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 쉴드 정보
분류
디아관련
조회 수
5,592
추천 수
7
안녕하세요. 저는 레더1기까지 열심히 하다가 6기에 다시 복귀한 유저입니다.
정강란에 에너지쉴드 관련 글이 여러 개 올라오는데 이 스킬에 대해 잘 모르시는 분들이 계시는 것 같아
에너지 쉴드 스킬과 관련하여 제가 아는 내용을 정리해봤습니다.
1. 시너지
텔레키네시스는 에너지쉴드의 시너지 스킬로서 에쉴의 마나공제비를 줄여줍니다.
기본적으로 에너지쉴드는 마나공제비가 1:2입니다.
1000의 데미지가 들어왔을때 에쉴 흡수량이 80%라고 가정하면
라이프는 -200, 마나는 800의 두배인 1600이 깎이게 됩니다.
텔레키네시스를 투자함으로써 깎이는 마나량을 줄일 수 있으며 1포당 에쉴의 효율을 6.25%씩 올려줍니다.
예를들면 텔키 16포 투자시 1:1의 마나공제비, 20포 투자시 1:0.75까지 마나공제비를 줄일 수 있습니다.
물론 프레임처럼 맞출 필요없이 몇포를 주던 효율은 꾸준히 상승합니다.
따라서 에쉴을 잘 활용하기 위해서는 텔키의 투자를 잘 생각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덧.1
봇순이의 경우 에쉴 흡수량을 40-60%정도로 맞추고 텔키 투자를 하지 않는것도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물약 먹는 타이밍이 칼같기때문에 피가 부담할 양을 어느정도 덜어주기만 해도 생존율이 많이 올라가기 때문이죠.
덧.2
텔키투자에 부담이 된다면 최대마나량 자체를 비약적으로 상승시킴으로써 마나부담을 상쇄시키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에쉴 80%흡수에 맞춘다면 텔키 적정선은 16포인트인 1:1공제비 정도 될것입니다.
이때 헬난이도 솔플 기준으로 마나를 3500~4000 이상으로 만든다면
텔키 16투자한 같은 조건의 소서와 비교했을 시 마나 1750~2000 수준의 마나부담과 같은 수준이 됩니다.
프번과 쌍조던 등이 전제되지 않고는 만들기 힘든 마나량이지만 최대마나량을 올림으로써 초당 회복하는 마나량도 늘어나므로 일장일단이 있다고 보여지네요.
하지만 풀방 기준으로 전에 키웠던 에쉴 블럭소서(16텔키 투자, 에쉴흡수량 85%)를 떠올려보면 최소 3500~4000정도의 마나량이 안정권이다..라는 것이 제 판단이었습니다.
이런 점을 상기해 보면 텔키투자를 하지 않고 최대마나량을 늘려 대처하는 것은 풀방 난이도를 생각할 때 전가의 보도가 될수는 없을 것 같네요.
2. 에쉴의 적용 순서
에쉴은 캐릭이 피격당했을 때 모든 방어옵션에 선행하여 적용됩니다.
[ 에쉴 > 물리및 마법레지스트%감소 > 물리및 마법레듀스 절대치감소 > 라이프손실 및 흡수 ]
따라서 에쉴 흡수량이 높으면 높을수록 레지나 물리리듀의 효용은 기하급수적으로 떨어진다고 할 수 있습니다.
예를들어 1000의 데미지가 들어왔다고 가정해 봅시다.
김소서 : 에쉴 80%흡수량을 맞춘 소서가 물리리듀스 50%, 올레지 75를 보유한 소서
a. 에쉴이 800 부담, 라이프에 할당된 데미지 200
b. 물리뎀일 경우 50%리듀로 100의 라이프 손실
c. 마법뎀일 경우 75%리듀로 50의 라이프 손실
박소서 : 에쉴 80%흡수량을 맞춘 소서가 물리리듀스 0%, 올레지 0을 보유한 소서
a. 에쉴이 800 부담, 라이프에 할당된 데미지 200
b. 물리뎀일 경우 200의 라이프 손실
c. 마법뎀일 경우 200의 라이프 손실
따라서 에쉴은 세팅상 물리/마법 레지스트를 맞추기 힘들 때 좋은 대안이 될 수 있으며 에쉴을 일단 사용하는 소서라면 정말 여유가 되는 한에서 물리/마법 레지스트를 맞춘다면 모를까 그렇지 않다면 밑빠진 독에 물붓기가 될 수 있습니다.
위의 김소서를 예로들면 물리리듀스 50%를 맞췄지만 실제 효용은 10%가 되며 마법 레지스트 75%의 실제 효용은 6.6%가 됩니다.
에쉴을 쓰지 않으며 물리리듀 10%, 올레지 6.6을 맞춘 소서와 같다는 것이죠.
결과적으로 물리리듀 40%, 올레지 68.4의 스탯 낭비가 발생합니다.
덧1. 그래서 블럭과 에쉴의 궁합은 매우 좋습니다. 추천하고픈 방패는 세트 라운드 쉴드인 휘스탄 가드입니다.
덧2. 다른 레지는 잊으시더라도 포레는 꼭 맞추시길 바랍니다. 지속형 포이즌데미지는 마나의 손을 떠나 오로지 라이프에서만 부담해야하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