CrypticAxe && [Quality] == normal && [Flag] == ethereal # [Sockets] == 0 [Name] == GiantThresher && [Quality] == normal && [Flag] == ethereal # [Sockets] == 0 [Name] == GreatPoleaxe && [Quality] == normal && [Flag] == ethereal # [Sockets] == 0 이렇게 길게 적는다고 문제될건 없습니다.
  • ♡라임♡ 2013.09.15 02:15
    라니님 덕분에 많이 배우고 갑니다. 고맙습니다.
  • 수린효린[아빠] 2013.09.16 09:05
    라니님~ 긴글 정리해서 올려주시는라 고생 많으셨네요~ 좋은 글 감사드립니다~
  • 테이크아웃 2013.09.17 10:44
    라니 님/ 덕분에 세세하게 배우고 알아가고 있습니다.. 고맙습니다^^
  • 킬마크 2013.09.20 06:38
    와~ 정말 좋은 강좌입니다. 그런데 케릭터이니 ----> 아이템탭에서 nip삭제라고 하셨는데 제가 26차를 쓰고있는데 nip삭제 버튼을 찾을수가 없네요. 원래 26차에는 없는건지요?
  • 막타 2013.09.20 11:35
    킬마크 님// 26차에서는 Nip + 삭제가 없을겁니다. 26차시면 아이템이니를 수정하신후에 저장만 하시고 그냥 쓰셔도 될겁니다. ^^
  • 킬마크 2013.09.20 15:57
    막타//막타님 고맙습니다. 강좌 볼때마다 궁금했었는데 속시원하게 해결해 주셨네요. 즐거운 한가위 명절연휴 보내세요. ^^
  • 태무진 2013.09.22 08:47
    설명과 함께 이니 변천사가 한눈에 쏙 들어 오네요.. 그간 보다 좋은 환경을 위해 수고해주신 제작자분들과, 여러 테스터분들께 감사의 마음이 다시 한번 더 듭니다.. 짧지 않은 설명 정리 해주신점 감사 드립니다..
  • 박은빈 2013.09.24 16:05
    강좌감사해요. 최신버전은 이니설정때문에 못쓰고있었는데 날잡아서 한번 갈아타봐야겠습니다~
  • 옴마니 2013.10.17 15:28
    본문을 읽으면 이해가 될 것 같으면서도 막상 이니를 열어놓으면 전부 고대갑골문자처럼만 보입니다.... 그래서 한 가지만 요청하고 싶습니다. 제 알바들이 지금껏 에테갑옷을 한번도 줏어온 적이 없습니다. 제 이니는 이렇게 돼있구요 // ##### Armor ######################### [Name] == MagePlate && [Quality] == superior && [Flag] != ethereal # ([Sockets] == 0 || [Sockets] == 3) && [EnhancedDefense] >= 15 // Enigma [Type] == armor && [Class] == elite && [Quality] == superior && [Flag] != ethereal # ([Sockets] == 0 || [Sockets] >= 3) && [EnhancedDefense] >= 15 // Variable //[Name] == SacredArmor && [Quality] == normal # [Defense] >= 880 && [Sockets] == 0 // Cubing [Type] == armor && [Quality] == normal # [Defense] >= 1200 && [Sockets] >= 3 // Variable 혹시 설정에 문제가 있는 건지 검토해주시면 정말 고맙겠습니다.
  • 라니 2013.10.17 17:44
    옴마니 // 위의 이니들은 에테갑옷이 아닌것들만 줍게 설정되어 있습니다. [Flag] != ethereal -> 에테가 아닌것 [Flag] == ethereal -> 에테인 것 각 갑옷별로 디펜의 수치가 다르기 때문에 갑옷종류별로 각자 방어를 지정해서 이니를 작성하셔야 합니다. 아래 디펜 수치와 세이크 갑옷 예를 참고하셔서 직접 작성해보세요. 더스크슈라우드◇에테디펜(541.5 ~ 700.5)벅큐빙후 (812.25 ~ 1050.75) 스톤작 (4097.93) 인내작(3152.25) 와이엄하이드◇에테디펜(546 ~ 705) 벅큐빙후 (819 ~ 1057.5) 스톤작(4124.25) 인내작(3172.50) 스캐럽허스크◇에테디펜(553.5 ~ 711) 벅큐빙후 (830.25 ~ 1066.5) 스톤작 (4159.35) 인내작(3199.50) 와이어플리스◇에테디펜(562.5 ~ 721.5) 벅큐빙후 (843.75 ~ 1082.25) 스톤작(4220.78) 인내작(3246.75) 다이아몬드메일◇에테디펜(574.5 ~ 733.5) 벅큐빙후 (861.75 ~ 1100.25) 스톤작(4290.98) 인내작(3300.75) 로리케이티드◇에테디펜(585 ~ 744) 벅큐빙후 (877.5 ~ 1116) 스톤작(4352.4) 인내작(3348) 그레이트허버크◇에테디펜(592.5 ~ 751.5) 벅큐빙후(888.75 ~ 1127.25) 스톤작(4396.28) 인내작(3381.75) 본위브◇에테디펜(598.5 ~ 757.5) 벅큐빙후(897.75 ~ 1136.25) 스톤작(4431.38) 인내작(3408.75) 발록스킨◇에테디펜(615 ~ 775.5) 벅큐빙후(922.5 ~ 1163.25) 스톤작(4536.68) 인내작(3489.75) 아칸플레이트◇에테디펜(615 ~ 786) 벅큐빙후(922.5 ~ 1179) 스톤작(4598.1) 인내작(3537) 크라켄쉘◇에테디펜(625.5 ~ 784.5) 벅큐빙후(938.25 ~ 1176.75) 스톤작(4589.33) 인내작(3530.25) 헬포지플레이트◇에테디펜(631.5 ~ 795) 벅큐빙후(947.25 ~ 1192.5) 스톤작(4650.75) 인내작(3577.50) 레커드플레이트◇에테디펜(649.5 ~ 811.5) 벅큐빙후(974.25 ~ 1217.25) 스톤작(4747.28) 인내작(3651.75) 쉐도우플레이트◇에테디펜(669 ~ 835.5) 벅큐빙후(1003.5 ~ 1253.25) 스톤작(4887.68) 인내작(3759.75) 세이크리드아머◇에테디펜(730.5 ~ 900) 벅큐빙후(1095.75 ~ 1350) 스톤작 (5265) 인내작(4050) [Name] == SacredArmor && [Quality] == normal && [Flag] == ethereal # [Defense] >= 890 && [Sockets] == 0 해석) 방어가 890이상이고 0소켓인 에테 노멀 세이크갑옷
  • 노땅바바 2013.10.17 17:49
    라니님 오랜 만에 문안 인사 드립니다~ 항상 건강하시고 좋은일만 가득 하세요~ 옴마니님 에테 갑옷은 큐빙 때문에 주워 큐빙 하도록 큐빙이니에 포함 되 있을수도 있습니다 사용하시는 큐빙 이니에도 에테갑옷이 있는지 확인해 보세요
  • 옴마니 2013.10.17 18:54
    라니님 노땅바바님 두 분 모두 감사합니다. 라니// 그렇군요. 그러니까 에테를 안줏어와서....용병들 인내를 하나도 못만들어줬네요 ㅠㅠ 노땅바바// 제가 큐빙은 뭔가 복잡해서 이니에서 아에 빼버렸습니다...그래도 확인해보니 크래프트에 아머부분은 전혀 없네요.
  • 옴마니 2013.10.17 18:57
    라니님이 해주신 예문을 응용해서 아래와같이 이니를 만들어봤습니다. 한번 더 검토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Name] == SacredArmor && [Quality] == normal && [Flag] == ethereal # [Defense] >= 890 && [Sockets] == 0 [Name] == hellforge plate && [Quality] == normal && [Flag] == ethereal # [Defense] >= 890 && [Sockets] == 0 [Name] == SacredArmor && [Quality] == normal && [Flag] == ethereal # [Defense] >= 890 && [Sockets] == 0 [Name] == BalrogSkin && [Quality] == normal && [Flag] == ethereal # [Defense] >= 890 && [Sockets] == 0 [Name] == LacqueredPlate && [Quality] == normal && [Flag] == ethereal # [Defense] >= 890 && [Sockets] == 0 [Name] == ShadowPlate && && [Quality] == normal && [Flag] == ethereal # [Defense] >= 890 && [Sockets] == 0 [Name] == KrakenShell && [Quality] == normal && [Flag] == ethereal # [Defense] >= 890 && [Sockets] == 0
  • 라니 2013.10.18 00:23
    옴마니 // 위의 제가 달아드린 댓글에 각 갑옷의 에테 방어를 적어드렸습니다. 그걸 참고하셔서 적으셔야지... 그냥 다 같이 적으시면 안되죠 ㅋ 세이크 갑옷은 위에 보시면 디펜 변화가 730.5 ~ 900 이라고 나와 있습니다. 소수점은 다 버리므로 730 ~ 900 사이에서 적으셔야 되요. 다른 갑옷들도 마찬가지입니다. 각 에테 디펜 변화에 따라 [Defense] >= xxx(디펜수치)를 적어주시면 됩니다. 다른건 맞게 잘 적으셨어요.
  • 옴마니 2013.10.18 09:16
    라니님...드디어, 마침내, 결국....에테 갑옷을 알바가 물어왔네요. 라니님 덕분에 이제 헐벗고 자주 죽는 애들에게 스톤이라도 만들어줄 수 있게 됐습니다...감사합니다 ^^ 그리고 이니는 저렇게 쓰고는 막상 이니로 옮길 때 조금 수정했습니다. 뭘 알고 한 건 아니고.... 혹시나 너무 높으면 물어오지 않을까봐 하는 노파심에서...ㅎㅎ 소심함이 오류를 막아준 셈인가요? ㅋ
  • 아낙문 2013.10.22 01:50
    ■ 아이템이니를 여러개 쓰면 각 이니별로 설정된 모든 아이템은 다 줍는다? 결론은 그렇지 않다라고 말씀하셨는데, 설명의 내용을 보면 결국 4가지 이니에 있는 아이템은 모두 줍게 되는 결과가 되어, "다 줍는다"라고 해도 맞는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즉, 4가지 조건에 걸리는 아이템은 독립적으로 이니의 조건을 충족하기 때문에 걸리는 족족 줍게 되므로 다 줍는다가 아닌지요? 살그머니 질문 드려 봅니다. 고맙습니다.
  • 카인 2013.10.23 04:40
    아낙문 님// 이니체크를 해보면 당연히 조건이 충족하면 모두 줍게 됩니다. 그러나 라니 님이 적은 글처럼 큐빙이니일 경우, [Name] == PerfectRuby [Name] == PerfectRuby # ['{Total:Keep}[Name] == PerfectRuby{< 1}'] @ 이런 경우, 1개를 줍을까요? 아님 무한정 줍게 될까요? 이런 문제에서 원칙이 있다면 쉽게 구분 가능하겠지요? 바로 < 같은 이니일 경우 가장 짧은 문장의 이니를 따르게 된다 >라는 라니님 글을 참고하면 쉽게 무한정 줍게 될거라는 걸 예상할 수 있죠
  • 아낙문 2013.10.26 01:18
    카인 님// 네. 잘 알겠습니다. 항상 어떤 기준을 가지고 들여다 보면 쉬울 때가 많이 있죠. 시스템을 알고 3 쿠션을 칠 때와 그렇지 않을 때는 설사 시스템을 잘 이용하지 않더라도 기준을 삼을 수는 있는 것 처럼요^^ 고맙습니다.
  • Katoma 2015.08.23 06:06
    많이 알아갑니다!!
  • wasavy 2015.10.22 22:17
    룬을 만약에 3개를 섞어서 상위룬이 나온다면 4개일때만 큐빙을 하고싶은데요(큐빙을 하고나서 그 전단계의 룬도 보관하고 싶은..) 그런건 어떻게 해야하나요. 그게 딱 4개만 줍겠다 말고 그냥 1개 남겨놓고 계속 큐빙하고 싶다는 의미라면 어떻게 써야할까요?
  • 속고사냐 2016.06.22 12:59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아이템이니 오류떄문에 안되던거 해결했습니다 ^^
  • androly 2017.09.07 20:12
    배우고 갑니다~
  • 왁스 2019.08.28 15:17
    좋은 정보 입니다
  • 한푸른미소 2019.11.06 15:24
    감사합니다~~
  • 협객구마적 2019.12.17 17:33
    감사합니다

팁 게시판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게시판 푸시 알림 / 통합 앱 서비스 31 file 트디개발자 2023.09.20 831.5k
공지 디아관련 에테리얼 벅큐빙 표 219 eunnanoDiablo™ 2008.03.05 140.3k
공지 디아관련 케릭별 갑옷 착용 모습 325 수린[아빠] 2009.06.09 111.4k
공지 디아관련 디아블로 각종 팁과 정보 간추림 입니다 (_ _) 1547 조은아저씨 2010.05.24 211.6k
공지 봇관련 유니크 업글 표 366 file 카인 2013.11.02 412.9k
956 봇관련 유니크 업글 표 366 file 카인 2013.11.02 412.9k
955 봇관련 AutoItem으로 창고 정리하기 17 file 물빛나래 2013.10.24 6.8k
954 봇관련 (아이템이니/내구무기/소서설정)오리지날 봇 사용자를 위한 각종 정보(update131023) 30 file 카인 2013.10.23 4.4k
953 봇관련 카우킹 먼저잡기 활용 카우-디아-바알런 렙업방 설정 간단 안내서 19 노땅바바 2013.10.13 5.0k
952 봇관련 KT회선 팁 4 굽신굽신1 2013.10.11 4.8k
951 봇관련 36차 장기봇 활용하기 (update130923)+2차 12 file 카인 2013.09.21 7.1k
> 봇관련 아이템이니 설정방법 - Tip & KnowHow 28 라니 2013.09.14 9.7k
949 봇관련 아이템이니 설정방법 - 실전편 21 라니 2013.09.10 6.4k
948 봇관련 아이템이니 설정방법 - 기본편 17 라니 2013.09.10 8.2k
947 봇관련 초보자용 36차 테스트 버젼 확장 반자동버스 간단 설명서 입니다 25 노땅바바 2013.09.08 5.8k
946 봇관련 조넥(조폭네크, 소환네크)의 공격스킬을 길잡이에 설정해보자. 15 file 깨몽돌 2013.08.15 10.4k
945 봇관련 35차 이후 * Tip.매니저/로그 서식 (매니저 샷 /치킨로그 서식 추가) 12 file 노을s 2013.07.26 3.1k
944 봇관련 암호 없는 방만들기 피하는 허접 & 간단한 팁 10 file 깨몽돌 2013.07.18 3.3k
943 봇관련 죄송합니다 .. 이미 다른 버전이니에 있었네요 (함성칼) 18 Gods_자서전 2013.07.08 3.1k
942 봇관련 봇 치킨 줄이기 팁 9 file s1sdg 2013.06.24 5.0k
941 봇관련 D2NT 오리 디아런 팁 26 흰여울 2013.06.20 5.3k
940 봇관련 레더 리셋시 레드벡스(RedVex)를 이용해서 맨땅에서 랩업을 해보자(무작정 따라하기) 133 file 라니 2013.05.24 8.5k
939 봇관련 봇 돌리시면서 편하게 이니검사해보세요.. 18 file 9년만에복귀 2013.04.02 5.0k
938 봇관련 창고지기 대표계정 여러개 설정 ... 을 잘 이용하시는 방법입니다. 11 9년만에복귀 2013.03.15 8.0k
937 봇관련 35차 이니에서 수량지정 방법입니다... 18 9년만에복귀 2013.03.13 4.7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