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ablo2mania
https://tradia.me/diablo2/barbarian/872885
그래서 풀방 월드스톤 성채를 안정적으로, 그리고 바알까지 시원하게 사냥 가능한 것을 중시합니다.
현재 클래스별로 가능한 경우의 수마다 이러한 컨셉으로 구상을 거의 마친 후로, 네크로맨서에 이어
두 번째로 작성했습니다. 바바리안의 경우는 오직 휠윈드밥만이 조건들을 충족해서 아쉽네요!
스탯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힘에 집중한 바바리안입니다. (버서크를 위해 피도 일부 올렸습니다.)
함성참 대신에 스몰참으로 인벤을 가득 채우셔도 됩니다. 다만 저는 이것으로 만족하겠습니다.
우선 시작하기 전에 큰 개요들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용병이 두 종류가 있는데요,
바로 앰플용병과 디크리용병입니다. 앰플용병은 몬스터가 원딜인 경우 탁월한 앰플 시전을
보여주고, 바바리안이 근접 공격을 하므로 일반적으로도 일부 무리들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잘 됩니다. 원딜인 경우에는 미리 저주를 광역적으로 걸어놓고 다가가서 때린다는 컨트롤
상의 이점도 가지고 있습니다. 디크리용병은 저돌적인 몬스터, 대표적으로 바알의 미니언
을 상대하는 경우 넉백을 가지지 못한 본캐를 보호하는 역할도 하지만 바바리안 특유의
안정성, 그리고 함성 효과를 생각해보면 여기서는 앰플용병의 취약한 부분에 대한 카운터
라고 생각하면 되겠습니다. 일반적으로는 마이트 오오라를 달더라도 앰플한테는 안되지만
앰플용병 딜을 별로 하지 않는 무리들을 상대하는 경우 완전히 반대의 입장이 되는 겁니다.
특히나 바알한테는 극명한 차이를 보여주기 마련입니다. 이들은 메가데몬, 뱀파이어, 레이스
인데 뱀파이어나 레이스는 아예 물리공격이란 전제를 넘어 버서크로 공격하는게 낫고, (물론
버서크의 방어 디버프로 인해 디크리용병이 보다 ‘안정적’일 순 있지만요) 메가데몬은 굳이
저주에 구애받지 않고 잘 잡을 수 있는 몹입니다. 그래서 저는 앰플용병을 처음부터 고르고
싶었는데, 문제는 역시 바알이었습니다. 그렇지만 그래도 바알 보다는 일반 사냥의 편리함을
우선으로 두었기 때문에, 저는 결국 아이템 하나를 도입하기로 했습니다. 바로 유닉 마르텔!
이쯤 되면 대중화된 셋팅과 살짝 멀어지는 것 같아서 아쉽지만, 이것은 29초의 앰플을 3회
지원해줌으로서 헬 풀방 바알을 30초대로 잡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일등공신이 됩니다.
어차피 이 철퇴를 편안하게 사용하려면 4칸짜리 쌍 함성검은 필수이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조금 노력해야되는 셋팅이 됨을 알 수 있습니다. 이 전에는 룬워드 활에 대한 지극한 관심
으로 인해 남는 2 스킬을 타운트 1, 배틀크라이 1에 투자해서 저주를 완전히 무시하는 한편
용병에게 얼음을 주어 슬타를 노리는 실수를 저질렀으나 이를 수정했습니다. 그리고 마나가
참 중요한 주제가 되는데, 우선 저는 데미지를 마나로 돌리는 옵션을 중용하기로 했었습니다.
왜냐하면 마나번 몹들에게 둘러싸이면 포션 마셔도 찰나에 마나가 0이 되는 (물론 일반 몹
들의 경우는 멈추면 포션 마시거나 맞아서 마나를 벌거나 비슷하지만 전자를 추천드립니다)
영 좋지 못한 상황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이를 극단적으로 가져가서, 마나흡을 버릴
순 있습니다. 예를 들면 본문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듀얼링 대신에 발카링을 차고 버서크 1을
네추럴 레지스트로 돌린 후 20피 5올레 하나를 달면 1이 아쉬운 라이트닝 레지를 맞출 순
있습니다. 그래서 약간 빈번한 휠윈드 멈춤과 독뎀에 고뇌하면서, 얼추 플레이는 신기하게
잘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이미 대중성에서 조금 벗어난 만큼 듀얼링에서
이상적인 조건들을 맞춰줍시다. 치타 아멧까지는 안 가니까요! 이제 본문으로 넘어가겠습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캐릭터 구상의 개요]
- 데미지 부분
(무기데미지 + 추뎀) × (1+스탯보너스+(증뎀/100))×교정값
우선 전제는 다음과 같습니다 :
불사조가 오든 간에 무기 두 개가 무기 방패 보다 낫다. 수수는 반드시 착용한다.
(바알과 대적하는 경우에도 수수가 나은데 어차피 총 데미지는 비슷하기 때문입니다.)
무기 2개는 12연타를 충족해야 하므로 장갑 위의 죽숨(고뇌), 부츠 위의 고뇌로 좁혀집니다.
(주무기 보조무기가 혹시나 내구도와도 관련이 있는지는 확인해봐야 합니다.)
그런데 저는 쌍고뇌를 들 것을 추천드립니다. 왜냐하면 고뇌의 데미지는 죽숨의 나머지 옵들을
포기하고도 남을 만큼, 그 자체로서 매력적이기 때문입니다. 계산 공식을 보시면 다 필요 없고
이 극힘바바의 논리 끝에는 쌍고뇌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증뎀은 이미 충분하거든요!
그러면 다음을 보도록 합시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이제 무기를 위한 수수 이외의 '들러리'들이 갖추어야할 항목들은 다음입니다.
데미지를 두 배로 줄 확률 (크리티컬, 치명적 타격) / 각종 데미지 증가, 추가 옵션
여기서 집합을 따져보면, 더블데미지와 증뎀추뎀이 모두 가능한 것은 헬름, 서클릿 (주얼, 룬)
그리고 더블데미지는 하이로드, 고어라이더
증뎀은 60오거장 350데몬장 200언데드장 세라프
그리고 나머지들은 중립으로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그러면 아뮬렛(교체형) : 세라프는 비효율적인게 이미 다른 증뎀들이 충분합니다. 결론적으로
'하이로드를 쓰는 전투와 기타 상황'으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하이로드와 기타 아뮬렛)
부츠는 고어라이더로 고정됩니다.
장갑은 어느 유형의 몬스터에 집중할 것인지가 관건입니다. (라마획, 레지와 관련 없음)
결과적으로 헬름, 서클릿은 매우 다양한 경우가 있을 것이고 레이븐을 고정으로 두면
벨트, 링은 중립이 되는데 헬름, 서클릿, 아뮬렛과 함께 라마획, 레지 등을 충족시켜야 할 것입니다.
* 헬름, 서클릿을 결정합니다.
셋팅의 대중화를 위해 매직, 레어, 크랩은 제외합니다. 예상하신대로 길리엄, 슬가가 남습니다.
웬만하면 슬가도 사용하고 싶지만 (안정성을 위해), 길리엄으로도 충분히 사냥을 할 수 있습니다.
굳이 매직아이템 계열을 사용한다면, 길리엄을 넘어야할 것입니다.
데몬, 언데드, 힘보다는 치타 확률이 낫긴 한데 치타만 중시하기보단 함께 생각해야 합니다.
공격등급 등의 '성공확률'에 관한 것들은 어차피 미약하게 변할 따름이므로 아무래도
길리엄과 대적하려면 10치타 아멧 정도는 되야합니다. 그런데 이걸 사냥에 쓰는 건 무의미합니다.
따라서 개인 취향에 남겨둘 문제입니다.
* 이제 링, 벨트에 힘을 실어줄 옵션들이 보입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필수적인 옵이 바로 마흡입니다.
자, 지문을 읽어보셨으면 아시겠지만 극뎀 사냥 바바의 논리에서 결국 링이나 벨트 중에 하나가
라마흡을 충당해주어야 합니다. (어디까지나 이건 치타 아멧을 사용 안 할 때 얘기라는 것 주의!)
그러면 이어서 보도록 합시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마나 부분
여기서 벨트와 링이 결정됩니다. 휠윈드 바바리안은 마나에 상당히 신경을 써줘야 합니다.
(하지만 마나 총량에 대해서는 회의감이 듭니다. 20피 17마나 참을 안 사용하셔도 됩니다.)
그리고 이제 주의해야할 부분들을 살펴보겠습니다. 오더를 못 받는 렙당마나를 제외하면
마나총량 / 마나재생 / 데미지 마나로 전환 / 마나획득 / 적을 죽인 후 마나 상승 / 포션
여기에다가 마나데미지 (특히 윌로우쉽, 레이스) / 마나번 / 언데드 라마흡 문제
등을 고려해야 합니다. 우선 마나 재생은 사냥 캐릭의 경우 초반 육성에나 빛을 발하고,
마나 상승은 너무 작기 때문에 자벨마 아니면 사실 주력으로 두기는 힘든 옵션입니다.
즉, 마나총량 / 데미지 마나로 전환 / 마획 중에 어느 것에 힘을 실을지가 벨트를 결정합니다.
저는 데미지 마나로 전환이 중요하다고 생각했습니다. 왜냐하면 마나는 금방 0이 되기 쉽기
때문입니다. 이런 경우에는 이미 휠을 돌고 있어서 마획으로 충당하거나 / 포션을 마시거나
(이 둘은 동시에 할 수 없습니다) / 각종 데미지들을 마나로 전환하는 옵션을 사용하는 경우
들을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먼저 휠을 돌려고 하는데 윌로우쉽이나 레이스 혹은 마나번 유닛
이 먼저 공격하는 것은 매우 빈번히 일어나는 일입니다. 그리고 휠을 돌아도 상대가 언데드
라면 문제이고 마나번이라면 더욱 문제가 됩니다. 마나 돌림은 이런 점에서 매우 좋습니다.
우선 휠이 멈추는 상황을 상당히 줄여주어 암을 덜 유발합니다. 그리고 심지어 캐릭이 죽을
위기에 처했을 때, 포션 만으로는 급박한 상황에서 금방 마나를 모아 탈출할 확률을 크게
높여줍니다. (마나가 0이 되면 데미지 받을 시 마나가 순간적으로 오르는 것을 이용합니다.)
그래서 탈라샤벨트와 나이트스모크가 후보로 올라왔는데, 저는 그냥 50 마돌을 선택했습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벨트를 결정했습니다!
그러면 링은 기본적으로 듀얼링이어야 합니다. 그런데 우리가 잊고 있는 것이 있습니다. 바로
휠윈드의 낮은 어레! (인챈봉을 사용하더라도!) 링이 어레가 많이 붙을 수록 우리에게 좋다는
것은 분명합니다. (어디까지나 이건 치타 렙당어레 아멧을 사용 안 할 때 얘기라는 것 주의!)
- 스킬 -
하울 1
샤우트 20
오더스 20
커맨드 1
소드 마스터리 20
아이언 스킨 1
네추럴 레지스트 1
길목 스킬 5개
휠윈드 20
버서크 19
인크리즈드 스태미나 1 인크리즈드 스피드 1
(인크리즈 스피드는 바바의 활동 증속에 필수!)
도합 110스킬 99렙 완성
함성에서 중요한 세 가지는 샤우트 오더스 커맨드입니다. 이 중에서 커맨드의 지속시간을 시너지로
채우고 샤우트 오더스 중심으로 가면 되는데 샤우트는 버서크의 시너지기도 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물리공격이 힘든 (물리내성 혹은 스톤스킨) 경우 라이프에 주의하여 버서크를 시전하시면 됩니다.
참고로 배틀커맨드에 의해 버서크를 26에서 27로 올리면 방어 디버프가 1.24초에서 1.2초로 됩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짚어보고 넘어가볼 내용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배틀크라이는 덮씌우기 문제로 저주 사용시 배제되어 콜투의 생략에 기여했지만,
바알과의 싸움에서 홀리프리즈 사용으로 전환함으로서 F8에 할당하게 되었습니다. */
이건 구버전에 해당됩니다. 콜투 못 쓰는 이유는 4칸 짜리로 못 만들기 때문이고, 또한
콜투암스는 샤우트에서 손해를 보기 때문에 바바리안 외의 캐릭에게 나은 것 같습니다.
/* 죽숨은 언데드 + 라마획 / 고뇌는 애니멀, 데몬 + 라마상 + 치타 / 그리고 데몬장을 선택했는데
참고로 쌍무기는 무기별로 계산해야 하지만 방어구는 공통으로 적용됩니다.
쌍고뇌 + 유닉 뱀브레이스와 죽숨 + 고무장의 옵션이 유사한데 다른 말로
사냥 시에 길리엄 투구 + 쌍고뇌 + 유닉 뱀브레이스를 쓰셔도 됩니다. (메인에 관련 글이 있습니다.)
휠윈드로 인해 유닉 뱀브레이스의 단점은 생략되고 흥미로운 옵션들을 살릴 수 있을 것입니다. */
이것도 구버전에 해당하는 얘기입니다. 유닉 뱀프레이스는 보편 셋팅 측면에서 추천드립니다.
/* 스태틱필드는 쌍 스톰래쉬로 프렌지하시면 정말 빠르지만 고뇌도 만만치 않기 때문에
귀찮음과 더불어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 프렌지 항목을 삭제하였습니다. */ 제언에 해당함.
오심의 광패캐를 이용하고 싶지만 어차피 휠윈드와 텔포를 같이 사용하므로 배제하였음.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아이템 세부]
본캐
15속 100어레작 길리엄 / 하이로드 / 발록수수 / 쌍쯔바고뇌 / 고무장갑 / 업고어 /
나이트스모크 / 레이븐, 듀얼링 / 20/20 애니 횃불 / 함성 45피 6장
36어레20피 7장 / 132어레 45피 1장 / 기드참
듀얼링의 경우 준 120어레 10올레+30포레 라마흡을 추천드리며
15프레임 텔포를 원하시면 10패캐를, 아니면 15민첩 달린 것을
가지신다면 이상적인 링이 됩니다. (착용샷은 15민첩입니다.)
호라드릭 큐브 : 유닉 마르텔, 유닉 타이런트 클럽
앰플용병 : 벡스작 뱀파헬름 / 그레이트인두 / 에테 아콘인내
스왑 : 쌍함성검 (4칸 짜리를 추천드립니다. 유닉마르텔과의 교체를 위해)
발록수수는 외모를 중시하시는 분에게는 필수 아이템이라 생각합니다.
공속은 홀리프리즈나 디크리피파이 적용시를 제외하고는 휠윈드 2프레임 버서크 9프레임 (최대)
검을 고른 이유가 있는데 내구도 때문에 선택했습니다. 덕분에 멋이 더 나는 것 같고 때릴 때의
동작도 버석보다 시원한 것 같습니다. 버서크 사용 시 등을 위해 콜블 대신에 쯔바고뇌를 택했습니다.
용병의 인두는 왼쪽 마우스 휠윈드 오른쪽 마우스 텔레포트의 이점을 최대한 살리려고 선택했습니다.
인첸 몽둥이는 4칸 짜리 함성칼과 서로 교체하면서 틈틈히 사용하시면 됩니다.
쌍고뇌 개별 더블 데미지 보정 효과는 2 - 0.69 * 0.13 = 1.9103 배 (소수점 절삭 생략)
계산에는 포함 배제가 적용됩니다. CS, MCS, DS 는 동시에 적용될 수 없기 때문입니다.
- 이용안내 -
스킬 할당하기
왼쪽 마우스 - F1 버서크 F2 휠윈드
오른쪽 마우스 - F3 텔레포트 F4 배틀커맨드 F5 배틀오더스 F6 샤우트 F7 인챈트 F8 앰플리피파이
자, 스킬을 할당했으면 이제 시작하시면 됩니다.
배틀커맨드 2번 시전 후 배틀오더스 배틀샤우트. 그리고 인챈 거시면 됩니다.
월드스톤 2층에서 바알의 애니멀 전까지 일관된 것은, 용병을 텔포시켜서 앰플을 최대한 활용
하되 앰플이 걸렸으면 용병을 계속 둘 것인지 아니면 후방에 두고 싸울 것인지 결정하는 것입니다.
다만 레이스, 뱀파이어는 버서크로 잡는게 편한데 다른 몹들을 모두 잡은 뒤에 찌르도록 합니다.
특히나 다른 몹들을 처리할 동안 레이스에 앰플이 걸려있으면 처리하기가 한결 수월합니다.
그런데 만약 서큐버스 같은 몹들이 딜 중이라면 레이스를 히트 앤 런 버서크로 선 처리합시다.
무공이 없어서 컨빅을 단 버닝소울을 만나는 경우 신중하게 접근하여 휠윈드를 돌아야 합니다.
그리고 바알의 애니멀의 경우 휠윈드를 돌다가 넉백 당해서 한 가운데에 둘러쌓이게 되면, 탈출
불가능할 수 있으니 계단을 이용할 것을 추천드립니다. 즉, 애니멀들이 소환되기 직전에 용병을
계단 입구에 두고 본캐를 살짝 뒤에 두기 바랍니다. 그리고 애니멀들이 용병을 때려서 앰플이 걸리길
기대하면서 휠윈드를 통해 계단을 오르내리십시요. 그러면 매우 안정적으로 빠르게 잡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계단 오르내리지 말고 멀리서 몬스터들 무리 앞으로 텔포한 후 용병이 머뭇거리는 동안 바로
뒤로 걸어나오거나 휠을 돌아 나오면 앰플을 걸기도 쉬워지게 되고 편리하면서 안전하게 됩니다.
최근 실험해본 결과로는 컨트롤에 조금만 신경 써 줘도 바알의 애니멀을 순삭할 수 있습니다.
다만 함성, 인챈트 등의 버프를 항상 조심해야합니다.
드디어 바알입니다. 바알이 웃는 동안 기다려야하니 함성검들과 유닉 마르텔을 교체해주시고 F8
로드 후에 W 누르셔서 결전을 준비하십시요. 들어가서 바로 다가가 스왑의 앰플리피파이를 시전
후에 열심히 휠윈드를 돌면 됩니다. 대게 30초 대에 헬 풀방 바알이 끝나있음을 확인 가능합니다!
이상으로 글을 마칩니다. 읽어주셔서 감사드리고, 재미있는 사냥 하시기 바랍니다 !
다른 캐릭으로 다시 만나뵙도록 하겠습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랜스가 의미없는 이유 - 그나마 나은 건 거리 뿐이다. 하지만, 어려운 몬스터들은 대게 가만히 서 있다. 서큐버스나 1대 1보스 같은 경우 말이다. 랜스 쓰다가 버석을 쓰면 분명 검이랑 거리가 같은데 답답한건 사실이다. 좁은 지역 12연타보다 조금 더 넓은 지역에 5연타가 오히려 적이 희박한 경우에는 체감이 크다. 시각효과의 영향인가? 그러나 밀집된 지역이나 언데드의 경우는 확실히 쌍무기가 낫다.
/* 호라드릭 큐브 : 그레이트 얼음, 레이븐, 유닉 타이런트 클럽
콜드용병 : 벡스작 뱀파헬름 / 그레이트인두 / 에테 아콘인내
인벤 : 쯔바고뇌, 15속 40증뎀 길리엄, 빌헬름벨트 외 */ (구버전)
얼음은 18레벨 홀프의 53 슬타 외에도 콜드용병과의 시너지 효과로 바알을 잡기 위해 넣었습니다.
빌헬름 벨트는 길리엄, 쌍고뇌와 함께 쓰면 효율이 좋기로 유명한 것입니다.
활을 호라드릭 큐브에 넣은 것은 교체가 편리하기 때문입니다. */ (구버전)
격노의 디크리는 라탭과 중복되긴 하지만 쓸만합니다. 하지만 저는 얼음을 선택했습니다.
이건 개인의 취향이라 생각합니다. 저는 안정적인 슬타에 힘을 실었을 뿐, 격노를 쓰셔도
무방합니다. 하지만 격노는 아무래도 리퍼스 톨 전의 육성용 디크리 용병무기라 생각합니다.
격노 용병은 생존력 좋은 활용병이니 다른 방면으로 활용해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구버전)
* 슬가 셋(삭제된 항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