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타/강타/상악을 고려한 정밥 참의 효율 연구결과 입니..
분류
정보
조회 수
7,740
추천 수
1
(개인적인 견해의 연구글이라 어느정도의 오차는 있을 수 있습니다^^)
경고) 일단 글이 아주 아주 깁니다. 빠르게 연구결과만 알고싶으신 분들은
후반부의 결론만 보셔도 됩니다.
1.개요
바게를 반년이상 봐오신 분들은 알겠지만
작년에 정밥 참의 효율을 분석한 실험글을 추게에 올렸었다가
삭제를 했던 적이 있습니다. 이유는 특수옵션을 반영을 안한 것이 맘에 걸렸기 때문이죠.
강타,상악이 고려되지 않은 계산방식은
"어레피참"에게 불리한 결과를 가져오게 됩니다.
왜냐하면 강타,상악은 맥뎀과는 전혀 상관없이
오직 어택레이팅과 상대의 디펜,라이프 에만 관련된 옵션이기 때문이죠
그래서 이런 생각이 들었습니다
"일단 연구결과는 맥참이 뛰어나다고 나오는데..
만약 특수옵션을 고려했더니 맥참보다 어레참이 좋다고 나올 확률도 무시할 수 없다"
그래서 강타,상악을 반영하지 않은 그 실험 글을 삭제를 했었죠
그래서 삭제한 후에 강타,상악을 연구를 했었는데.
워낙 계산방식이 복잡하고 어려워서 그냥 중도 포기를 했었습니다.
그렇게 손놓고 있다가
이번에서야 한 번 작정하고 강타,상악을 분석을 했습니다.
강타,상악을 연구를 했다곤 하지만 100%정확한 수치를 구했다라고는 말씀을 못드립니다.
이 특수옵션이란게 정밥전에서
플레이어끼리의 플레이방식, 휠컨트롤 하나하나에 영향을 받기때문에
100% 정확하게 강타,상악데미지를 환산하여 참의 효율을 연구한다는 건
사실상 "불가능" 하기 때문이죠.
하지만 최대한 정밥전에서의 일반적인 상황을 추측하여
상악과 강타를 "물리데미지식(근사값)으로 환산" 하는데 겨우 성공했습니다.
일단 연구를 전부 끝낸 지금으로서도,
제가 분석한 상악과 강타에 대한 수치가
실제 정밥전 상황의 실제 상악,강타의 효율의
최소한 85%이상은 보장하지 않을까 하는게 저의 입장입니다.
모든 실험데이터는 베실산암로디핀님이 올려주신 참세팅당 수치사진을
기초로 하여 시작하였습니다.
베실님이 올리신 정보글이 있으니 연구를 시작하기가 훨씬 수월하더군요.
사실 연구의 계기가 그 글이기도 했습니다. 감사드립니다.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2.디펜스의 변수환산
일단 실험바바의 템은 업슬가, 버석고뇌, 모넉, 인내, 오거장, 미스릴, 고어, 엔젤셋 등의
으뜸옵션 고정템입니다.
이렇게 해서 나온 스탯창 디펜스 29467이 나왔는데
정밥들이 쓰는 고뇌는 필히 -25%디펜깍기 옵션이 있어서
듀얼시 반감되어 -12.5% 디펜깍기를 하는 작업을 해줘야 합니다.
이것은 모든 정밥이 공통사항이므로 미리 디펜스에 적용시켰습니다.
그 결과
방깍을 고려한 디펜스 25784가 나오네요.
칠링아머는 고려를 해서 실험을 했었는데
시준님의 의견상 실제 정밥듀얼상에서 칠링아머가 터질확률은 극히 미미하다는
의견에 따라 그냥 고려하지 않고 넘어가겠습니다.
(고려를 해도 실험결과에 미미한 영향입니다)
3. 치타(크리)의 물리데미지 환산 방법
치타+크리티컬의 물리데미지 환산 방법은 아주 쉽습니다.
일단 정밥은 공통적으로 약 35%의 치타와 약 32%정도의 크리티컬을 가집니다.
이 둘을 조합하면 최종적으로 약55%의 2배데미지 확률을 가지게 되죠.
앞으로는 치타+크리티컬결과 나온 2배데미지 확률을
편의상 "치타율"이라고 하겠습니다.
그러면 이렇게 예를 들어보죠.
치타율 0%를 가진 공격력 100짜리 바바
치타율 50%를 가진 공격력 100짜리 바바
치타율 100%를 가진 공격력 100짜리 바바가
각각 10번을 타격한다고 가정을 합시다.
치타0% 바바는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 평균100데미지
치타50% 바바는 예를들어 100 200 100 200 100 200 100 200 100 200 -> 평균 150데미지
치타100% 바바는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 평균 200데미지
여기서 결론을 내릴수 있죠.
"A%의 치타확률을 가지면 기본물리데미지에 ( 1 + A/100 )를 곱해주면 평균데미지가 된다"
라구요.
그래서 모든 55%의 치타율을 가진 정밥들은
자신이 가진 물리데미지에 1.55배를 해주면 치타율을 반영한 데미지가 되겠습니다.
4. 상악의 물리데미지 환산방법
일단 생각해봅시다.
스몰지참 도배한 정밥이 다른 풀템정밥을 때리면
디펜스를 뚫을 확률은 21496 / (21496 +27814) = 42.59% 입니다
디펜스를 뚫고 블럭도 뚫을 확률은 42.59% / 4 = 10.9% 입니다.
디펜스를 뚫고 블럭도 뚫고 상악을 터트릴 확률은 10.9% / 10 = 1.09% 입니다
(상악발동확률이 고어의 10% 이기 때문이죠)
정리하자면 상대가 맞든 안 맞든 한대 쳤을때 최종적으로
상대방이 상악이 걸릴 확률이 1.09%라는 것입니다.
이렇게 생각해 볼 수가 있죠.
상악이 지속되는 시간은 8초 = 200프레임 입니다.
하지만 정밥전에서
그 8초내에 항상 서로의 휠범위에서 휠을 돌고 있기는 힘듭니다.
그 8초라는 상악의 시간동안
4초는 휠을 비빈다고 가정하겠습니다.
이를 기준으로 역산을 해보면,
20.9초동안에 절반인 10.45초동안 서로를 때릴때, 이중 7번정도가 타격에 성공합니다.
다시말하면, 약 20초동안 상대와 약 7타격씩을 주고받으면서 겜이 끝난다는 거죠.
실제로도 정밥전은 주로 15~25초 정도에 승부가 나는 경우가 많으니,
편의상 정밥전의 시간을 "20초"로 잡겠습니다.
이럴경우, 게임이 거의 끝날때 즈음, 서로가 딸피인 약 18초이후에
들어간 상악뎀쥐는 아무런 쓸모가 없게 되어버립니다. 어차피
딸피때 공격이 들어간다면 상악같은 옵션을 생각하지 않더라도
본래 물리데미지로 경기가 끝나니말이죠
그래서 확률적으로 18초이후에 터진 상악은 가치가 0에 가깝습니다.
다시 예를 들어보면,
14초에 터진 상악은 14~18초까지 4초동안의 의미있는 피를 빼지만
18초~20초에는 가치가 없는 피를 빼는 것과 같습니다.
총 8초의 상악시간중에 4초동안만 의미있는 데미지가 되니 효율은 50%로 볼 수 있겠네요
이런식으로 각 타격시점마다의 상악의 효율치가 달라지는데,
이를 그래프를 그려서 상악이 "딸피가 아닌 의미가 있는 피"를 빼줄 비율을 구해보니
약 70%가 나오더군요. 생각보다 낮았습니다.
아무래도 상악은 8초지속인데 정밥전평균이 20초 밖에 안되기 때문인 것 같습니다.
이번엔 다른 방향에서 상악을 한 번 살펴보겠습니다.
바로 "연이은 뒷상악에 의해 앞상악의 효과가 씹혀버릴 경우"입니다.
8초의 상악감염시간동안 4초정도 휠을 주고받는다고 가정을 했었습니다.
그러면 그 4초 = 100프레임동안
4프레임 휠을 25타격을 치게 되는데
25번동안 상악이 전혀 발동되지 않을 확률은 계산결과 76%가 나왔습니다 (98.91%의 25제곱)
이 말인 즉슨 거꾸로 생각하면,
나머지 24%의 확률로 8초 이내에 1번이상의 상악이 다시 터진다는 얘기지요.
같은 방식으로 계산하면 8초 이내에 2번 이상의 상악이 다시 터질 확률이
있지만, 편의상 설명은 생략하고 나중의 계산과정에 반영하겠습니다.
아무튼,
24%의 확률로 상악이 8초안에 다시 터진다면,
그 상악은 첫상악이 터진후 0초~8초 사이의 어딘가에서 터졌다는 얘깁니다.
이걸 간단하게 평균치를 내보면, 4초지점에서 터졌다는 얘기죠.
그 말은,
첫상악은 4초까지 지속되고,
뒷상악이 4초지점에서 다시 시작되었다는 말입니다.
고로, 첫상악은 이때, 총 8초지속시간중에
4초간은 상악데미지를 전달한다는 말이죠. 수치로는 50%입니다.
그러므로 여기까지 중간정리를 하자면,
76%의 확률로 상악뎀쥐를 100% 완전히 다 입힌다
24%의 확률로 상악뎀쥐를 50%정도만 입힌다.
가 되겠죠.
여기서 같은 방식으로 상악이 8초내에, 2번이상 걸릴확률이 있지만,,
워낙 작은 숫자라 살짝만 상악의 기대뎀쥐에서 깍아주면 됩니다.
그 결과, 상악이 한번 발동되면,
그 시점에 발동된 상악이 입히리라 예상할 수 있는 뎀쥐는
612총뎀쥐중에 87~88% 정도입니다.
이 %는 게임 후반부에는 조금더 증가하는데,
가령, 20초의 게임시간중 16초에서 터진상악은 18초까지 약 2초동안만
가치있는 상악시간으로 추정할 수 있기 때문에
뒷상악이 발동될 확률도 감소하기 때문입니다.
정리를 해서, 원래 처음 상악의 뎀쥐612에서
상악이 쓸모없게 될 두 가지 변수
(뒷상악에 의해 씹힐 변수 / 딸피때의 가치없는 상악)
을 수치화하면 88~89% * 70% = 약 62%정도
이니 612상악뎀쥐의 62%인 뎀쥐379정도가
상악이 터졌다고 했을 때, 기대할 수 있는 실 상악 뎀쥐가 됩니다.
여기서 상악의 확률이 10%인 만큼 1/10을 해주면
최종적으로 한대 대렸을때 기대되는 상악뎀쥐는 38피정도가 됩니다.
여기서 이 38피를 물리데미지식으로 환산을 하면
38피 * 5.88(듀얼패널티) * 2(데감) = 447이 됩니다.
쉽게 해석을 하자면 스탯창데미지 447이 상대의 피를 38 깍으므로
38피를 깍는 상악뎀쥐를 스탯창 데미지 447로 환산을 한거죠.
상악데미지 = 물리데미지 447
(덧붙임 : 뱀파장의 경우)
오거장일 경우는 이렇게 상악끼리 서로를 방해하는 확률은 그래도 비교적 적은 편이지만
하지만 뱀파장일 경우는 오히려
상악이 자주 발동되기 때문에 상악끼리 서로 씹힐 확률또한 증가합니다.
그래서 개인적으로 분석을 해본 결과,
뱀파장세팅의 35% 상악이 오거장세팅의 10%상악의 3.5배가 아닌
2~3배정도의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오더군요 (이과정은 너무 복잡해서 생략합니다)
5. 강타의 물리데미지 환산방법
강타의 평균데미지를 구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보통 7~8방을 주고 받으면 게임이 끝나는 정밥전 상황에서
25%(오거+고어)의 강타를 가졌다면 그 중 평균잡아 2방정도가 강타가 들어간 데미지라고
생각을 해볼 수가 있습니다.
하지만 문제는 이 2방의 강타가
게임 초반에 들어갔을 때와,
게임 후반에 들어갔을 때의 데미지가 천지차이라는 거죠.
그래서 이렇게 연구방향을 설정했습니다.
첫째타와 마지막타(7번째)에 강타가 들어간 실험1
둘째와 여섯번째에 강타가 들어간 실험2
셋째와 다섯번재에 강타가 들어간 실험3
이렇게 강타가 고루고루 들어가게끔 가정을 하고 이 실험1,2,3의 평균 데미지가
실제 강타데미지에 거의 근접한 데미지라고 생각을 했습니다.
일단 지참풀템정밥의 실제 물리타격치 + 상악타격치인 788피를 한방 뎀쥐로 설정,
강타가 들어갔을 때는 남은 피의 1/20을 강타데미지로 추산하였습니다.
그 결과,
실험1의 평균 강타데미지 = 173.5라이프
실험2의 평균 강타데미지 = 174.5라이프
실험3의 평균 강타데미지 = 175라이프의 고른 결과가 나왔습니다.
이를 평균해서, 174.3라이프가 평균라이프로 나왔습니다
(강타가 한번 들어갔다고 치면 평균 174피를 추가로 깍는다고 생각할 수 있죠)
같은량의 라이프를 깍기 위해선 2050의 스탯창 물리데미지가 필요합니다.
여기서, 강타확률이 25% 이니만큼 2050 * 0.25 = 512스탯창 물리데미지
가 정확한 강타의 물리데미지 환산 결과가 되겠습니다.
강타데미지 = 물리데미지 512
이것은 3/20/20의 강타를 물리데미지로 환산한 것이고,
참마다 아주 살짝씩 크기가 다릅니다.
가장 물리뎀쥐가 약한 36/20어레 세팅이 강타가 물리뎀환산 545로 가장 높은데
이 이유는 비교적 약한 물리데미지때문에
상대방의 피가 많이 남게되고, 그래서 강타데미지가 살짝 더 들어가지만,
그 차이는 크게 봤을때 큰 차이는 아닙니다.
6. 정리
그렇게 해서
원래 나온 각 참별 바바의 데미지의 평균데미지를 구한후,
그 평균데미지에 치타율을 반영하고 ( *1.55 )
상악데미지를 반영하고 ( +447 )
강타데미지를 반영하고 ( +512 ~ +545 )
마지막으로 세이크리드 아머의 숨겨진 "물리데미지감소3"옵션
(확실한지는 모르겠으나 일단 적용은 해봤습니다)
과 인내의 -7감소옵션 ( -118 )
까지 반영한 최종 특수옵션 몽땅 고려한 "종합데미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참 전혀 없음 - 8585
3/20/20 스몰맥 - 9495
10/76/45 그랜맥 - 9568
6/48/35 라지맥 - 9495
132/45 그랜어레 - 8832
36/20 스몰어레 - 8585
(남는 부분은 전부 3/20/20참을 넣은 경우입니다)
=========섞은참의 경우==========
3/20/20 28장 + 36/20 9장 - 9273
3/20/20 17장 + 6/48/35 7장 + 36/20 6장 - 9346
3/20/20 19장 + 6/48/35 9장 - 9495
그리고 이 종합데미지에
어레와 방깍,칠링을 반영한 디펜을 계산해서 나온 공격 성공률 수치는 다음과 같습니다.
참 전혀 없음 - 40.88%
3/20/20 스몰맥 - 45.47%
10/76/45 그랜맥 - 46.28%
6/48/35 라지맥 - 46.28%
132/45 그랜어레 - 48.94%
36/20 스몰어레 - 48.65%
=========섞은참의 경우==========
3/20/20 28장 + 36/20 9장 - 46.28%
3/20/20 17장 + 6/48/35 7장 + 36/20 6장 - 46.32%
3/20/20 19장 + 6/48/35 9장 - 45.87%
그러면 여기서,
정밥의 전투력을 어떻게 판단해야 하는가 하는 문제에 봉착하게 됩니다.
일단 쉽게, 어떤 바바가 2배의 공격력을 지닌다면 2배의 전투력을 지닌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최종전투력은 공격력과 비례 관계
그리고 남들이 1번 때릴 때 내가 2번때릴 수 있다면, 역시 2배의 전투력을 지닌다고 할 수 있죠
-> 최종전투력은 공격성공률과 비례 관계
마지막으로 남들이 5방 맞아서 죽을때, 내가 10방을 견뎌내는 피통이 있다면,
역시 2배의 전투력을 지닌다고 할 수 있죠.
-> 최종전투력은 라이프와 비례 관계
(추가 설명 : 본넥과 같이 항상 일정데미지.. 예를들어 900정도를 주는 상대라면
5500피나 6300피나 똑같이 7방을 맞으면 죽으니 5500피 = 6300피와 같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풀템정밥의 경우는 적게잡으면 약400피를 깍고,
맥뎀에 강타,치타,상악이 모두 발동될 경우 한방에 최대 약2000피를 깍습니다.
약400~2000피의 데미지가 랜덤으로 발동되는 정밥전의 경우,
마지막에 피가 500이 남을 때 한 방 맞아도 피가 남아 사는 경우가 있고,
마지막에 피가 1000정도가 남아도 한방에 죽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렇게 무작위 적이고 불확실한 요소가 많은 정밥전의 경우는
본넥전과는 틀리게, 상황이 어떻게 될지 모르니
단 1피라도 그 1피만큼의 효율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자, 그러면 정리해보면
최종전투력 = 종합공격력 * 공격성공률 * 라이프 량과 비례
라고 볼 수 있습니다.
7. 최종결과
각 참세팅별 (종합공격력 * 공격성공률 * 라이프)는 다음과 같습니다.
참 전혀 없음 - 149893XXXXXX
3/20/20 스몰맥 - 258179XXXXXXX
10/76/45 그랜맥 - 250983XXXXXXX
6/48/35 라지맥 - 253638XXXXXXXX
132/45 그랜어레 - 244993XXXXXXXX
36/20 스몰어레 - 249761XXXXXXX
=========섞은참의 경우==========
3/20/20 28장 + 36/20 9장 - 256634XXXXXXXXX
3/20/20 17장 + 6/48/35 7장 + 36/20 6장 - 255378XXXXXXXXXX
3/20/20 19장 + 6/48/35 9장 - 255921XXXXXXXXXXXXX
이것을 보기 편하게, 참 전혀 없고 인벤에 횃불과 애니만 딸랑있는 바바를
전투력 100점으로 설정했을때, 참세팅별로는 얼마나 되는지 환산해봤습니다.
참 전혀 없음 - 100점
3/20/20 스몰맥 - 172.2점 - 1등
10/76/45 그랜맥 - 167.4 점 - 3등
6/48/35 라지맥 - 169.2 점 - 2등
132/45 그랜어레 - 163.4 점 - 5등
36/20 스몰어레 - 166.6 점 - 4등
=========섞은참의 경우==========
3/20/20 28장 + 36/20 9장 - 171.2점
3/20/20 17장 + 6/48/35 7장 + 36/20 6장 - 170.3점
3/20/20 19장 + 6/48/35 9장 - 170.7점
네.. 결과가 나왔네요. 특수옵션, 상악,강타,치타를 모두 고려해서 나온 결과에서
지참세팅이 가장 우수하다고 나옵니다.
어레피참에 유리한 특수옵션을 감안하더라도,
비교적 맥참들이 어레참보다 우수하게 나오네요.
이 실험을 하면서 한 김에 뱀파장 세팅의 경우에는 어떻게 나올까도 한 번
분석해 봤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생략하는 것이 글쓰는 저나 보시는 여러분한테나
좋을 것 같아서 생략합니다.
그 결과 뱀파장세팅을 하고 적당히 상악을 살리는 플레이방식으로 정밥전을 할 경우에
1등은 3/20/20 지참으로 여전히 우수했고,
공동2등으로는 36/20 스몰어레참과 6/48/35 라지맥참이 선정되었습니다.
(차이가 거의 미미해서 공동2등으로 했습니다)
오거장세팅때는 하위권에 머물던 스몰어레참이 뱀파장과는 궁합이 잘 맞아서
비교적 높은 효율을 주는 것으로 나오더군요.
4등은 10/76/45 그랜맥
5등은 132/45 그랜어레 가 나왔습니다.
그리고 방어참의 경우는 어떠냐는 어떤분의 말이 있어서
으뜸방어참의 경우도 한 번 분석을 해봤었는데.
가장 하위권에 랭크되었습니다.
8. 후기
글쓰는데만 2시간이 걸렸네요.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투명성있는 실험과정을 드러내려고 하다보니
글이 길어진 것 같습니다.
결과는 저렇게 나왔지마는,
실제로는 5등참을 가지고도 1등참바바를 이길수 있고,
1등참가지고도 50%도 안되게 승률이 낮을 수도 있습니다.
왜냐하면 간단히 운이 70% 템과컨이 30%정도인 정밥전의 특성이 있기 때문이죠.
데이터상 10%의 성공확률이어도 10번때려서 한대도 못맞출수도,
3,4대를 때릴 수도 있습니다.
확률은 확률에 그치는 만큼,
실제의 변수까지 하나하나 감싸지는 못하기 때문이죠.
하지만 동일한 컨트롤에 동일한 플레이 방식에
가장 중요한 "동일한 운"이라면,
아마도 저 참세팅연구 결과와 비슷하게 승부가 결정되지 않을까 싶네요.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rjawjd = 검정 ->한글로 닉변했습니다.
경고) 일단 글이 아주 아주 깁니다. 빠르게 연구결과만 알고싶으신 분들은
후반부의 결론만 보셔도 됩니다.
1.개요
바게를 반년이상 봐오신 분들은 알겠지만
작년에 정밥 참의 효율을 분석한 실험글을 추게에 올렸었다가
삭제를 했던 적이 있습니다. 이유는 특수옵션을 반영을 안한 것이 맘에 걸렸기 때문이죠.
강타,상악이 고려되지 않은 계산방식은
"어레피참"에게 불리한 결과를 가져오게 됩니다.
왜냐하면 강타,상악은 맥뎀과는 전혀 상관없이
오직 어택레이팅과 상대의 디펜,라이프 에만 관련된 옵션이기 때문이죠
그래서 이런 생각이 들었습니다
"일단 연구결과는 맥참이 뛰어나다고 나오는데..
만약 특수옵션을 고려했더니 맥참보다 어레참이 좋다고 나올 확률도 무시할 수 없다"
그래서 강타,상악을 반영하지 않은 그 실험 글을 삭제를 했었죠
그래서 삭제한 후에 강타,상악을 연구를 했었는데.
워낙 계산방식이 복잡하고 어려워서 그냥 중도 포기를 했었습니다.
그렇게 손놓고 있다가
이번에서야 한 번 작정하고 강타,상악을 분석을 했습니다.
강타,상악을 연구를 했다곤 하지만 100%정확한 수치를 구했다라고는 말씀을 못드립니다.
이 특수옵션이란게 정밥전에서
플레이어끼리의 플레이방식, 휠컨트롤 하나하나에 영향을 받기때문에
100% 정확하게 강타,상악데미지를 환산하여 참의 효율을 연구한다는 건
사실상 "불가능" 하기 때문이죠.
하지만 최대한 정밥전에서의 일반적인 상황을 추측하여
상악과 강타를 "물리데미지식(근사값)으로 환산" 하는데 겨우 성공했습니다.
일단 연구를 전부 끝낸 지금으로서도,
제가 분석한 상악과 강타에 대한 수치가
실제 정밥전 상황의 실제 상악,강타의 효율의
최소한 85%이상은 보장하지 않을까 하는게 저의 입장입니다.
모든 실험데이터는 베실산암로디핀님이 올려주신 참세팅당 수치사진을
기초로 하여 시작하였습니다.
베실님이 올리신 정보글이 있으니 연구를 시작하기가 훨씬 수월하더군요.
사실 연구의 계기가 그 글이기도 했습니다. 감사드립니다.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2.디펜스의 변수환산
일단 실험바바의 템은 업슬가, 버석고뇌, 모넉, 인내, 오거장, 미스릴, 고어, 엔젤셋 등의
으뜸옵션 고정템입니다.
이렇게 해서 나온 스탯창 디펜스 29467이 나왔는데
정밥들이 쓰는 고뇌는 필히 -25%디펜깍기 옵션이 있어서
듀얼시 반감되어 -12.5% 디펜깍기를 하는 작업을 해줘야 합니다.
이것은 모든 정밥이 공통사항이므로 미리 디펜스에 적용시켰습니다.
그 결과
방깍을 고려한 디펜스 25784가 나오네요.
칠링아머는 고려를 해서 실험을 했었는데
시준님의 의견상 실제 정밥듀얼상에서 칠링아머가 터질확률은 극히 미미하다는
의견에 따라 그냥 고려하지 않고 넘어가겠습니다.
(고려를 해도 실험결과에 미미한 영향입니다)
3. 치타(크리)의 물리데미지 환산 방법
치타+크리티컬의 물리데미지 환산 방법은 아주 쉽습니다.
일단 정밥은 공통적으로 약 35%의 치타와 약 32%정도의 크리티컬을 가집니다.
이 둘을 조합하면 최종적으로 약55%의 2배데미지 확률을 가지게 되죠.
앞으로는 치타+크리티컬결과 나온 2배데미지 확률을
편의상 "치타율"이라고 하겠습니다.
그러면 이렇게 예를 들어보죠.
치타율 0%를 가진 공격력 100짜리 바바
치타율 50%를 가진 공격력 100짜리 바바
치타율 100%를 가진 공격력 100짜리 바바가
각각 10번을 타격한다고 가정을 합시다.
치타0% 바바는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 평균100데미지
치타50% 바바는 예를들어 100 200 100 200 100 200 100 200 100 200 -> 평균 150데미지
치타100% 바바는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 평균 200데미지
여기서 결론을 내릴수 있죠.
"A%의 치타확률을 가지면 기본물리데미지에 ( 1 + A/100 )를 곱해주면 평균데미지가 된다"
라구요.
그래서 모든 55%의 치타율을 가진 정밥들은
자신이 가진 물리데미지에 1.55배를 해주면 치타율을 반영한 데미지가 되겠습니다.
4. 상악의 물리데미지 환산방법
일단 생각해봅시다.
스몰지참 도배한 정밥이 다른 풀템정밥을 때리면
디펜스를 뚫을 확률은 21496 / (21496 +27814) = 42.59% 입니다
디펜스를 뚫고 블럭도 뚫을 확률은 42.59% / 4 = 10.9% 입니다.
디펜스를 뚫고 블럭도 뚫고 상악을 터트릴 확률은 10.9% / 10 = 1.09% 입니다
(상악발동확률이 고어의 10% 이기 때문이죠)
정리하자면 상대가 맞든 안 맞든 한대 쳤을때 최종적으로
상대방이 상악이 걸릴 확률이 1.09%라는 것입니다.
이렇게 생각해 볼 수가 있죠.
상악이 지속되는 시간은 8초 = 200프레임 입니다.
하지만 정밥전에서
그 8초내에 항상 서로의 휠범위에서 휠을 돌고 있기는 힘듭니다.
그 8초라는 상악의 시간동안
4초는 휠을 비빈다고 가정하겠습니다.
이를 기준으로 역산을 해보면,
20.9초동안에 절반인 10.45초동안 서로를 때릴때, 이중 7번정도가 타격에 성공합니다.
다시말하면, 약 20초동안 상대와 약 7타격씩을 주고받으면서 겜이 끝난다는 거죠.
실제로도 정밥전은 주로 15~25초 정도에 승부가 나는 경우가 많으니,
편의상 정밥전의 시간을 "20초"로 잡겠습니다.
이럴경우, 게임이 거의 끝날때 즈음, 서로가 딸피인 약 18초이후에
들어간 상악뎀쥐는 아무런 쓸모가 없게 되어버립니다. 어차피
딸피때 공격이 들어간다면 상악같은 옵션을 생각하지 않더라도
본래 물리데미지로 경기가 끝나니말이죠
그래서 확률적으로 18초이후에 터진 상악은 가치가 0에 가깝습니다.
다시 예를 들어보면,
14초에 터진 상악은 14~18초까지 4초동안의 의미있는 피를 빼지만
18초~20초에는 가치가 없는 피를 빼는 것과 같습니다.
총 8초의 상악시간중에 4초동안만 의미있는 데미지가 되니 효율은 50%로 볼 수 있겠네요
이런식으로 각 타격시점마다의 상악의 효율치가 달라지는데,
이를 그래프를 그려서 상악이 "딸피가 아닌 의미가 있는 피"를 빼줄 비율을 구해보니
약 70%가 나오더군요. 생각보다 낮았습니다.
아무래도 상악은 8초지속인데 정밥전평균이 20초 밖에 안되기 때문인 것 같습니다.
이번엔 다른 방향에서 상악을 한 번 살펴보겠습니다.
바로 "연이은 뒷상악에 의해 앞상악의 효과가 씹혀버릴 경우"입니다.
8초의 상악감염시간동안 4초정도 휠을 주고받는다고 가정을 했었습니다.
그러면 그 4초 = 100프레임동안
4프레임 휠을 25타격을 치게 되는데
25번동안 상악이 전혀 발동되지 않을 확률은 계산결과 76%가 나왔습니다 (98.91%의 25제곱)
이 말인 즉슨 거꾸로 생각하면,
나머지 24%의 확률로 8초 이내에 1번이상의 상악이 다시 터진다는 얘기지요.
같은 방식으로 계산하면 8초 이내에 2번 이상의 상악이 다시 터질 확률이
있지만, 편의상 설명은 생략하고 나중의 계산과정에 반영하겠습니다.
아무튼,
24%의 확률로 상악이 8초안에 다시 터진다면,
그 상악은 첫상악이 터진후 0초~8초 사이의 어딘가에서 터졌다는 얘깁니다.
이걸 간단하게 평균치를 내보면, 4초지점에서 터졌다는 얘기죠.
그 말은,
첫상악은 4초까지 지속되고,
뒷상악이 4초지점에서 다시 시작되었다는 말입니다.
고로, 첫상악은 이때, 총 8초지속시간중에
4초간은 상악데미지를 전달한다는 말이죠. 수치로는 50%입니다.
그러므로 여기까지 중간정리를 하자면,
76%의 확률로 상악뎀쥐를 100% 완전히 다 입힌다
24%의 확률로 상악뎀쥐를 50%정도만 입힌다.
가 되겠죠.
여기서 같은 방식으로 상악이 8초내에, 2번이상 걸릴확률이 있지만,,
워낙 작은 숫자라 살짝만 상악의 기대뎀쥐에서 깍아주면 됩니다.
그 결과, 상악이 한번 발동되면,
그 시점에 발동된 상악이 입히리라 예상할 수 있는 뎀쥐는
612총뎀쥐중에 87~88% 정도입니다.
이 %는 게임 후반부에는 조금더 증가하는데,
가령, 20초의 게임시간중 16초에서 터진상악은 18초까지 약 2초동안만
가치있는 상악시간으로 추정할 수 있기 때문에
뒷상악이 발동될 확률도 감소하기 때문입니다.
정리를 해서, 원래 처음 상악의 뎀쥐612에서
상악이 쓸모없게 될 두 가지 변수
(뒷상악에 의해 씹힐 변수 / 딸피때의 가치없는 상악)
을 수치화하면 88~89% * 70% = 약 62%정도
이니 612상악뎀쥐의 62%인 뎀쥐379정도가
상악이 터졌다고 했을 때, 기대할 수 있는 실 상악 뎀쥐가 됩니다.
여기서 상악의 확률이 10%인 만큼 1/10을 해주면
최종적으로 한대 대렸을때 기대되는 상악뎀쥐는 38피정도가 됩니다.
여기서 이 38피를 물리데미지식으로 환산을 하면
38피 * 5.88(듀얼패널티) * 2(데감) = 447이 됩니다.
쉽게 해석을 하자면 스탯창데미지 447이 상대의 피를 38 깍으므로
38피를 깍는 상악뎀쥐를 스탯창 데미지 447로 환산을 한거죠.
상악데미지 = 물리데미지 447
(덧붙임 : 뱀파장의 경우)
오거장일 경우는 이렇게 상악끼리 서로를 방해하는 확률은 그래도 비교적 적은 편이지만
하지만 뱀파장일 경우는 오히려
상악이 자주 발동되기 때문에 상악끼리 서로 씹힐 확률또한 증가합니다.
그래서 개인적으로 분석을 해본 결과,
뱀파장세팅의 35% 상악이 오거장세팅의 10%상악의 3.5배가 아닌
2~3배정도의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오더군요 (이과정은 너무 복잡해서 생략합니다)
5. 강타의 물리데미지 환산방법
강타의 평균데미지를 구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보통 7~8방을 주고 받으면 게임이 끝나는 정밥전 상황에서
25%(오거+고어)의 강타를 가졌다면 그 중 평균잡아 2방정도가 강타가 들어간 데미지라고
생각을 해볼 수가 있습니다.
하지만 문제는 이 2방의 강타가
게임 초반에 들어갔을 때와,
게임 후반에 들어갔을 때의 데미지가 천지차이라는 거죠.
그래서 이렇게 연구방향을 설정했습니다.
첫째타와 마지막타(7번째)에 강타가 들어간 실험1
둘째와 여섯번째에 강타가 들어간 실험2
셋째와 다섯번재에 강타가 들어간 실험3
이렇게 강타가 고루고루 들어가게끔 가정을 하고 이 실험1,2,3의 평균 데미지가
실제 강타데미지에 거의 근접한 데미지라고 생각을 했습니다.
일단 지참풀템정밥의 실제 물리타격치 + 상악타격치인 788피를 한방 뎀쥐로 설정,
강타가 들어갔을 때는 남은 피의 1/20을 강타데미지로 추산하였습니다.
그 결과,
실험1의 평균 강타데미지 = 173.5라이프
실험2의 평균 강타데미지 = 174.5라이프
실험3의 평균 강타데미지 = 175라이프의 고른 결과가 나왔습니다.
이를 평균해서, 174.3라이프가 평균라이프로 나왔습니다
(강타가 한번 들어갔다고 치면 평균 174피를 추가로 깍는다고 생각할 수 있죠)
같은량의 라이프를 깍기 위해선 2050의 스탯창 물리데미지가 필요합니다.
여기서, 강타확률이 25% 이니만큼 2050 * 0.25 = 512스탯창 물리데미지
가 정확한 강타의 물리데미지 환산 결과가 되겠습니다.
강타데미지 = 물리데미지 512
이것은 3/20/20의 강타를 물리데미지로 환산한 것이고,
참마다 아주 살짝씩 크기가 다릅니다.
가장 물리뎀쥐가 약한 36/20어레 세팅이 강타가 물리뎀환산 545로 가장 높은데
이 이유는 비교적 약한 물리데미지때문에
상대방의 피가 많이 남게되고, 그래서 강타데미지가 살짝 더 들어가지만,
그 차이는 크게 봤을때 큰 차이는 아닙니다.
6. 정리
그렇게 해서
원래 나온 각 참별 바바의 데미지의 평균데미지를 구한후,
그 평균데미지에 치타율을 반영하고 ( *1.55 )
상악데미지를 반영하고 ( +447 )
강타데미지를 반영하고 ( +512 ~ +545 )
마지막으로 세이크리드 아머의 숨겨진 "물리데미지감소3"옵션
(확실한지는 모르겠으나 일단 적용은 해봤습니다)
과 인내의 -7감소옵션 ( -118 )
까지 반영한 최종 특수옵션 몽땅 고려한 "종합데미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참 전혀 없음 - 8585
3/20/20 스몰맥 - 9495
10/76/45 그랜맥 - 9568
6/48/35 라지맥 - 9495
132/45 그랜어레 - 8832
36/20 스몰어레 - 8585
(남는 부분은 전부 3/20/20참을 넣은 경우입니다)
=========섞은참의 경우==========
3/20/20 28장 + 36/20 9장 - 9273
3/20/20 17장 + 6/48/35 7장 + 36/20 6장 - 9346
3/20/20 19장 + 6/48/35 9장 - 9495
그리고 이 종합데미지에
어레와 방깍,칠링을 반영한 디펜을 계산해서 나온 공격 성공률 수치는 다음과 같습니다.
참 전혀 없음 - 40.88%
3/20/20 스몰맥 - 45.47%
10/76/45 그랜맥 - 46.28%
6/48/35 라지맥 - 46.28%
132/45 그랜어레 - 48.94%
36/20 스몰어레 - 48.65%
=========섞은참의 경우==========
3/20/20 28장 + 36/20 9장 - 46.28%
3/20/20 17장 + 6/48/35 7장 + 36/20 6장 - 46.32%
3/20/20 19장 + 6/48/35 9장 - 45.87%
그러면 여기서,
정밥의 전투력을 어떻게 판단해야 하는가 하는 문제에 봉착하게 됩니다.
일단 쉽게, 어떤 바바가 2배의 공격력을 지닌다면 2배의 전투력을 지닌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최종전투력은 공격력과 비례 관계
그리고 남들이 1번 때릴 때 내가 2번때릴 수 있다면, 역시 2배의 전투력을 지닌다고 할 수 있죠
-> 최종전투력은 공격성공률과 비례 관계
마지막으로 남들이 5방 맞아서 죽을때, 내가 10방을 견뎌내는 피통이 있다면,
역시 2배의 전투력을 지닌다고 할 수 있죠.
-> 최종전투력은 라이프와 비례 관계
(추가 설명 : 본넥과 같이 항상 일정데미지.. 예를들어 900정도를 주는 상대라면
5500피나 6300피나 똑같이 7방을 맞으면 죽으니 5500피 = 6300피와 같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풀템정밥의 경우는 적게잡으면 약400피를 깍고,
맥뎀에 강타,치타,상악이 모두 발동될 경우 한방에 최대 약2000피를 깍습니다.
약400~2000피의 데미지가 랜덤으로 발동되는 정밥전의 경우,
마지막에 피가 500이 남을 때 한 방 맞아도 피가 남아 사는 경우가 있고,
마지막에 피가 1000정도가 남아도 한방에 죽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렇게 무작위 적이고 불확실한 요소가 많은 정밥전의 경우는
본넥전과는 틀리게, 상황이 어떻게 될지 모르니
단 1피라도 그 1피만큼의 효율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자, 그러면 정리해보면
최종전투력 = 종합공격력 * 공격성공률 * 라이프 량과 비례
라고 볼 수 있습니다.
7. 최종결과
각 참세팅별 (종합공격력 * 공격성공률 * 라이프)는 다음과 같습니다.
참 전혀 없음 - 149893XXXXXX
3/20/20 스몰맥 - 258179XXXXXXX
10/76/45 그랜맥 - 250983XXXXXXX
6/48/35 라지맥 - 253638XXXXXXXX
132/45 그랜어레 - 244993XXXXXXXX
36/20 스몰어레 - 249761XXXXXXX
=========섞은참의 경우==========
3/20/20 28장 + 36/20 9장 - 256634XXXXXXXXX
3/20/20 17장 + 6/48/35 7장 + 36/20 6장 - 255378XXXXXXXXXX
3/20/20 19장 + 6/48/35 9장 - 255921XXXXXXXXXXXXX
이것을 보기 편하게, 참 전혀 없고 인벤에 횃불과 애니만 딸랑있는 바바를
전투력 100점으로 설정했을때, 참세팅별로는 얼마나 되는지 환산해봤습니다.
참 전혀 없음 - 100점
3/20/20 스몰맥 - 172.2점 - 1등
10/76/45 그랜맥 - 167.4 점 - 3등
6/48/35 라지맥 - 169.2 점 - 2등
132/45 그랜어레 - 163.4 점 - 5등
36/20 스몰어레 - 166.6 점 - 4등
=========섞은참의 경우==========
3/20/20 28장 + 36/20 9장 - 171.2점
3/20/20 17장 + 6/48/35 7장 + 36/20 6장 - 170.3점
3/20/20 19장 + 6/48/35 9장 - 170.7점
네.. 결과가 나왔네요. 특수옵션, 상악,강타,치타를 모두 고려해서 나온 결과에서
지참세팅이 가장 우수하다고 나옵니다.
어레피참에 유리한 특수옵션을 감안하더라도,
비교적 맥참들이 어레참보다 우수하게 나오네요.
이 실험을 하면서 한 김에 뱀파장 세팅의 경우에는 어떻게 나올까도 한 번
분석해 봤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생략하는 것이 글쓰는 저나 보시는 여러분한테나
좋을 것 같아서 생략합니다.
그 결과 뱀파장세팅을 하고 적당히 상악을 살리는 플레이방식으로 정밥전을 할 경우에
1등은 3/20/20 지참으로 여전히 우수했고,
공동2등으로는 36/20 스몰어레참과 6/48/35 라지맥참이 선정되었습니다.
(차이가 거의 미미해서 공동2등으로 했습니다)
오거장세팅때는 하위권에 머물던 스몰어레참이 뱀파장과는 궁합이 잘 맞아서
비교적 높은 효율을 주는 것으로 나오더군요.
4등은 10/76/45 그랜맥
5등은 132/45 그랜어레 가 나왔습니다.
그리고 방어참의 경우는 어떠냐는 어떤분의 말이 있어서
으뜸방어참의 경우도 한 번 분석을 해봤었는데.
가장 하위권에 랭크되었습니다.
8. 후기
글쓰는데만 2시간이 걸렸네요.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투명성있는 실험과정을 드러내려고 하다보니
글이 길어진 것 같습니다.
결과는 저렇게 나왔지마는,
실제로는 5등참을 가지고도 1등참바바를 이길수 있고,
1등참가지고도 50%도 안되게 승률이 낮을 수도 있습니다.
왜냐하면 간단히 운이 70% 템과컨이 30%정도인 정밥전의 특성이 있기 때문이죠.
데이터상 10%의 성공확률이어도 10번때려서 한대도 못맞출수도,
3,4대를 때릴 수도 있습니다.
확률은 확률에 그치는 만큼,
실제의 변수까지 하나하나 감싸지는 못하기 때문이죠.
하지만 동일한 컨트롤에 동일한 플레이 방식에
가장 중요한 "동일한 운"이라면,
아마도 저 참세팅연구 결과와 비슷하게 승부가 결정되지 않을까 싶네요.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rjawjd = 검정 ->한글로 닉변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