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아마존으로 우버/트리스트럼깨기(싱글실험)
분류
디아관련
조회 수
5,933
추천 수
4
이 실험은 어디까지나 싱글플레이에서의 결과임에 주의하시길.
아마존99랩 - 보우스킬 멀티샷1 가이드만땅 스트레이프만땅. 패시브스킬은 발키리만땅, 페넌트레이트만땅에 크리티컬 10 나머지는 전부 1개씩만(디코이를 몇 개 찍어 발키리 피와 레지시너지 챙기는 것도 좋음).
용병은 98랩에 노멀공격용병- 블레시드에임오오라(어레 380%상승효과)
<기본공통장비>
우버/트리용세팅은 일반 사냥세팅과는 정말 다르게 강타세팅이 중요하며 모든 초점은 강타가 정확하게 짧은 시간에 보다 많이 들어가는게 중요하므로 이에 맞춰서 세팅을 했음. 본캐릭의 경우 85%강타(격노의 경우는 105%), 용병의 경우 20%강타(베르작에테유닉쓰레셔) 또는 40%강타(순종)의 세팅임.
활아마 :
래트케이지고딕플레이트유닉 - 25%강타 방어300수치증가 40%몬스터폴리. 속올레작
길리엄셋윙드헬름 - 15힘 35%강타 15데들리 속올레작
고블린토우 라이트플레이트유닉부츠 - 25%강타 외엔 무시해도 될만한 옵션들 -_-;;
장갑 : 드라큘의뱀파장갑 - 오로지 라이프탭때문에 씀(룬워드활인 격노를 쓸 때는 속업강타장갑으로 교체)
벨트 : 뱀파어이팽벨트 - 스트레이프 공속때문에
링과 아뮬 : 어레문제로 인해(실제로 86-7%와 70%대의 공격성공률은 효과면에서 큰 차이가 난다) 안젤릭셋 아뮬과 링을 주로 착용하였으나 인두활 같은 경우 60공속을 맞춰야 하기 때문에 하이로드를 차게 할 때도 있었고, 격노활의 경우는 한 쪽 레이븐마저 뺄 수가 있어서 쌍안젤릭링을 착용하였다(이 경우 레벨어레 2378정도 증가+_+)
용병세팅 :
베베작유닉코로나 - 30올레 31리듀스(싱글에딧이므로-_-;;), 에테아칸명굴
무기는 베르작(20%강타)유닉에테쓰레셔(타격시 33%확률디크리시전)를 주로 쓰고 트리메피때만 에테자쓰작30올레 순종(40%강타)으로 교체.
보우스킬참까지 해서 스트레이프32스킬 맞추었음. 가이드는 몇 번 해보다가 강타가 터지는 빈도에서
스트레이프와 너무 차이나서 실험의미가 없어서 포기(멀티샷은 할 필요가-_-;;)
그랜드메트론 신뢰의 경우 35공속으로 인두나 격노메추리의 경우 60공속으로 2프레임스트레이프(팔라의 스마이트는 6프레임이 한계)를 맞췄음.
레지는 대충 참발로 200내외로 맞췄음. 덱스 390 라이프는 오더외치면 2200수준.
활아마의 경우 뱀파장갑의 라이프탭이 그냥 터짐-스트레이프2프레임이 워낙 사기적인 공속이라서.
1인방우버디아의 경우 세팅에 따라서 우버사냥에 소요되는 화살소비갯수가 불과 20개 내외여서-_-;; 순식간에 끝나므로 구체적 결과보고는 생략했다.+_+
다만 85%강타세팅에 2프레임스트레이프(보우스킬 28또는 32), 공격성공률 86%를 가정한 활아마의 1인방에서의 우버디아에 대한 평균강타데미지기대치를 계산해보자.
우버디아의 체력은 대략 620000(트리보스들은 좀더 높음) 이것의 중위수는 대략 320000이므로, 여기에 85%강타세팅이므로 원거리페널티를 감안할 때 320000*(1/16)*0.85 = 17000으로 공격성공시 대략 17000의 강타데미지기대치를 가진다. 여기서 또 신뢰마의 공격성공률(86%)과 우버디아의 블록률(50%)와 물리리듀스(50%)를 감안하면 17000*0.86*0.5*0.5= 3600정도의 스트레이프공격의 강타데미지 기대치를 도출할 수 있다.
여기서 유의할 점은 스트레이프는 1회공격시 화살이 9-10발(32보우스킬의 경우 최소화살발사갯수=10으로 고정)나가지만 화살소비는 1에 불과하다는 점이다. 스트레이프나 멀티샷의 경우 스킬설명을 보면 알 수 있는데 1개의 화살이 쪼개지면서 날라가는 원리이기 때문이다. 즉 20개 화살을 소비했어도 실제 공격횟수는 180-200정도가 되는 셈이다. 이럴 경우 우버디아를 잡는 동안 총누적강타데미지의 기대치는 대략 648000-720000정도이다. 이것은 물론 상당히 위력적인 결과지만 스트레이프자체의 물리데미지나 용병/발키리의 데미지(아주 큰 부분은 아니지만)와 자주 걸리는 디크리를 감안할 때 조금 이상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즉 이런 수치라면 사실상 평균 화살 20개정도 아니고 10발에서 좀더 소모하고 끝나야 하는게 아닌가하고 고개를 갸웃거릴 수 있다.
아마도 우버디아를 잡는 동안 주변몹들의 간섭이 공격력의 분산을 가져 왔다는 점. 그리고 종종 회자되는 스트레이프버그?(2프레임의 경우 사실상 데미지효과는 버그로 인해 3프레임과 큰 차이가 없다는 주장)의 영향이 아닌가 판단해본다. 그렇다면 사실상 가이드와 효과가 차이가 없는 것이 아닌가라고 생각할 수도 있으나, 풀방으로 설정해서 이 세팅상태에서 가이드만으로 우버디아를 잡으려면 화살이 거의 2통이 넘게 소모가 되었으며, 라이프텝/디크리 등의 시전빈도가 너무나 극명하게 차이가 나서 용병의 안전마저 제대로 담보해 내기가 힘들었다.
<8명방 우버디아>
싱글방에서 /PLAYERS 8이라고 외쳐주면 8명방수준이 된다. 풀방에서의 우버디아의 체력은 대략 620000*8=대략 5000000 정도라는 어마어마한 수치를 보인다.+_+ 밑에 숫자는 끝낼 때까지의 화살총소비량을 나타낸다. 활과 세팅을 조금씩 바꿔가면서 8명풀방에서 본격적으로 실험하였다.
그랜드신뢰+용병에테자쓰순종(40%강타)+뱀파장+안젤릭아뮬과 링+레이븐링
85%강타세팅 보우32스킬 스트레이프데미지537-2754 어레 약 33400
1차 209 2차 153 3차 137 4차 240 5차 148
그랜드신뢰+베르작유닉에테쓰레셔(디크리시전, 20%강타)+뱀파장+안젤릭아뮬과 링+ 레이븐링
85%강타세팅 보우32스킬 스트레이프데미지537-2754 어레약 33400
1차 100 2차 96 3차 93 4차 91 5차 119
위 두 결과에서 용병의 강타보다는 활아마자체의 공격으로 인한 강타와 또 그와 궁합이 맞는 디크리의 역활이 비교안되게 큼을 확인할 수 있었음.
메추리인두+유닉에테쓰레셔베르작+뱀파장+하이로드아뮬+레이븐링+듀얼스틸스탯레지링
85%강타세팅 보우32스킬 스트레이프데미지 436-1313 어레 13316
1차 100 2차 115 3차 124 4차 122 5차 110
어레부족으로 라이프탭이 덜터지는 경향- 용병위험증대. 인두의 앰플이 불규칙하게 역활
메추리인두+에테자쓰순종(40%강타)+뱀파장+하이로드아뮬+레이븐링+듀얼스틸스탯레지링
85%강타세팅 보우32스킬 스트레이프데미지 436-1313 어레 13316
1차 159 2차 85(맞짱형식이 되어서 인두의 앰플이 자주 터짐) 3차 176(앰플 안터졌음)
4차 140 5차 162(앰플 안터짐)
그랜드신뢰+순종의 경우와 유사하나(디크리없는경우) 인두의 앰플이 역활을 할경우 시간 단축.
그러나 어레의 부족문제
메추리인두+유닉에테쓰레셔베르작+2스킬보우강타장+아트마아뮬+레이븐링+듀얼스틸스탯레지링
95%강타세팅 보우32스킬 스트레이프데미지 477-1359 어레 14340
1차 151 2차 101 3차 118 4차 135 5차는.. 용병의 과다사망으로 포기
공격력은 좋으나(데몬데미지/본스/데들리효과) 라이프탭부재 및 어레부족으로 용병위험극대.
메추리격노+에테자쓰작순종+2보우스킬강타장+안젤릭아뮬+쌍안젤릭링(활에 비동결있어서 레이븐빼고 어레 대폭증가 위해)+고어라이더부츠
105%강타세팅 보우32스킬 스트레이프데미지 206-793(활자체의 원소데미지포함- _-;;) 어레 22927
1차 100 2차 118 3차 93 4차 102 5차 96
풀방우버디아의 피를 반깎는데 불과 수초밖에 안걸림. 그러나 과도한 디크리로 인해
라이프탭이 거의 제기능을 못하고 물리데미지또한 매우 약해서 아마존캐릭의 위험성증대되고 강타효과가 약해지는 후반마지막이 걸림-_-;; 물리데미지보완 및 라이프텝보완만 가능하다면 상당히 유망할 수도.
메추리격노+에테콜블마소(라이프탭과 타격당할때 6%페이드시전확률, 바바용병고용)+2보우스킬강타장+안젤릭아뮬+쌍안젤릭링+고어라이더부츠
105%강타세팅 보우32스킬 스트레이프데미지 240-954 어레 17546
1차 115 2차 110 3차 122 4차 104 5차 109 6차 111 7차 112
상당히 안정적인 추세를 보여주며 마소로 인해 바바용병의 생존률도 높으나 역시 고유물리데미지가 워낙 극악이라서 강타효과가 급격히 하락하는 마지막 10%가 문제.
이상 횟수가 얼마 안되는 실험들이었지만 대략 그랜드신뢰세팅이 가장 무난했음.
공속해결및 무지막지한 어레증가가 톡톡히 말을 하는셈. 신뢰의 경우 안젤릭아뮬링을 차니 트리보스 상대로 대략 86-7%정도의 공격성공률이 떴음.
인두의 경우 어레문제와 공속문제가 있음(위 세팅에서 60공속을 맞추려다보니 라이프탭이나 안젤릭의 어레 둘중하나 포기해야). 격노활은 좋은데 디크리가 라이프탭을 완전히 압도해버려서 오히려 문제가 컸으며 고유물리데미지가 약해서 강타위력이 급격히 감소하는 후반 막판에 지체되는 경향-_-;;.
신뢰나 인두의 경우 디크리와 라이프탭의 비율이 3:1 정도로 적절하게 터져주면서 50%의 물리리듀스를 가지는 우버디아의 리듀스를 0%로 만들어주고 적절한 타임에 라이프탭이 터져주면서 포션역활을 수행했으나, 격노의 경우 디크리가 활에 달려서 라이프탭이 제 역활을 못하는 현상이 자주 관측됨.
이 외에 위치와일드숏시즈보우나 또는 5솟슈페메추리에 속업 및 베르룬작(강타)으로 맞추어서 실험해 볼만한 가치가 있음.
5솟슈페메추리의 경우 잘만 작업하면 물리데미지가 격노보다 2.5배정도 더 나가면서 속업과 100%강타세팅을 할 수 있다는 점이 매력적이고 위치와일드숏시즈보우의 경우는 데들리와 앰플이 달려있지만 크게 작용하지 않으며 고질적인 어레문제에 속업(스트레이프2프레임이 90속업)문제로 힘들듯.
실제로 트리나 우버사냥시는 앰플보다는 디크리가 낫다고 판단됨. 강타의 경우 물리리듀스영향을 받으며 우버나 트리보스들의 경우 50%의 리듀스(트리메피는 20%)를 가지므로 들어가는 강타데미지가 1/2로 줄어드는데 디크리(-50%리듀스) 앰플(-100%리듀스) 모두 강타데미지가 고스란히 적용되도록하지만, 디크리는 그외에 적들의 물리데미지를 50%나 감소시켜주고, 동작을 굉장히 느리게 해준다는 장점이 있다.
앰플의 경우는 우버나 트리바알등의 리듀스를 -50%로만들어 물리데미지를 1.5배 증폭시켜주겠지만 트리에서 물리데미지는 역활은 어디까지나 보조적인 수준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증요한 것은 원거리패널티로 1/16로 들어가는 강타이며, 그것을 보다 확실하게 또 자주 터지게 해주는 공속과 어레임은 두 말할 나위가 없다.
1인방기준으로 우버디아의 피가 대충 650000정도인데 이것의 중위수가 대충 320000이라고 보면 원거리강타페널티 1/16을 감안할 때.
스트레이프공격이 적중할 경우 100%강타세팅을 가정할 경우 한 발에 평균 20000씩 피를 깎게 되는 셈이다.
물론 어레가 대충80%를 넘는 다고 가정하더라도 우버나 트리보스들의 경우 블록이 50%나 되어서(트리바알의 경우 55%) 실제 적중확률은 40%좀 넘으므로 공격시 강타기대치는 대충 20000*40% = 8000정도가 되는 것이다. 슴딘과 비교할 때 매우 낮은 수치이다.
하지만 간과할 수 없는 중요한 점은 활아마의 스트레이프는 디아공격중 가장 빠른(울쎄씬양의 드탈공격과 더블어)2프레임으로 슴딘보다 3배나 빠르다는 것이다. 즉 동일 6프레임으로 산정해보면
8000*3 =24000씩 평균적으로 강타데미지가 적용되는 것이다. 또한 슴딘의 경우 디크리를 사용할 수 없으므로 트리메피나 바알의 경우 50%정도의 강타데미지가 줄어드는 점도 비교할 수 있다(하지만 아쉽게도 스트레이프에는 몇 가지 버그?문제가 있는듯 -_-;;).
왜 원거리공격에 페널티가 적용되어야하는지 극명하게 알 수 있다. 다른 캐릭의 경우는 대부분 오로지 라이프탭에만 전적으로 의존할 수 밖에 없는데(근접캐릭의 성격상), 활아마의 경우는 라이프탭과 디크리를 적절한 비율로 섞는 것이 세팅으로 가능하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즉 디크리가 주로 터져주면서 간간히 유용하게 라이프탭이 터져주는 방식이 상당히 유용함을 위의 실험에서 용병무기로 순종을 사용한 경우와 디크리가 달린 유닉쓰레셔를 사용한 결과를 보면 짐작할 수 있다.
라이프탭이 터지면 트리디아나 바알의 경우 50%물리리듀스가 강타에 적용되고 트리메피의 경우는 20%의 리듀스가 적용되어 들어가는 강타데미지가 그만큼 줄어든다. 다만 활아마의 경우도 트리메피사냥시에는 컨빅때문에 라이프탭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이 때만 용병무기를 순종으로 바꿔주웠다.
사실 활아마로 우버디아 잡는 것은 크게 어려움이 없다. 베넷상에서 강타세팅 별로 없는 완전 사냥용 내 인두메추리아마로도 불과 2-3분에 처리한 적이 여러 번 있음. 무공불사자마의 경우는 아마도 우버디아를 가장 빨리 잡는 디아캐릭일 것으로 생각한다.(라이뮨이 아닌한 차스데미지를 능가할 공격은 존재하지 않는다-한 무더기로 뭉쳐있는 몹들에게 적중하는 거미줄처럼 증폭되는 라이트닝 퓨리를 제외하고는)
<1인방 트리스트럼깨기>
실험삼아 패시브참 등으로 44패시브스킬을 만들어서 44랩 발키리소환해 봤음. 바알디아까지는 잘 버티면서 8명방에서도 거의 안죽었으나,
메피의 컨빅에선 십여 초 정도에 녹음(레지때문에). 그래도 그때그때 소환해 주니 용병이 덜 죽음.

그랜드신뢰+베르작에테쓰레셔(메피때만 에테자쓰순종)+뱀파장+안젤릭아뮬과 링+레이븐링
85%강타세팅 보우32스킬 스트레이프데미지537-2754 어레 약 33283
1차 270 2차 349 3차 410(화살사러간 사이에 메피 약 30%힐링) 4차 260 5차 300
메피는 리듀스가 20%밖에 안되지만 디크리가 달린 쓰레셔를 순종으로 바꿔줘야 하기 때문에(라이프텝이 잘안터지면 용병죽음) 디아나 바알보다 약간 더 걸리는 경향이 있음.
간혹 집안에 박혀서 유인해도 안나오는 경우가 있는데 이 때 약간 더 귀찮음.
아마존 본 캐릭은 메피의 컨빅범위 밖에서 충분히 스트레이프 공격이 가능하기 때문에 용병의 레지를 더 신경써주는게 좋을듯(예컨대 용병에게 배반갑을 입힌후 페이드발동시킨 다음 명굴로 갈아입힘). 발키리는 바알과 디아한테는 잘 버티지만 메피앞에선 컨빅때문에 금방 죽는다.
<8인방 트리스트럼깨기>

그랜드신뢰+베르작에테쓰레셔(메피때만 에테자쓰순종)+뱀파장+안젤릭아뮬과 링+레이븐링
85%강타세팅 보우32스킬 스트레이프데미지537-2754 어레 약 33283
1차 499(용병다이) 2차 346 3차 308 4차 379
특히 메피처리할 때는 발키리가 죽더라도 용병보다 앞에 다시 소환해주자.
주목할 점은 8인풀방실험의 결과가 1인방보다 크게 오래 걸리지 않는 다는 점. 8인방의 경우 보스들의 체력이 아주 커지는 만큼 강타가 고스란히 역할은 한다는 반증인듯.
모드를 이용한 싱글방트리스트럼 실험의 한계는 트리보스들이 소환을 안한다는 점이다. 즉 이 결과가 고스란히 실제 베넷상에 적용된다고 할 수는 없다. 실제 베넷에서는 부하들을 처리하는 문제와 그 과정에서의 공격력이 분산되는 점이 아마도 큰 문제일 것이다.
다만 피를 깎는데 걸리는 시간이나, 가장 위험한 존재인 메피스토의 경우 시사점이 있다고 판단함.
횃불활아마의 경우 원거리캐릭이라서 레지를 극으로 맞출 필요가 없으며 다만 컨빅범위 밖에서 스트레이프로 공격하면 상당히 빨리 잡을 수 있었다.
용병세팅이 문제긴 하지만 정 용병레지채우기 힘들면 배반갑을 이용해서 페이드를 켜준채(60올레+15%리듀스) 마지막으로 메피를 잡으면 좋으며, 발키리가 녹더라도 그때그때 메피에게 소환해주면 용병의 사망확률을 크게 줄일수 있다.
또한 스트레이프의 경우 2프레임공속이라서 라이프탭이 정말 잘 터진다. 이게 큰 메리트이고
실제 베넷에서 보스들이 소환을 마구 하더라도 스트레이프로 충분히 제어가 가능하다고 판단해본다.
고딕갑옷에 달린 40%의 몬스터폴리. 라이프탭 등이 제대로 역활을 할 것이며.
또 정 그렇다면 용병머리에 대표위원을 쒸워주고 에테메쉬세팅을 해준 채 사전에 배반갑의 페이드만 제대로 켜주면 좋을 듯.
이상 실험에서 유추할 수 있는 트리/우버용 최적의 활아마용 활은 아마도 레어메추리보우일듯
접두사 : 풀스(레벨데미지+대략 1200미만의 어레증가)+2소켓+크루얼(최대300%증뎀) 또는 레벨어레최대99%증가옵션
접미사 : 20공속
이정도 옵션에 전용활옵션으로 2보우스킬정도 달리면 가장 최선일듯.
이런 활을 못구하는 이상, 세팅에 따라 다르나 룬워드 신뢰가 무난하고 나머지 룬워드활인 격노나 인두, 슈페5솟메추리 그리고 위치와일드스트링(숏시즈보우유닉)의 경우 세팅을 좀더 감안한 실험이 필요한듯.
이상 조금 허접한 싱글실험이었습니다. 제가 그동안 모아뒀던 독및 캐릭들을 싹 다 정리해버려서 (사냥용 인두마+무공수수자벨마제외) 실제 베넷에서 실험하지 못했습니다. 현재 무공수수자벨마로 키셋앵벌(나락-카운테스-소환술사)을 굉장히 많이 하고 있어서-_-;; 조만간 다시 베넷에서 해 볼 도리밖에 없네요.
덧붙여서 자벨마의 경우는 활아마보다는 트리런이 용이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실제로 무공자벨마로 트리런 깼다는 사람들도 본 적 있고(메피만 빼고 나머지는 급속처리가능), 우버디아 잡는데 2-5초정도면 해결되는 자벨마의 사기적인 차스때문에 메피빼곤 무난함(장기셋구하기부터 트리까지 컨트롤이 필요함). 다만 메피가 문제인데 이것 역시 어레와 공속이 뒷받침된 4-4.5프레임정도의 쏜살같은 쨉공격으로(강타셋대략 85%맞추고 강타데미지에 초점을 맞추면) 충분히 가능하다고 판단해 봅니다.
******<수정> 2프레임스트레이프 버그가 제가 피상적으로 생각했던 것보다 심각한 것으로 보이므로 이 글의 공속에 관한 사항은 대폭 수정이 필요합니다. 혹시 트리사냥세팅으로 실험하실 분들은 2프레임을 고집할 필요가 전혀 없다는 조심스런 결론을 내리게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