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회선 사용자에게 요긴한 ForceBindIP (외부링크)
분류
일반
조회 수
4,560
추천 수
4
(자료실 조항에 링크를 통한 글은 삭제된다고 하여 이곳에 글을 남깁니다.)
(본 게시판도 성격상 어울리지 않다고 생각하지만 일단은 관련되어 있기에..)
페이지부터 링크합니다.
링크1 : http://old.r1ch.net/stuff/forcebindip/
(외부링크에 대한 내용도 없고 PayPal로 기부하는 링크도 본사이트 하단에 있기에 외부링크로 대체하는 점 양해바랍니다.)
당 지식을 알게 된 경로입니다.
링크2 : http://windowsforum.kr/qna/4919118 (윈도우 포럼 chkid 님의 댓글)
우선, 영어도 완벽하지는 않고, 관련한 프로그래밍적 지식이나 네트워크에 대한 전공지식이 전무하기에
제가 아는 한도내에서 사이트에 기재된 내용만 간략히 설명드리겠습니다.
때문에.. 간단한 답변 외에 자세한 건 답변을 못해드립니다.
혹 관련지식이 풍부하신 분께서 간략한 설명이라도 댓글로라도 남겨주시면
틈틈히 본문에 옮기도록 하겠습니다.
개요와 사용법 :
요지는 윈도우 시스템내에서 사용되는 WS2_32.DLL의 명령어들을 이 친구가 가로채서(intercept)
특정 프로그램이 특정 아이피를 통하도록 만든다는 내용입니다. <----------------- 본 자료의 기능입니다. 이 글의 메인이군요.. 이렇게 중간에 나오다니 ㅠㅠ
조건에 대해서 대충 파악하기로는 일반적인 winsock 이라는 표준(네트워크 표준이겠죠? ^^;)을 이용하는 프로그램이면 다 되고,
스타크래프트, 디아블로2는 물론 토렌트, 대다수의 인터넷 브라우저에서 사용 가능하다고 합니다.
(다만 예외가 몇가지 있다는 데, fork 라는 용어가 보이긴 하지만 앞서 언급했 듯 무지하기에..)
사용법은 설치 후 cmd 창으로 직접실행 (혹은 win+r 키나 바로가기 등으로..) 합니다.
커맨드 창에서 입력하는 건 [ForceBindIP] [아이피] [실행프로그램-한칸 띄고-아이피-한칸 띄고-해당 프로그램의 전체경로]
(C:\Program Files\Diablo II\Game.exe)
ForceBindIP 아이피 전체경로
입니다.
주의하실 점은 경로에서 스페이스가 기재된 경우 (예:Program Files, Diablo II 같이 공백이 들어간) 양쪽을 "" 로
"C:\Diablo II\Game.exe" 식으로 해주시면 됩니다. (quoted)
혹은 아이피 대신에 레지스트리에 기재된 고유값(GUID)을 통해서도 가능하다고 합니다.
(추가로, 기재가 되어있지 않은데 DLL파일이 64비트의 경우에는 SysWOW64로 가더군요 윈7 32비트/64비트 모두 사용이 가능한 것을 확인은 했습니다.)
또, 바로가기 등을 만들어서 매번 cmd창에서 실행하지 않도록 만드는 방법에도 여러가지가 있더군요.
프로그램 우클릭 시에 해당 창이 뜨게 하는 방법..
(참조 : http://superuser.com/questions/442442/need-help-creating-advanced-context-menu-command-in-windows-7-x64
아예 바로가기를 위 형식으로 기재하는 방법 입니다. (디아 창모드 시에 -w 하듯이요 ^^)
실제 사용예시 :
(성공) 본인이 다회선을 사용하는 경우에 (회사에서 내부용 네트워크와 따로! 설치한 외부용[인터넷 공급업체의 인터넷]을 설치한 경우에..)
ie는 내부네트워크를 통해서, firefox는 외부네트워크를 통해서 이용하는 것을 간단하게 제어할 수 있다는 겁니다. - 링크2의 내용입니다.
응용 : 외국 블로그 등에서 참조해보니, 이처럼 다회선 사용자가 있는 경우에 두 회선의 네트워크를 직접 분산할 수 있다고 합니다. = 속도조절
당연히 프로그램 단위로 분산이 되겠죠? (인터넷익슬로러 따로 / 파이어폭스 따로 / 토렌트 따로 / 디아블로 따로)
(다회선은 하나 이상의 인터넷 서비스를 의미합니다. 하나의 ISP에서 모뎀 한 대에 제공하는 경우 총량제한을 두기에 의미가 없다고 하는군요)
저도 직접 해보니 두 개의 네트워크를 직접적으로 따로따로 연결해 비교적 간단한 방법으로 분산 시킬 수 있다는 것을 확인만 했습니다.
(다른 집 네트워크를 무선으로 받아서 해봤습니다 ^^;)
(실패) 또 남아도는 구형 랜카드를 이용해서 해봤습니다. 일단 공인아이피가 두개가 잡히는 것을 확인했고..
하나는 랜카드2의 아이피를 통해 직접 실행, 다른 하나는 매니져를 통해 그냥 실행 (인터넷은 랜카드1이 우선순위가 더 높기에 당연히 이쪽으로 갈 것이므로..)
해서 다섯 놈을 한방에 집어넣었더니 잘 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아쉽게도 D2NT는 Game.exe에 직접 접근을 해야되는 건지
응용할 수가 없었습니다.
장점 :
여타 방법에 비해서 (특정 IP대역을 특정 랜카드에게 할당한다거나..) 매우 간편하다
단점 :
업데이트 할 필요가 없는건지 ^^;; 05년의 1.2 버전과 09년의 1.2a 버전 이후 더 이상 업데이트가 없다.
- - - - - - - 댓글에 요긴한 내용이 남기면 이 아래쪽으로 복사하도록 하겠습니다. - - - - - - - -
작성자 여담 :
글 쓰고 나니 요즘처럼 인터넷이 과도하게 빠른 경우에는 사실상 무의미 할 수도 있겠네요 (굳이 다회선 설치할 필요가 없으니까요 ^^;)
그리고.. 추측하시다시피.. 저는 8봇 이상을 한 데스크탑 환경에서 (가상머신 뿐만 아니라 기타 프로그램 없이) 쓰고 싶어서 찾아보다가 알게된 내용입니다. ㅎㅎㅎㅎ^^;;;;;
http://2012.durune.com/zboard.php?id=dia3_xfile&page=1&sn1=&divpage=15&sn=off&ss=on&sc=on&keyword=랜카드&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89823
위 링크의 글에 대한 부분적인 답변이 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프로그램 실행 시 네트워크와 소통하는 단계에서 중간에 가로채는 형식이기에 가능할 거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관련 지식이 없어서 매우 불확실한 추측입니다.. ㅡ.ㅡ;; 하지만 일단 5개까지 했을 때 성공했으니 맞는 거겠죠? ^^)
저에겐 안타까운 이야기지만 D2NT 매니져에서는 Game.exe 에 직접적으로 접근해야 하는건지 (아마도 씨디키 파일도 그렇고..) 응용할 수 없었습니다.
(외국 포럼에도 저와 똑같은 생각을 한 사람이 올린 글이 있었는데 답변 내용역시 D2NT에 뭔가 수정을 가하지 않는 이상 불가능 할 거라고 하더군요 ㅎㅎ)
하지만 틈틈히 찾아본 결과, 외의 용도로도 매우 유용한 프로그램이라는 것을 알게되어 일반 정보로 공유합니다.
행여 문제가 있을 시 삭제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