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트닝 스트라이크 스피어 아마존 육성입니다.
분류
육성
조회 수
4,488
추천 수
4
오랜만에 글 올리네요.
매번 눈팅만 하다가 최근에 재미로 먼가 만들게 없나 했다가 한번 만들어 본 아마존에 대해 알려드리고자
키보드를 두들깁니다.
육성해놓고 보니 전에 완이님께서 올리신걸 뒤늦게 봤네요 -ㅅ-;;;
잽마나 펜드마나 다 해봤는데 사냥하기에는 역시 라이트닝 스트라이크를 주로 하는 스피어마가 가장
사냥하기가 돟더군요. 육성에는 정도가 없다라는 말을 흔히 하죠.
그냥 참고로 저런것도 키우는 사람도 있구나 생각해 주시면 되겠습니다 ^^
--------------------------------------------------------------------------------------------------------
1. 라스마란?
라스마... 길게 늘이면 라이트닝 스트라이크 스피어 아마존 입니다 -ㅅ-;;(그냥 맘대로 정함)
하여간 이번의 육성은 디아계에서 늘상 같은 케릭터에 염증을 느낀 유저를 위해
도전한 케릭터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제가 알기로는 몇몇분이 도전은 하셨는데
아시아2 래더 공방에서는 스피어마 찾기가 정말 힘들죠.
제대로 된 육성법 찾기도 어렵지만 시행착오 끝에 만족할 만한 스피어마를 완성해서 오늘 육성법을 올리고자 합니다.
스피어마 하면 이용할 만한 기술이 크게 3가지로 압축이 됩니다.
잽과 펜드와 그리고 오늘 소개할 라이트닝 스트라이크입니다.
잽과 펜드를 이용한 스피어마를 키워봤으나.
신뢰로그용병에 강타셋팅으로 해봤는데 펜드의 헛방이 많아져서
솔로 카우방도 위험하더군요...
어차피 스피어마 자체가 pk는 힘들뿐더러 사냥이라도 잘하려면
화려한 공격과 사냥의 수월함 그리고 재미가 있어야 함으로 결론은 라이트닝 스트라이크와 잽을
이용한 라스마를 육성하게 되었습니다.
2. 사냥 방법?
위에서 언급했듯이
잽과 라이트닝 스트라이크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34 스킬 라이트닝 스트라이크 입니다.
체인 라이트닝이 계속 돌고 돕니다. ^^
사냥할때 상당히 화려하고 재밌죠.

12 스킬 잽 공격시입니다.(순수 스킬 1에 아이템발로 12레벨 입니다.)
무기 때문에 노바가 ^^;;
109% 어레 상승과
18% 데미지 상승이 있는데
데미지 상승의 기대보다는 이뮨처리나 제2의 공격으로 쓴다고 보시면 됩니다.
3. 스킬 & 스텟.
스킬은 그림을 참조 하시면 됩니다.
스킬이 부족하기에 잽을 하나만 줍니다.
그리고 라이트닝 스트라이크를 우선 마스터하고 시너지인
파워스트라이크, 라이트닝 볼트, 차지드 스트라이크, 라이트닝 퓨리를 올려줍니다.
저는 오직 스피어마로 키우기 위해서 라이트닝 퓨리를 늦게 올렸는데
사실상 자벨마랑 스킬 올리는 것은 비슷해서(거의 같다고 해야 하나 -ㅅ-;;) 나중에 자벨마로 활용하시려면
라이트닝 퓨리를 라이트닝 스트라이크 다음으로 마스터 하시면 됩니다. 나머지는 시너지 %가 같기 때문에
본인이 잘 안 쓰는 시너지 스킬을 가장 늦게 올리시는게 좋습니다.
패시브 부분은 스킬이 부족하기 때문에 하나씩만 올려주고 다만 차이점이 있다면 스피어를 던지거나
하지 않기 때문에 피어스를 올릴 필요가 없습니다. 자벨마 생각하시는 분은 피어스를 찍어야겠죠 ^^
스텟의 경우는 간단합니다. 아이템 맞춰서 힘을 올리시고 라이트닝 스트라이크가 주 공격이기 때문에
민첩도 아이템을 착용할 정도로만 올립니다. 펜드마나 잽마를 생각하시려면 어레를 좀 신경써야합니다.
그리고 나머지는 모두 피에 투자해주세요.

재벌린 & 스피어 스킬 부분입니다.
제 경우에는 앞으로 라이트닝 퓨리를 계속 올릴 예정입니다.

패시브 & 마법 스킬 부분입니다.
자벨마랑 틀리다면은 피어스를 올리지 않습니다.

스텟을 볼 수가 있습니다.
아이템에 맞춰서 제 경우에는 힘을 순수치 62
민첩은 25 (사실 아이템발로 노민첩을 갔습니다. 순수치는 기본 민첩에 해당합니다. 최대한 절약하세요.)
생명력에 433 올인 했습니다.
역시나 아마의 경우 올레 맞추기가 취약합니다. 참으로 올레를 최대한 맞추시길 바랍니다.
잽의 경우 1742-7521
라이트닝 스트라이크의 경우 물리데미지 1701-7347(기본 공격 데미지와 같음)
라이트닝데미지 1-4089 데미지를 보입니다.
4. Setting.
역시나 셋팅이 가장 큰 관건 입니다.
강타나 뎀감이나 레지 공속... 맞출건 많지만 어차피 결론은 사냥용이나 간간히 바알방에서
희귀 케릭을 보여주기 위함 -ㅅ-;;이 목적이기 때문에 일단 pk를 할일이 없음으로 뎀감을 포기했습니다.
그리고 꼭 이 셋팅이 아니라는 점... 본인이 원하시는 셋팅으로 맞추시면 됩니다.
이제 제 나름대로 셋팅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유닉 본비지스입니다.
지금은 15공속 15맥뎀 주얼 2개를 박았습니다.
아시다시피 15/15 주얼이 15/40보다 더 나은 데미지를 얻을 수가 있다고 하더군요.
그리고 스피어마의 경우 무기 자체 데미지가 높기 때문에 더 높은 맥뎀을 끌어올리기 위함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굳이 유닉 본비지스를 선택의 이유는
힘의 절약과 근접케릭이기 때문에 10% 강타 그리고 주요인인 넉백에 있습니다.
아무래도 근접케릭이다 보니 둘러쌓이면 끝장입니다.
따라서 넉백을 해주면서 이러한 유사시를 대비를 할 수가 있습니다.
라이트닝 데미지 향상을 위해 유닉 다뎀도 생각해 주시면 될 거 같습니다.

아뮬은 캣츠아이 입니다.
레지 때문에 마라도 망설여 졌지만 최대한 스텟을 절약할 수 있게 도와주는 +25민첩과
아마에게는 꼭 필요한 30달려와 20공속은 필수이기 때문이죠.

갑옷은 머 딱히 생각날만한 것이 인내뿐이었습니다.
역시나 근접 케릭의 로망이죠.
수수도 생각했지만 역시 결론은 인내로...
올레도 있고 피도 늘려주고 뎀감도 좀 있는 인내가 나을듯 했습니다.

제 라스마의 하일라이트 아이템인 메추리파이크작 죽음의 숨결입니다.
저것을 만들 당시 이상하게도 재료 구하는게 쉽지가 않더군요.
+3 재벌린 & 스피어 스킬에 에테를 구해서
작했는데 다행이 상급이 나와서 사용중입니다.
사냥에 필요한 라흡 마흡이 여러모로 도움이 되고
데미지만 270-1124라는 -ㅅ-;;
역시 양손 무기는 데미지가 참 위협적이네요.

장갑은 레어 스킬 공속 장갑을 선택했습니다.
생존력을 위해서 뱀파장도 좋습니다.

링은 제 경우에는 민첩을 아끼기 위해서 라흡 민 레지링을 선택했습니다.
되도록 올레가 붙은 링을 권합니다.

벨트는 썬더갓입니다.
힘과 생명력 그리고 스킬 상승.
댐감 생각하시면 미스릴도 추천합니다.

역시 한쪽은 레이븐 입니다.
어레와 민첩 결빙방지는 근접케릭에게는 없어서는 안될 존재가 되어가는거 같습니다.

부츠는 강타 치명 상악 3형제의 장점을 고루갖춘 고어를 선택했습니다.
구할실수 있으면 30달려에 민첩에 레지 붙은 장화도 좋죠.
스왑은 콜투+스피릿모넉조합이고
그밖에 참의 경우는 제 경우는 재벌피참 한개와 패쉽피참 한개
그리고 레지부족으로 인해 15올레 그랜드 5장
3달려 레지 스몰참들
애니참, 유닉라지참으로 셋팅했습니다.
레지가 좀 든든하면 독참도 몇개 넣음 좋겠다 생각됩니다.
레지를 맞추느라 패힛을 전혀 신경을 못쓴게 좀 흠이네요.
위와 같은 셋팅으로 공속을 130속에 맞췄는데
라이트닝 스트라이크의 경우는 공속에 상관없이 항상 노멀 스피드를 보입니다. 가장 안타깝죠.
하지만 굳이 공속을 맞춘건 잽 때문에 그렇습니다.
아래는 잽 공속 입니다.
공속에 따른 프레임과 초당 공격횟수를 보여줍니다.
같은 셋팅으로 잽을 마스터할 경우 어레는 280% 상승 데미지 75% 상승의 효과가 있지만
데미지는 1814-8207 이어서
잽 1을 주고 1742-7521 비해서 그렇게 많은 이득을 보지는 않는듯 합니다.
제 경우에는 130 공속에 6.5 프레임에 초당 3.8타의 효과를 보고 있습니다.
잽이 1이라고 해도 연타들어가고 하면 무시 할수 없는 데미지이며
라이트닝 스트라이크와 함께 자주 쓰는 스킬이다 보니 공속에 신경을 쓰게 되었습니다.
잽 스킬에 대한 메츄리파이크의 공속 계산은
http://tradia.me/diablo2/%EA%B3%B5%EC%86%8D_%EA%B3%84%EC%82%B0%EA%B8%B0
에서 참고 했습니다.
IAS Frames pro Angriff Angriffe pro Sekunde
0 % 14 1.7
3 % 13.5 1.8
5 % 13 1.9
8 % 12.5 2
10 % 12 2
13 % 11.5 2.1
16 % 11 2.2
20 % 10.5 2.3
26 % 10 2.5
30 % 9.5 2.6
39 % 9 2.7
46 % 8.5 2.9
56 % 8 3.1
70 % 7.5 3.3
86 % 7 3.5
113 % 6.5 3.8
152 % 6 4.1
223 % 5.5 4.5
377 % 5 5
909 % 4.5 5.5
5. 용병
용병의 경우는 나이트 액트2 수비 용병을 선택했습니다.
무기는 에테자쓰작 무공과 에테본위브작 트래쳐리 그리고 머리에는 30%파이어 주얼작 안다머리를 사용했습니다.
굳이 이 조합을 한 것은 용병의 빠른 공격속도를 위해서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트래쳐리의 경우 5%의 기회로 시전되는 페이드가 상당히 매력적이죠.
하지만 맞아야 시전되는 아쉬움... 하지만 미친듯이 찔러대는 용병과 함께 잽을 하면 왠지 재밌더군요. -ㅅ-;;
제 경우는 이런 셋팅이고 인내나 그림헬름 스톤 메쉬아머 등등 자신의 구미에 맞게 셋팅하시면 되겠습니다.
용병의 공속은 65에 맞췄고 참고로 프레임과 초당 공격 횟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15공속 30파레지 주얼작을 하면 5.5 프레임까지 끌어올릴 수가 있습니다.
IAS Frames pro Angriff Angriffe pro Sekunde
0 % 7.5 3.3
8 % 7 3.5
22 % 6.5 3.8
44 % 6 4.1
75 % 5.5 4.5
142 % 5 5

효율적인 라이트닝 스트라이크 데미지를 위한 무한의 공간 입니다.
처음에는 액트1 로그 용병에게 신뢰를 주고 테스트 해봤는데
본케릭 자체의 데미지와 공속에 많은 도움이 되었지만
주 스킬인 라이트닝 스트라이크에는 먼가 부족함이 보이더군요.
그래서 무공으로 다시 선택을 하고 카우를 한번 돌았는데
로그 용병에 비해서 더 빠르고 안정되게 사냥에 임할 수 있게 해줍니다.
증뎀이 낮은편이라 조만간 리작해야지 했는데 룬 구하기가 쉽지 않군요.

유닉 안다머리입니다.
공속과 라흡으로 대중적인 아이템 입니다.

갑옷인 트래쳐리 입니다.
페이드와 공속이 참 매력적인 갑옷입니다.
싸우다 보면 투명해지는 용병을 보면 시각적으로도 재밌더군요 -ㅅ-;;
6. 정리하며...
정리할건 없지만 ^^
일단 남들이 잘 안하는 케릭터가 무언가 있을까라 고심끝에 만들어진 녀석입니다.
역시 안하는데는 이유가 있더군요 -ㅅ-;; 셋팅이 제대로 안되면 참 힘든 케릭이더군요.
처음에는 어설픈 셋팅으로 카우방에 갔다가 솔로방임에도 불구하고 허무하게 무너지고 나서
육성을 포기 했었는데 이래저래 시행착오 끝에 무난한 결과를 얻어냈습니다.
시원스런 라이트닝 공격과 그리고 비슷 비슷한 육성에서 벗어나서 나만의 케릭터를 만드는 것이 재밌더군요.
공방에서 가끔 "케릭터가 참 유니크 하네요." 란 말을 많이 들어본거 같습니다 -ㅅ-;;
일반 햄딘이나 소서에 비하면 사냥하는게 좀 귀찮기는 하지만
나만의 케릭터를 가진다는 느낌이 좋더군요.
끝으로 허접한 케릭터의 육성을 끝까지 읽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_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