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팁 게시판

컴퓨터에 구입및 업그레이드 하시려는분들....

분류 일반 조회 수 2,075 추천 수 1

두루네에 와서 처음 정강란에 글을 써보네요 ..^^;;

물론 게임에 관련 된 내용이라기보다 .. 컴퓨터 구입하시는 분들에게 도움이 될까 싶어 올려봅니다..

컴퓨터를 전문적으로 다루고 있진 않지만.. 전공이수를 하면서 배우고 또한 직접 체험해보고 하면서

두루네 가족분들께 조금이나마 도움 됬으면 하는 바렘에 글을 몇글자 적어봅니다..

가정에서 쓰이는 대부분 CPU 는 Intel 및 AMD 입니다 .. 특히 메이커 PC의 경우 Intel껄 주로 쓰죠...

CPU를 산다고 온라인이나 오프라인에서 살펴보면.. Cpu클럭속도와, FSB 그리고 코어와, 칩셋, 부가 기능으로

대략 압축되죠..CPU클럭속도란.. 여러분들이 말하는 2,xxGhz 등의 단위를 나타내는것이고..

FSB란 CPU를 에서 노스브릿지를 지나 시스템 메모리에 이르는 구간을 말합니다..또한 코어란 제조공정을 나타내구

요, 요즘은 부가기능으로 HT(하이퍼쓰레딩), XD bit가 떠오르는군요..

또한.. 요즘은 CPU에 C, D ,E 등 타이틀이 붙는군요 ... C계열은... 크게보면 L2케쉬가 512K에 노스우드 코어를 사용

하고 FSB가 800입니다.. 그리고 E는 L2케쉬가 1~2M이고.. 프레스캇 코어를 사용하고 FSB는 800입니다..

그리고 램으로 가보면 예전 SD RAM에서 요즘은 DDR SD RAM을쓰죠 .. 그 종류(?)도 다양(?)하구요..

자 그리고 램에서 떠오른 기술이 듀얼 램이라는 기술입니다.. 도대체 듀얼이 어떻길레 조금 좋으면 듀얼듀얼..

말할가요 ... 듀얼이란 바로 CPU와 RAM사이 병목현상을 줄여 주는 역활(데이터상으론 거의 없다고 봅니다)

위의 병목현상은 CPU와 RAM의 대역폭 차이에서 발생합니다..

예를 들자면 CPU의 대역폭은 4차선도로.. RAM의 대역폭은 2차선 도로라고 하고 데이터를 자동차라고 가정한다면

4차선도로와 2차선 도로의 교차지점에서 자동차가 증체 되는 구간이 발생하는게 그것이 바로 병목현상입니다..

또한 여기서 알아두어야할것은 intel CPU의 경우 원래는 FSB가 200 까지 밖에 되질 않습니다..

그런데 왜 800이라고 표시하는걸까요 ..? 그것은 Intel의 기술 쿼드펌핑으로 인해 4배가 뻥튀기 된것입니다..

오버클럭과 비슷(?)한것이죠...(사설이 길어진듯하네요 ..죄송합니다)/

자자 여기서 FSB 800의 CPU 대역폭을 계산해보면..

200(원래의 FSB) * 4(쿼드펌핑) * 8byte(64bit 외부버스를 바이트 단위로 환산) = 6400 이라는 대역폭이 나옵니다

또한 DDR SD RAM (FSB 400 의경우)

200(원래의 FSB?) * 2 (DDR이므로 2배가 됩니다) * 8byte(64bit외부버스르 바이트 단위로 환산) = 3200이라는 대역

폭이 나오죠 ..

자 둘사이에서 생기는 병목현상이 눈에 보일만큼 크죠...하지만 듀얼구성으로 인해 6400의 만들어 줍니다...

그렇다면 위의 램 대역폭 식에서 *2한것의 결과를 보는 샘이죠..고로 512을 사용하더라도 512 하나보다는 256두개로

대역폭을 마춰주면 더 낳은 성능을 발휘하는 셈이죠...

램 듀얼 구성시 제조회사밑 동일 램을 사용해서 안정성을 높힐수 있습니다

그리고.. 478칩셋의경우 시중에 보면 3.2라고 된것이 최고라는것을 볼수있습니다...

그러나 위의 클럭속도 3.2는 3.0에서 별차이가 없습니다 ..현제 LGA 775, 478위의 칩셋 경우 3.6G까지 나왔습니다..

그리고 제조공정은 쉽게 얼마나 정밀(?)하게 만들어 졌냐라는것입니다..

노스우드(단종)및 프레스캇 코어의 경우 둘다 HT기술을 바탕에 두고 있습니다..

하이퍼 쓰레딩은 1개의 프로세서를 2개의 논리적 프로세서로 사용하는것인데요 ...

그렇다고 속도가 2배가 된다고 생각하시면 큰 착각입니다 ...물론 성능의 향상은 있으나 그것이 30% 안밖입니다..

예전에 보면 Intel CPU는 멀티태스킹에좋고 AMD는 게임및 가격대 성능비가 좋았다고 하지만....

요즘은 그 차이는 단순한 숫자에 불과합니다...

그리고 ... HDD(하드디스크)를 보면.. 요즘은 크게 P-ATA방식 S-ATA 방식으로 나오는데요..

제가 보기엔 미묘하다고 보여지네요...

하드가 여러개이신분은 RAID를 구성해서 사용하면 더욱 효과적입니다..

자 여기서 한가지 말씀드리면... 요즘 스페셜포스나... 그외 고사양 컴퓨터를 요하는 게임이 많은데요 ..

서버컴퓨터 최저 기준은 Pentium3 800Mhz Ram 256 이상입니다...

물론 기준에 지나지 않지만. .요즘 가정의 대부분 서버급 이상을 쓰시고 게신다고 봐도.....


(글내용이 게시판성격에 맞지 않으시면 관리자분께서 지워도 무방합니다)



댓글25
  • a.k.a_Mephisto 2006.01.06 04:26
    맞습니다 pentium1 에서도 윈도우즈 2003서버가 돌아갑니다. 그래픽 카드, 램, CPU 모두다 3년전과 지금의 기술과 기술적으로 발전한 부분은 거의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왜냐면 어짜피 지금 단종에 들어간 노스우드도 최고 클럭 3.6GH 였습니다. 근데 안정성때문에 초반엔 오버클럭으로는 가능했지만 초반엔 3Ghz 넘는제품을 많이 출시하지 못했죠. 지금은 그와 같은 방식의 코어에서 안정성만 높힌것일뿐 실제 소스는 똑같습니다. 그래픽카드의 발전이 있다면 예를들면 PCI_E 방식같은 전송방식을 바꾼것뿐, 원래 코어는 클럭만 높힌 뻥튀기 식입니다. 예전에 486-P2-P3-P4로 갈때가 컴퓨터부품에 있어서는 정말 획기적인 발전이 많았던것 같네요. 현재 컴퓨터 잘사는방법은 무조껀 신제품쪽 비싼거 보다는 그래픽좋은거 사고 램 용량 늘려놓으면 최고인듯 합니다.
  • MnC[A1HL] 2006.01.06 04:57
    잘 쓰셨군요. 추천!
  • 빈이♪ 2006.01.06 07:04
    S-ATA 방식이 1.5배 정도 빠르다고들 하더라구요 메인보드가 예전것이라면 S-ATA 방식이 맞지 않으니 컴 업그레이드 하시는분들은 참고하세요~
  • 빤스리 2006.01.06 07:47
    요즘은 클럭만 봐서 CPU의 등급을 나누기 헷갈리기 쉽죠. CPU의 클럭은 숫자놀음에 불과할지 모르나 그에 비례적인 고밀도 집적율과 발열성이 좋아졌죠. 비록 HT기술이 2배의 효과를 내지못하지만 가격이 2배인건 아니니.. 업그레이드에 있어 중요한건 비용과 목적, 호환성이 아닌가 싶습니다. 안전빵으로 A/S도.. 비용과 목적은 정해졌을테니 제껴두고, 호환성은 무조건 좋은 부품들로만 조립한다고 해서 좋진않습니다. 기기마다 제 기능을 발휘할수 있는 부품이 있나하면 에러 혹은 동작불가의 상황까지 갈 수도 있습니다. 거기다 동일모델이어도 회사마다 속성을 달리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고수님들은 부품의 선택에 빠른 답이 나오시겠지만, 하드웨어의 빠른 발전에 미쳐 따라가지 못하시는 분들은 여러자료를 수집하여 선택해야하겠지요. 마지막으로 우리나라에선 업글의 주목적이 고사양의 게임이라는게 안타깝습니다.
  • 조병준[A1L] 2006.01.06 09:55
    글 잘 봤습니다. AMD는 언급이 없으셔서 살짝 아쉬워요^^; 개인적으로 발열때문에 AMD를 선호하는 편이라.. (물론 예전 AMD 발열이 엄청났던 시절도 있지만요^^;) PATA나 SATA나 일반 사용자가 쓰기에 체감성능은 거의 없다고 볼 수 있지요. 어차피 전송 규격의 차이일뿐이니까요.. 하지만 SATA로 출시되면서 저렴하게 공급되니 굳이 PATA로 구매할 필요는 없겠구요.. 메피스토님의 말씀에는 약간 다른 이견이 있습니다만.. 물론 일반 사용자의 입장에서 보면 CPU든 VGA든 그냥 클럭만 높인다.. 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만.. 실제 발표되는 기술 스펙, 여러가지 기술자 인터뷰 등을 살펴보시면 똑같은 클럭대라도, 그리고 VGA의 코어에 따라서 얼마나 많은 기술이 포함되는지를 느끼실 겁니다. AGP에서 PCI-E로 바뀐것은 사실 대역폭이라는 문제도 있지만 실질적으론 전력 소모로 인한 문제가 더 컸던것을 생각해 보면 그것이 큰 변화라고 하긴 어렵습니다. 특히나 두어세대 전의 코어와 지금의 VGA코어를 비교하면 천지차이죠;; 기본적인 쉐이더유닛이나 파이프라인부터 시작해서 HDR, AA, AF 그외 화질문제,동영상문제 정말 고도의 기술이 집약되고 발전하지요. 개인적으로 r520은 실패인것같고 r580 코어를 기대합니다. 너무 터무니 없지만 않으면 지르려고 생각중이라서요-_-;
  • 조병준[A1L] 2006.01.06 09:58
    아참.. 이건 본문 글과 별로 상관없는 질문인데요.. nVIDIA의 HDR적용 화면은 정말 멋지더군요. ATI의 경우 r520코어에서 HDR지원한다는데 혹시 실제 화면 보신분 계신가요? nVIDIA보다 좀 부드럽고 연하다던데.. 소감을 좀 듣고 싶어서요.. nVIDIA의 HDR 효과보고 정말 깜짝 놀랐던지라...
  • '㉦'날개달린[소년] 2006.01.06 11:36
    제조공정이 미세해지면 전류누수등 여러 면에서 이익입니다. 미세해지면 그만큼 더 많은 트렌지스터를 집어넣을 수 있다는게 장점이죠 이렇게 해서 성능이 올라가는 겁니다. 그리고 노스우드는 3.4GHz까지 나왓습니다.
  • '㉦'날개달린[소년] 2006.01.06 11:38
    ATi의 HDR는 광원효과를 적당히 내죠 NV쪽은 HDR이 강해서 눈아파 하는 사람도 있더군요. R520이 실패했다고 하는 이유는 늦게 나와서죠 사실상 성공은 성공입니다. R300부터 우려먹던 아키텍쳐를 드디어 바꿨으니까요 지포스도 언젠가 바꿔야 합니다... 지포스의 아키텍쳐도 한계가 있기 대문이죠 롱혼이 나오기전까지 된다면 좋겠죠 R520 이녀석의 장점은 HDR+AA가 가능하죠 NV지포스는 하드웨어적으로는 불가능합니다. 그래픽 카드, 램, CPU 모두다 3년전과 엄청나게 다릅니다 -_- 486발전때보다 지금이 비교 못할정도로 빠른겁니다. 속도차이를 잘 못느끼는것이지 3년전하고 확실히 다릅니다. 홈쇼핑 광고적으로 눈에 보이는 스팩이 적게 올라간것 뿐이지 실제로는 많은 발전이 있다는 거죠 클럭만으로 판단하는게 아니기 때문이죠 AMD는 클럭대신 IPC를 높이는 방법으로 간거죠 하드만 제자리라고나 할까... 그리고 인텔쪽 CPU는 클럭이 올라랴 성능이 올라가는데 한계가 있어서 성능을 못올리는거죠. 그래서 인텔 성능 올리는 방법으로 캐시를 2메가로 올렸죠. 올해 말에 콘로 나올때까지는 잘 버텨야 할겁니다. 하이퍼스레딩은 인텔에서 만든게 아닙니다. 라이센스로 하는건데 이건 특이한 조건을 가져야 효율이 있습니다 파이프라인인데요 인텔 펜티엄M이나 애슬론 같은 CPU는 파이프라인이 짧습니다. 인텔 펜티엄4는 파이프라인이 길죠 파이프라인이 긴 CPU에서 하이퍼스레딩이 효과를 발휘합니다. 8차선 도로가 있다고 할때 보면 차가 지나지 않을 때가 있죠 하이퍼스레딩이란 그걸 매꾸어 차가 지나지 않는 부분을 없애는 기술이라고 할까요 ㅎㅎ 효율을 높인다고 하죠. 여기서 멀티테스킹시 유리하다는 결론이 나오고요 글쓴분께서는 사용해보신지 모르겠습니다만 멀티케스킹시 AMD와 인텔 차이는 확실히 납니다. 그리고 게임 최소사양은 최소사양입니다. 그걸로 게임 돌리면 미쳐버리죠 최저기준은 실행 가능을 이야기 하는것입니다. 원할한 게임을 하려면 그에 맞게 더 좋은 컴퓨터가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최소사양만 따진다면 컴퓨터 게임하면서 버벅거린다고 불평할 이유가 없죠 하드디스크가 SATA를 추천하는 이유는 선정리가 편하다는 것이고요
  • 조병준[A1L] 2006.01.06 11:46
    소년님~ nVIDIA쪽은 그럼 HDR+AA가 동시 지원이 안된다는 뜻인가요? 허.. 첨듣는 소리라 약간 쇼킹;; 그럼 둘중 하나만 켜야 지원되는건가요? 아 한가지만 더 질문 드릴께요.. 그럼 AF 와는 어떻게 되나요? r520 같은 경우는 너무 늦게 나온거 같고, 발열도 꽤 올라갔다는 소리가 들리고.. 좀있음 r580코어가 나온다고 하길래.. 이번엔 정말 맘먹고 r580 하나 지를려구요^^ 쭉, nVIDIA쪽만 지르다보니 ATI쪽 한번 써보고픈 맘이 드네요.
  • '㉦'날개달린[소년] 2006.01.06 12:24
    580도 나와봐야 압니다. 지포스쪽에서 HDR켜면 AA지원 안한다고 합니다. AF는 잘 모르겠고요 이건 제가 직접 안해봤지요 많은 사람들이 그러더군요 이미 해외 뉴스에도 나온걸로 알고요 앞으로 나올 지포스 시리즈는 HDR+AA가 가능하다고 합니다. 듣기론 NVidia는 파이프라인을 늘리는 방식으로 나가고 ATi는 효율을 높인다는거 같더군요
  • '㉦'날개달린[소년] 2006.01.06 12:26
    해외 뉴스 들어보면 파워도 중요하겠더군요 W는 물론 A도요 -_-
  • 자카룸-보스 2006.01.06 12:46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허브인 2006.01.06 14:39
    소년님도 상당한 관심이 있으신듯한데 ;;저는 그래픽 카드에 관한 언급을 한적이 없어욤;; 사실상 그래픽 카드에 대한 지식은 떨어지니 말할 처지가 못되죠;; 그리고 최저 기준이라고 .. 저렇게 위에 올려드린건 싸우자고 올린것이아니라... 그냥 저정도가 최저 기준이였다 라는것을;; 알려 드리기 위해 올렸던것 뿐입니다 .. 하이퍼쓰레딩이라는것은..어디서 빌려오던.. 자기가 만들 었던 사용하는 사람을 위주로 쓰는게 정상아닐까요 ;; 그렇다면 윈도 시초는 복사기 제조 회사니.. MS를 지칭해서는 안될꺼 같네요 ...AMD와 Intel의 동급시 차이가 나긴 하지만... 두대를 놓고 테스트 하지 않으면 글쎄요 .. 제감각이 둔해서인지 모르지만 저는 별차이를 못 느끼겟더군요.. 물론 집에 컴퓨터만 해도 7대 입니다 .. 일반 가정집에서 좀 많은 숫자죠.. 3대는 AMD 시스템이고 4대는 Intel 입니다...사실상위에서 말했던 램의 FSB는 잘못 표기 되었다 고도 보시는분이 있을것입니다 ..그도 그러는것이 FSB란 위에서 말했듯 씨퓨에서 노스브릿지를 지나 시스템 메모리에 이르는 구간입니다 .. 램을 보고 FSB라고 하는것은 말이 맞질 않죠.. 또한 L2케쉬를 2메가로 올렸다곤 하지만 그렇게 성능이 발휘 되질 않습니다 .. 테스트 해보셧는지 모르겠지만 분명히 프레스캇과 노스우드 차이가 있지만.. 그 차이가 눈에 보일 만큼 뚜렷하게 나타 나지 않습니다...
  • 무림의 숨은 고추 2006.01.06 14:40
    도대체 무슨 말인지 -0-;;
  • 여울바람 2006.01.06 14:53
    ㅎㅎㅎ 컴터좀 하시줄아는분만이 이해를 ㅋㅋ
  • 허브인 2006.01.06 14:57
    이제 입대가 한달도 최 남지 않았고 입대 준비하면서 ...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까 올린글입니다.. 글을 쓸때 그냥 인텔은 이러이러 한것이 좋고 AMD는 이러이러 한것이 좋다 이렇게 쓸려다가 .. 도움주는글.. 조금이라도 하나의 용어라도 들어놓으면 지식이 됩니다 /// 물론 두루네 분들이 저보다 지식이 적지 않겠지만.. 모르는 분들을 위해 적었던것입니다.. 파이프라인을 언급해주셨는데 ... 저도 생각 못했던것은 아닙니다 .. 최대한 쉽게 쓰게 볼려니 그렇게 된것입니다 ..^^
  • 허브인 2006.01.06 14:59
    씨퓨가 클럭속도가 좋은게 나쁜건 아니지만 램과 병목현상이 일어 난다면 그또한 컴퓨터 성능을 저하시키는것입니다...
  • '㉦'날개달린[소년] 2006.01.06 17:05
    단순히 작업하는건 성능의 장단점을 모르죠... 인코딩 작업 해놓고 다른작업 할때 하이퍼스레딩이 장점을 느낄수 있을 겁니다. 무거운 작업 하면서 창 전환시 부드러움은 인텔의 장점이죠 AMD는 게임쪽에서 인텔보다 프레임이 더 나와요 그래픽카드는 댓글에 대한 설명이고요... 군대 잘 다녀오세요... 갔다오시면 엄청난 발전에 놀란다죠 ;ㅁ;
  • '㉦'날개달린[소년] 2006.01.06 17:10
    AMD쪽에는 병목현상을 없애기 위해 하이퍼트랜스포트라는게 존재한다고 합니다. 이것도 HT죠 -_- 이게 꽤나 획기적인 기술이라고 하네요... 자세한건 잘 모르겠지만... 저도 컴퓨터 살려고 이것저것 알아보다보니 여러가지 배우게 된거에요. 물론 제가 잘못 아는 내용도 있겠지만요
  • waza 2006.01.06 18:49
    좋은 글이기는 하지만 다분히 이론적이고, 순도높은 인텔 내용이군요. 멀티태스킹에서 인텔이 낫다는 얘기도 싱글코어 시절 얘기죠. 듀얼코어 나오면서 현재 AMD 가 인텔에 꿀리는 부분이 거의 없다고 봐도 무방합니다. 특히나 게임 퍼포먼스는 AMD쪽이 확실히 낫구요. 그러나 향후 인텔이 넷버스트를 제외하기로 했다니 이제부터는 기대가 됩니다. 확실히 P3 이후로 지금까지 인텔이 죽쑨건 이전의 영광을 생각하면 맞는 것 같습니다. 특히나 펜텸D 이전의 자사 하이엔드 칩이 모바일용 칩에 눌렸다는건 어처구니 없는 일이었죠. 허브인님 군대 잘 다녀오시고 제대할 즈음이면 쿼드코어 시대가 도래해 있을지 모르겠군요. ㅎㅎ
  • 마존 2006.01.06 20:38
    쉽게 예기해서 어떤걸 어디서 어떻게 구입해야되는지여? 저와같은 초보자들은 이런걸 봐도 전혀 도움이않됩니다 아시는 분들끼리 자랑하는것 같이 보이는것은 제가 무지해서 그런것일까여?-
  • 삼손A2L 2006.01.07 10:55
    모처럼 하드웨어 강좌를 보는것 같아 기분이 흐뭇합니다. 전문성은 없지만 컴터 하드웨이 조립해서 직접 쓰는 사람으로서는 상당히 이해가 되네요. 사무실 , 집, 친구, 친척집꺼는 등 모두 내가 조립해서 쓰고 있는데 겉 핥기식 이론만 알고 있었지요. 뭐 조립비는 한푼도 안받고 따듯한 밥은 얻었 먹었습니다. 가끔 이런 그들이 올라와서 각자의 해박한(?) 지식들이 공유가 됏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좋은글로 추천 합니다.
  • hard boiled [나눔1] 2006.01.07 11:59
    초보분들 이해를 돕기 위해선 이런 글보단 견적 스샷을 올리고 그에 맞게 설명을 해줘야 한다고 봅니다. 제가 초보이기도 하고 마존님 말씀따라 전혀 도움 안됩니다. 이건 각 부품에 대한 설명밖에...볼수 없군요..
  • 신이버린면상 2006.01.07 17:07
    총알을 알려주세요. 총알에 비례해서 올려드립니다.ㅡ,.ㅡ;
  • 알러ㅇ 2011.10.30 18:02
    좋은 정보 잘보구가요~~감사합니다~

팁 게시판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게시판 푸시 알림 / 통합 앱 서비스 31 file 트디개발자 2023.09.20 832.5k
공지 디아관련 에테리얼 벅큐빙 표 219 eunnanoDiablo™ 2008.03.05 140.3k
공지 디아관련 케릭별 갑옷 착용 모습 325 수린[아빠] 2009.06.09 111.5k
공지 디아관련 디아블로 각종 팁과 정보 간추림 입니다 (_ _) 1547 조은아저씨 2010.05.24 211.6k
공지 봇관련 유니크 업글 표 366 file 카인 2013.11.02 412.9k
공지   맨땅 초보자 가이드 598 file 뮤리아 2020.10.16 994.9k
공지   카카오톡 1:1 채팅방 만드는 법 101 트디개발자 2018.05.20 424.6k
421 봇관련 XP봇 에러중 failed to drop 에 대한 제 생각..^^ 12 아기돼지™ 2006.01.09 2.3k
420 디아관련 윈98 / ME 에 관한 단군맵핵 공지입니다.. 19 ♨§털보§♨ 2006.01.09 2.4k
419 아이템/앵벌 봇순이 앵벌코스 정하기 19 [A1L]릴리스 2006.01.09 6.3k
418 봇관련 XP봇 초보 케릭명 스크립 오류에서 벗어나기 6 디아블러네[A1L] 2006.01.08 4.0k
417 디아관련 렐다 100%해결돼는거있습니다 클릭2인터넷 26 샤른호스트 2006.01.08 5.0k
416 봇관련 렐따 피하기 간단한 팁 (수정) 24 봉구입니다 2006.01.08 4.1k
415 봇관련 봉구님xp봇2.3a 에서 카운테스에서 퉁퉁 안거리기 8 riverun 2006.01.07 2.3k
414 디아관련 단군맵핵 V3.07이 발표 되었습니다. 39 ♨§털보§♨ 2006.01.07 6.3k
413 봇관련 xp봇 로그인(로긴)창에서 멈출때. 그리고 바이러스이야기. 14 샤롯 2006.01.07 3.0k
412 디아관련 단군 맵핵에서 -w 이런거 쓸 자리가 모자른다구요? 16 file ]묵이a[A1L 2006.01.07 2.3k
411 디아관련 초보 멀티 로더를 돌려 보자!! 41 file [無情]디아블러네 2006.01.07 16.3k
410 새소식 요즘 다시 트레이드강제승인핵이 나왔다고 하네요. 27 자카룸-보스[A1래더] 2006.01.06 3.4k
409 디아관련 초보자도 할수있습니다 단군맵핵 으로 로더를 이용합시다.. 19 file 텔레풍켄 2006.01.06 4.6k
> 일반 컴퓨터에 구입및 업그레이드 하시려는분들.... 25 허브인 2006.01.06 2.1k
407 디아관련 [정보]시디키 및 블럭 사태 23 Augustus[武士] 2006.01.05 4.9k
406 봇관련 [봉구님 버전 3.1에서의 상급보석 줍기 및 큐빙] 15 nOeLBus 2006.01.05 5.7k
405 봇관련 D2JSP v1.1.3 나왔네요. 40 봉구입니다 2006.01.05 5.6k
404 디아관련 서민슴딘분들..쓸만한 무기가없으시다구요? 25 file 남상미 2006.01.04 4.4k
403 봇관련 HT CPU경우 봇 2개돌릴때 시스템을 좀더 안정적으로 만들어보자 39 file a.k.a_Mephisto 2006.01.04 2.9k
402 봇관련 XP 봇, 룬 로그되게 하기 37 봉구입니다 2006.01.04 5.1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