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템 이니를 직접 만들어봅시다.
분류
봇관련
조회 수
7,196
추천 수
16
다른 사이트로 퍼가지 마세요.
이니 작성에 있어서 기초가 되는 내용을 살펴보겠습니다. MyPick.ntl 파일에 있는 내용을 조금 가져와볼께요.
자세한 건 scripts/libs/common/MyPick.ntl, NTItemAlias.ntl 파일을 열어서 확인하세요.
● [Keyword] separates into two groups
- [Property Keywords] : [Type], [Name], [Class], [Quality], [Flag], [Level], [Prefix], [Suffix]
- [Stat Keywords] : [Number or Alias]
-> 키워드에는 속성 키워드와 능력치 키워드가 있습니다.
● [Property Keywords] must be placed first
-> 속성 키워드를 능력치 키워드보다 먼저 써야 합니다.
● Insert '#' symbol between [Property Keywords] and [Stat Keywords]
-> 속성 키워드와 능력치 키워드는 '#'으로 구분합니다. 모든 속성 키워드 # 모든 능력치 키워드 순입니다.
● Use '//' symbol for comment
-> 주석(설명)을 덧붙일려면 '//'기호를 사용하세요. '//'기호 뒤에 적힌 내용은 D2NT가 인식하지 못합니다.
● Use '+', '-', '*', '/', '(', ')', '&&', '||', '>', '>=', '<', '<=', '==', '!=' symbols for comparison
-> 아이템 이니를 만들 때 쓰이는 기호입니다. 자주 쓰이는 것만 설명하겠습니다.
&& : '그리고'의 뜻입니다.
A && B <- A와 B를 동시에 만족해야만 합니다.
|| : '또는'의 뜻입니다.
A || B <- A와 B, 둘 중 하나만 만족하면 됩니다.
>= : '크거나 같음'의 뜻입니다.
A >= B <- A가 B보다 크거나 같아야 합니다.
<= : '작거나 같음'의 뜻입니다.
A <= B <- A가 B보다 작거나 같아야 합니다.
== : '같음'의 뜻입니다.
A == B <- A와 B가 같아야 합니다.
!= : '다름'의 뜻입니다.
A != B <- A와 B는 서로 달라야 합니다.
● 속성 키워드 : [Type], [Name], [Class], [Quality], [Flag], [Level], [Prefix], [Suffix] 가 있습니다. 아이템을 아이템 식별 스크롤로 확인하지 않아도 알 수 있는 내용이기 때문에 속성 키워드만 적혀 있으면 그 아이템은 미확인 상태로 보관합니다. NTItemAlias.ntl 파일을 열어서 확인해보세요.
[Type] : 아이템의 종류를 뜻합니다. NTItemAlias.ntl 파일에서는 _NTIPAliasType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Type] == armor <- 갑옷 종류라면 모두 줍습니다. 세이크리드 아머, 쉐도우 플레이트 등등 보이는 갑옷은 죄다 줍습니다.
[Name] : 아이템의 이름을 뜻합니다. NTItemAlias.ntl 파일에서는 _NTIPAliasClassID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Name] == SacredArmor <- 세이크리드 아머는 모두 줍습니다. 대소문자는 중요하지 않아요.
[Class] : 아이템의 계급입니다. 클래스의 종류에는 normal=노말, exceptional=익셉셔널, elite=엘리트가 있습니다. 보통 [Type] 키워드와 조합해서 사용합니다. NTItemAlias.ntl 파일에서는 _NTIPAliasClass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Type] == armor && [Class] == elite <- 모든 엘리트 갑옷을 주워 보관합니다.
[Type] == armor && [Class] >= exceptional && [Class] <= elite <- 익셉셔널 이상 엘리트 이하, 즉 익셉셔널 갑옷이나 엘리트 갑옷이면 모두 주워 보관합니다.
[Quality] : 말 그대로 아이템의 퀄리티=질입니다. 퀄리티의 종류에는 lowquality=로우 퀄리티/크루드, normal=노말, superior=슈페리어, magic=매직, set=셋트, rare=레어, unique=유니크, crafted=크래프트가 있습니다. 로우 퀄리티가 제일 낮고 크래프트가 제일 높습니다. NTItemAlias.ntl 파일에서는 _NTIPAliasQuality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Type] == armor && [Quality] == superior <- 모든 슈페리어 갑옷을 주워 보관합니다.
[Type] == armor && [Class] == elite && [Quality] >= normal && [Quality] <= superior <- 퀄리티가 노말이나 슈페리어인 엘리트 갑옷이면 모두 주워 보관합니다.
[Flag] : 사전적 뜻은 깃발입니다만 D2NT에서는 에테리얼, 룬워드 아이템을 구별하는 데 쓰이고 있네요. NTItemAlias.ntl 파일에서는 _NTIPAliasFlag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Flag] == ethereal <- 에테리얼 아이템을 줍습니다.
[Flag] != ethereal <- 에테리얼 아닌 아이템만 줍습니다.
[Flag] == runeword <- 룬워드 아이템을 줍습니다.
[Type] == armor && [Class] == elite && [Quality] == normal && [Flag] == ethereal <- 갑옷 종류, 엘리트 클래스, 노말 퀄리티, 에테리얼인 갑옷은 모두 줍습니다. 이 줄은 다들 낯익으시죠?
[Level] : 아이템의 레벨입니다. 어떤 사냥터, 어떤 몬스터에게서 떨어졌는가에 따라서 아이템의 레벨이 달라집니다.
[Name] == GrandCharm && [Quality] == magic && [Level] == 99 <- 다들 아시죠? 바알참입니다.
[Prefix], [Suffix] : 이 둘은 써 본 기억이 없습니다.
※ 주의 : 속성 키워드를 쓸 때는 '>=', '==', '<=' 기호를 확실하게 구분하셔야 합니다. 예를 들어 [Type] >= ring과 같은 식으로 이니를 만들면 링의 타입번호보다 더 높은 타입번호를 가진 아이템들(링의 타입 번호가 10번이므로 10번 위로)은 다 주워서 보관합니다.
● 능력치 키워드 : 접두, 접미, 방어가 여기에 해당됩니다. 아이템 식별 스크롤로 아이템을 확인한 상태에서만 알 수 있는 게 대부분입니다. NTItemAlias.ntl 파일에서는 _NTIPAliasStat으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방어 : [Defense]입니다. 이건 아이템을 확인하지 않아도 알 수 있죠.
자주 쓰이는 접두사
어레 : [ToHit]
렙당어레 : [ItemToHitPercentPerLevel]입니다. 보통 [ItemToHitPercentPerLevel] >= 1로 해서 사용합니다.
풀스 : [ItemMaxDamagePerLevel]와 [ItemToHitPerLevel]의 두 가지 키워드를 써야 합니다. 보통 [ItemMaxDamagePerLevel] >= 4 && [ItemToHitPerLevel] >= 33으로 해서 사용합니다.
방상 : [EnhancedDefense]
증뎀 : [EnhancedDamage]
마나 : [MaxMana]
레지 : 파이어 - [FireResist], 라이트닝 - [LightResist], 콜드 - [ColdResist], 포이즌 - [PoisonResist]의 네 가지 키워드를 조합해서 쓰세요. 올레지 키워드는 따로 존재하지 않습니다.
스킬
[ItemAllSkills] : 조던이나 수수에 붙어있는 모든 스킬 상승에 해당하는 키워드입니다.
[AmazonSkills]~[AssassinSkills] : 특정 클래스의 스킬 상승에 해당하는 키워드입니다.
[ItemAddClassSkills] : [AmazonSkills]~[AssassinSkills]를 다 포함하는 키워드입니다.
[BowAndCrossbowSkillTab]~[MartialArtsSkillTab] : 특정 클래스의 특정 스킬탭 상승에 해당하는 키워드입니다. 스킬참 이니에 주로 사용됩니다.
[ItemAddSkillTab] : [BowAndCrossbowSkillTab]~[MartialArtsSkillTab]를 다 포함하는 키워드입니다.
매찬 : [ItemMagicBonus]
소켓 : [Sockets]
자주 쓰이는 접미사
힘 : [Strength]
덱스 : [Dexterity]
라이프 : [MaxHP]
민뎀 : [MinDamage]
맥뎀 : [MaxDamage]
중감 : [ItemPoisonLengthResist]
라흡 : [LifeLeech]
마흡 : [ManaLeech]
공속 : [IAS]
쌍패 : [FBR]만 쓰면 됩니다. 보통 [FBR] == 30으로 해서 쓰지요. 반패는 [FBR] == 15겠죠?
패힛 : [FHR]
골찬(삥) : [ItemGoldBonus]
패캐 : [FCR]
리콰 : [ItemReqPercent]입니다. 15리콰는 [ItemReqPercent] == -15로 해서 쓰세요.
달려 : [FRW]
내구회복 : [ItemReplenishDurability]입니다. 보통 [ItemReplenishDurability] >= 1로 해서 씁니다.
이제 실전에 들어가겠습니다.

우리가 만들어볼 것은 바로 으뜸 에테 안다머리의 아이템 이니입니다. 안다머리에 대한 정보는 위 스샷에 나와 있습니다.
우선 에테 안다머리의 속성을 적어봅시다.
이름 [Name] == DemonHead(데몬헤드)
종류 [Type] == Helm(헬름=투구)
계급 [Class] == Elite(엘리트)
퀄리티 [Quality] == Unique(유니크)
플래그 [Flag] == ethereal(에테리얼)
레벨 [Level]은 상관없겠죠?
※ 참고 : [Name]과 [Type]/[Class]는 동시에 쓰이지 않습니다. 이건 조금만 생각해보시면 금방 알 수 있습니다.
저걸 바탕으로 속성 키워드만 써서 이니를 만들어볼께요.
[Name] == DemonHead
- 노말, 슈페, 매직, 셋트, 에테, 노에테 상관없이 데몬헤드는 다 먹습니다. 식별도 안합니다.
[Name] == DemonHead && [Quality] == Unique
- 에테, 노에테 상관없이 유니크 데몬헤드는 다 먹습니다. 역시나 식별은 안합니다. 식별된 상태에서만 비교 가능한 키워드가 없으니까요.
[Name] == DemonHead && [Quality] == Unique && [Flag] == ethereal
- 에테리얼 유니크 데몬헤드만 먹습니다. 역시나 식별은 안합니다.
이제 안다머리의 능력치를 살펴볼 차례가 됐습니다.
100~150% 방어력 상승(변함)
2 모든 스킬 상승
공속 20% 증가
라흡 8~10%(변함)
힘 25~30(변함)
최대 포레 10% 상승
파레 -30%
포레 70%
반격 시 포이즌 노바 시전
레벨 3 베넘(20회 충전)
이군요. 여기서 변하는 건 방상, 라흡, 힘 세 가지입니다. 이것들만 이니로 만들면 되겠네요. 그 전에 속성 키워드와 능력치 키워드는 '#'로 구분해야 하는 걸 잊지 마세요.
[Name] == DemonHead && [Quality] == Unique && [Flag] == ethereal # [EnhancedDefense] >= 150
- 방상 150인 에테리얼 유니크 데몬헤드를 먹습니다. 드디어 아이템을 아이템 식별 스크롤로 까봐야만 알 수 있는 키워드가 나왔네요. 어차피 방상은 150이 최고이므로 '==' 대신 '>='를 써도 문제 없습니다.
[Name] == DemonHead && [Quality] == Unique && [Flag] == ethereal # [EnhancedDefense] >= 150 && [LifeLeech] >= 10
- 방상 150, 라흡 10인 에테리얼 유니크 데몬헤드를 먹습니다. [Strength] 키워드가 없으니 25힘이 붙어도 먹고 30힘이 붙어도 먹습니다.
[Name] == DemonHead && [Quality] == Unique && [Flag] == ethereal # [EnhancedDefense] >= 150 && [LifeLeech] >= 10 && [Strength] >= 30
- 방상 150, 라흡 10, 힘 30인 에테리얼 유니크 데몬헤드를 먹습니다.
드디어 으뜸 에테 안다머리의 아이템 이니를 완성했습니다. 생각보다 어렵지 않죠? 참고로 아이템에 대한 정보는 classic.battle.net/diablo2exp에 있는 아이템란에서 얻을 수 있습니다.
★ 참고사항 ★
※ 아이템을 발견하면 봇은 아이템 이니의 모든 줄과 비교합니다.
※ 속성 키워드가 같은 아이템 이니가 여러줄 있을 경우 그 중에 하나라도 해당되는 게 있으면 보관을 합니다. 위에 적혀있는 이니만 적용되고 그런 거 없습니다.
※ 아이템 이니 파일은 편의상 나눠놓은 것에 불과합니다. 한 파일안에 모든 이니를 넣어도 이상없이 동작합니다.
※ 큐빙용 이니보다 보관용 아이템 이니가 우선합니다. 예) [Name] == ring과 [Name] == ring @가 동시에 존재할 경우 @가 붙어있는 큐빙용 이니는 무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