큐빙 설정하기 (크랩, 스피릿, 풀암류) (1차보완) (11/5)
분류
봇관련
조회 수
8,736
추천 수
24
14차/12차 이하버전 스피릿, 크랩아뮬 돌리기 확인했습니다.
14차 버전에서 갑옷/풀암류 설정은 나중에 보완(2차)하도록 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아시아2에서 활동하고 있는 유저입니다.
글을 쓰기에 앞서, 헤븐리스톤님, 날아다녀님..
그리고 봇을 위해 고생하시는 분들에게 먼저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無情]DeeP님의 글을 인용함을 서두에 밝혀 둡니다.
http://tradia.me/diablo2/diablo2_tips/211717
그리고, 제가 인용한 곳마다 출처를 표시함으로서,
두루네 유저분들의 정보임을 밝혀둡니다.
제가 한 일은 정리해서, 이렇게 올린 것 밖에 없습니다.
<구성>
제1장 큐빙설정하기란
제2장 큐빙 준비단계
제3장 크래프트 설정하기
제4장 스피릿 돌리기
제5장 갑옷/풀암류 4솟으로 큐빙하기
제6장 14차 버전에서 큐빙설정하기(스피릿, 크랩아뮬)
제7장 큐빙에 대한 Tip
제8장 마무리
주의!! 3, 4, 5장은 12차 버전의 설명입니다.
6장은 14차 버전의 설명입니다.
=============================================
MyConfig_isPickUpItem = true; // 아이템 주워 보관하기 * 설정: 주워 보관할 아이템 설정하기
MyConfig_isDropItem = false; // 아이템 버리기 * 설정: 버릴 아이템 설정하기
=============================================
위 부분은 12차 버전에 있습니다.
13차 이상 사용하신 분들은 바로 6장으로 가셔서, 크랩아뮬/스피릿 참고하세요. ^^;
1차보완내용 (11/5)
- 14차 버전에서 크랩아뮬, 스피릿 만들기 내용추가(제6장 언급)
- 제7장 큐빙에 대한 Tip 내용추가
그리고!!!
제발!! 검색 좀 합시다!
글 써서, 내공 올리기 보다는 검색해 보고,
하나하나 해결해 가면서 본인이 직접 수정을 해보면,
이니수정 및 두루네 눈팅도 해서 내공도 오르고,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봇에 대한 내공이 올라갑니다.
또!! 봇게시판에 질문을 했으면, 확인이라도 하셨으면 합니다.
애쓰게 답변 달아놓으면, 확인도 안하고,
또, 완료 되었으면 완료 되었다고, 제목 수정좀 해주세요.. ^^;
봇게시판은 혼자 쓰는게 아니라, 모두가 함께 공유하는 곳이니깐요.
--------------------------------------------------------------------
봇 정보는 날아다녀님 12차 수정본을 기준으로 서술하였습니다.
14차 버전에서 설정해도 무방합니다.
--------------------------------------------------------------------
봇이라는 존재를 처음 알게 되고 나서는 마냥 신기합니다.
봇을 접한 후, 유저들이 관심 가지는 분야를 보면,
제1단계 - 사냥과 아이템을 주워오는 봇순이/봇돌이가 마냥 신기하다.
제2단계 - 수동으로 쫄을 데리고 다니기 귀찮아서, 쫄봇에 관심을 가진다.
제3단계 - 크랩은 도대체 무엇인가? 큐빙에 관심을 가진다.
제4단계 - NTM_MakeTP();은 무엇을 의미하며, 사냥장소의 좌표에 관심을 가진다.
제5단계 - 이제는 사냥/아이템/크랩에 관심없다. 수동으로 방 하나 파서, 몹들 다 쓸어 버린다.
큐빙하기는 디아블로2의 봇을 돌리는데 또다른 즐거움을 줍니다.
지존 크랩아뮬은 디2에서 유일하게 존재하는 본인만의 특별한 템이 될 수도 있습니다.
또한 모너크 35/112/8을 뽑으려고 설정하고 돌리면, 래더 끝날때까지 안 뜰 수도 있습니다.
디아봇의 또다른 재미!! 큐빙/크랩 설정하기입니다.
제1장 큐빙설정하기란?
- 큐빙 설정하기란 말 그대로 큐빙(Cubing)을 위한 기본 작업입니다.
- 큐브라는 상자에 재료템을 넣어 최상급보석/상위룬/크랩템 등을 얻을 수 있는 작업입니다.
- 큐빙을 하려면!!! 큐브는 당연히 있어야겠죠?! ㅋ
- scripts\NTBot\char_configs\NTConfig_Sorceress_캐릭터이름.ntl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 큐빙 관련 본문은 다음과 같이 되어 있습니다.
//##########################################################################
// 큐빙 설정하기
//---------------
// 참고: 설정한 순서대로 큐빙합니다.
//==========================================================================
//MyConfig_CubingList.push("보석_큐빙"); // 설정: 큐빙할 보석 설정하기
//MyConfig_CubingList.push("룬_큐빙"); // 설정: 큐빙할 룬 설정하기
//MyConfig_CubingList.push("크래프트_큐빙"); // 설정: 큐빙할 크래프트 설정하기
//MyConfig_CubingList.push("매직_아이템_큐빙"); // 설정: 큐빙할 매직 아이템 설정하기
//MyConfig_CubingList.push("레어_아이템_큐빙"); // 설정: 큐빙할 레어 아이템 설정하기
//MyConfig_CubingList.push("노멀_아이템_큐빙"); // 설정: 큐빙할 노멀 아이템 설정하기
//MyConfig_CubingList.push("매직_링_큐빙");
//MyConfig_CubingList.push("매직_아뮬렛_큐빙");
//MyConfig_CubingList.push("정수_큐빙");
//MyConfig_CubingList.push("룬워드_아이템_만들기"); // 설정: 만들 룬워드 아이템 설정하기
MyConfig_isPickUpItem = false; // 아이템 주워 보관하기 * 설정: 주워 보관할 아이템 설정하기
MyConfig_isDropItem = false; // 아이템 버리기 * 설정: 버릴 아이템 설정하기
- 간략하게 설명하면,
- 보석 큐빙은 말 그대로 상급을 최상급보석으로 큐빙합니다.
- 크래프트 큐빙하기는 크랩아뮬/크랩링/크랩장갑 등을 뽑습니다.(3장 언급)
- 룬워드 아이템 만들기는 스피릿과 관련한 작업입니다.(제4장 언급)
- 노멀 아이템 큐빙은 갑옷/풀암류 등을 4솟 큐빙합니다.(5장 언급)
제2장 큐빙 준비단계
- 큐빙과 관련하여, 복잡한 준비는 필요 없습니다.
- 재료템 및 룬은 두가지 방법으로 주울 수 있습니다.
- 한가지는 NTConfig_Sorceress_캐릭터이름.ntl에서,
- 다른 한가지는 NTBot\item_configs에서 설정할 수 있습니다.
- 본인이 설정하기 편한 곳에서 설정하면 됩니다.
- 다음의 4가지 사항은 공통사항입니다.
1) 밑의 설정과 같이 주석을 없애고 true 해줍니다.("큐빙 설정하기"의 모든 부분의 주석을 없애 줍니다)
- 14차 버전은 앞의 주석만 없애 주세요.
//#####################################################
// 큐빙 설정하기
//---------------
// 참고: 설정한 순서대로 큐빙합니다.
//=====================================================
MyConfig_CubingList.push("보석_큐빙"); // 설정: 큐빙할 보석 설정하기
MyConfig_CubingList.push("룬_큐빙"); // 설정: 큐빙할 룬 설정하기
MyConfig_CubingList.push("크래프트_큐빙"); // 설정: 큐빙할 크래프트 설정하기
MyConfig_CubingList.push("매직_아이템_큐빙"); // 설정: 큐빙할 매직 아이템 설정하기
MyConfig_CubingList.push("레어_아이템_큐빙"); // 설정: 큐빙할 레어 아이템 설정하기
MyConfig_CubingList.push("노멀_아이템_큐빙"); // 설정: 큐빙할 노멀 아이템 설정하기
MyConfig_CubingList.push("매직_링_큐빙");
MyConfig_CubingList.push("매직_아뮬렛_큐빙");
MyConfig_CubingList.push("정수_큐빙");
MyConfig_CubingList.push("룬워드_아이템_만들기"); // 설정: 만들 룬워드 아이템 설정하기
MyConfig_isPickUpItem = true; // 아이템 주워 보관하기 * 설정: 주워 보관할 아이템 설정하기
MyConfig_isDropItem = false; // 아이템 버리기 * 설정: 버릴 아이템 설정하기
- (이유) 이렇게 설정해도 크게 문제없습니다.
- 일일히 하나씩 설정하면, 실수할 수도 있고,
- 나중에 큐빙에 익숙해졌을 때 본인에게 필요없는 부분은 주석처리 해주면 됩니다.
2) "큐빙할 보석 설정하기"에서 상급 보석 앞의 주석을 없애 줍니다.
MyConfig_CubingGemList.push(560); // Flawless Amethyst
MyConfig_CubingGemList.push(565); // Flawless Topaz
MyConfig_CubingGemList.push(570); // Flawless Saphire
MyConfig_CubingGemList.push(575); // Flawless Emerald
MyConfig_CubingGemList.push(580); // Flawless Ruby
MyConfig_CubingGemList.push(585); // Flawless Diamond
MyConfig_CubingGemList.push(600); // Flawless Skull
3) "보석 설정하기"에서 주석을 없애줍니다.
//----------------------------------------------------------------------------------
// MyConfig_CubingMagicGemList.push([보석 ClassID, 보관 개수])
// 보관 개수: 보관 중인 보석이 설정치 이상일 때만 큐빙에 사용합니다.
// 주의: 보석을 1개 이상 설정합니다.
//========================================
MyConfig_CubingMagicGemList.push([561, 1]); // Perfect Amethyst
MyConfig_CubingMagicGemList.push([566, 1]); // Perfect Topaz
MyConfig_CubingMagicGemList.push([571, 1]); // Perfect Saphire
MyConfig_CubingMagicGemList.push([576, 1]); // Perfect Emerald
MyConfig_CubingMagicGemList.push([581, 1]); // Perfect Ruby
MyConfig_CubingMagicGemList.push([586, 1]); // Perfect Diamond
MyConfig_CubingMagicGemList.push([601, 1]); // Perfect Skull
4) "주워 보관할 아이템 설정하기"에서 상급보석을 설정합니다.
- NTBot\item_configs\gems.nip에서 설정해도 됩니다.
- 자수정과 토파즈만 설정하였습니다.(개개인의 취향에 따라 선택하세요)
MyConfig_PickUpItemList.push([560]); // Flawless Amethyst
MyConfig_PickUpItemList.push([565]); // Flawless Topaz
//MyConfig_PickUpItemList.push([570]); // Flawless Saphire
//MyConfig_PickUpItemList.push([575]); // Flawless Emerald
//MyConfig_PickUpItemList.push([580]); // Flawless Ruby
//MyConfig_PickUpItemList.push([585]); // Flawless Diamond
//MyConfig_PickUpItemList.push([600]); // Flawless Skull
MyConfig_PickUpItemList.push([561]); // Perfect Amethyst
MyConfig_PickUpItemList.push([566]); // Perfect Topaz
//MyConfig_PickUpItemList.push([571]); // Perfect Saphire
//MyConfig_PickUpItemList.push([576]); // Perfect Emerald
//MyConfig_PickUpItemList.push([581]); // Perfect Ruby
//MyConfig_PickUpItemList.push([586]); // Perfect Diamond
//MyConfig_PickUpItemList.push([601]); // Perfect Skull
제3장 크래프트(크랩)이란...
출처 : [無情]DeeP님의 강좌
http://tradia.me/diablo2/diablo2_tips/211717
크래프트(craft)를 네이버에서 검색해 보면,
"공예, 기술(기교) / (특히 손으로) 공예품을 만들다, 공들여 만들다"라는 검색이 됩니다.
다이블로에서 크래프트는 여러가지 재료를 섞어서 아이템을 만들다.. 정도로 이해하면 됩니다.
크래프트로 얻을 수 있는 아이템은 2팔라/20패캐 아뮬, 2소소/20패캐 아뮬 등으로,
투입된 재료에 비해, 고가의 아이템을 얻을 수 있습니다.
아뮬을 돌릴려면 매직아뮬 + 앰룬 + 랄룬 + 자수정.. 이렇게 4개의 재료가 필요합니다.
위 재료를 구해오는 명령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우선은 다음의 사항을 체크합니다. 일례로 패캐 아뮬 설정하기를 예로 들겠습니다.
다른 아이템의 설정은 scripts\NTBot\char_configs\NTConfig_Sorceress_캐릭터이름.ntl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큐빙설정하기"에서 다음의 사항에 주석을 없애거나, true로 설정을 바꾸어 줍니다.
MyConfig_CubingList.push("보석_큐빙");
MyConfig_CubingList.push("매직_아뮬렛_큐빙");
MyConfig_CubingList.push("크래프트_큐빙");
MyConfig_isPickUpItem = true; //
2) "큐빙할 보석 설정하기" 에서 상급 보석의 주석을 없애줍니다.
MyConfig_CubingGemList.push(560); // Flawless Amethyst
MyConfig_CubingGemList.push(565); // Flawless Topaz
MyConfig_CubingGemList.push(570); // Flawless Saphire
MyConfig_CubingGemList.push(575); // Flawless Emerald
MyConfig_CubingGemList.push(580); // Flawless Ruby
MyConfig_CubingGemList.push(585); // Flawless Diamond
MyConfig_CubingGemList.push(600); // Flawless Skull
3) "보석 설정하기"에서 다음과 같이 주석을 없애줍니다.
MyConfig_PickUpItemList.push([560]); // Flawless Amethyst
MyConfig_PickUpItemList.push([561]); // Perfect Amethyst
MyConfig_CubingMagicGemList.push([561, 1]); // Perfect Amethyst
MyConfig_CubingMagicGemList.push([566, 1]); // Perfect Topaz
MyConfig_CubingMagicGemList.push([571, 1]); // Perfect Saphire
MyConfig_CubingMagicGemList.push([576, 1]); // Perfect Emerald
MyConfig_CubingMagicGemList.push([581, 1]); // Perfect Ruby
MyConfig_CubingMagicGemList.push([586, 1]); // Perfect Diamond
MyConfig_CubingMagicGemList.push([601, 1]); // Perfect Skull
4) "큐빙할 크래프트 설정하기"에서 해당 사항의 주석을 해체해 줍니다.
// 캐스터 아이템
//---------------
// (5-10)% Faster Cast Rate, Regenerate Mana (4-10)%, + (10-20) To Mana
MyConfig_CubingCraftedList.push([520, 0, 617, 561]); // Amulet + Ral Rune + Perfect Amethyst
5) "주워 보관할 아이템 설정하기"에서 주석을 없애고 랄룬, 매직아뮬, 주얼을 줍도록 설정합니다.
MyConfig_PickUpItemList.push([617, 3]); // Ral Rune
MyConfig_PickUpItemList.push([520, 1, 4, 85]); // Amulet : int(charlv/2) + int(input ilvl/2) = 90(ilvl)
MyConfig_PickUpItemList.push([643, 1]); // Jewel
위와 같이 5가지의 설정 후 저장하고 봇 돌리면, 룬은 창고의 오른쪽에 보관하면서 아뮬을 돌립니다.
제4장 스피릿 돌리기
스피릿은 35패캐/112마나/8매직흡수라는 매력적인 옵션을 가진 방패입니다.
여기서는 모너크의 설정을 예로 들겠습니다.
우선 스피릿에 필요한 재료는 노멀모넉 + 탈 + 주울 + 오르트 + 앰룬입니다.
리작을 위해 헬룬과 타운스크룰이 필요합니다.
4솟 구멍뚫린 모넉을 가지고 있고, 탈 + 주울 + 오르트 + 앰룬을 줍죠.
작업은 헬룬을 주웠을 때 시작합니다.
만약 설정한 수치대로 안 떴을 때는 헬룬으로 리작합니다.
리작을 해두고, 다시 사냥을 하면서 재료룬들을 줍습니다.
1) "큐빙설정하기"에서 다음의 주석을 없애주거나 true 해줍니다.
MyConfig_CubingList.push("룬워드_아이템_만들기"); // 설정: 만들 룬워드 아이템 설정하기
MyConfig_isPickUpItem = true; // 아이템 주워 보관하기
2) "만들 룬워드 아이템 설정하기" 근처에서 다음의 두개의 주석을 없애줍니다.
MyConfig_MakeRunewordList.push([447, 616, 619, 618, 620]); //
MyConfig_MakeRunewordNtipList.push([0, "# [FCR] >= 35"]); // Spirit
3) "주워 보관할 아이템 설정하기"에서 재료룬을 줍도록 설정합니다.
MyConfig_PickUpItemList.push([616, 2]); // Tal Rune
MyConfig_PickUpItemList.push([618, 2]); // Ort Rune
MyConfig_PickUpItemList.push([619, 2]); // Thul Rune
MyConfig_PickUpItemList.push([620, 2]); // Amn Rune
MyConfig_PickUpItemList.push([624, 7]); // Hel Rune
이렇게 3가지 설정하면 됩니다.
ps) 세가지 정도를 생각해 봐야 하는데요...
첫번째는 모넉을 어떻게 줍도록 설정할 것이냐,
두번째는 스프릿의 35패캐에 더하여, 마나/매직흡수를 어떻게 설정할 것이냐...
세번째로 다른 방패의 설정은 어떻게 되느냐.. 입니다.
1) 모넉을 줍도록 하는 설정은 두가지가 있습니다.
- 첫째는 아이템 이니에서 줍도록 하는 방법입니다.
- scripts\NTBot\item_configs\whites.nip에서 줍도록 하는 방법입니다.
- [Name] == Monarch && [Quality] == normal && [Flag] != ethereal # [Sockets] == 4 //
- 두번째로 scripts\NTBot\char_configs\NTConfig_Sorceress_캐릭터이름.ntl에서 줍는 방법입니다.
- "주워 보관할 아이템 설정하기"에서 다음과 같이 설정합니다.
- MyConfig_PickUpItemList.push([447, 1, 2, 80, 2, 4]);
- 주워 보관한 아이템 설정하기의 1번 방식인데요.
- MyConfig_PickUpItemList.push([아이템 ClassID, 보관할 개수, 아이템 퀄리티, 아이템 레벨, 에테리얼, 소켓 수])
- 모넉 번호(447), 1개, 아이템퀠리티(2, 노멀), 아이템레벨 80이상, 에테리얼 여부 2(노에테), 4솟입니다.
- 저는 첫번째 방법인 scripts\NTBot\item_configs\whites.nip에서 노멀 모넉을 줍도록 하고 있습니다.
2) 스피릿 35패캐/100마나 이상 방패 작업하기
- 출처 : 서우님 질문에 대한 좋은비타민님의 답변 중에서...
http://www.durune.com/2010/zboard.php?id=dia3_xfile&page=1&sn1=&divpage=14&sn=off&ss=on&sc=off&keyword=스피릿&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80673
- "룬워드 아이템을 만든 후 비교할 아이템이니 및 아이템 옵션 설정하기"을 보면,
- MyConfig_MakeRunewordNtipList.push([0, "# [FCR] >= 35"]); // Spirit 이렇게 되어 있는데요,
- MyConfig_MakeRunewordNtipList.push([0, "# [FCR] >= 35 && [MaxMana] >= 100"]); // 이렇게 변경합니다.
- 마나 흡수까지 생각을 한다면,
- MyConfig_MakeRunewordNtipList.push([0, "# [FCR] >= 35 && [MaxMana] >= 100 && [MagicDamageReduction] == 8"]);
- 참고로 스피릿은 패캐(25~35) / 마나(89~112) / 매직흡수(3~8) 입니다.
3) 모너크 외에 다른 방패로 스피릿 돌리기.
- scripts\libs\common\NTItemAlias.ntl에서 코드 번호를 찾아 보았습니다.
_NTIPAliasClassID["pa1"]=408; _NTIPAliasClassID["targe"]=408;
_NTIPAliasClassID["pa2"]=409; _NTIPAliasClassID["rondache"]=409;
_NTIPAliasClassID["pa3"]=410; _NTIPAliasClassID["heraldicshield"]=410;
_NTIPAliasClassID["pab"]=498; _NTIPAliasClassID["sacredtarge"]=498;
_NTIPAliasClassID["pac"]=499; _NTIPAliasClassID["sacredrondache"]=499;
이렇게 됩니다.
그냥 타지는 408, 론다시는 409, 헤랄드쉴드는 410, 세타는 498, 세론은 499입니다.
세타를 스피릿으로 돌리는 방법은,
- 먼저 4솟의 세타를 구합니다. (물론 "노멀큐빙하기"에서 설정해도 됩니다)
- "만들 룬워드 아이템 설정하기" 근처에서 다음의 두개의 주석을 없애줍니다.
- MyConfig_MakeRunewordList.push([447, 616, 619, 618, 620]); // 모너크의 설정에서
- MyConfig_MakeRunewordList.push([498, 616, 619, 618, 620]); // 세타의 설정으로 바꿉니다.
- 세타의 35패캐 실패했을때를 대비해서, 줍게 설정합니다.
- [Name] == Sacredtarge && [Quality] == normal && [Flag] != ethereal # [Sockets] == 4 //
- 나머지는 그냥 두셔도 됩니다.
제5장 갑옷/풀암류 4솟으로 큐빙하기
- 갑옷은 주로 스톤이나 인내의 재료로, 풀암류는 통찰/무공의 재료를 큐빙합니다.
1) "scripts\NTBot\char_configs\NTConfig_Sorceress_캐릭터이름"에서 "큐빙 설정하기"부분에서
- 다음의 주석을 없앱니다.
- MyConfig_CubingList.push("보석_큐빙"); //
- MyConfig_CubingList.push("노멀_아이템_큐빙"); //
- MyConfig_isPickUpItem = true; // 아이템 주워 보관하기
2) "큐빙할 보석 설정하기"에서 주석을 없앱니다.
MyConfig_CubingGemList.push(560); // Flawless Amethyst
MyConfig_CubingGemList.push(565); // Flawless Topaz
MyConfig_CubingGemList.push(570); // Flawless Saphire
MyConfig_CubingGemList.push(575); // Flawless Emerald
MyConfig_CubingGemList.push(580); // Flawless Ruby
MyConfig_CubingGemList.push(585); // Flawless Diamond
MyConfig_CubingGemList.push(600); // Flawless Skull
3) "큐빙할 노멀 아이템 설정하기"에서 다음의 사항을 붙여 넣습니다.
- 출처 : 라이브뤄리님의 글 중에서...
http://www.durune.com/2010/zboard.php?id=dia3_xfile&page=1&sn1=&divpage=14&sn=on&ss=on&sc=off&keyword=라이브뤄리&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76721
MyConfig_CubingNormalList.push([433, 1, 616, 619, 566]); // 다이아몬드메일
MyConfig_CubingNormalList.push([434, 1, 616, 619, 566]); // 로리케이티드메일
MyConfig_CubingNormalList.push([435, 1, 616, 619, 566]); // 본위브 + Tal Rune + Thul Rune + Perfect Topaz
MyConfig_CubingNormalList.push([436, 1, 616, 619, 566]); // 그레이트허버크
MyConfig_CubingNormalList.push([437, 1, 616, 619, 566]); // 발록스킨
MyConfig_CubingNormalList.push([438, 1, 616, 619, 566]); // 헬포지플레이트
MyConfig_CubingNormalList.push([439, 1, 616, 619, 566]); // 크라켄쉘
MyConfig_CubingNormalList.push([440, 1, 616, 619, 566]); // 레커드플레이트
MyConfig_CubingNormalList.push([441, 1, 616, 619, 566]); // 쉐도우플레이트
MyConfig_CubingNormalList.push([442, 1, 616, 619, 566]); // 세크리드플레이트
MyConfig_CubingNormalList.push([443, 1, 616, 619, 566]); // 아칸플레이트
//MyConfig_CubingNormalList.push([갑옷, 0, 616, 619, 566]); // 갑옷
//MyConfig_CubingNormalList.push([투구, 0, 617, 619, 571]); // 투구
//MyConfig_CubingNormalList.push([방패, 0, 616, 620, 581]); // 방패
//MyConfig_CubingNormalList.push([무기, 0, 617, 620, 561]); // 무기
//MyConfig_CubingNormalList.push([254, 1, 617, 620, 561]); // 콜블즈
MyConfig_CubingNormalList.push([255, 1, 617, 620, 561]); // 쓰레셔
MyConfig_CubingNormalList.push([256, 1, 617, 620, 561]); // 크립틱액스
MyConfig_CubingNormalList.push([257, 1, 617, 620, 561]); // 그레이트폴액스
MyConfig_CubingNormalList.push([258, 1, 617, 620, 561]); // 자이언트쓰레셔
4) "주워 보관할 아이템 설정하기"에서 재료를 줍습니다.(보석은 갯수 조정하세요)
MyConfig_PickUpItemList.push([560]); // Flawless Amethyst
MyConfig_PickUpItemList.push([565]); // Flawless Topaz
MyConfig_PickUpItemList.push([561]); // Perfect Amethyst
MyConfig_PickUpItemList.push([566]); // Perfect Topaz
MyConfig_PickUpItemList.push([616, 2]); // Tal Rune
MyConfig_PickUpItemList.push([617, 3]); // Ral Rune
MyConfig_PickUpItemList.push([619, 2]); // Thul Rune
MyConfig_PickUpItemList.push([620, 2]); // Amn Rune
5) scripts\NTBot\item_configs\whites.nip에서 다음의 사항을 확인하고, 없으면 추가합니다.
- 콜블즈는 설정에서 주석처리 했습니다.
- 화면 관계상 2줄로 된 이니도 보이는데요, 없으면 그냥 복사해서 붙여 넣으면 됩니다.
// =============== Insight / Obedience / Infinity ===============
//[Name] == ColossusVoulge && [Quality] == superior && [Flag] == ethereal # [EnhancedDamage] >= 15 && ([Sockets] == 4 || [Sockets] == 0) //
//[Name] == ColossusVoulge && [Quality] == superior && [Flag] == ethereal # [EnhancedDamage] >= 15 && [Tohit] == 3 && ([Sockets] == 4 || [Sockets] == 0) //
//[Name] == ColossusVoulge && [Quality] == superior && [Flag] == ethereal # [Sockets] == 0 //
//[Name] == ColossusVoulge && [Quality] == superior && [Flag] == ethereal # [Sockets] == 4 //
[Name] == Thresher && [Quality] <= superior && [Flag] == ethereal # [Sockets] == 0 //
[Name] == Thresher && [Quality] <= superior && [Flag] == ethereal # [Sockets] == 4 //
[Name] == Thresher && [Quality] == superior && [Flag] == ethereal # [EnhancedDamage] >= 15 && [Sockets] == 4 //
[Name] == Thresher && [Quality] == superior && [Flag] == ethereal # [EnhancedDamage] >= 15 && [Tohit] == 3 && ([Sockets] == 4 || [Sockets] == 5 || [Sockets] == 0) //
//[Name] == CrypticAxe && [Quality] <= superior && [Flag] == ethereal # [Sockets] == 4 //
[Name] == CrypticAxe && [Quality] == superior && [Flag] == ethereal # [EnhancedDamage] >= 15 && [Sockets] == 4 //
//[Name] == CrypticAxe && [Quality] == superior && [Flag] == ethereal # [EnhancedDamage] >= 15 && [Tohit] == 3 && ([Sockets] == 4 || [Sockets] == 5 || [Sockets] == 0) //
[Name] == GiantThresher && [Quality] <= superior && [Flag] == ethereal # [Sockets] == 0 //
[Name] == GiantThresher && [Quality] <= superior && [Flag] == ethereal # [Sockets] == 4 //
[Name] == GiantThresher && [Quality] == superior && [Flag] == ethereal # [EnhancedDamage] >= 15 && [Sockets] == 4 //
[Name] == GiantThresher && [Quality] == superior && [Flag] == ethereal # [EnhancedDamage] >= 15 && [Tohit] == 3 && ([Sockets] == 4 || [Sockets] == 5) //
[Name] == GreatPoleaxe && [Quality] <= superior && [Flag] == ethereal # [Sockets] == 0 //
[Name] == GreatPoleaxe && [Quality] <= superior && [Flag] == ethereal # [Sockets] == 4 //
[Name] == GreatPoleaxe && [Quality] == superior && [Flag] == ethereal # [EnhancedDamage] >= 15 && [Sockets] == 4 //
[Name] == GreatPoleaxe && [Quality] == superior && [Flag] == ethereal # [EnhancedDamage] >= 15 && [Tohit] == 3 && ([Sockets] == 4 || [Sockets] == 5) //
- scripts\NTBot\item_configs\whites.nip에서 제일 밑에 갑옷류를 추가합니다.
- 저는 [Name] == gold # [Gold] >= 3000 // 바로 위에 갑옷류를 추가했습니다.
[Type] == armor && [Quality] == normal && [Flag] == ethereal # [Sockets] == 0 && [Defense] >= 666
[Type] == armor && [Quality] == normal && [Flag] == ethereal # [Sockets] >= 4 && [Defense] >= 666
// 노소켓 && 방어 666이상 - 벅큐빙용. 큐빙 후 3소켓이면 트랫셔리, 4소켓이면 인내를 주로 만듭니다. 벅큐빙은 Tal + Thul + Perfect Topaz + 갑옷을 큐브에 넣고 돌리면 됩니다.
[Type] == armor && [Quality] == normal && [Flag] == ethereal # [Sockets] >= 4 && [Defense] >= 1000
// 2소켓이상 && 방어 1000이상 - 벅큐빙된 갑옷
- 이렇게 설정했을때, 갑옷을 주워서 큐빙을 하고, 4소켓이 아니면 버립니다.
6) 나중에 갑옷을 지나치게 많이 주워오면,
scripts\NTBot\item_configs\whites.nip에서 아래 설정과 같이 주석처리 해줍니다.
저같은 경우는 더 이상 용병갑옷은 필요 없으므로, 주석처리 했습니다.
//[Type] == armor && [Quality] == normal && [Flag] == ethereal # [Sockets] == 0 && [Defense] >= 666
//[Type] == armor && [Quality] == normal && [Flag] == ethereal # [Sockets] >= 4 && [Defense] >= 666
// 노소켓 && 방어 666이상 - 벅큐빙용. 큐빙 후 3소켓이면 트랫셔리, 4소켓이면 인내를 주로 만듭니다. 벅큐빙은 Tal + Thul + Perfect Topaz + 갑옷을 큐브에 넣고 돌리면 됩니다.
//[Type] == armor && [Quality] == normal && [Flag] == ethereal # [Sockets] >= 4 && [Defense] >= 1000
// 2소켓이상 && 방어 1000이상 - 벅큐빙된 갑옷
제6장 14차 버전에서 큐빙설정하기(스피릿, 크랩링)
제1관 크랩아뮬 돌리기
크랩 아뮬의 설정을 보면,
1. scripts\NTBot\char_configs\NTConfig_Sorceress_케릭터이름.ntl에서,
1) "큐빙 설정하기"에서
MyConfig_CubingList.push("보석_큐빙"); // 설정: 큐빙할 보석 설정하기
MyConfig_CubingList.push("크래프트_큐빙"); // 설정: 큐빙할 크래프트 설정하기
MyConfig_CubingList.push("매직_아뮬렛_큐빙");
이렇게 세가지를 주석을 해제해 줍니다.
2) 케릭터이니 파일에서 "큐빙할 보석 설정하기"에서,
MyConfig_CubingGemList.push(560); // Flawless Amethyst
MyConfig_CubingGemList.push(565); // Flawless Topaz
MyConfig_CubingGemList.push(570); // Flawless Saphire
MyConfig_CubingGemList.push(575); // Flawless Emerald
MyConfig_CubingGemList.push(580); // Flawless Ruby
MyConfig_CubingGemList.push(585); // Flawless Diamond
MyConfig_CubingGemList.push(600); // Flawless Skull
주석을 해제하고,
3) "큐빙할 크래프트 설정하기"에서
// 캐스터 아이템
//---------------
// (5-10)% Faster Cast Rate, Regenerate Mana (4-10)%, + (10-20) To Mana
MyConfig_CubingCraftedList.push([520, 0, 617, 561]); // Amulet + Ral Rune + Perfect Amethyst
이렇게 아뮬의 앞을 해제해 줍니다.
4) "보석 설정하기"에서
MyConfig_CubingMagicGemList.push([561, 1]); // Perfect Amethyst
MyConfig_CubingMagicGemList.push([566, 1]); // Perfect Topaz
MyConfig_CubingMagicGemList.push([571, 1]); // Perfect Saphire
MyConfig_CubingMagicGemList.push([576, 1]); // Perfect Emerald
MyConfig_CubingMagicGemList.push([581, 1]); // Perfect Ruby
MyConfig_CubingMagicGemList.push([586, 1]); // Perfect Diamond
MyConfig_CubingMagicGemList.push([601, 1]); // Perfect Skull
주석을 해제해 줍니다.
2. scripts\NTBot\item_configs\MyCubing.nip 파일에서,
1) "보석 큐빙"에서 다음의 주석을 해제 합니다.
[Name] == FlawlessAmethyst @
[Name] == PerfectAmethyst %3 @
2) "룬 큐빙"에서 (여기서 설정해도 되고, runes.nip에서 줍도록 설정해도 됩니다)
[Name] == TalRune %2 @
[Name] == RalRune %4 @
[Name] == OrtRune %2 @
[Name] == ThulRune %2 @
[Name] == AmnRune %2 @
3) "크래프트 큐빙"에서
[Type] == Jewel %1 @
주석을 해제해 주고, 줍고자 하는 주얼의 숫자를 설정해 줍니다.
4) "매직 링/아뮬렛 큐빙" 에서
[Type] == Amulet && [Quality] == Magic %1 @
[Type] == Amulet && [Quality] == magic && [Level] >= 85 %1 @
(주얼의 숨렙 85이상, 1개 큐빙 사용)
이렇게 아뮬을 줍도록 설정해 줍니다.
숨렙 설정 관련해서는 본인의 취향에 맞도록 설정해 주세요.
위처럼 설정하면, 크랩아뮬을 얻을 수 있습니다.
제2관 14차버전에서 스피릿 돌리기
1. scripts\NTBot\char_configs\NTConfig_Sorceress_케릭터이름.ntl에서 설정 변경을 2가지 합니다.
1) "큐빙 설정하기"에서 "룬워드 아이템 만들기" 앞의 주석을 해제합니다.
MyConfig_CubingList.push("룬워드_아이템_만들기"); // 설정: 만들 룬워드 아이템 설정하기
2) "만들 룬워드 아이템 설정하기"에서 2가지 주석을 제거합니다.
MyConfig_MakeRunewordList.push([447, 616, 619, 618, 620]); // Spirit: Monarch + Tal Rune + Thul Rune + Ort Rune + Amn Rune
MyConfig_MakeRunewordNtipList.push([0, "# [FCR] >= 35 && [MaxMana] >= 100"]); // Spirit
2. scripts\NTBot\item_configs\MyCubing.nip에서 3가지 주석을 제거합니다.
1) "룬 큐빙"에서 주석제거하기
[Name] == TalRune %2 @
[Name] == RalRune %3 @
[Name] == OrtRune %2 @
[Name] == ThulRune %2 @
[Name] == AmnRune %2 @
[Name] == HelRune %3 @
2) "룬워드 아이템 만들기"에서 다음을 추가합니다.
[Name] == Monarch && [Quality] == normal && [Flag] != ethereal # [Sockets] == 4 %1 @ //
이렇게 하고 실행하면 됩니다.
- 스피릿이 제작이 안되서 일주일동안 고민을 했습니다.
- "뭐가 잘못 되었을까??? 설정에는 문제가 없는데...." 라는 생각을 끊임없이 했는데요.
- "자료실"의 날아다녀님의 글에서 메피스토의뇌님의 리플을 보고 알게 되었습니다. (2010-10-17 02:16:24 리플 中)
- 기존의 12차버전의 white.nip에서 4솟 방패를 줍도록 설정해 두고, 케릭터이니에서도 동시에 줍도록 설정해 두어도,
- 방패를 주워왔는데요..
- 14차 버전에서는 white.nip와 MyCubing.nip의 두곳에서 방패를 줍도록 하면, 이유는 모르겠지만,
- 스피릿 작을 안하더군요.
- 추측이지만, scripts\NTBot\char_configs\NTConfig_Sorceress_케릭터이름.ntl 의 "아이템 설정하기"에서
- NTConfig_NIPFilePath.push("MyCubing.nip");이 제일 늦게 적용되어서 그러지는 않을까 라는 생각을 합니다.
- 14차 버전에서 스피릿 작을 하시는 분들이라면, white.nip의 4솟 모넉 방패 줍기는 주석처리 하세요.
- 대신 MyCubing.nip에서 다음과 설정하여, 줍도록 하고 @를 붙여서 큐빙/만들기합니다.
[Name] == Monarch && [Quality] == normal && [Flag] != ethereal # [Sockets] == 4 %1 @ //
- 한마디로, white.nip와 MyCubing.nip에서 동시에 4솟 방패를 줍도록 설정했다면,
- 스피릿 작을 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 이 자리를 빌려, 메피스토의뇌님께 감사하다는 말씀을 드립니다..
제7장 큐빙에 대한 Tip
- 큐빙에 대한 Tip이라는 너무 거창한 문구를 넣을 만큼의 정보는 아닙니다.
- 그냥 한번 보면 됩니다.
1) 큐빙할 재료템을 주울 때, 변수를 생각하자!
너무 많은 재료를 주워 버리면, 정작 고급템을 놓치는 경우가 있습니다.
12차까지는 룬 줍는 갯수를 설정할 수 있고,
13차부터는 보석 줍는 갯수까지 설정할 수 있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먼저는 본인이 어떤 큐빙을 할 것인지 결정을 해야합니다.
보석만 꾸준히 큐빙해서 팔아서, 기본템을 마련할 것인지...
아니면 자쓰나 인내/스톤 재료를 큐빙할 것인지 결정해야 합니다.
저같은 경우는 큐빙 설정으로 세가지를 합니다.
첫째, "큐빙할 노멀 아이템 설정하기"에서 풀암류 큐빙하기.
둘째, "큐빙할 크래프트 설정하기"에서 패캐아뮬만 돌립니다.
셋째, "만들 룬워드 아이템 설정하기"에서 스피릿을 돌립니다.
대략적으로 창고에서 보관되는 공간을 생각해보면,
풀암류(2*4 = 8) -> 풀암류(8), 랄룬(1), 앰룬(1), 최상급자수정(1) = 8 + 1 + 1 + 1 = 11
아뮬큐빙(1) -> 아뮬(1), 랄룬(1), 주얼(1), 최상급자수정(1) = 4
모넉(2*2= 4) -> 모넉(4), 탈(1), 줄(1), 오르트(1), 앰(1), 헬룬(1) = 4 + 5 = 9
11 + 4 + 9 = 24 이렇게 됩니다. 큐브(4칸)도 창고에 보관하니 28칸이 차지하는군요.
물론 상급보석이 최상급 보석으로 큐빙전의 빈칸도 생각을 해준다면,
좀 더 공간이 필요하겠죠..
항상 풀암류/아뮬/모넉을 큐빙하지는 않기 때문에 24칸이라는 숫자는 별로 신경쓰지 않아도 되지만,
최악의 경우를 항상 감안 해야하기때문에,
창고의 절반이 큐빙으로 쓰인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2) 이니는 빡세게 조이자!!
앞의 설명과 이어지는데요...
창고의 절반을 쓸수도 있기 때문에 이니를 조일 필요가 있습니다.
그리고, 저와 같이 설정하신다면 풀암류를 큐빙할 때 빼고는...
창고 정리할 일이 별로 없습니다.
모넉은 35패캐/100이상 설정으로 해 두었기 때문에,
지가 알아서 계속 룬워드를 만듭니다.
패캐아뮬 또한, 아뮬/룬/주얼/보석을 줍기 때문에 터치하지 않아도 됩니다.
결국, 봇순이의 창고/아이템 정리를 할 때는 매니져 창에서 확인해보고,
아이템 없으면 그냥 계속 돌립니다.
크랩아뮬과 관련해서는 scripts\NTBot\item_configs\crafteds.nip에서 설정합니다.
3) "큐빙설정하기"에서 순서를 바꾸자.
어제(10/28) 있었던 일입니다.
모넉/크랩아뮬을 열심히 돌리던 소순이가 쓰레셔를 집어 왔습니다.
순간!! 오훗~! 이라고 했는데,
이 녀석이 쓰레셔(풀암류)를 큐빙하지 않고, 랄룬을 이용해서 아뮬을 돌려버리더군요.. -_-+
풀암류가 부담되는 건, 창고에서 8칸의 공간을 차지하는 것도 부담이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나중에 수동으로 큐빙했을 때 배꼽 나오면!! -_-+
이러한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풀암류 큐빙을 우선순위중에서 위로 올려 줍니다.
확률상으로 아뮬돌리는 재료가 나올 확률이
풀암류(자쓰, 그폴, 쓰레셔등)이 나올 확률보다 크기 때문입니다.
즉, 아뮬돌리는 것을 뒤로 두어서, 우선순위를 풀암류로 설정합니다.
(한마디로 아뮬은 언제든지 큐빙을 할 수 있지만, 풀암은 자주 안나오니 바로 바로 큐빙하라는 거죠)
//#####################################################
// 큐빙 설정하기
//---------------
// 참고: 설정한 순서대로 큐빙합니다.
//=====================================================
MyConfig_CubingList.push("보석_큐빙"); // 설정: 큐빙할 보석 설정하기
MyConfig_CubingList.push("룬_큐빙"); // 설정: 큐빙할 룬 설정하기
MyConfig_CubingList.push("크래프트_큐빙"); // 설정: 큐빙할 크래프트 설정하기
MyConfig_CubingList.push("매직_아이템_큐빙"); // 설정: 큐빙할 매직 아이템 설정하기
MyConfig_CubingList.push("레어_아이템_큐빙"); // 설정: 큐빙할 레어 아이템 설정하기
MyConfig_CubingList.push("노멀_아이템_큐빙"); // 설정: 큐빙할 노멀 아이템 설정하기
MyConfig_CubingList.push("매직_링_큐빙");
MyConfig_CubingList.push("매직_아뮬렛_큐빙");
MyConfig_CubingList.push("정수_큐빙");
MyConfig_CubingList.push("룬워드_아이템_만들기"); // 설정: 만들 룬워드 아이템 설정하기
처음 설정이 이렇게 되어 있는데요.
//MyConfig_CubingList.push("크래프트_큐빙"); // 설정: 큐빙할 크래프트 설정하기
//MyConfig_CubingList.push("매직_아뮬렛_큐빙");
//MyConfig_CubingList.push("노멀_아이템_큐빙"); // 설정: 큐빙할 노멀 아이템 설정하기
이렇게 되어 있는 순서를 아래와 같이 바꾸어 줍니다.
//##########################################
// 큐빙 설정하기
//---------------
// 참고: 설정한 순서대로 큐빙합니다.
//=========================================
MyConfig_CubingList.push("보석_큐빙"); // 설정: 큐빙할 보석 설정하기
MyConfig_CubingList.push("노멀_아이템_큐빙"); // 설정: 큐빙할 노멀 아이템 설정하기
MyConfig_CubingList.push("룬_큐빙"); // 설정: 큐빙할 룬 설정하기
MyConfig_CubingList.push("크래프트_큐빙"); // 설정: 큐빙할 크래프트 설정하기
MyConfig_CubingList.push("매직_아이템_큐빙"); // 설정: 큐빙할 매직 아이템 설정하기
MyConfig_CubingList.push("레어_아이템_큐빙"); // 설정: 큐빙할 레어 아이템 설정하기
MyConfig_CubingList.push("매직_링_큐빙");
MyConfig_CubingList.push("매직_아뮬렛_큐빙");
MyConfig_CubingList.push("정수_큐빙");
MyConfig_CubingList.push("룬워드_아이템_만들기"); // 설정: 만들 룬워드 아이템 설정하기
- 변경 사항.
- 노멀 아이템 큐빙을 우선 순위에서 두번째로 두어, 크랩보다 먼저 큐빙하게 합니다.
- 랄룬/앰룬/자수정은 풀암류 큐빙에 먼저 쓰입니다.
- 공간 차지하더라도, 4솟 자쓰 한방이면!!! ^-^ 이렇게 웃을 수 있습니다.
4) 굳이 scripts\NTBot\char_configs\NTConfig_Sorceress_캐릭터이름.ntl에서 설정해야 하는가?
- 아닙니다. 본인이 편할대로 재료템 설정하면 됩니다.
- 다만, 저는 파볼오브소소와 햄딘을 돌리고 있고,
- 파볼오브소소가 사냥터/큐빙설정하기가 다 똑같기 때문에 이게 더 편해서입니다.
- 예를 들어, NTConfig_Sorceress_durune-a.ntl 라는 파볼오브소소가 있다면,
- NTConfig_Sorceress_durune-a.ntl 의 설정을 바꾸어 주고, 복사해서
- NTConfig_Sorceress_durune-b.ntl로 이름만 바꾸어 줍니다.
- NTConfig_Sorceress_durune-c.ntl 이렇게도 계속 바꾸어 줍니다.
- 결과적으로 한 케릭터만 제대로 설정을 해주면, 나머지는 복사하면 됩니다.
- 의문이 생기죠... 그럼 햄딘은???
- 햄딘은 공격스킬이 다르기 때문에 복사하면 안됩니다.
- 다만, NTConfig_Sorceress_durune-a.ntl에서 설정한 아래의 부분을 그대로 복사해서,
- "큐빙 설정하기"부터 끝까지 복사해서 햄딘의 "큐빙설정하기"에 넣으면 됩니다.
- 한마디로 소소의 큐빙부분을 햄딘에 끝까지 붙여넣기 하면 됩니다.
- 아래는 12차 기준의 큐빙 설정하기 이하의 부분입니다.
//#################################################
//##################################################
//################################################
// 큐빙 설정하기
//---------------
// 참고: 설정한 순서대로 큐빙합니다.
//====================================================
MyConfig_CubingList.push("보석_큐빙"); // 설정: 큐빙할 보석 설정하기
MyConfig_CubingList.push("룬_큐빙"); // 설정: 큐빙할 룬 설정하기
MyConfig_CubingList.push("매직_아이템_큐빙"); // 설정: 큐빙할 매직 아이템 설정하기
MyConfig_CubingList.push("레어_아이템_큐빙"); // 설정: 큐빙할 레어 아이템 설정하기
MyConfig_CubingList.push("노멀_아이템_큐빙"); // 설정: 큐빙할 노멀 아이템 설정하기
... (이하 중략) ....
//####################################################
// 버릴 아이템 설정하기
//----------------------
// MyConfig_DropItemList.push([아이템 ClassID, 보관할 개수])
// MyConfig_DropItemList.push([아이템 ClassID, 보관할 개수, 아이템 퀄리티])
// 참고: 설정하지 않거나 아이템 퀄리티 0은 아이템 퀄리티 검사를 생략합니다.
// 아이템 퀄리티 3 이하는 아이템 레벨과 상관없이 버리고 4 이상은 아이템 레벨이 낮은 것부터 버립니다.
// 주의: 아이템 퀄리티를 설정하지 않거나 0, 1, 2, 3으로 설정할 경우, 아이템이니 설정하기와 비교하지 않고 설정한대로 무조건 버립니다.
//==================================================
//MyConfig_DropItemList.push([,]);
//MyConfig_DropItemList.push([,,]);
}
5) 룬의 갯수 지정하기... (파란붕어빵님! 정보 제공 감사합니다)
- 파란붕어빵님의 정보를 인용합니다.
12차 버전에서 룬을 줍는 방법은 2가지 있습니다.
scripts\NTBot\item_configs\runes.nip와 NTConfig_Sorceress_캐릭터이름.ntl 에서 줍는 방법입니다.
재료룬을 어떻게 주을 것인가를 설정해야 합니다.
NTConfig_Sorceress_캐릭터이름.ntl 에서 줍도록 설정했다면,
scripts\NTBot\item_configs\runes.nip에서 재료룬을 주석처리 해야 합니다.
이유는 아시다시피 룬 갯수 설정과 관련해서입니다.
기껏해서 NTConfig_Sorceress_캐릭터이름.ntl 에서 룬 주을 갯수를 지정해 주었는데,
runes.nip에서 해당 재료룬을 주석처리 하지 해 놓지 않으면,
우리의 착한(?) 알바생은 계속 주워 놓습니다. (이럴 땐.. 참~~ 일 잘하죠!! -0-;; )
NTConfig_Sorceress_캐릭터이름.ntl 에서 크랩/스피릿을 위해 아래와 같이 룬 줍기를 해 두었다면,
//----------------------------------------
// 주워 보관할 아이템 설정하기
//----------------------------------------
MyConfig_PickUpItemList.push([616, 1]); // Tal Rune
MyConfig_PickUpItemList.push([617, 1]); // Ral Rune
MyConfig_PickUpItemList.push([618, 1]); // Ort Rune
MyConfig_PickUpItemList.push([619, 1]); // Thul Rune
MyConfig_PickUpItemList.push([620, 1]); // Amn Rune
MyConfig_PickUpItemList.push([624, 1]); // Hel Rune
일단은 "주워 보관할 아이템 설정하기"에 따라 탈, 랄, 오르트, 주울, 앰, 헬을 1개씩 창고에 보관해야 하는게,
제대로 된 설정입니다.
혹시나 1개로 설정해 주었는데,
2개이상 주워오면, runes.nip에서 해당 재료룬을 주석처리 하지 않았다는 겁니다.
갯수를 설정하려면 scripts\NTBot\item_configs\runes.nip에서는 다음과 같이 주석처리 합니다.
//[Name] == TalRune //
//[Name] == RalRune //
//[Name] == OrtRune //
//[Name] == ThulRune //
//[Name] == AmnRune //
실제로, 저의 알바생을 스피릿 35/100으로 설정해 놓으면,
스피릿을 제작해 놓고도 룬을 설정한 수치만큼만 열심히 주워옵니다.
그래도 갯수 조정을 해 놓았기 때문에, 그렇게 부담되지는 않습니다.
6) 아이템 확인 및 보관 방식을 조금만 더 생각해보자! (여기서는 두가지를 생각해봅니다.)
scripts\NTBot\char_configs\NTConfig_Sorceress_케릭터이름.ntl에서 "아이템설정하기"를 열어봅니다.
- 첫번째는 아이템 보관방식입니다.
- 최초 설정은 MyConfig_StoreItem = [0, 3]; // 아이템 보관 방식 = [보관 아이템, 재료 아이템]
- * 보관 방식: 0 = 좌상단부터 좌우, 1 = 우하단부터 우좌, 2 = 좌상단부터 상하, 3 = 우하단부터 하상
- 이렇게 설정되어 있는데요, 본인의 취향에 따라 변경해 줍니다.
- 저는 MyConfig_StoreItem = [2, 3]; 설정하였습니다.
- 아이템은 좌상부터 상하(위/아래)로, 재료템은 우하단에서 하상(아래/위)으로 저장하게 했습니다.
- 최초설정대로 하면, 아이템은 좌상단부터 좌우로 보관하게 되는데요.
- 저는 파괴키도 줍게 설정하게 해 놓아서요. 가끔씩은 재료템의 영역(?)까지 침범을 하더군요.
- 더구나, 창고가 다 찼을때는 스태쉬에 보관하는데요.
- 스태쉬에서 좌우로 보관을 하니, 풀암류는 줍지 못하는 안타까운 현상이 발생합니다. ^^;
- MyConfig_StoreItem = [2, 3]; 아이템은 상하로, 재료템은 하상으로 설정하면 더 편합니다.
- 두번째는 아이템 확인할 때입니다. 기존에는 아이템을 주워오면, npc에게 가서 아이템을 확인 받았습니다.
- 그런데, 오늘부터(11/5)는 케인에게서 아이템을 확인하니, 더욱 빠른 진행을 할 수 있더군요.
- 설정 부분은,
- MyConfig_VisitCain = [0, 0, 0, 0, 0]; // 케인한테서 아이템 확인하기 = [액트 1(확인하러 갈 미확인 아이템 개수), ... , 액트 5]
- * 참고: 인벤토리에 미확인 상태로 줍도록 한 아이템이 있으면 작동 안 합니다.
- 최초 설정은 이렇게 되어 있는데요,
- MyConfig_VisitCain = [1, 1, 1, 0, 0]; 이렇게 고쳐서, 확인 받기전의 아이템(미확인)을 케인에게서 한번에 확인합니다.
- 다만, 액트1, 액트2, 액트3은 케인의 위치가 사냥 끝나고, npc 만나러 가는 동선에 있는데요,
- 액트 4, 액트 5는 동선에서 벗어나므로, 액트 4,5는 신중히 생각하세요. ^^;
7) 진짜로 스피릿이나 크랩아뮬이 돌려지나요???
- 스피릿이나 크랩아뮬이 제대로 돌아가는지 확인하는 제일 좋은 방법은... 하루종일 모니터링 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0-;;
- 시간적 여유가 없는 분들이 계신 만큼, 약간의 편법을 생각해 보면...
- 4솟 방패와 스피릿 룬을 창고에 넣어두고, 바로 봇 돌리면 됩니다. ^^;
- 크랩아뮬도 마찬가지로, 매직아뮬 + 랄룬 + 퍼자수정 + 주얼을 넣고, 봇 돌릴때, 모니터링 하면 됩니다.
- 스피릿 제작이나 크랩아뮬은 방 입장 후, 바로 작업을 합니다.
- 방입장 후 모니터링 해보고, 제대로 설정이 되었는지 확인해 보면 됩니다.
- 큐빙을 시작하기 전에는 왠만하면 큐브 안을 비우고, 봇을 돌려주세요.
- 봇 돌리기전에, 큐브안에 뭔가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 밑의 스샷은 큐브 안의 사진입니다. 크랩하기 전의 스샷을 찍었습니다.
8) 큐빙과 무관한 이야기입니다만,
- 13차 버전에서 추가된 "소서리스: 트라빈컬 안전하게 사냥하기(MyConfig_TravincalSafe) 추가"를 설정해 보아서 돌려보았습니다.
- 햄딘만큼은 아닐지라도, 파볼+오브 소소가 트라빈을 비교적 안전하게 잡더군요.
- 세팅은 파볼 + 오브소소이고, 콜투 들고 있습니다. 용병은 탈머리, 스톤, 통찰있습니다.
9) 스피릿 제작과 풀암류 큐빙과 관련.
- 스피릿 제작(35패캐/100이상으로 설정)
- 풀암류 큐빙(노솟을 주어서, 4솟 큐빙 성공시 매니져 창에 표시된 상태)
제8장 마무리
크랩을 할 때는 케릭의 레벨 영향을 받습니다.
인내심을 가지고 꾸준히 하다보면, 언젠가는 2팔라/20패캐, 2소소/20패캐의 아뮬이나
생각지도 못한 나만의 지존템을 얻을 수 있습니다.
그동안 사냥에만 신경을 썼다면, 이번에는 크랩이나 스피릿으로 지존템 한번 뽑아보세요. ^^;
행복한 저녁 보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