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팁 게시판

봇순이와 에쉴

분류 봇관련 조회 수 3,309 추천 수 24

에쉴(에너지쉴드)은 소서 스킬 중 예전부터 많은 논란이 되는 스킬입니다. 지금은 대체로 썬더스톰처럼 계륵같은 스킬로 간주되는 경향이 있는 것 같습니다. 이러한 결론에 새삼 토를 달겠다는 것은 아니고 다만 봇순이에게는 에쉴이 유용할까 하는 생각을 해보았읍니다.

봇순이는 아템 사냥을 위주로 하는 캐릭이므로 되도록 일반 몹을 빠르게 사냥하는 것이 효율적이겠죠. 물론 보스몹에 대한 공격 역시 고려의 대상이 되겟읍니다만. 이 점에서 스태틱에 대한 생각도 해 볼 수 있겠네요. 스태틱이야 소서의 기본 기술 중의 하나고 아무도 이 스킬의 유용성을 의심하지는 않겠죠. 하지만 싱글방에서 주로 사냥하는 봇순이에게는 이 스킬이 그렇게 환상적이진 않습니다. 저 같은 경우 스태틱 시전을 일반적인 경우에는 하지 않도록 설정하고 봇을 돌립니다. (디아블러네님의 '보스마다 스킬 선택하기' 참고) 그건 스태틱으로 깎는 몹의 체력보다 통상적인 공격으로 더 빨리 몹을 잡을 수 있기 때문이죠. 보스몹의 경우에는 체력이 많으므로 선택적으로 스태틱을 사용합니다. 이 경우 스크립트 마다 일일이 수정해주어야 하는 압박이 있지만 의외로 스태틱이 필요한 보스몹은 많지 않기 때문에 실제로는 큰 부담은 아닙니다.

주제인 에쉴과는 다소 무관한 스태틱에 대한 사설이 길어졌읍니다만 에쉴도 비슷한 관점에서 생각해 볼 수 있읍니다. 에쉴은 수비 스킬이므로 스태틱과는 전혀 다르긴 하지만 상황에 따라 그 효용이 달라질 수 있다는 점에서 유사한 점이 있읍니다. 물론 에쉴은 한번 사용하면 정해진 시간이 지나기 전에 취소할 수 없기에 사냥터마다 에쉴을 선택적으로 사용하긴 어렵죠.

에쉴에 대해 얘기하기 전에 제 경험을 먼저 소개하죠.

제 봇순이가 레벨 91 되었을 때 바알 사냥을 보냈읍니다. 바바3형제 처리하고 처음으로 바알 앞마당에간 제 봇순이 언데드소울킬러라는 꼬맹이에게 한 방 즉사.... 그 때까지 봇순이 에쉴 스킬을 안 올렸읍니다. 노마나 올피로 간 캐릭이죠. 에쉴을 사용 안하니 모든 스킬을 공격스킬에 집중할 수 있어서 사냥은 환상적으로 빨랐기에 아주 만족했던 봇순이였는데 바알 잡으러 간 첫번째 시도에서 허무하게 눕고 말았읍니다. 그래서 소서가 아무리 올피로 가도 꼬맹이 시폭 한방을 못 견디는구나 깨닫고 에쉴을 사용하기로 했읍니다. 그런데 스킬이 남은게 없으니 렙업을 해야 에쉴을 찍을 수 있는 상황에서 스킬트리를 보니 에쉴을 찍으려면 스킬이 네개나 필요했읍니다. 그래서 봇순이 레벨 95 될 때까지 기다렸읍니다.

마침내 긴 기다림 끝에 봇순이가 레벨 95가 되었죠. 그렇게 해서 생긴 스킬 4개를 과감히 에쉴을 찍기 위해 투자했읍니다. 그리고 처음으로 에쉴을 켜고 다시 바알 사냥을 보냈읍니다. 그리고 몇번 모니터 해보던 중 꼬맹이가 출현했고 나의 봇순이는 겁도 없이 글래셜스파이크를 날려 꼬맹이를 한 방에 날리는데... 하는 순간 내 기대와 다르게 여전히 한 방에 누워버리고 말았읍니다. 에쉴을 찍기 위해 기다려던 그 시간들이 얼마나 허무했고 에쉴에 투자한 4개의 스킬이 어찌나 아까운 생각이 들었는지... 결국 에쉴로도 꼬맹이의 시폭 대미지를 감당할 수 없었죠.

그것보다 더 문제가 된 건 이 봇순이가 시도 때도 없이 물약 사러 마을을 가는 겁니다. 다 아시겠지만 대미지 1에 마나는 2가 소모되고 그것도 레지 적용되기 이전의 대미지가 적용되니 그야말로 마나 하나도 안 올린 내 봇순이의 마나통은 거의 항상 바닥을 보이고 그로인해 물약 엄청 소모되니 마나 포션은 물론이고 이전에는 항상 두 줄 꽉 찼던 활포가 하나도 보이지 않는 경우가 보통의 경우가 되었읍니다. 이래서야 사냥 속도는 늦어질 수 밖에 없고 빠른 시간 안에 많이 잡아야 한다는 봇의 본연의 기능이 만족될 수가 없었죠. 결국 전 스크립트를 약간 고쳐서 에쉴을 배워도 에쉴을 사용 못하게 만들어서 사냥을 했읍니다. 그야말로 스킬 4개 완전 낭비했죠. 그리고 바알 사냥은 몹 회피 함수를 사용하여 꼬맹이가 있으면 포기하도록 수정하였읍니다.

저의 경험을 보면 에쉴은 참으로 봇에게는 쓸모가 없는 스킬처럼 보였읍니다. 수동으로 할 때야 적절한 공수 콘트롤을 통하여 도움이 될 수도 있겠지만 기계적으로 무식하게 사냥하는 봇에게는 매우 부적절한 스킬이라고 할 수 있겠읍니다.

하지만 이 모든 생각의 시작이 바알 사냥을 조건없이 하고 싶다는 생각에서 비롯된 것이기에 기분은 별로 좋지 않았읍니다. 그러다 문득 이런 생각이 들었읍니다. 바바의 경우 오더는 항상 풀업하지 않는가? 오더라는게 결국 수비 스킬인데 소서도 수비 스킬 하나쯤은 풀업해야 하는게 아닌가? 소서는 원거리 공격 캐릭이니 수비가 그렇게 필요하지 않지만 봇의 특성상 어떤 몹과 맞짱뜨게 될지 모르는 것이 아닌가? 따라서 봇순이는 수비 스킬을 적어도 하나쯤은 풀업해 줘야 할 것이다. 이런 생각이 들었읍니다.

그래서 다시 에쉴에 대해 생각했읍니다. 에쉴이야말로 체력 약한 소서에게 핵심적인 수비 스킬이니까요. 그런데 에쉴을 풀업하는건 문제를 해결하는게 아니고 문제를 더 악화시키는 것이라는게 문제였읍니다. 대미지 흡수가 많으면 많을수록 빈약한 마나통은 더욱 더 큰 문제가 되겠죠. 그렇다면 에쉴을 사용하긴 하겠는데... 에쉴 시너지인 텔키와 마나 리젠의 웜쓰 어느 것이 좋을까 생각했읍니다. 사실 이것은 생각할 것도 없는 문제인데 마나의 큰 장점이 체력에 비해 빠른 리젠 속도이니까 마나 리젠을 더욱 빠르게 하고 싶은 욕구가 너무 강해서 망설인 것입니다. 어차피 마나 리젠은 마나통의 크기에 비례하니까 마나통을 무지막지하게 키우기 전에는 마나 리젠의 효과가 한정적일 수 밖에 없죠.

저는 일단 마나통을 키우는 것은 고려에서 제외했읍니다. 첫번째 이유는 마나번 특성의 몹들 때문입니다. 손으로 콘트롤한다면 적절하게 마나번도 대처할 수 있겠지만 인공지능 제로의 봇순이에게 무엇을 기대하겠읍니가? 마나번 당하고 빈약한 체력으로 싸울 봇순이 생각을 하니... 두번째 이유는 이것이 저에겐 더 큰 이유인데 블러드마나 저주 때문이었읍니다. 어차피 이 모든 생각의 시작이 어떻게 바알 사냥을 안 죽고 할 수 있을까에서 비롯된 것인데 바알 앞마당까지 가는 길에는 블러드마나 저주를 때리는 놈들이 거의 항상 있다고 봐야 합니다. 그러면 텔레할 때마다 봇순이의 빈약한 체력은 물약의 엄청난 소모를 가져올 것이고 그렇다면 또 마을을 들락거릴테니 역시 효용이 떨어진다 하겠죠.

그렇다면 남는 것은 텔키를 풀업하는 것인데 생각해 보니 이것은 여러 면에서 유용했읍니다. 텔키 시너지로 대미지 1에 대한 마나 소모량을 줄이니 이것은 마나통을 키우는 것과 동일한 효과라 할 수 있읍니다. 따라서 스탯을 체력에 분배하면서도 마나통을 키우는 것이죠. 그리고 앞에서 언급한 두가지 문제에 대해서도 상당한 해결책이 되었읍니다.

마나번을 당해도 체력이 올마나로 가는 것보다 많으니 덜 위험하고 특히 블러드마나 저주를 당할 일이 없다는 것 (즉 언제나 마나가 체력보다 많아지지 못하도록 하면 됩니다.) 이것이 특히 저에게는 아주 매력적이었읍니다.

따라서 저의 해결책은 텔키를 풀업한 에쉴을 사용하자 그리고 마나통은 최대로 키우되 체력보다 많아지게 하진 말자. 이렇게 요약할 수 있겠네요. 그리고 레벨 99 가는 과정에서 5개의 스킬을 풀업할 수 있다고 보면 콜드 게열 두 개 풀업, 파이어 계열 두 개 풀업 이렇게 스킬을 분배하기로 했읍니다.

이 결론에 따라 봇순이를 새로 키웠읍니다. 마나통을 최대한 (체력보다는 작은 범위에서) 키워야 하니 쌍조단, 프번 이런 식으로 아템도 착용하고 (거의 잘 알려진 일반적인 아템 세팅) 레벨 90 만들어서 바알 사냥 보냈읍니다. 조건없이.... 지금 레벨 94된 봇순이 한번도 죽지 않고 바알도 사냥하고 나락도 사냥하고 지금도 잘 달리고 있읍니다. 에쉴 안 찍은 봇순이보다 파이어 계열 풀업 스킬 하나가 부족해서 보스 잡는건 조금 늦습니다만 일반 몹 상대로는 차고 넘칠 정도로 대미지 충분합니다.

마지막으로 한 가지 이번에 새로 알게 된 사실입니다. 렙업 했을 때 마을에서 체력하고 마나량이 같도록 스탯 주고 사냥 나가니 체력보다 마나가 훨씬 적었읍니다. 그 이유는 콜투 오더 때문이었는데 원래 오더는 체력이나 마나를 똑같은 비율로 키워주는 스킬이죠. 다만 그 비율이 다른 아템에 의한 마나 뻥튀기에 추가되는 것이기 때문에 실제로는 아템발로 올라간 마나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였읍니다. 그래서 쌍조단,프번 때문에 올라간 마나는 오더로 늘어나지 않았기 때문이죠. 무기의 대미지 올라가는거 생각하면 당연한 일인데 처음 알았읍니다.

긴 글 읽어 주셔서 감사하고 누구에게라도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댓글16
  • 막지마// 2009.02.25 05:59
    옹옹// 저는 바알 사냥은커녕 나락도 가끔씩 죽던데;;ㅎㄷㄷ// 마을에서 마나와 체가 같게 스탯을 찍는게 포인트군요- 스킬을 어떻게 찍으셨는지 알려주면 더 좋지 않을까나요 ㅎㅎ//
  • 카운터블로 2009.02.25 06:11
    긴 글 잘 읽었습니다. 일반적인 에쉴 소서를 하시는 유저분들의 실수가 몇가지 있씁니다 몰피나 몰마나는 어리석은 짓입니다. 피통과 마나통의 절묘한 조화가 필요합니다. 봇을 돌릴 경우는 피통이 마나통보다 1이라도 더 크다면,블러드마나 저주를 뿌리지 않습니다. 대미지를 에쉴로 최대한 많이 흡수하려는 생각 역시 좋치 않습니다. 에쉴의 대미지 흡수율은 손컨의 경우는 70~80%선이 좋습니다. 봇의 경우는 65~75%정도가 적당합니다.이 정도를 염두에 두시고 에쉴에 스킬 투자하시면 됩니다. 스킬의 경우는 웜스와 텔레키네시스사이에서 어느 것을 풀업하느냐 결정하시는 분들..안타깝습니다. 일단 텔레키네시스를 순수 8올리신 다음에 웜쓰를 올리시는것을 권장합니다 텔레키네시스 1포인트당 에쉴에서 사용 되는 마나 감소율은 6.125%입니다. 그리고 디아블로에서는 결과치에서 소숫점 이하는 버림합니다. 따라서 텔키는 8아니면 16입니다.그외엔 비효율입니다. 이런식으로 스킬을 주시게되면은 에쉴 템빨 포함 16~20.텔레키네시스8,웜쓰도 공격스킬 준 이후에 적당히.. 이런식의 스킬 투자가 됩니다. 피와 마나의 스탯도 적당히.. ㅎㅎ 어딘가 한국사람의 생각에는 어울리지않는 어정쩡한 투자이지요? 줄 것은 만땅풀업을 해야만 직성이 풀리는데 말이죠 ㅎㅎ 그러나 실제로 사냥을 해보시면 왜 그런지 아시게 될겁니다. 에쉴소서 ,매우 안정적이면서 햄딘보다 사냥이 훨씬 빠르고 손컨을 할 경우에도 시원시원합니다. 그리고 특기할 점은 제가 에쉴 소서 하면서 불사조 절대로 안찹니다. 에쉴소서는 무조건 스피릿입니다 ! 결국 창고캐릭에서 몇달 보관하다가 팔아버렸씁니다.
  • 카운터블로 2009.02.25 06:27
    직접 컨트롤 하실 경우에는 마나가 피보다 훨씬 많으면 좋습니다. 그러나 오더 후에 피가 1200은 넘어야 합니다 1300이 넘을 경우 블러드마나 맞아도 힐링포션 하나 먹으면서 맘대로 마법난사 가능합니다,1400이상의 피는 필요 없습니다 (블러드마나 걸려도 에쉴은 대미지를 잘 막아줍니다) 이 경우에는 몹에게 맞았을 때,피가 다는것과 마나가 다는 것의 비율을 마나가 두배쯤 더 많이 내려가도록 해야합니다.여기서는 비율입니다
  • 디아블로컴백 2009.02.25 23:05
    그렇군요. 좋은 정보 잘 보고 갑니다. 전 몇년만에 다시 해보는데 아무생각 없이 마나에 투자를 좀 많이 해서 확실한 삽질했구나 했었는데 이글 보고 위안을 얻었습니다.
  • 금빛늑대 2009.02.26 12:40
    조금 늦어서 답변이 달릴지 모르겠네요..ㅋ 블러드마나는 어떤 몹이 쓰는지요??;;;
  • 좋은님 2009.02.26 18:00
    긴글 잘읽고 갑니다~안그래도 에쉴소서 키우려고 하는데 많은 도움이되었네요~^^
  • 바바돌이 2009.03.02 02:34
    에쉴 탱크소서도 있답니다. 물론 나름 정상적이지는 안지만요.. 텔키 16개 에쉴 90프로 이상 맞추고 마나통 5000정도에 프레이어 통찰용병... 이러면 마나번 아나고서는 거의 죽을일은 없습니다. 물론 오토가 아니라 직접 컨트롤하는 경우에 해당하는 캐릭이고요.. 필수아템은 프번, 쌍조단, 스피릿, 거기에 핵심으로 잘쓰지않는 위자드랍니다. ㅎㅎ 아.. 이캐릭은 통찰대신 무공을 써도 되지만 항상 파티용 컨빅딘과 같이하기에 통찰로 걍 했었습니다. 마나번빼고 쟤 죽일수 있는 몹 찾기 힘들어욤.... 대신 박진감은 좀 떨어지는 캐릭이지요.
  • ninee 2009.03.02 16:20
    에쉴과 텔키.피와 마나 직접해보면서 균형을 맞추는거죠.하지만 수동이라면 상당히 재미있고 안정적인 케릭이지만..봇이라면 이야기가 틀립니다. 에쉴소서자체가 피통이 아무래도 작다보니 에쉴로 막지못하는 독뎀에 당하면 답이없습니다. 해독제먹으면서 싸우라고 할수도 없고..빨빨거리는 넘들해결책은 애쉴이 아니라 유닉모낙들고 불럭률 적당히 맞추는편이 훨씬 생존률이 높아집니다.^^
  • teddy 2009.03.07 00:23
    죽지 않는 에쉴소서 만드는 방법은 위스탄 방패(블럭75%) 들려주고 에쉴 흡수 70%이상 맞춰주면 거의 죽지 않습니다. 피트에서 아쳐들이 나와 화살 쏴도 피 1도 안달고 다 막고 완젼 최곱니다.
  • RednBlack 2009.03.10 17:43
    위에 카운터블로'님 글 잘읽었어요. 횃불에 착용품으로만 16+skill은 그냥 있으니까 에쉴은 템발 포함하면 16~20은 우스우니 하나만 찍고 텔레키네시스만 몇 개 찍는 거군요. 라이트닝 참은 거의 안들고 다닌다고 설정하면 말이죠. 텔레키네시스의 템발 포함 최적화 수치는 어느 정도일까요. 8 또는 16이라는 수치는 누군가 실험적으로 얻어낸 수치일 텐데, 어찌 텝발 포함한 수치가 아니라 순수로만 언급되는지 궁금하네요. 어새신의 발차기 효율을 위한 스킬 수치가 정해진 거 처럼 템발이 좌우할 거 같은데...
  • 프리도리 2009.03.11 04:04
    시너지는 아이템빨이 아닌 순수로 올린것만 적용이 되며, 에쉴의 시너지 스킬은 텔키 입니다. 그러므로 에쉴의 시너지인 텔키는 순수로 올려줘야 합니다. 이때 순수 8 또는 16 스킬로 텔키를 찍는 이유는 '카운터블로' 님이 잘 설명 하셨듯이, 6.125%(마나감소율) * 8스킬 = 49% 6.125%(마나감소율) * 16스킬 = 98% 그외에는 소수점을 버림하므로 비효율적이기때문에 8 또는 16스킬을 찍는것입니다. 한 예로 텔키에 7스킬을 투자했다고 가정할시 6.125%(마나감소율) * 7스킬 = 42.875% 이므로 소수점을 버리고 42%만 적용된다는 점에서 비효율적이란 얘기죠.
  • 그리운님 2009.03.11 23:11
    이래저래 귀찮을땐 그저 만땅찍어 주는게 속 편하죠. 재미로 키우는데 이래저래 너무 생각하면 골치아프니 일단 한두번 대충 키워보고나서 그 다음에 이 케릭 참 맘에 든다 싶을때 제대로 키우는 것도 좋은 방법이죠.
  • 큰돌[A13L] 2009.03.13 01:43
    길기는 정말 길지만 에쉴소서에 대해 알고 싶었는데 궁금한게 많이 풀렸네요.. 좋은 글 감사합니다.
  • merobotics 2009.03.24 00:51
    (디아블러네님의 '보스마다 스킬 선택하기' 참고) 이거 링크가 죽은거 같은데 어떻게 보죠???
  • 다크멋쟁이 2009.08.17 16:52
    임털님 글도 도용되셨네요 http://tradia.me/zboard.php?id=bot_tip&page=1&sn1=&divpage=1&sn=off&ss=on&sc=on&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59
  • 카슈밀로드 2010.04.16 16:54
    좋은정보 ㄳ합니다~~~~~~~

팁 게시판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게시판 푸시 알림 / 통합 앱 서비스 31 file 트디개발자 2023.09.20 830.7k
공지 디아관련 에테리얼 벅큐빙 표 219 eunnanoDiablo™ 2008.03.05 140.2k
공지 디아관련 케릭별 갑옷 착용 모습 325 수린[아빠] 2009.06.09 111.4k
공지 디아관련 디아블로 각종 팁과 정보 간추림 입니다 (_ _) 1547 조은아저씨 2010.05.24 211.6k
공지 봇관련 유니크 업글 표 366 file 카인 2013.11.02 412.8k
공지   맨땅 초보자 가이드 597 file 뮤리아 2020.10.16 994.4k
공지   카카오톡 1:1 채팅방 만드는 법 101 트디개발자 2018.05.20 424.3k
1821 일반 VMWARE 설치, 사용기 18 아칸™ 2009.03.20 5.8k
1820 봇관련 D2NT1.7.2_NTBot3.6 초보용 39 아칸™ 2009.03.18 8.3k
1819 봇관련 스왑 후 불사조로 리뎀션시 오류 나시는 분들 , 2 학벌 2009.03.17 1.3k
1818 일반 게시판에 질문을 올렸더니 두루네 링크로 댓글이!!! 6 ANNIE[A1L] 2009.03.16 964
1817 디아관련 몰피본넥 육성 + 잡다한 저의 작은 정보 (긴글입니다) 21 금복주 2009.03.16 3.2k
1816 캐릭 육성 [용병] Act1~Act5 용병의 무기별 공속 프레임 입니다. 9 [無情]효진아빠 2009.03.07 5.6k
1815 일반 두루네 신게시판 자동 로그인 방법 46 [無情]디아블러네 2009.03.06 3.4k
1814 디아관련 [펌] 해킹툴 조심하세요~! 16 태원,태희 아빠 2009.03.02 2.9k
1813 디아관련 공방만드실때 스팸 피하는 방법 12 ilislove 2009.02.28 1.9k
1812 디아관련 Tip. 트리스트럼에서 보스 잡기 14 [無情]디아블러네 2009.02.25 2.8k
> 봇관련 봇순이와 에쉴 16 임털[A3L] 2009.02.25 3.3k
1810 봇관련 NT봇으로 아뮬 크래프트를 자동으로 해봅시다. 70 삼일월 2009.02.21 7.5k
1809 일반 두루네.. 다운이 안되신다고요?? 9 아칸™ 2009.02.20 1.6k
1808 디아관련 [수정]무기와 슴 속도의 관계 10 랑랑 2009.02.20 1.5k
1807 디아관련 스마이트에 대한 기본 정보-블쟈 홈피 내용 7 임털[A3L] 2009.02.20 2.0k
1806 일반 두루네 임시 접속 방법 7 [無情]디아블러네 2009.02.19 2.6k
1805 디아관련 멀티 데스크탑[jwMultiCenter] 프로그램 이용 시 TIP하나 알려드립니다 10 nas 2009.02.18 3.5k
1804 디아관련 [펌] 패캐, 패힛, 패블럭 표 15 랑랑 2009.02.18 4.8k
1803 디아관련 케릭별패캐.패힛.프레임.활공속.엑1.2.3용병공속및패캐 21 [無情]막시무스 2009.02.17 4.9k
1802 일반 파이어폭스에서 두루네 잘쓰기!! 6 두루네로 2009.02.17 1.2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