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폭네크의 몇가지 논점을 살펴봅니다.
분류
일반
조회 수
8,647
추천 수
4
폭넥 글이 많이 올라오는데요.
새롭게 바뀐 1.11 체제하에서의 글이라기보다는 1.10 의 내용이 많네요.
폭넥 육성 글은 아니구요, 육성시 포인트를 몇 가지 적어보렵니다.
1.본위브 버그가 없어졌다.
본위브 차지버그가 없어진 관계로 시너지 33스킬이 날라갔습니다.
본위브 버그를 있음에도 불구하고, 본스피어나 본스피리트의 데미지는 불만이었는데,
결국 캐릭 자체의 주무기로 본(bone)계열은 하지 말라는 소리가 되었습니다.
그러면 대안을 찾아봐야겠죠?
시폭만땅을 이용한 시폭+조폭네크
포이즌을 이용한 포노+조폭네크
조폭네크는 이 두가지정도로 요약될거라 생각듭니다.
설마 또 본(bone)계열을 올리는 유저는 없겠죠?
2.해골의 데미지 & 디펜스 & 라이프.
해골의 스킬숫자와 데미지/디펜스/라이프는 비례합니다.
여기서는 소환 올스킬 가정하에 계산했습니다.
물론 아이템의 스킬도 많고, 올스킬도 있어서 다르겠지만,
여기서는 순수 스킬빨(해골+마스터리)로만으로 한 번 살펴보겠습니다.
마이트, 파낙, 컨센, 함성, 디파빨도 있겠지만, 계산에 넣지 않았습니다.
해골스킬20개 - 8마리 데미지 124 디펜스 605 라이프 350
해골스킬21개 - 9마리 데미지 137 디펜스 635 라이프 378
해골스킬24개 - 10마리 데미지 185 디펜스 725 라이프 433
해골스킬27개 - 11마리 데미지 241 디펜스 815 라이프 489
해골스킬30개 - 12마리 데미지 309 디펜스 905 라이프 544
해골스킬33개 - 13마리 데미지 387 디펜스 995 라이프 600
해골스킬36개 – 14마리 데미지 473 디펜스 1085 라이프 673
해골스킬39개 - 15마리 데미지 566 디펜스 1175 라이프 711
해골스킬42개 - 16마리 데미지 667 디펜스 1265 라이프 766
맨땅과 풀 셋과는 차이가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해골자체의 데미지로 잡는다는 것은 맨땅에서는 힘들다고 봐야할 듯 싶습니다.
3.해골이 보스몹(바알)잡을 때의 팁
해골이 15마리일때도 바알은 비교적 오래걸립니다.
더욱이 맨땅일때는 좌절감을 느낄지도 모릅니다.
이럴 때 용병의 강타를 활용하면 쉽게 잡을 수 있습니다.
저렴한 룬워드 순종을 추천합니다.
순종 (Obedience) [5] 폴암
헬 + 코 + 주울 + 에드 + 팔
(Hel + Ko + Thul + Eth + Fal)
30% 확률로 레벨 21 인챈트 시전 (적을 죽일 때)
40% 빠른 회복 속도
+370% 증가된 데미지
-25% 목표물의 방어
+3~14 콜드 데미지
-25% 적의 파이어 저항력
40% 강한 타격 (Crushing Blow) 중요
+200~300 방어 (변함)
+10 힘
+10 민첩성
+20~30 모든 저항력 (변함)
착용 가능 요구치 -20%
4.메이지, 리바이브의 정의
메이지와 리바이브는 스킬을 많이 찍더라도 데미지와 상관이 없다는 것을 알아야합니다.
그래서 그걸 감안하고 스킬을 소비해야합니다.
메이지는 1스킬만 찍으면 스킬빨로 6마리 정도 사용할수 있지만
리바이브는 길목스킬이 3개나 소모됨으로 유의해야합니다.
5.수수를 대신해보자.
일단, 부하를 모으는 기술로 텔레포트는 필수입니다.
나즈의 지팽이를 스왑으로 사용하거나 (이 경우에는 부하 한둘을 잃을것입니다.)
링이나 아뮬에 차지된 매직템을 이용하거나 하면 좋습니다.
물론 수리비는 감안해야겠지요.
6.시폭논쟁
만땅 시폭과 스킬빨로 한 개찍은 시폭과는 분명 차이가 있습니다.
그러나 시폭을 만땅할 경우 본이나 포이즌 계열의 주력스킬은 포기해야합니다.
그걸 감안해야 합니다.
7.풀방논쟁
풀방에서는 몹의 라이프가 늘어납니다.
반면, 해골도 기본적으로 디펜스가 강한 관계로 서로 지리하게 대치하는 상태가 벌어집니다.
시폭 만땅을 사용하는 사람은 시체의 라이프 %별로 폭발하는 스킬의 특성상
풀방과 일인방 차이가 덜 느껴질것이고,
본이나 포이즌을 사용하는 사람은 풀방과 일인방 차이를 많이 느낄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