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에 구입및 업그레이드 하시려는분들....
분류
일반
조회 수
2,075
추천 수
1
두루네에 와서 처음 정강란에 글을 써보네요 ..^^;;
물론 게임에 관련 된 내용이라기보다 .. 컴퓨터 구입하시는 분들에게 도움이 될까 싶어 올려봅니다..
컴퓨터를 전문적으로 다루고 있진 않지만.. 전공이수를 하면서 배우고 또한 직접 체험해보고 하면서
두루네 가족분들께 조금이나마 도움 됬으면 하는 바렘에 글을 몇글자 적어봅니다..
가정에서 쓰이는 대부분 CPU 는 Intel 및 AMD 입니다 .. 특히 메이커 PC의 경우 Intel껄 주로 쓰죠...
CPU를 산다고 온라인이나 오프라인에서 살펴보면.. Cpu클럭속도와, FSB 그리고 코어와, 칩셋, 부가 기능으로
대략 압축되죠..CPU클럭속도란.. 여러분들이 말하는 2,xxGhz 등의 단위를 나타내는것이고..
FSB란 CPU를 에서 노스브릿지를 지나 시스템 메모리에 이르는 구간을 말합니다..또한 코어란 제조공정을 나타내구
요, 요즘은 부가기능으로 HT(하이퍼쓰레딩), XD bit가 떠오르는군요..
또한.. 요즘은 CPU에 C, D ,E 등 타이틀이 붙는군요 ... C계열은... 크게보면 L2케쉬가 512K에 노스우드 코어를 사용
하고 FSB가 800입니다.. 그리고 E는 L2케쉬가 1~2M이고.. 프레스캇 코어를 사용하고 FSB는 800입니다..
그리고 램으로 가보면 예전 SD RAM에서 요즘은 DDR SD RAM을쓰죠 .. 그 종류(?)도 다양(?)하구요..
자 그리고 램에서 떠오른 기술이 듀얼 램이라는 기술입니다.. 도대체 듀얼이 어떻길레 조금 좋으면 듀얼듀얼..
말할가요 ... 듀얼이란 바로 CPU와 RAM사이 병목현상을 줄여 주는 역활(데이터상으론 거의 없다고 봅니다)
위의 병목현상은 CPU와 RAM의 대역폭 차이에서 발생합니다..
예를 들자면 CPU의 대역폭은 4차선도로.. RAM의 대역폭은 2차선 도로라고 하고 데이터를 자동차라고 가정한다면
4차선도로와 2차선 도로의 교차지점에서 자동차가 증체 되는 구간이 발생하는게 그것이 바로 병목현상입니다..
또한 여기서 알아두어야할것은 intel CPU의 경우 원래는 FSB가 200 까지 밖에 되질 않습니다..
그런데 왜 800이라고 표시하는걸까요 ..? 그것은 Intel의 기술 쿼드펌핑으로 인해 4배가 뻥튀기 된것입니다..
오버클럭과 비슷(?)한것이죠...(사설이 길어진듯하네요 ..죄송합니다)/
자자 여기서 FSB 800의 CPU 대역폭을 계산해보면..
200(원래의 FSB) * 4(쿼드펌핑) * 8byte(64bit 외부버스를 바이트 단위로 환산) = 6400 이라는 대역폭이 나옵니다
또한 DDR SD RAM (FSB 400 의경우)
200(원래의 FSB?) * 2 (DDR이므로 2배가 됩니다) * 8byte(64bit외부버스르 바이트 단위로 환산) = 3200이라는 대역
폭이 나오죠 ..
자 둘사이에서 생기는 병목현상이 눈에 보일만큼 크죠...하지만 듀얼구성으로 인해 6400의 만들어 줍니다...
그렇다면 위의 램 대역폭 식에서 *2한것의 결과를 보는 샘이죠..고로 512을 사용하더라도 512 하나보다는 256두개로
대역폭을 마춰주면 더 낳은 성능을 발휘하는 셈이죠...
램 듀얼 구성시 제조회사밑 동일 램을 사용해서 안정성을 높힐수 있습니다
그리고.. 478칩셋의경우 시중에 보면 3.2라고 된것이 최고라는것을 볼수있습니다...
그러나 위의 클럭속도 3.2는 3.0에서 별차이가 없습니다 ..현제 LGA 775, 478위의 칩셋 경우 3.6G까지 나왔습니다..
그리고 제조공정은 쉽게 얼마나 정밀(?)하게 만들어 졌냐라는것입니다..
노스우드(단종)및 프레스캇 코어의 경우 둘다 HT기술을 바탕에 두고 있습니다..
하이퍼 쓰레딩은 1개의 프로세서를 2개의 논리적 프로세서로 사용하는것인데요 ...
그렇다고 속도가 2배가 된다고 생각하시면 큰 착각입니다 ...물론 성능의 향상은 있으나 그것이 30% 안밖입니다..
예전에 보면 Intel CPU는 멀티태스킹에좋고 AMD는 게임및 가격대 성능비가 좋았다고 하지만....
요즘은 그 차이는 단순한 숫자에 불과합니다...
그리고 ... HDD(하드디스크)를 보면.. 요즘은 크게 P-ATA방식 S-ATA 방식으로 나오는데요..
제가 보기엔 미묘하다고 보여지네요...
하드가 여러개이신분은 RAID를 구성해서 사용하면 더욱 효과적입니다..
자 여기서 한가지 말씀드리면... 요즘 스페셜포스나... 그외 고사양 컴퓨터를 요하는 게임이 많은데요 ..
서버컴퓨터 최저 기준은 Pentium3 800Mhz Ram 256 이상입니다...
물론 기준에 지나지 않지만. .요즘 가정의 대부분 서버급 이상을 쓰시고 게신다고 봐도.....
(글내용이 게시판성격에 맞지 않으시면 관리자분께서 지워도 무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