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팁 게시판

PC소비전력 대략적으로 알아보기(정정 및 4850vs5750 전력비교추가)

분류 일반 조회 수 2,035 추천 수 13

※ 비스타/윈7의 에어로가 전력소모가 크다고 생각했는데, 요번에 그래픽카드를 교체하면서 테스트해보니
별차이가 없는듯하네요. 진작에 좀더 테스트를 해봤어야하는데, 죄송합니다.
*비교는 맨 밑에 추가함*


===============================================================
- 소비전력 알아보기
1. 전력측정장비를 사용(돈이들죠.--;)
제가 아는건 잘만 mfc2,3, 마이크로닉스 파워와쳐 시리즈, 인스펙터2 정도로 활용/편의성은 인스펙터2가 높을듯합니다.
-----------------------------------------------------------------------------------------------------------------------------------------------
2. 사이트에서 가상으로 본체전력측정.
pc의 cpu/ram/vga 정보를 알아야하므로, 잘모르시는분은 cpuz 다운받아 확인하세요.

http://www.extreme.outervision.com/psucalculatorlite.jsp
pc부품의 소비전력을 바탕으로 가상으로 측정해 주는곳입니다.
잘 아시는분은 세밀하게 선택하시면 좋겠지만, cpu/ram갯수/vga/하드갯수정도만 선택하시면됩니다.
모두 선택하셨으면 끝에서 두번째항목 System Load(시스템사용률) 는 60% 로 바꿔주시고,
좌측상단이나 하단 'W'표시되있는 곳의 'Calculate' 버튼을 클릭하시면 pc전력이 나타납니다.

System Load 최소단위가 60%이기 때문에 다소 높게 나오는듯합니다.
(저의경우 mfc2로 측정해서 평상시 160, 사이트에서 60%시에 측정해서 200정도가 나옵니다.)
100%를 선택해서 최대 시스템 요구전력을 알아보는 것도 좋을듯...

게임,동영상,프로그램에 따라 cpu,vga등의 사용률이 달라서 소비전력도 차이가 납니다.
전력측정장비로 측정하지 않는이상 소비전력이 어느정도 수준인지 정도만 참고 하세요.


-----------------------------------------------------------------------------------------------------------------------------------------------
3. 모니터의 소비전력
제품뒷면라벨에 적혀있는 사양을 확인해보세요(안적혀있기도함). 대략적으로...
crt : 17인치 - 70W 이상, 19인치 - 100W이상
lcd : 17인치 - 20W 정도, 19인치 - 30~40W정도, 22인치 - 50W정도, 24인치 - 80W정도
자료를 찾다보니 CRT는 제품마다 차이가 좀 나는듯하고, 확실히 많이 먹더군요.
LCD의 경우는 제품마다 많은 차이는 안나지만, 밝기에 따른 전력차이가 크다고합니다.

제가 사용하는 제품이 디스플레이랜드 24인치로 표기전력이 60W이고,
mfc2로 측정해보니 검정색은 60, 흰색최대 65정도되는군요..
밝기 최대/최소의 전력차가 3W정도로 크지 않네요. 제품마다 다른듯...


또한 요즘 나오는 LED백라이트제품의 경우 소비전력이 낮다고 합니다.
(어떤글 보니 24인치가 표기전력 20W로 실제로는 28W정도라더군요. 일반24인치의 절반이하)

ips,pv등 광시야각패널 보다 tn패널이 소비전력이 낮다고 하구요.



http://www.parkoz.com/zboard/zboard.php?id=low_power
전력관련 게시판이니 참고하세요(crt, lcd, 모니터 등으로 검색해보세요)


===============================================================
- 전기요금에 대해
http://cyber.kepco.co.kr/cyber/01_personal/01_payment/payment_table/payment_table.jsp#1
한전 전기요금표입니다.
일반가정에서 사용되는 저압전력요금을 보시면 누진세로인해 300W부터 엄청나게 불어나는 것을 알수있습니다.
------------------------------------------------------------------------------------------------------------------------
본제 소비전력100W인 pc와 22인치(50W라 가정)를 10시간씩 한달(30일)을 사용한다면.
(100+50) x 10(시간) x 30(일) = 45000Wh = 45KWh 가 나옵니다.

만약 PC없이 200KWh(20,130원) 를 사용하던 가정이라면 245KWh(29,430원) 이 되므로,
9300원이 늘어납니다.

하지만 310KWh(45,040원) 인경우 355KWh(57,770원)로 13,730원이 늘어나고,
500KWh(115,550원) 인경우 545KWh(154,560원)로 무려 39,010원이 늘어나게됩니다.
------------------------------------------------------------------------------------------------------------------------
그러므로 현재 집에서 사용되는 전체 전력량이 얼마냐에 따라 pc사용시간에 따른 금액차이가 많이납니다.


===============================================================
- pc전력소모의 대부분은 모니터이다?
본체가 무엇이냐 모니터가 무엇이냐에 따라 다르겠지만, 요즘은 본체전력이 크다고 볼수있죠.
다만, 중요한건 둘다 전기를 많이 먹는다는거죠.
------------------------------------------------------------------------------------------------------------------------
- 부팅시 전력소모가 크다?
제 본체기준으로 아이들시(150~160W)보다 20%정도 많은 180~190W 정도로
보통때보다 전력소모가 큰건 맞습니다.
허나 어떤글보면 부팅시 전력소모가 20~30분 사용한것과 같다고 하더군요.
부팅시간이 1~2분정도라 보면 최소 10배이상의 전력소모라는건데, 말도안된다고봅니다.
(100W면 부팅시1000W? 보통 pc파워가 400~500W인데...)
다만 pc가 켜지고 꺼지는데 시간이 걸리는 만큼, 잠깐 사용안할땐 모니터만 꺼두면되겠죠.


===============================================================
===============================================================

기존에 쓰던 vga가 4850으로 전력소모가 큰편이라 다운그레이드할까 고민을 했었는데,
5750이 전력소모는 낮고, 성능은 비슷 혹은 우위에 있다는 자료를 보고 구매하게되어 비교해봤습니다.
*cpu - e6750(2660@3200), 측정장비 - MFC2
**간단히 테스트해본 것이므로 이것역시 참고만하세요.

1. 부팅/종료 비교.
부팅(약1분)윈도우진입(약1분)엑세스종료후종료시
ATI HD4850185~198160정도152160정도
ATI HD5750165~172130정도123130정도
차이20~2630정도2930정도

댓글13
  • listener[O.P] 2009.12.29 00:30
    정말 좋은 자료입니다.. 안그래도 며칠전에 우리집 컴퓨터는 전기를 얼마나 먹을까.. 얼만큼 켜둬야 누진세가 안나오도록 사용할 수 있을까.. 몸으로 부딪혀야 하나..하며 한전가서 전기요금 계산도 해보고 했는데.. pc는 냉장고처럼 매일 같은 전력을 쓰는게 아니다보니 계산하기 힘들더라구요.. 이런저런 정보 감사합니다
  • 김과장 2009.12.29 11:23
    감사한 자료입니다.. 그렇지 않아도 계속 염두에 두고 있었습니다만, 대략적으로나마 이해 할 수 있어서 걱정을 덜었습니다 감사한 자료 추천 드립니다
  • 김과장 2009.12.29 11:24
    거실에서 주로 게임과 인터넷을 사용하는 터라.. 랩탑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_-; 혹시 랩탑사용 관련해서 정보를 주실수 있는 분이 계실까요 너무 문외한이라..-_-;
  • 무소속 2009.12.29 19:45
    노트북의 경우는 조립으로 인해 다양한 데스크탑PC와는 달리 거의 완제품이므로 제품에 표기된 소비전력을 확인해보면 될듯합니다.(없다면 제조사에 문의를...--;) 그렇지 않다면 직접 측정해보거나 누군가 측정한 데이타가 있어야할듯하네요.
  • 고르케13 2009.12.29 20:17
    175와트 나오네요. 생각보단 낮은듯^^
  • 세로 2010.01.02 15:27
    저도 서버 2008 r2 쓰면서 에어로 on/off하고 mfc2로 측정해봤는데 별 차이가 없어서 의아하게 생각했었는데 역시 별 차이가 없군요;
  • [외롭당]e.k.s.[A1L] 2010.01.04 02:04
    저희집은 항상 7~800kwh씩 나와서 포기하고 삽니다만 ㅠㅠ LCD 경우 패널에 따라서도 전력소모 차이가 크게 납니다. TN 패널이 좀 적게먹고 저기 나온 그래픽 카드들은 전력소모가 적은편에 속하는 카드입니다. 4850은 나왓을때는 하이엔드급 카드였지만 이제는 좀 밀려나면서 전력소모가 많은편이 아니게 되었고 5750은 워낙 저전력입니다. 저 이상 카드쓰시면 좀 더 들어간다고 보시면 되고.. 부팅시 전력소모가 많은 이유는 아마도 하드디스크 때문일겁니다. 켤때 12V에 엄청나게 높은 Peak 전류가 흘러서 전력소모가 많은거 같네요..
  • 무소속 2010.01.04 23:20
    헉... 무엇을 하시기에 7~800Kwh 씩이나... 말씀대로 TN패널이 IPS등보다 소비전력이 낮다고 하더군요. 4850은 하이엔드에 비교하면 소비전력이 높은편이 아니지만, 갠적으로 소비전력자체는 높은편이라 생각됩니다. 그래서 비용은 좀 들었지만, 5750으로 교체는 만족스럽네요. 부팅시 소비전력은 갠적인 생각으론 cpu의 사용률이 높아서 그런게 아닌지 생각되더군요.
  • 暗殺者 2010.01.08 05:17
    사용전력이 무려~! 본체만 549W가 나오네요 ^^;
  • 루트골레인 2010.04.19 10:27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자세하게 설명 잘해주셨네요~잘보고갑니다^^*
  • 자판 2010.04.27 14:23
    오랫만에 복귀했는데 참고 하겠습니다 고맙습니다~
  • 가영아빠 2010.05.07 18:37
    매일 디아 한다고 마누라가 전기세 3만원을 용돈서 감한다고 하는데 이걸로 얼마 안든다고 들이대야겠습니다
  • 듀엣 2010.05.22 21:30
    오늘두 하나 배우고 가는군요!! 감사 드리고 즐디아 하십시요!!!

팁 게시판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게시판 푸시 알림 / 통합 앱 서비스 31 file 트디개발자 2023.09.20 832.5k
공지 디아관련 에테리얼 벅큐빙 표 219 eunnanoDiablo™ 2008.03.05 140.3k
공지 디아관련 케릭별 갑옷 착용 모습 325 수린[아빠] 2009.06.09 111.5k
공지 디아관련 디아블로 각종 팁과 정보 간추림 입니다 (_ _) 1547 조은아저씨 2010.05.24 211.6k
공지 봇관련 유니크 업글 표 366 file 카인 2013.11.02 412.9k
공지   맨땅 초보자 가이드 597 file 뮤리아 2020.10.16 994.9k
공지   카카오톡 1:1 채팅방 만드는 법 101 트디개발자 2018.05.20 424.6k
1021 디아관련 이제는 디아블로도 전략이 필요하다!! ?? 2:2~ 4:4 까지 15 UFP™나비 2009.11.30 2.0k
1020 봇관련 NTItemAlias.ntl 을 txt파일로 보기 편하게 수정하였습니다^^ 14 file 솔자[B.D] 2009.12.01 3.6k
1019 일반 imageshack 사이트를 이용한 스샷 올리는 방법 16 성기상 2009.12.02 2.0k
1018 캐릭 육성 맨땅분들을 위한 조폭넥 메뉴얼 26 file 북극성 2009.12.04 10.4k
1017 일반 IP 1개로 한방에 8케릭 접속방법 28 심심 2009.12.06 5.7k
1016 디아관련 디아 용어관련 입니다 13 열혈 2009.12.08 2.5k
1015 일반 공인ip 몇개 사용가능한지 확인해보세요. 17 file 무소속 2009.12.08 4.6k
1014 새소식 1.13 PTR 패치노트 한글번역.. 48 Masha。[B.D] 2009.12.11 4.6k
1013 디아관련 클래식서버에서 99레벨 만들기 26 風雲 2009.12.11 3.7k
1012 일반 기본요금으로 8케릭 이상 사용법(쉽게/추가내용) 67 심심 2009.12.11 7.0k
1011 봇관련 우버디아방을 정해진 시간만 잡게 하기 ^^ 10 헌터 2009.12.16 2.7k
1010 새소식 테스트포럼 9가지 이슈에 대한 Bashiok 답변 (영어) 18 수루무누 2009.12.19 2.3k
1009 새소식 디아 1.13 패치 내년으로 미뤄지겠네요. 27 BlackLeaf 2009.12.22 4.4k
1008 봇관련 체라 불사조 리뎀션 스왑하기 18 차차[O.P] 2009.12.23 1.9k
1007 디아관련 윈도우7에서 디아블로 전체화면모드 빠르게 실행하기... 11 file Sen 2009.12.24 4.3k
1006 일반 IP공유기 허브모드로 사용하기 29 무소속 2009.12.24 6.3k
1005 디아관련 D2NT 2.1 날아다녀님 5차버전 대기 채널 변경하기(수정) 11 BlackLeaf 2009.12.25 1.9k
> 일반 PC소비전력 대략적으로 알아보기(정정 및 4850vs5750 전력비교추가) 13 무소속 2009.12.28 2.0k
1003 디아관련 단군님이 만드신 폰트를 적용해봅시다. 21 file Extreme☆ 2009.12.29 4.7k
1002 봇관련 [D2NT 2.1 and NTBot 4.0]자동길찾기 스왑텔레해결방법 7 異안 2009.12.31 1.7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