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서리스, 에너지쉴드에 관한 모든 것!
분류
정보
조회 수
8,708
추천 수
0
아래의 블럭율 에쉴과의 관계에 관한 글을 보고 댓글에 내용추가만 하려고 했는데,
쓰다보니 길어져서 아예 따로 글을 썼습니다.
1.에너지쉴드란 무엇인가?
에너지쉴드란 쉽게 말하자면 소서리스가 받는 피해(물뎀,마뎀)의 일정 퍼센트만큼을 체력대신
마나가 소모되게 해주는 보호막입니다.
여기서 우리가 주목해야 할점은 바로 '소서리스가 받는 피해' 입니다. 에너지쉴드는 단순히 적의 타격
이나 미사일이 소서리스 몸에 닿는다고해서 발동하는것이 아니라 적의 공격이 소서리스에게 피해를
입혔을 때 발동하게 됩니다. 즉, 이말은 소서리스가 블럭킹을 통해 적의 물리공격을 차단했을 경우엔
에너지쉴드가 발동하지 않고 그로인한 마나소모도 없다는 소리입니다.
타캐릭에 비해 피통이 후달리고 마나통이 큰 소서리스에게 있어서는 좋아보이는
듯한 기술이지만 1.10패치이후 엄청난 마나소모량 때문에 에쉴쪽으로 특화시킨 소서이외에는 거의
쓰이지 않게 된 그런 기술입니다.
2.에너지쉴드의 기본정보
피해흡수율: 스킬렙1시 20% 부터 최대 95%까지 가능
마나소모량: 받은 데미지의 200%(100의 데미지를 받았을 경우 200의 마나소모)
**마나소모량은 에쉴의 시너지스킬인 텔레키네시스를 찍음으로써 텔키를 찍을 때마다 6.25%씩
줄어들어 받은 데미지의 75%까지 낮출 수 있습니다.**
3.그 밖에 데미지 감소옵션들간의 적용 우선순위
우선순위를 알아보기전에 일단 데미지감소관련 옵션들은 어떤것들이 있는지 부터 알아보겠습니다.
일단 데미지는 크게 물리데미지와 마법데미지(해머등의 매직뎀도 여기에포함)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이건 뭐 다들 아는 사실이겠죠.
그리고 데미지감소관련 옵션들은 또 다시 두가지종류로 나눌 수 있습니다.
하나는 저항력(resistance)이고 또 하나는 감소(reduction)입니다.
저항력과 감소의 가장큰 차이점은 바로 단위의 차이죠. 저항력은 %단위 이구요, 감소는 단위가 따로
없고 그냥 일정수치만큼의 데미지를 감소시켜주는 옵션입니다.
그럼 이제 물리데미지와 마법데미지를 나눠서 저항력과 감소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물리데미지
물리저항력: 물리저항력이란 우리가 게임상에서 흔히 뎀감 또는 리듀 등으로 부르는 것입니다.
디아블로에서 최대 물리저항력은 50%이구요.
물리저항력이 붙어있는 아이템에는 유닉 메쉬아머, 유닉 미스릴코일 등이 있습니다.
물리감소 : 물리감소란 아이템에 'Damage reduced by 11'와 같이 표시되는 옵션을 말합니다.
저항력과는 달리 위의 수치만큼의 데미지를 감소시켜주는 옵션이죠.
물리감소가 붙어있는 아이템에는 피스링 등이 있습니다.
2)마법데미지
마법저항력: 마법저항력은 아마 대부분의 사람들이 다 아실겁니다. 마법저항력은 a를 눌러 상태창을
확인해보면 쉽게 확인이 되기 때문입니다(매직저항제외).
일단 기본으로 정해진 최대 마법저항력은 75%이고, 최대저항력을 늘리는 아이템착용을
통해 90%(85인가?)까지 늘리는게 가능합니다.
마법저항력이 붙은 아이템에는 마라아뮬, 애니참, 횃불 등이 있습니다.
마법감소 : 마법감소는 아이템에 'Magic damage reduced by 13' 와 같이 표시되는 옵션을 말합니다.
물리감소와 마찬가지로 위의 수치만큼의 마법데미지를 감소시켜주죠.
마법감소가 붙어있는 아이템으로는 소서구교복(유닉서펀트스킨아머)이 있습니다.
데미지를 감소시키는 요인에 대해 알아보았으니 이제 에쉴간의 적용우선순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물리데미지와 마법데미지의 피해를 줄이는 각각의 적용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물리데미지: 에너지쉴드 >> 물리감소 >> 물리저항력
마법데미지: 에너지쉴드 >> 마법감소 >> 마법저항력
즉, 데미지를 감소함에 있어서 에너지쉴드는 무엇보다 최우선적으로 작용하고 그 뒤로 감소, 저항력순
으로 작용을 합니다. 이것을 감소와 저항력이 얼마나 되든간에 일정데미지에 대해 소모하는 마나량은
똑같다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감소와 저항력은 마나소모가 아닌 라이프소모와 관련이 되어 있죠.
그럼 여기서 또 한가지, 에쉴을 켜고 라이프소모를 최소화 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이건 상황을 크게 두가지로 나누어서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하나는 피케이시, 또 하나는 사냥시.
피케이와 몹사냥의 가장 큰 차이점은 주고받는 데미지의 크고작음 입니다.
피케이를 할 때는 플레이어들 간에 싸우기 때문에 한방에 1000단위 데미지를 받게 되지만,
몬스터 사냥을 할 때는(헬몬스터 물리뎀을 기준으로) 고작 100내외의 데미지를 받을 뿐입니다.
눈치가 빠르신 분은 이미 느낌이 오실테니 일단 결론부터 말씀드리겠습니다.
"피케이시에는 라이프소모에 있어 감소옵션보다 저항력옵션이 더 중요하고
사냥시에는 저항력옵션보다 감소옵션이 더 중요합니다."
아직도 이해가 안되시는 분들을 위해 간단한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에쉴흡수율80%, 모든저항력50%(물리포함), 물리감소10, 마법감소10 을 맞춘 소서리스가 피케이와
사냥을 한다고 가정합시다.
1)피케이시
팔라딘으로부터 12000데미지의 차지를 맞았습니다. 그럼 최종적으로 입게되는 데미지는
12000 -> 2000(pk패널티) -> 400(에너지쉴드) -> 390(물리감소) -> 195(물리저항력)
2)사냥시
헬보바인으로 부터 120의 공격을 맞았습니다. 그럼 최종적으로 입게되는 데미지는
120 -> 24(에너지쉴드) -> 14(물리감소) -> 7(물리저항력)
보이시나요? 피케이시 큰 데미지감소효과를 내던 저항력이 사냥시에는 고작 한자리수단위의 데미지를
감소시켰습니다.
4.마나돌리기 & 흡수
1)마나돌리기(Damage Taken Goes to Mana)
마나돌리기(마돌)이란 입은 물리피해(마뎀적용x)의 일정퍼센트만큼의 마나를 회복시켜주는 옵션입니다.
그렇다고 피가 좀 덜 다는건 아니고 피는 그대로 다는데 마나만 차게 되는거죠.
일단 마돌의 적용순서는 에쉴과 물리감소,저항력 모두 적용 후에 맨 마직막으로 적용이 됩니다.
즉, 에쉴의 흡수율과 물리감소, 저항력이 높아서 최종적으로 받는 물리피해가 아주 작다면 마나가
차는 양도 줄어들게 됩니다.
마나가 찬다는점이 마나가 깎이는 에너지쉴드와는 반대되므로 에너지쉴드를 사용할 때 약간의 도움이
되구요, 실제로 일정량의 마돌을 확보하면 에쉴을 켰음에도 불구하고 물리공격을 맞았을시 마나가
차게 할수도 있습니다. 아래의 표(퍼옴)는 에쉴의 흡수율별로 마나가 차기위해 필요한
마돌의 수치입니다.
ES흡수율/ 마돌요구치(텔키20)/ 마돌요구치(텔키1)/ 설 명(텔키20기준)
ES 20%/ 18.75%/ 48%/ 19%이상 맞추면 마나가 도로참..
ES 30%/ 32.14%/ 83%/ 33%이상 맞추면 마나가 도로참
ES 40%/ 50%/ 129%/ 나이트스모크가 40%뎀지를 진짜 흡수함 -_-
ES 50%/ 75%/ 193%/ 무리해서 맞추더라도 이익이 된다.
ES 60%/ 112.5%/ 290%/ 조금 무리해서 맞출 수 있다.
ES 70%/ 175%/ 452%/ 조금의 마나감소는 이해하고 웜쓰를 이용한다.
ES 80%/ 300%/ -/ 마나감소도 웜쓰가 다 해결한다.
ES 90%/ 675%/ -/ 마나통을 2000이상 맞추고 몰웜쓰 추천
ES 95%/ 1425%/ -/ 마나돌리기는 포기하고, 큰마나통과 웜쓰를 이용
2)흡수(absorb)
흡수란 일정량의 마법데미지를 흡수하여 흡수한 만큼의 데미지를 감소시키는 동시에 라이프를 회복
시키는 옵션입니다. 흡수옵션도 저항력과 감소와 약간은 비슷하게, 데미지의 일정%만큼 흡수하는 옵션도 있고 특정수치만큼 흡수하는 옵션도 있습니다. 흡수옵션은 %흡수든 수치흡수든 우선순위는 없고
동시에 적용이 됩니다.
그리고 흡수옵션의 적용순서도 마돌과 마찬가지로
에쉴과 마법저항 마법감소 모두 적용 후 맨 마지막으로 적용됩니다.
이상 제가 아는 에쉴에 관한 모든 정보를 나열해 보았습니다.
쓰다보니 길어져서 아예 따로 글을 썼습니다.
1.에너지쉴드란 무엇인가?
에너지쉴드란 쉽게 말하자면 소서리스가 받는 피해(물뎀,마뎀)의 일정 퍼센트만큼을 체력대신
마나가 소모되게 해주는 보호막입니다.
여기서 우리가 주목해야 할점은 바로 '소서리스가 받는 피해' 입니다. 에너지쉴드는 단순히 적의 타격
이나 미사일이 소서리스 몸에 닿는다고해서 발동하는것이 아니라 적의 공격이 소서리스에게 피해를
입혔을 때 발동하게 됩니다. 즉, 이말은 소서리스가 블럭킹을 통해 적의 물리공격을 차단했을 경우엔
에너지쉴드가 발동하지 않고 그로인한 마나소모도 없다는 소리입니다.
타캐릭에 비해 피통이 후달리고 마나통이 큰 소서리스에게 있어서는 좋아보이는
듯한 기술이지만 1.10패치이후 엄청난 마나소모량 때문에 에쉴쪽으로 특화시킨 소서이외에는 거의
쓰이지 않게 된 그런 기술입니다.
2.에너지쉴드의 기본정보
피해흡수율: 스킬렙1시 20% 부터 최대 95%까지 가능
마나소모량: 받은 데미지의 200%(100의 데미지를 받았을 경우 200의 마나소모)
**마나소모량은 에쉴의 시너지스킬인 텔레키네시스를 찍음으로써 텔키를 찍을 때마다 6.25%씩
줄어들어 받은 데미지의 75%까지 낮출 수 있습니다.**
3.그 밖에 데미지 감소옵션들간의 적용 우선순위
우선순위를 알아보기전에 일단 데미지감소관련 옵션들은 어떤것들이 있는지 부터 알아보겠습니다.
일단 데미지는 크게 물리데미지와 마법데미지(해머등의 매직뎀도 여기에포함)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이건 뭐 다들 아는 사실이겠죠.
그리고 데미지감소관련 옵션들은 또 다시 두가지종류로 나눌 수 있습니다.
하나는 저항력(resistance)이고 또 하나는 감소(reduction)입니다.
저항력과 감소의 가장큰 차이점은 바로 단위의 차이죠. 저항력은 %단위 이구요, 감소는 단위가 따로
없고 그냥 일정수치만큼의 데미지를 감소시켜주는 옵션입니다.
그럼 이제 물리데미지와 마법데미지를 나눠서 저항력과 감소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물리데미지
물리저항력: 물리저항력이란 우리가 게임상에서 흔히 뎀감 또는 리듀 등으로 부르는 것입니다.
디아블로에서 최대 물리저항력은 50%이구요.
물리저항력이 붙어있는 아이템에는 유닉 메쉬아머, 유닉 미스릴코일 등이 있습니다.
물리감소 : 물리감소란 아이템에 'Damage reduced by 11'와 같이 표시되는 옵션을 말합니다.
저항력과는 달리 위의 수치만큼의 데미지를 감소시켜주는 옵션이죠.
물리감소가 붙어있는 아이템에는 피스링 등이 있습니다.
2)마법데미지
마법저항력: 마법저항력은 아마 대부분의 사람들이 다 아실겁니다. 마법저항력은 a를 눌러 상태창을
확인해보면 쉽게 확인이 되기 때문입니다(매직저항제외).
일단 기본으로 정해진 최대 마법저항력은 75%이고, 최대저항력을 늘리는 아이템착용을
통해 90%(85인가?)까지 늘리는게 가능합니다.
마법저항력이 붙은 아이템에는 마라아뮬, 애니참, 횃불 등이 있습니다.
마법감소 : 마법감소는 아이템에 'Magic damage reduced by 13' 와 같이 표시되는 옵션을 말합니다.
물리감소와 마찬가지로 위의 수치만큼의 마법데미지를 감소시켜주죠.
마법감소가 붙어있는 아이템으로는 소서구교복(유닉서펀트스킨아머)이 있습니다.
데미지를 감소시키는 요인에 대해 알아보았으니 이제 에쉴간의 적용우선순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물리데미지와 마법데미지의 피해를 줄이는 각각의 적용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물리데미지: 에너지쉴드 >> 물리감소 >> 물리저항력
마법데미지: 에너지쉴드 >> 마법감소 >> 마법저항력
즉, 데미지를 감소함에 있어서 에너지쉴드는 무엇보다 최우선적으로 작용하고 그 뒤로 감소, 저항력순
으로 작용을 합니다. 이것을 감소와 저항력이 얼마나 되든간에 일정데미지에 대해 소모하는 마나량은
똑같다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감소와 저항력은 마나소모가 아닌 라이프소모와 관련이 되어 있죠.
그럼 여기서 또 한가지, 에쉴을 켜고 라이프소모를 최소화 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이건 상황을 크게 두가지로 나누어서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하나는 피케이시, 또 하나는 사냥시.
피케이와 몹사냥의 가장 큰 차이점은 주고받는 데미지의 크고작음 입니다.
피케이를 할 때는 플레이어들 간에 싸우기 때문에 한방에 1000단위 데미지를 받게 되지만,
몬스터 사냥을 할 때는(헬몬스터 물리뎀을 기준으로) 고작 100내외의 데미지를 받을 뿐입니다.
눈치가 빠르신 분은 이미 느낌이 오실테니 일단 결론부터 말씀드리겠습니다.
"피케이시에는 라이프소모에 있어 감소옵션보다 저항력옵션이 더 중요하고
사냥시에는 저항력옵션보다 감소옵션이 더 중요합니다."
아직도 이해가 안되시는 분들을 위해 간단한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에쉴흡수율80%, 모든저항력50%(물리포함), 물리감소10, 마법감소10 을 맞춘 소서리스가 피케이와
사냥을 한다고 가정합시다.
1)피케이시
팔라딘으로부터 12000데미지의 차지를 맞았습니다. 그럼 최종적으로 입게되는 데미지는
12000 -> 2000(pk패널티) -> 400(에너지쉴드) -> 390(물리감소) -> 195(물리저항력)
2)사냥시
헬보바인으로 부터 120의 공격을 맞았습니다. 그럼 최종적으로 입게되는 데미지는
120 -> 24(에너지쉴드) -> 14(물리감소) -> 7(물리저항력)
보이시나요? 피케이시 큰 데미지감소효과를 내던 저항력이 사냥시에는 고작 한자리수단위의 데미지를
감소시켰습니다.
4.마나돌리기 & 흡수
1)마나돌리기(Damage Taken Goes to Mana)
마나돌리기(마돌)이란 입은 물리피해(마뎀적용x)의 일정퍼센트만큼의 마나를 회복시켜주는 옵션입니다.
그렇다고 피가 좀 덜 다는건 아니고 피는 그대로 다는데 마나만 차게 되는거죠.
일단 마돌의 적용순서는 에쉴과 물리감소,저항력 모두 적용 후에 맨 마직막으로 적용이 됩니다.
즉, 에쉴의 흡수율과 물리감소, 저항력이 높아서 최종적으로 받는 물리피해가 아주 작다면 마나가
차는 양도 줄어들게 됩니다.
마나가 찬다는점이 마나가 깎이는 에너지쉴드와는 반대되므로 에너지쉴드를 사용할 때 약간의 도움이
되구요, 실제로 일정량의 마돌을 확보하면 에쉴을 켰음에도 불구하고 물리공격을 맞았을시 마나가
차게 할수도 있습니다. 아래의 표(퍼옴)는 에쉴의 흡수율별로 마나가 차기위해 필요한
마돌의 수치입니다.
ES흡수율/ 마돌요구치(텔키20)/ 마돌요구치(텔키1)/ 설 명(텔키20기준)
ES 20%/ 18.75%/ 48%/ 19%이상 맞추면 마나가 도로참..
ES 30%/ 32.14%/ 83%/ 33%이상 맞추면 마나가 도로참
ES 40%/ 50%/ 129%/ 나이트스모크가 40%뎀지를 진짜 흡수함 -_-
ES 50%/ 75%/ 193%/ 무리해서 맞추더라도 이익이 된다.
ES 60%/ 112.5%/ 290%/ 조금 무리해서 맞출 수 있다.
ES 70%/ 175%/ 452%/ 조금의 마나감소는 이해하고 웜쓰를 이용한다.
ES 80%/ 300%/ -/ 마나감소도 웜쓰가 다 해결한다.
ES 90%/ 675%/ -/ 마나통을 2000이상 맞추고 몰웜쓰 추천
ES 95%/ 1425%/ -/ 마나돌리기는 포기하고, 큰마나통과 웜쓰를 이용
2)흡수(absorb)
흡수란 일정량의 마법데미지를 흡수하여 흡수한 만큼의 데미지를 감소시키는 동시에 라이프를 회복
시키는 옵션입니다. 흡수옵션도 저항력과 감소와 약간은 비슷하게, 데미지의 일정%만큼 흡수하는 옵션도 있고 특정수치만큼 흡수하는 옵션도 있습니다. 흡수옵션은 %흡수든 수치흡수든 우선순위는 없고
동시에 적용이 됩니다.
그리고 흡수옵션의 적용순서도 마돌과 마찬가지로
에쉴과 마법저항 마법감소 모두 적용 후 맨 마지막으로 적용됩니다.
이상 제가 아는 에쉴에 관한 모든 정보를 나열해 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