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mware? desktop XP?? 이젠 필요 없을듯 합니다.
분류
봇관련
조회 수
2,989
추천 수
2

안녕하세요, 한국인입니다. m(_ _)m
사무실 등에서 봇을 돌리시는 님께 유용한 정보라 생각되어 적어봅니다.^^
저는 NT봇을 씁니다. 그리고 사무실은 아니지만 저 역시 눈치보며 봇을 돌리는 처지입니다 ㅡ.ㅜㅋ
그래서 매번 리스할 때 마다 뜨는 게임화면이 여간 신경쓰이는게 아닙니다.
가상 데스크탑도 깔아봤습니다만, NT봇은 리스할 때 사용자가 현재 쓰고있는 데스크탑에
게임화면을 던지더군요...@.@;;
제 생각엔 아마도 프로그램 실행의 주체가 현재 사용자로 되어 있어서 그런것 같습니다.
어차피 가상 데스크탑은 데스크탑만 여러 개일 뿐, 실제 사용자는 한 사람이거든요.
하지만 vmware 등의 가상 OS 에서는 절대 그런 일이 일어날 수 없죠.
비록 가상환경이지만 각종 시스템 장치라던지 사용자 설정이라던지 하는것은 원래의 OS와 다르거든요.
한마디로, OS상의 권한 문제인듯 합니다.
그렇다고 vmware를 깔자니 머리아프고, 유료 프로그램이고(돈낼 사람은 없겠지만^^;),
실제 시스템의 리소스도 제법 잡아먹고....으휴~
그러다가 문득 윈도 xp의 [다중 사용자 기능]이 떠오르더군요!!
윈도 사용자 계정 추가방법:
1. [시작 - 제어판 - 사용자 계정] 에 가서 사용자를 추가합니다.
2. [시작 - 로그오프] 를 하여 사용자 전환을 합니다.
3. 새로 만든 계정으로 로그온 하여 봇을 돌려놓고 다시 사용자 전환하여 되돌아옵니다.
그러고 다른 작업을 하면 됩니다^^.
이렇게 하면 각각의 권한을 가진 두 사용자가 한 컴퓨터를 공유하게 되는 것입니다.
각 계정은 서로 별개의 사용자 공간, 별개의 프로필, 별개의 설정이 존재합니다.
다른 권한으로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으니 로더가 없어도 디아를 두 개 띄울 수 있을것으로 생각되지만,
해보진 않았어요^^; (로더가 있으니 그럴 필요도 없고-_-; 그냥 이론상은 그럴거라는 거에요^^;;)
(아, 그러고 보니 예전 패치때 로더가 안통해서 윈도 사용자 계정으로 난리치던 때가 생각나는군요;;)
...여기까지가 제 시나리오였지만,
!!문.제.발.생!!
새로 만든 계정에서는 NT봇이 로더를 찾지 못하더군요.(어무이~~~~~~ㅠ_ㅠ)
그에 대한 대책은, 새 계정에다가 모든 설정을 새로 적용하여 그곳을 기본 계정으로 쓸 것인가,
--- 이건 너무 귀찮은 작업이고, 적응하기도 짜증나겠고...
아니면, 모든 설정 관련 파일을 복사해서 붙여버릴 것인가,
--- 이건 어떤 문제가 발생할지 모르는 상황, 어떤 설정 관련 파일들이 있는지도 잘 모르고...
...
아무튼 그런 문제가 있었습니다. 되는 분도 계신다고 하니 한번 사용해 보세요^^
일단은 기존의 계정에서 봇을 돌려놓고 새 계정으로 가서 다른 시디키 파일로 게임을 들어가봤습니다.
작업관리자를 띄워놓고 게임하면서 확인을 해보니 혼자서도 잘 돌아가고 있었습니다.
리스를 해도 현재창에는 당연히 안뜹니다.
조금 있다가 기존 계정으로 돌아가서 인벤을 확인해 보니 새로 줏은 룬 등이 들어있는걸 확인 할 수 있었습니다.
이제 새 계정에서 메니저가 로더를 인식 못하는 것만 해결하면 완벽합니다 +_+ 음화화화~~
새 계정으로 봇 띄우고 기존 계정으로 와서 아무 일도 없었다는 듯이 다른거 하고~~
참고로, 윈도 사용자 계정으로 인한 문제가 있는 프로그램이 있을 수가 있습니다.
저는 시스템 캐쉬를 관리해 주는 cachemanXP 라는 프로그램을 사용하고 있는데
요놈이 제대로 작동을 안하네요...
아, 그리고 저는 윈도 xp 프로페셔널 씁니다. 다중 사용자 기능이 홈에디션이나 기타 다른 os에 있는지는 모르겠네요.
[추가] 디아블러네님이 올려주신 NT봇 1.8버전을 적용시켰더니 메니저가 로더를 찾아내더군요!
디아블러네님 감사합니다~^^
HeavenlyStone님께도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