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레저렉션 뉴스/정보

나는 정밥이다!

게시판 바바리안 육성/정보 조회 수 20,243 추천 수 2
퇴근 전에 정밥에 대해서 궁금하신 부분을 살짝이나마 긁어드리고자 무거운 write 버튼을 눌렀습니다만 역시 글로 쓰려니 부담스럽네요.

많은 토론도 혹시 생길 수 있으나 제가 산술 계산까지는 여력이 안되고 경험담으로 넘어가겠습니다. 식견있으신 분들이 좋은 의견 주셨음 좋겠습니다.


1. 정밥이란???
정밥은 정통 바바리안의 준말입니다.
동족전 중 질딘과 더불어 가장 돈잡아먹는? 기계고 반대로 가장 단순한? 컨트롤입니다.
그냥 우선 돌고 보는거죠. 그 우선 돌고 보는 자세한 설명은 아래 드리겠습니다.
도는 기술을 우리는 훨윈드라고 합니다.


2. 스킬
가장 쉬운것 부터 언급해야 가장 머리가 덜 아프실 듯 합니다.
1) 마스터 - 언급하는 순서대로 마스터 다 하시면 됩니다.
훨윈드 / 무기마스터리 / 베틀오더스 / 샤우트 / 아이언스킨
2) 1스킬
베틀커멘드 / 달려 / 레지 (요기까지 99랩 마스터입니다.)

요긴 어짜피 정형화 되서 더 이견이 없습니다. 구지 타격을 먼저 올리는 이유는 그래도 랩업은 해야 하는 거니까요. 순전한 사냥 목적입니다.

최소 정밥에 뛰어드시려면 마스터 중에 샤우트까진 하시고 아이언 스킨을 어느정도 찍는 90랩부터 해보시길 권장합니다. (하루면 90랩은 올리죠..그후로부터가 괴롭죠.)


3. 스텟
전 머리 아픈거 싫어합니다. 스텟은 아이템에 무슨 주얼을 박냐 참을 무엇을 끼느냐 모 이런 문제를 결부시켜야 하는데 그건 아이템 란에서 자세히 할께요.

힘 - 세크 인내(232)를 입을때까지 (1힘 = 1증뎀)
민첩 - 유닉 모넉을 들어서 블럭율 (~로 부터 공격 저지 성공율)을 75%가 딱 맞을때까지
생명 - 남은 스텟 전부 (1생명 = 4피)
에너지 - 1개도 찍지 마세요.

부가 설명하자면 민첩 찍을때 블럭율은 랩이 오를수록 더 많은 민첩을 요구합니다. 보통 75%유지하고 있다고 하시면 1랩이 오를때마다 2민첩씩 주셔야 한다고 알고 계시면 되겠습니다. 랩마다 좀 틀립니다만은...


4. 아이템
자...길고도 긴 아이템 시간이 왔네요.
우선 아이템은 볼것 없이 지존셋팅으로 언급하고 거기서부터 줄여나가는 개념으로 가면 좋을 듯 합니다. 그리고 보편타당하게요.

1)머리 - 업슬가: 디펜 504
2)갑옷 - 세크인내: 렙당 피 1.5증가 / 총디펜 1908 / 30올레지...나머진 고정옵입니다.
3)무기 - 깊은 고뇌: 40공속 400추뎀 15%증가된 데미지 3어레 25% 포레깍기 15 마나킬
4)링 - 두개 다 엔젤링(일명 쌍엔젤)
5)아뮬 - 엔젤 아뮬
6)벨트 - 미스틸코일 40바이탈 / 15%뎀감 / 13라회
7)장갑 - 오우거장갑 60증뎀 / 10강타 / 20힘 / 210%방어상승
8)신발 - 업글된 고어부츠 (위르미톤) 200% 방상 213 디펜
9)방패 - 유닉 모넉 (스톰쉴드) / 디펜은 랩당 변동옵입니다. 랩1일때 151이 만땅입니다.
0)스왑 - 2솟 3함성칼 2자루 (2솟에 팔룬작 해줍니다. 총 40힘 증가)

여기서 4),5).8),0)은 고정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8)은 디펜 변동만 있으니 무조건 젤 좋은거 끼시고 앞으로 언급할 아이템도 마찬가지지만 으뜸을 기준으로 형편에 맞게 사시면 됩니다.

1)머리 / 종류도 참 많지요.
업슬가 / 에테업슬가 / 그냥슬가 / 랩당 어레(레어 머리)
업슬가가 가장 보편화 되어있습니다. 힘제가 192로 높은 편입니다. 주얼작이 가능하다보니 40증뎀/9힘 or 9민첩 아니면 30/9/9 힘민이 다 있는 레어 주얼(비싸죠)을 끼기도 합니다.
에테 업슬가는 700넘는 디펜으로 디펜을 200이상 뻥튀기 하고 싶을때 낍니다. 주얼작을 포기하는 대신 디펜을 얻습니다.
그냥 슬가는 보통 정밥이 안쓰지만 갑옷을 힘제 낮은 걸 쓸 경우에 씁니다. 이 경우는 디펜을 포기하고 남는 스텟을 생명력으로 주는 경우겠지요.
마지막 렙당 어레...이거 하나로 논문이 만들어질지 모르니 걍 살짝 언급만 하고 가겠습니다.
최대 1400에 이르는 순수 어레를 얻을 수 있으나 최상 옵으로 봐도 업슬가의 디펜을 넘지 못합니다. 대신 2솟이 뚤리면 주얼작이 가능해져서 30/9/9 두개 박음 18힘18민첩 60증뎀을 얻는 효과가 있지요. 헬멧에 추가 3오더라도 붙으면 20프로 가까이 오더를 더 늘릴 수 있습니다. 쉽게 말하면 디펜을 포기하고 어레와 스텟 피 증뎀을 얻는 것이죠. 슬가에도 2전투마스터리와 20힘/20민첩이 있으니 오히려 렙당어래가 2스텟씩 빠지나 3오더라는 잇점, 힘제가 적고 어레가 슬가의 20% 공등 향상에 비해 비약적으로 늘어나는 부분 등이 장점입니다. 물론 여기서 언급한 렙당 어레는 지존급이지만요.

2) 갑옷
거의 교복이죠. 1908디펜 세크인내...힘제가 부담스러우나 정밥의 모든 스텟은 세크 인내에 맞춰져 있다라고 보시면 됩니다. 레지는 30이 젤 좋으나 20이라도 정밥전엔 별 상관 없어요.
왜 스텟이 인내에 맞춰져 있냐?
232힘제입니다.
바바가 꼭 올려야 하는 힘은 156...모넉 들때까지입니다.
156을 올리면 30힘을 모넉에서 얻지요.
그럼 186이 됩니다. 오거장에서 20힘을 얻습니다.
그럼 206이 됩니다. 슬가를 끼면 226이 되겠지요? (20힘)
그럼 세크 인내를 입기 위해서 6힘을 더 찍거나...힘 주얼을 박을 수 있는 머리 / 방패에 주얼작을 해서 232를 맞춰줍니다.
결론은? 세크 인내를 입기 위해서 모넉 입을 힘만 찍어주면 (공통) 힘 하나도 안찍고 세크 인내를 입을 수 있단 말이죠.
아까 스왑 무기에 2솟 팔팔작 함성칼을 두개를 들라고 했죠? 이러면 40힘을 얻습니다. 세크 인내 입기 위해 스왑할때 빠지는 모넉 30힘과 주얼작한 9힘을 쌍함성칼의 40힘으로 극복해서 세크 인내에 빨간불이 안들어오게 방지합니다. 단순한 시폭 방지용이나 이게 크죠. 시체 못먹음 그 비싼 바바를 어쩌실껀가요 ㅋ
자 그럼 왜 세크 인내를 입나를 줄줄히 설명했구요. 힘이 좀 적게 드는 레커드 인내, 발록 인내 등을 입으셔도 좋습니다. 그럼 40증 9힘이나 30/9/9 주얼 안끼고 40증 9민첩 주얼 (사실 젤 강추해요)을 쓸 수 있으나 디펜이 줄어들게 되지요. 40증 9민첩 주얼의 경우 1힘 = 1증뎀이라고 볼때 30/9/9주얼보다 1힘을 더 얻고 9민첩 덕분에 블럭율을 덜 찍어도 되는 장점이 생겨요. 요건 고스란이 내 피를 늘릴 수 있는 것이지요.
요기까지만 하겠습니다. 주얼은 재력 형편 껏 구하시구요. 가장 가격 대비 좋은건 40증/9힘 주얼인듯 합니다. 세크 인내 끼실꺼면요.

3) 무기 - 고뇌
이건 길게 설명안할께요. 고뇌 안끼시면 정밥전 거의 불가능합니다.
최고의 레어 플스옵 검 드시더라도 고뇌보다 떨어집니다. 단언합니다.
단지 고뇌를 어떤 고뇌를 쓸꺼냐...데미지 상으로는 (무기니까 데미지 / 리치 두개가 젤 중요합니다.) 볼 것도 없이 버석고뇌입니다.
단!! 콜블 고뇌를 끼는 경우도 있는데 약간의 데미지 손실을 감안하고 정확한 리치를 가름하고자 할때...일명 칼같은 컨을 필요로 할땐 전 버석보단 콜블을 추천합니다. 단지 그뿐입니다.
추뎀은 당연히 높을수록 좋구요.
사실때 단 한가지...버석을 사시면 34공속이상, 콜블을 사시면 39공속 이상만 꼭 봐주세요!!

6) 벨트 - 미스릴코일
요것도 사실 큰 논란은 없습니다. 40 / 15 무조건 맞추시구요. 구지 하나 설명드리자면 15뎀감을 먼저 보세요. 그다지 방어만땅 빼고 40 / 15가 비싸진 않은데 난 서민이다 라고 하신다면 15뎀감을 먼저보고 바이탈(생명력)을 낮춰서 보고 사세요. 참고로 아이템에 붙은 바이탈은 오더 시 적용 받지 않습니다. (피가 아니라 바이탈!!!) 의외로 라이프 재생(라회)도 도음 되니 13만땅 라회 보시구요.^^
가끔 예외로 업데몬세쉬(8% 라흡, 15뎀감)을 쓰시는 분도 있어요. 비슷한 디펜에 라흡이 pk시 적용 안된다고 하나 미약하게나마 그 효과가 좋다고 보는 사람들도 있더라구요. 아무튼 15% 뎀감 이건 벨트에 필수 옵션입니다.

7) 장갑 - 오우거장갑
역시 위의 미스릴과 더불어 거의 바바의 상징처럼 여겨지는 오거장이네요^^
10강타는 고정옵이니 보실땐 힘 > 증뎀 > 디펜 순으로 보시는게 가장 좋습니다.
무조건 20힘은 꼭 사세요. 그리고 60증뎀이 비싸면 낮춰가면서 사시면 1~2독이면 사십니다.
항상 아이템을 보실땐 스텟!!! 을 꼭 보고 사세요. 항상 스텟은 그 아이템에서 가장 먼저 봐야하는 옵션입니다.
오거장의 대안으로는 뱀파장이 있습니다. 전혀 다른 성격의 두 장갑이고 보편적으로 많이 쓰입니다. 벰파장의 특징은 25%상악, 10라흡, 15힘 요 세가지입니다. 가장 큰 건 25% 상악이죠.
신발의 10% 상악과 맞물려 35% 상악 발동확률이 생깁니다.
상악이란 일정시간 동안 독데미지처럼 일정 데미지를 주기적으로 주는 겁니다.
(약 8초간 약 600피 정도라고 합니다. 중첩 안되구요.)
벰파장끼고 세크인내를 낄 경우에는 5힘이 빠지니까 추가 보충할 스텟을 가지고 계셔야겠지요?
벰파장도 마찬가지로 힘>라흡>디펜 순으로 보고 사시면 됩니다.
35% X 타격 확률만큼 상악을 발동시킬 것인지 타격 확률만큼 5힘 + 60증뎀에 강타10%를 더 발생시킬 것인지는 장갑 쓰시는 분의 판단에 맡깁니다.

9) 방패
모 사실 별다른 이견이 없을 것입니다. 유닉모넉 스톰쉴드...
쓰는 이유는 분명하죠. 높은 디펜과 35%뎀감...30힘 빠른 공격 저지성공률 그리고 방어성공률(요건 민첩찍을 걸 아껴주죠.)
사실 정밥전에서 이보다 좋은 방패는 없죠. 그래서 정밥의 스텟은 모넉 힘제만큼 힘을 찍는다입니다. 156이죠.
단!! 가끔 정밥 방에 들어가보면 다 맨몸으로 보이는데 방패와 칼 모자를 보이게 든 사람이 있을 겁니다. 우스개 소리로 이분들은 정말 부자입니다.
왜냐면 구이지즈를 든 분들은 세크 인내빼곤 착용장비가 다 보이거든요.
구이지즈 = 유닉모넉(스톰쉴드) 입니다만 구이지즈가 방패 디펜이 더 높습니다. 그리고 힘제도 더 높죠(215). 이분들은 그냥 정밥의 정점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이렇게 말하면 그렇지만 조금이라도 더 이기고 싶으시면 최고의 가격대비 효율인 유닉모넉을 드세요. 구이지즈 정도 차신 분이라면 이미 모든 셋팅이 풀옵이라는 뜻과 같습니다. 힘을 더 찍는만큼 피 찍을 것이 줄어든다고 보시면 됩니다.


5. 참
애니 20/20
횃불 20/20

정밥은 노멀방에서 하고 셋팅 자체가 원소뎀이 없기 때문에 무조건 스텟만 보고 사십니다.
20/10 이런거 사셔도 19/20보다 낫다고 말씀드릴 수 있어요^^

그리고 정밥은 대부분 맥/어레/피참을 구비합니다. 각 사이즈별 최상옵은

3맥/20어레/20피 스몰(1칸)
6맥/48어레/35피 라지(2칸)
10맥/76어레/45피 그랜드(3칸)

흔히 지존참 지존참 복참 어쩌고 하는게 바로 3/20/20 스몰참이죠^^

참이 어떤게 가장 효율적이다라는 것은 별개로, 참 구성상 어떤 특색이 있느냐는 바로 아래 '베실산암로디핀' 님이 872번에 올리신 스샷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dia.chaoscube.co.kr/char/board/contents.asp?seq=-872&page=1&t_name=char_baba_chu&keyfield=&keyvalue=&keyvalue1=&calcu_page=1&txttxt=[정보]버석고뇌 세크인내 정밥 스탯창 실질 대미지 스샷

참에 대해서는 갑론 을박이 있으니 가장 마지막 결론에 제가 언급하도록 하겠습니다.


6. 컨트롤

말 그대로 제3자가 보기엔 정밥만큼 쉬운 컨이 있나 싶습니다. ㅋ 훨윈드만 돌리거든요.
반대로 직접 대결하는 사람 입장에서는 바바만큼 어려운 컨도 없습니다.
구체적으로 들어갑니다.

1) 우선 걷기와 뛰기를 잘 써라.
적과 정면으로 훨윈드를 돌릴땐 반드시 걷기 모드로 놓고 훨을 돌립니다. 블럭율을 조금이라도 높인다고 하네요. 실제 제 경험도 뛸때보다 걸을때가 그렇습니다.
비가 밖에 올때 뛰면 덜맞는게 아니고 더 맞는다고 하죠? 단지 걸을때 비의 양이 많다보니 맞는 시간이 길어진다는거죠. 같은 이치라고 보시면 됩니다.

2) 휠윈드의 기본원리
훨윈드(이하 훨)은 상대방을 돌면서 때립니다. 한번 돌때 6대까지??? 때릴 수 있고 보통 도는 속도에 따른 프레임을 산정하는데 최대가 4프레임입니다.
방어가 높을수록 적게 맞을 것이고 어레가 높을수록 많이 때리겠죠?
도는 동안에는 사망하지 않습니다. (단 다 돌고나서 피가 없어지면 사망하겠지요?)
그래서 반대로 다 돌고나서 둘이 동시에 죽는 경우도 생기죠 ㅋ
FPS에서는 이걸 러브샷이라고도 합니다. (서든에서 스나해보신 분들 잘 아실꺼에요)

3) 훨컨트롤 / alt 컨
우선 훨을 돌아야 하는데, 마구잡이로 돌 순 없겠죠?
스타해보신 분들 아시겠지만 어택땅 했을경우 병력이 압도적이어도 벙커하나 못뚫고 다 죽는 꼴이라고 보심 됩니다.
기본적으로 alt를 누른 채로 상대가 오는 방향을 보고 훨을 돕니다.
이런 경우 가장 큰 장점은 훨을 한번 마치고 다음 훨을 돌때 딜레이가 가장 적습니다.
이말은 한번 훨동작을 끝내고 상대가 들어올때 멍청하게 서서 맞는 경우를 줄여준다는 것입니다.
또한 alt를 누르고 훨을 돌면 마우스 찍은 정확한 그자리까지만 훨을 돕니다.
alt의 유일한 단점하나는 주변에 귓대기나 아이템이 있으면 시야에 다 보이기때문에 거추장 스럽다는 것 하나겠죠.

4) 훨컨트롤 / shift
위에 알트컨을 보완하려고 나온 것이 쉬프트 컨입니다. 보통 마우스 우클릭으로 훨을 돌고 공격하는데 마우스 좌클릭으로 훨을 설정하고 쉬프트 눌러서 도는 경우입니다.
스타 많이 하신 분들 웨이포인트 경로설정 이동 자주 쓰시죠? 같은 원리입니다.
훨을 예측해서 2훨 / 3훨까지 미리 찍어두는 웨이 컨도 가능합니다.
단, 1훨이 끝나고 나서의 딜레이가 살짝 있다보니 멍청히 서서 맞을 경우도 있단 걸 명심해주시구요.

5) 머리찍기
보통 빽휠, 따라가기 휠이라고 합니다. 컨은 간단해요 돌고나서 바로 alt 우클릭으로 상대 케릭 찍어두시면 따라가면서 돕니다. 확률상 정면보다 많이 맞춘다는데, 상대가 갑자기 좌우로 훨을 틀면 오히려 더 맞을 수도 있어요.

6) 사과깎기
둥글게둥굴게 상대 근처를 한바퀴 돌면서 짧게짧게 훨을 돈다고 보시면 됩니다.

7) 비껴치기
내 디펜이 높고 어레가 높으며 데미지가 적을때 많이 쓰는 컨입니다.
상대를 항상 스치듯이 (칼로 당근 썰듯이) 비껴서 때립니다.
요건 보통 예전에 독밥이 허용되거나 원한검 들고 상악을 뭍히는 치고 빠지기 전술하던 바바들이 많이 쓰던 방식입니다. 보통 상악셋팅을 하거나 내가 피가 적어 불리할때 쓰면 의외로 역전이 많이 나옵니다.

8) 근접훨
내가 상대보다 모든게 우월하다. 싶으면 무조건 붙어서 비빕니다. 반대로 내가 상대보다 모든게 불리하다 싶음 장기전 보시고 비껴치기로 몰고 가세요.

9) 마나 포션 먹기
정밥전은 라/마흡이 없어진 패치 이후로 훨이 마나 소비가 있다보니 마나 포션을 먹는게 허용됩니다. 내 마나칸을 열심히 보시다가 30정도 남았다 싶음 마나포션 마셔주는 센스를...가끔가다보면 마나 포션마시다 멍청이 맞으시는 분들도 계십니다. 아깝자나요. 훨 도는 동안에는 못마시니까 훨 끝나고 달려로 전환 후 살짝 거리두고 마나 마시는것도 센스!


7. 종합 정리
정밥은 / 바바와 바바가 제한된 장소(엑1 수도원)에서 훨윈드로 정면 승부하는 것입니다.
같은 케릭 같은 스킬로 싸우면 내 컨트롤과 장비 빼곤 기댈 것이 없겠죠?
원리는 단순합니다. 적보다 더 많이 때리고 적보다 덜 맞고 적보다 체력이 더 좋고 적보다 더 쎄게 때리면 됩니다. 이걸 수치화 하기 시작하면 모가 더 낫냐라고 하는 갑론을박이 바바에 대한 모든 토론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제가 제시하고 싶은 가장 이상적인 바바는 고뇌 / 고어부츠라는 고정 옵션을 가진 바바에겐 데미지는 압도적이긴 힘들다는 것입니다. 더 쎄게는 크게 의미를 두지 마세요.
그리고 더 때려야되고 더 막아야되는 것 중엔 더 막아야되는데 비중을 드리고 싶어요.
이 이야기는 어레보단 디펜에 더 신경쓰면 효율이 좋다는 것이죠. 어짜피 상호 반작용 개념이다보니 둘 다 좋음 최고지만 통상의 바바가 2만대 초중반 어레, 2만대 후반 디펜이라고 가정할때, 이미 엔젤셋으로 어레 자체를 뽑을만큼 뽑았다면 만 -> 2만 됫을때의 타격확률이야 비약적이지만 2만 -> 2만1천의 타격 확률 상승 폭은 상대적으로 확 줄어들게 됩니다. 어레던 디펜이던 일정한 확률 이상이 늘어나면 증가폭이 기하급수적으로 감소합니다. 게다가 덜 맞는 확률은 일정한 반면, 더 때리는 확률은 치타 발생확률까지 겹치기 때문에 이말은 바꾸자면 더 이프게 때릴 수 있느냐의 문제기 때문에 더 때려도 덜 때린 사람한테도 질 수 있는 부분입니다.
마지막으로 피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세요.
덜 맞고 하는 부분은 확률이지만 피와 데미지감소 옵션은 고정입니다. 어쨋튼 맞으면 피는 데미지만큼 정직하게 닳습니다. 확률로 피가 다는게 아니란 말이죠.
적을 상대하면서 가장 효율적인 것은 고정 옵션은 무조건 최고로 올린다는 것입니다. 어짜피 고뇌/고어/엔젤셋이 동일하다 싶음 남은 부분은 스텟을 아껴 피를 더 주고, 참셋팅도 피를 더 줄 수 있는 방향으로 하시라는 말씀입니다.
참에서 이야기하다 멈춘 부분이 바로 이점입니다. 전 어느참이 더 좋다고는 할 수 없겠지만 피를 가장 많이 몰 수 있는 방법은 스몰참 20피를 가득채우는 방법입니다.
극단적으로는 스몰 3/20/20 다 채우면 좋겠지만 3/15/20과 3/20/18 정도 되는 참이 있다면 전 무조건 3/15/20 참 사시라고 합니다.


8. 가끔 듣는 질문 및 마치며...
민뎀이 좋아요 멕뎀이 좋아요 이런질문 가끔씩 받더라구요^^ 항상 다른 분들은 평뎀이 같다라고 많이들 하시지만 같은 평뎀이라면 30~40짜리 칼보단 10~60짜리 칼이 좋다고 말씀드리고 싶어요. 타격해서 맞을 확률도 있지만 치타로 들어가는 확률, 그리고 그 한방에 적에게 미치는 영향을 다 따지면 멕뎀을 늘리라고 해드리고 싶습니다.

정밥전에서 승률 무지 좋으신 분이 그러시더라구요. '정밥전은 운칠기삼'!!!
이 말은 바꾸자면 바바는 확률 싸움이라는 뜻이 아닐까요? ^^V
그러니 좋은 장비도 중요하지만 컨트롤과 고정옵만 신경써주면 적은 비용으로도 충분히 해볼만한 싸움이 정밥전이 아닐까 싶습니다. 어찌보면 질딘전보다 고정되는 옵이 많자나요 무기부터..^^

쓰다보니 글이 참 길고 두서도 없었습니다만 단순하지만 이 복잡한 정밥을 어떻게 담아볼까 하다가 스샷도 없어 지루하셨을지도 모르겠습니다..

이렇게 말로 풀고 갈 것이 아닌데 너무 무책임한게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들었구요. 여기까지 지루하게 읽으셨다면 죄송하고 재미있게 읽어주셨음 감사드립니다.

혹시 정밥에 대한 토론, 잘못된 것은 기탄없이 댓글로 지적해주시구요. 질문도 쪽지보단 댓글로 해주시면 아는 한도 내에서 친절히 답변드릴께요.


마지막으로...LUAP님 좋아하시는 바. 바. 만. 세. !!!!!!
댓글15
  • 그리메 2012.03.12 07:16
    아마테라스 3333333 ????
  • 그리메 2012.03.13 07:56
    아마테라스 = 오오미 카제333333333 = 별풍선 쏨덕분에 젊어지는 느낌이네요 ㅋ
  • 복수™ 2012.03.15 12:17
    맨마지막에서30-40과 10-60.이건 취향차이인듯 합니다본인은 전자를 선호하거든요.로또보단 안전빵을선호하는지라...ㅋ좋은글 잘 봤습니다
  • 그리메 2012.03.15 13:41
    복수님 / 물론입니다. 제 주관 관점이다보니 주관적 느낌이 있었을뿐, 무기나 참셋팅, 심지어 주얼작도 어느게 정답이냐라는 것은 없습니다.제가 보는 바바 관점은 올지존셋을해도 어짜피 숫자가 전부가 아니라 확률이 터지는 상황, 그리고 컨트롤이 중요하다보니 좋은 운빨 쪽으로 보자는 것 뿐이죠^^단정적으로 보이는 부분이 있었으면 주관이 개입되다보니 그럴 수 밖에 없었다는걸 이해해주세요~
  • 초코향기 2012.04.07 23:18
    이정도면 저 처럼 바바 처음 셋팅하는 사람에게는 큰 도움입니다. 잘 봤습니다^^
  • ★라주크™ 2012.08.20 15:06
    훌륭한 글이네요.초보분들도쉽게 이해할수있을거 같네요.좋은글 잘보고갑니다.
  • hekireki 2012.12.14 19:53
    보면 볼 수록 어렵네요 정밥좋은글 잘 보고갑니다
  • 신조협 2012.12.17 23:37
    디아를 많이 해왔다 자부해 왔지만...전 아직 멀었군요..어설프게 정밥이 무엇인가에 의문점을 두고 캐릭광장에서 이 글을 읽었네요..너무 논리적이고 갈끔한 글에 모든 의문점을 풀었습니다만, 저에겐 오히려 반대로 정밥을 포기하게 되는(템이 비싸서가 아닌 인내심을 요구하는 캐릭이다 보니) 그런 글이 아닌가 싶네요..."그리메"님의 열정에 진심으로 박수를 보냅니다.. ==신조협 드림==
  • TKV 2012.12.18 01:51
    그만둔지가 너무 오래되었다가 다시 바바 연구하러 들렀는데, 정말 많은 참고가 되었습니다. 그리메님 감사합니다 ^^
  • 그리메 2013.02.04 17:51
    백만년만에 카큐 왔는데 아직도 많이 보셨네요^^ 응원해주신 분들 감사합니다.
  • 디아초보동생 2014.08.18 21:44
    어렵네여 ㅠㅠ
  • 디아정우성 2014.09.29 18:37
    진자 디아 초보인데욤 고뇌는 기본뎀지가 별루 이지 않나염?근데 왜 고뇌을 쓰는건가염 옵션때문에 쓰는건가염 에테 콜블 하나 장만 햇는데 ㅠㅠ콜블 팔고 버석 고뇌을 사야돼나염?
  • NS 2014.12.22 10:18
    오우 정밥에 관심있었는데 정말 훌륭한 글이네요 ㅎㅎ
  • 웃픈남자야 2015.03.17 21:05
    힘을  세크인내맞추는데  그럼 피통은어느정도되나여???
  • 데스티니즐댜 2022.10.11 13:31
    잘 보고 갑니다

레저렉션 뉴스/정보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게시판 푸시 알림 / 통합 앱 서비스 31 file 트디개발자 2023.09.20 852.2k
기타 레저렉션 정보 게시판을 오픈합니다. 13 트디개발자 2021.11.04 143.6k
정보 맨땅 초보자 가이드 600 file 뮤리아 2020.10.16 998.4k
바바리안 육성/정보 [내용추가] 병신 아니고 변신 바바 키우기. ( 늑대바바, 곰바바 ) 5 file 군타쿤타 2025.07.10 5.8k
바바리안 육성/정보 [레저렉션] 100% 치명타 올민첩 단도 휠바바 8인방 사냥 검증 7 file purestart87 2024.11.12 22.7k
바바리안 육성/정보 레저렉션 가성비 젖소왕 바바 (솔플용, ★횃불영상 추가) 6 purestart87 2024.10.28 20.4k
바바리안 육성/정보 나는 한놈만 패..!! ㅡ 파괴왕 컨센 바바 ㅡ 7 file 군타쿤타 2023.07.04 195.3k
바바리안 육성/정보 진정한 올라운더!! ㅡ 야수왕 독바바 ㅡ 7 군타쿤타 2023.05.05 85.2k
바바리안 육성/정보 쌍고노 ㅣ휠바바 데미지 계산 5 유딩이 2023.03.04 62.3k
바바리안 육성/정보 좀 강한 바바를 키워보고 싶습니다. 9 룬워드제작장인 2021.11.27 4.2k
바바리안 육성/정보 가성비 쌍고뇌 삥바바 21 클래식만합니다 2021.11.18 17.4k
바바리안 육성/정보 안녕하세요 궁굼해서 물어봅니다 1 TaMaMa-pa 2021.11.09 2.8k
바바리안 육성/정보 삥바바 셋팅법 공유합니다~ 4 디아고수 2021.10.16 4.4k
바바리안 육성/정보 바바리안 휠윈드 명중률 질문드려요 4 file 학순 2021.10.10 5.4k
바바리안 육성/정보 삥바바셋팅 2 에듀윌 2021.10.09 3.1k
바바리안 육성/정보 고뇌수수바바 장비셋팅 33 에듀윌 2021.10.08 17.8k
바바리안 육성/정보 파인드아이템 앵벌바바 3 file 골드샷 2021.05.17 10.0k
바바리안 육성/정보 가성비 좋은 올라운드 PK 시체바바 2 file 이비엔 2021.04.24 23.8k
바바리안 육성/정보 야수 죽음 프렌지 바바... 대충 찍고 쪼개고 다녀봅시다. 아리앗의면상 2020.07.15 3.5k
바바리안 육성/정보 질 바바리안 동신TV 2020.05.09 1.8k
바바리안 육성/정보 자쓰 죽숨 바바리안 1 동신TV 2020.04.23 3.7k
바바리안 육성/정보 삥바바 기본 셋팅(초급자편) 56 디아놀이놀이 2019.11.11 24.3k
바바리안 육성/정보 임모탈세트 바바 포스팅 18 Youtube_동신 2019.07.01 12.4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