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버 IP 확인방법입니다.
분류
디아관련
조회 수
3,701
추천 수
16
먼저 이 내용은 중복 글이며 번거롭게 이용하는 방법이 있어서
조금 수정하여 편하게 만들었습니다.
봇을 못구하셨거나, 기타 프로그램들의 해킹 여부에 두려움이 있으신 분은
쓰시면 좋을듯 합니다.
초보자도 쉽게 따라 할수 있으니 천천히 읽으시면서 만드시면 됩니다.
1. 메모장을 엽니다.
2. 아래 내용을 복사하여 붙여 넣기를 합니다.
@echo off
:REDO
netstat -n | find "4000"
netstat -n | find "6112"
ping -n 7 127.0.0.1 > NUL
cls
goto REDO
3. 파일 -> 다른이름으로 저장 ->파일이름.cmd or 파일이름.bat
꼭 파일이름 뒤에 ---> .cmd 나 .bat <--- 를 붙이셔야 합니다.
그 후 저장을 하게 되면 네모 안에 톱니 바퀴 모양이 그려진 아이콘이 생성 됩니다.
실행 시키신 후 디아를 실행 하셔도 되며, 디아를 실행 후 생성 파일을 실행 시키셔도 됩니다.
...기존 제작법에서 달라진 점...
1. 푸쉬 명령 대신 핑 명령을 추가 하였습니다.
- 일일이 방을 만든 후 키를 눌러줘야 했던 귀찬음을 제거 하였습니다.
7초마다 자동 리셋 됩니다.
- 초를 변경하고 싶으신 분은 ping -n 7 127.0.0.1 > NUL <--에서 7이라는 숫자를 바꿔주시면 됩니다.
너무 빠르게 하면 무리가 가니 주의 하시기 바랍니다.
2. loop나 redo 명령은 비슷한 쓰임(위치로 되돌아가기 위한 반복 문구) 입니다.
확장자는 cmd 나 bat나 비슷한 명령입니다.
cmd는 cmd창을 열고 그후 위의 명령들을 수행하는 방식이며
bat는 명령을 확인후 자동으로 종료 되도록 됩니다.
허나 명령 자체에 goto 명령으로 반복 되게 되어 있으므로 둘 중 어느거라도 상관없습니다.
3. netstat -n | find "6112" <-- 이 명령은 타임 웨이트? 라고 글자가 생성되는데
이것은 랠따와 연관성이 있다고 합니다. 많으면 렐따 확률이 높다고 하는군요.
!~2개가 적당하며 4개 이상 생성시 렐따 확률이 높으니 한타임 쉬신 후 작업 하시기 바랍니다.
기타 문의 사항은 쪽지를 이용해 주십시오.
감사합니다. - 츄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