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라깎 "에쉴체라소서" 육성
분류
육성
조회 수
18,708
추천 수
0

아시아1 래더에서 활동하고 있는 MIDAS™입니다.
오랜만에 글을 남겨보네요.
이번에 소개할 캐릭은 익히 아시고 계실 "에쉴체라소서" 입니다. 거기에 정석30라깎이 아닌
주얼러 갑옷을 이용한 50라깎셋팅입니다.
에쉴체라 소서는 말 그래도 에쉴과 그 시너지스킬인 텔레키니스 스킬을 투자하여 마나를 피처럼
상호 보완적으로 사용하는 캐릭터입니다.
시베리안-양 님의 에쉴체라와 유사할 수도 있으나 저 또한 나름대로 연구도 해보고 해서
이번 버전에 맞게 한번 올려봅니다.
*** 착용 아이템 및 인벤토리 <저는 본캐가 하나라 그럭저럭 투자할 수 있었고 저렴하게 구하셔도 되요>
* 머리 : 25라깎/20라뎀 유닉다뎀 (5/5라다이작)
<20라깎만 보고 유닉다뎀구하셔서 5라깍주얼 박으시면 저렴하게 구하실 수 있어요>
* 무기 : 위자드 (5/5라다이작)
<위자드는 가격도 없습니다. 구멍 뚫어서 5라깎주얼 박으시면 되요>
* 방패 : 35패케/112마나 모넉스피릿
<패케는 최하라도 프레임이 만족하니 패케 보지말고 마나 높은 걸 구하세요>
* 아뮬 : 2소서스킬/29힘/8덱스/51피/16파레 레어아뮬
<레지/패케 없어도 됩니다. 이상적인 옵은 2스킬기본에 30힘/10덱스/60피/90마나/20올레>
* 링 : 쌍조던
<조던도 가격은 저렴하니 쌍으로 껴주시면 됩니다>
* 벨트 : 스웹
<마찬가지로 방상 안보면 나눔으로도 구할 수 있습니다>
* 부츠 : 15/15/70 에테스캐럽 부츠
<15/15만 보고 구하시면 되요. 에테 아니어도 되구요. 포레도 최하여도 관계없어요>
* 갑옷 : 75중독감소 붙은 주얼러 4솟 아칸갑(5/5라다이주얼 4개작)
<에쉴소서의 에쉴은 독데미지는 막아주질 못합니다. 그래서 아칸 100피갑을 구하려다 중감 붙은 갑옷을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 스왑 : 6/6/4크리콜투 + 모넉스피릿
<콜투는 6오더만보고 구하시면 나름 저렴하게 구하실 겁니다>
* 인벤토리 : 20/20/10애니참 + 20/20소서횃불 + 라이트닝40피참5장 + 라이트닝패힛참1장 + 20피17마나스몰참4장 + 20피11파레스몰참2장 + 2덱스17마나스몰참1장
<참 또한 본인이 구하실 수 있는 최고의 옵을 구하세요. 전 본캐가 이 소서하나뿐이라 으뜸에 가깝게 구한거에요>
@@ 착용 아이템에 관한 Self Q&A
1. 아뮬은 왜 마라대신 레어아뮬을 사용하는가?
- 마라는 2스킬/5올스탯/20~30올레 의 옵을 지닙니다. 일단 올레지는 위자드(75올레)/스피릿/유닉참 등에서 완전히 충원되기에 없는 옵이라고 치면 고작 마라는 20스탯의 효과입니다. 답나왔죠? 무자비한 스탯과 피마나 붙은 레어아뮬이 효용성 면에서 압도적입니다.
2. 중감 갑옷에 대한 이유는?
- 피갑에 라다이주얼 박으셔서 입으셔도 됩니다. 하지만 저는 독에 취약한 에쉴소서의 단점을 조금이나마 극복해보고자 중감 갑옷을 선택해본 것입니다. 중독감소는 한 카큐 유저분의 실험 결과 50중감까지는 있으나 마나하며 75중감부터는 높을 수록 좋다는 결론이 나왔습니다. 당연히 중감이 중복적용된다는 것도 확인 되었구요. 아래 중독에 관한 실험결과 링크를 적어 둘테니 확인해보시면 됩니다.
http://dia.chaoscube.co.kr/community/board/contents.asp?seq=-2851&page=1&t_name=cmt_info&keyfield=subject&keyvalue=중감&keyvalue1=
확실히 독에 맞아 초록색이 되더라도 금방 원래의 색으로 회복하는 것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3. 위자드를 노덱스로 착용하려면?
- 위자드의 착용요구 덱스는 75입니다. 소서 기본스탯 25덱스 + 애니참 20스탯 + 횃불 20스탯 = 65덱스로 10덱스가 부족합니다. 그래서 레어아뮬에 10덱스가 꼭 필요한 것입니다. 전 구하다 못구해서 결국 8덱스붙은 레어아뮬과 2덱스/17마나스몰참을 1장 구해서 노덱스로 위자드를 착용하였습니다.
*** 스탯 분배
* 힘 : 인벤에 참을 놓은 상태로 스탯을 모넉스피릿에 맞춰 156까지만 찍어줍니다.
* 덱스 : 전 아이템 능력치를 이용해 노터치 하였습니다.
* 바이탈 & 에너지 : 오더를 지르신 후에 피와 마나의 비율이 1:3 ~ 1:5가 되도록 자신이 텔키를 찍는 수치에 맞춰서 최적의 비율로 찍어 주셔야 합니다.
*** 스킬 분배(제 캐릭 기준)
* 콜드 : 찍지 않습니다. 조금이라도 디펜스를 올리시고 싶으시면 아머 한개 찍어줍니다.
* 파이어 : 웜스1
* 라이트닝 : 스태틱1/텔포1/노바20/라이트닝20/체라20/라마20/텔키12(제기준)/에쉴1/남는 스킬 모두 차지드볼트에 투자
@@ 텔키와 에쉴의 관계
에쉴을 사용하면 들어오는 데미지를 흡수율에 따라 마나가 흡수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에쉴의 흡수율이 75%(제 기준)일 때 1000의 데미지가 들어오면 250의 피와 750의 마나가 달아야 정상이지만 마나의 200%인 1500이 소모됩니다.
이 때 이 소모량을 줄여주는 것이 텔레키니스 스킬입니다. 200%의 마나소모량에서 텔레키니스 스킬 1개를 찍어줄 때 마다 6.25%씨 마나소모가 줄어듭니다.
예를 들어봅시다.
에쉴 흡수율 75%일 때 데미지 1000이 들어온다고 가정하고 텔키 8개를 찍어주면 마나소모량이 50% 감소하여 1125의 마나가 닳게 됩니다.
에쉴 흡수율 75%일 때 데미지 1000이 들어온다고 가정하고 텔키 12개를 찍어주면 마나소모량이 75% 감소하여 937.5의 마나가 닳게 됩니다.(제 경우)
에쉴 흡수율 75%일 때 데미지 1000이 들어온다고 가정하고 텔키 16개를 찍어주면 마나소모량이 100% 감소하여 750의 마나가 닳게 됩니다.
에쉴 흡수율 75%일 때 데미지 1000이 들어온다고 가정하고 텔키 20개를 찍어주면 마나소모량이 125% 감소하여 562.5의 마나가 닳게 됩니다.
이해하셨나요? 시너지 스킬은 아이템빨이 아닌 직접 찍어주셔야만 효력이 생긴답니다.
텔키를 적게 찍으실수록 스탯분배 과정에서 바이탈과 에너지 비율에서 에너지 쪽에 조금더 투자를 하셔야 합니다.
텔키를 많이 찍으실수록 주력 스킬인 라이트닝과 체라 시너지에 투자를 더 못하기 때문에 데미지는 떨어질 수 밖에 없습니다.
제 경우엔 이론적으로라면 데미지가 들어오면 1:3.75 정도로 피와 마나가 소모됩니다.
이론적으로 비율을 그대로 피와 마나로 환산해보면 1000피와 3750마나 정도가 이상적이겠군요.
하지만 변수가 너무 많아서 꼭 저 비율에 맞추실 필요는 없습니다.
전 오더지르고 1500피정도와 3500정도마나로 스탯분배했습니다.
계속 사냥해보면서 1300피정도에 3700~3800마나정도로 스탯을 재분배 해볼까도 생각중입니다.
피와 마나가 대략 1:3정도 비율이겠네요. 면죄라는 축복의 아이템이 있으니 직접 사냥해보시면서 최적의 비율을 본인이 찾아서 조절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다시한번 말씀드리지만 텔레키니스도 갯수별로 찍어보시면서 마나가 어떻게 소모되는지 체감하시면 본인이 컨으로 극복할만한 수치가 대략 느껴집니다. 그에 맞게 텔레키니스를 찍어주시고 스탯분배 하세요.
전 아직도 ING랍니다.
@@ 라이트닝 데미지과 라깎과의 관계
익히 들어서 아실 겁니다. 데미지보단 라깎이 더 중요하다라는 말을요. 물론 데미지도 높으면 좋죠.
다음의 수식을 봅시다.
본캐 라이트닝 데미지 * { 1 + (라깎/100) - (몹의 라레/100) } = 실제 적용 라이트닝 데미지
예를 들어 봅시다.
본캐의 라이트닝 데미지가 35K이고 라깎이 30%이면 몹의 라레가 75%라고 가정한다. 그러면 실제 적용 라이트닝 데미지는
35000 * { 1 + (30/100) - (75/100) } = 19250 (19K 정도군요)
본캐의 라이트닝 데미지가 30K이고 라깎이 50%이면 몹의 라레가 75%라고 가정한다. 그러면 실제 적용 라이트닝 데미지는
30000 * { 1 + (50/100) - (75/100) } = 22500 (23K 정도군요)
답 나왔죠?? 라뎀이 훨씬 떨어지는 대신 라깎을 높혔더니 최종 데미지가 더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하물며 같은 데미지라면 라깎의 위력이 얼마나 강력한 지를 알 수 있으시겠죠?
보통 극체라분들은 엘드리치5라깎+다뎀25라깎 해서 30라깎을 맞춥니다.
저는 엘드대신 위자드5라깎+다뎀25라깎+갑옷20라깎 해서 50라깎을 맞췄습니다.
명굴을 포기했으니 레지를 끌어 올 수 있는 위자드를 선택했고요. 위자드엔 올레 외에 50패케와 무식한 마나량증가 옵 또한 있죠?
에쉴 최고의 무기입니다.
@@ 용병의 선택
결론부터 말씀 드리자면 저의 선택은 노말 엑트2 공격용병(프레이어 오로라 발현)입니다.
극체라라면 불사조가 있으니 피/마나 걱정이 없죠.
30라깎에쉴소서라면 수수를 보통 사용하고 수수에 있는 11라이프 이치킬 옵션으로 피 회복이 수월한 편입니다.
하지만 갑옷마저 주얼러 갑옷을 선택함으로써 도저히 피가 회복될 만한 옵이 단 한군데도 없습니다. 마나는 3000이상이기에 리젠속도가 엄청나서 문제가 없습니다.
허나 피가 회복이 되질 않는 다는 것은 불사죠나 수수의 향수를 느낄 수 밖에 없는 먼가 엄청나게 허전하면서도 포션을 수시로 사용해야 한다는 번거러움이 있습니다.
직접 경험해보시면 그 느낌을 알아요. 그래서 생각한 것이 프레이어 용병입니다.
프레이어 오로라를 찾아봤더니 파티원의 2피 회복으로 되어 있더군요. 전 초당 2피가 올라가는 것으로 알고 한번 간단하게 실험해봤습니다.
이게 시계 초침처럼 초당 딱딱 올라가는 것이 아니라 1~2초 사이로 27피(96렙기준)가 주르륵 올라갑니다. 규칙적으로 27피씩 주르륵 올라갑니다.
간단히 실험해봤는데 300피를 회복하는데 23초정도 걸리더군요. 그냥 정석적으로 나눠보면 초당 13피정도 회복입니다.
프레이어가 정확히 몇초당 얼마의 피를 회복하는 지는 반복실험을 안해봤고 대충 어느정도 회복하는지만 본 것입니다.
이게 말입니다. 피 회복이 되는 거하고 안되는 것하고 은근히 심리적으로 차이가 크더군요.
가만히 있으면 피가 주르륵 차오르는 것과 피가 깎여도 회복이 안되고 포션을 사용해야만 하는 차이는 겪어보시면 압니다. 프레이어 용병을 사용하면 포션 사용할 일은 거의 없습니다. 컨실수로 위급하게 된 상황 빼고는요.
사냥중에도 계속 피가 찹니다. 중독이 되더라도 피회복에 중감까지 있으니 아주 좋습니다.
물론 나이트 엑트2 수비용병(홀리프리즈 오로라 발현)을 사용하셔도 됩니다. 피 회복은 없지만 몹의 움직임이 30% 둔화되어 조금이나마 안정적으로 사냥 가능합니다.
셋팅은 머 마음대로 하셔도 됩니다.
저같은 경우는 자쓰무공/에테안다머리(공속파레주얼작)/에테세크인내 사용중입니다만 무공은 엘리트 아무작이나 관계 없이 증뎀만 높으면 되고요.
인내 또한 올레지는 상관없이 피 높은걸로 구하시면 됩니다.
*** 패케/패힛/피/마나/올레지
* 패케 : 위자드(50)+다뎀(25)+방패(35)+벨트(20) = 130 (체라는 117만 되면 됩니다)
* 패힛 : 방패(55)+부츠(20)+참(12) = 87 (86패힛만 되면 됩니다)
* 피(오더후) : 916(1502)
* 마나(오더후) : 2607(3463)
* 레지 : 헬에서 황금입니다.
*** 마무리하며..
50라깎 에쉴체라소서의 장점이라면 좀더 사냥하는 데에 있어서 컨이 조금 부족해도 안정적이라는 것입니다.
또한 보이는 데미지는 떨어지더라도 실제로 박히는 데미지는 무시무시하다는 것이지요.
처음에는 차이가 있나 의구심이 들 수도 있으나 30라깎과 50라깎을 비교해서 플레이 해보시면 해보실수록 만족스러우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또한, 많은 분들이 에쉴소서는 마나번 몹 만나면 끝 아니냐고 하시지만 솔직히 마나번 만나면 일반 극체라도 끝 아닌가요? 마나를 많이 쓰는 캐릭은 다 끝입니다.
피가 많으니 버틴다?? 아닐껄요?
에쉴체라를 해보시다 보면 마나번 만나도 한번에 에쉴이 깨져버리진 않습니다. 리젠이 빠르기 때문에 마나번에 공격당해도 텔포 혹은 포션빨며 걸어서 빠져나올 딜레이는 충분히 생깁니다.
해보시면 아실겁니다. 마나번 걱정은 하지마세요.
정석체라가 질리신 분들은 한번 쯤 해보시길 권장해요.
그럼 이만 줄입니다.
잘못된 정보있으면 지적해주시면 감사할게요. 악플은 슬픕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