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민형 에쉴 3원소 봇순이
분류
캐릭 육성
조회 수
3,803
추천 수
17
오타가 있어서 글을 급하게 수정한다는 게 그만 지웠네요.
제 나쁜 버릇중에 하나가 눈보다 빠른 빛과 같은 속도의 마우스 클릭이라서요... -_-;;
문서 파일로 원문을 작성하는 습관이 들어서 다행이군요.
죄송합니다.
================================================================
제 소서의 특성은 에쉴 3원소 소서입니다.
(91레벨에서 기본형이 완성됩니다.)
어제까지만 해도 제 캐릭의 가장 좋은 아이템은 스피릿이었지요. -_-
하지만 이 캐릭으로 바알도 잡고, 디아런 방에서 풀방도 뛰고 그랬습니다. (바알 풀방은 무리더군요. -_-;;)
사냥 속도는 느리지만, 대신 죽는 일이 거의 없는 캐릭입니다.
■ 주력기술은 프로즌 오브입니다.
■ 콜드 내성을 만났을 때는 파볼로 상대합니다.
■ 콜드와 파이어 내성을 함께 가진 이뮨몹을 만났을 때는 체라로 공격합니다.
현재 체라는 959정도 데미지가 나옵니다. (라팅참 +3개)
물론 이렇게 해서 20번 정도 방을 돌면 1번정도 꼴로 치킨을 합니다.
그 이유는 이뮨몹과 마나번 몹이 동시에 나타났을 때만 그렇습니다.
그 외에는 죽는 일은 없습니다.

콜드 + 파이어 이뮨몹을 만나고 몹에게 둘러싸여 있어도 죽는 일은 없습니다.
쏘울의 마나번만 안 만나면요. -_-;

바알도 잘 잡습니다. 다만 마나가 좀 모자란 감이 있어서 브레스를 직격으로 받으면
1000의 마나를 거의 다 소모할 때도 있습니다.
이럴 때는 봇이 알아서 상점에 가서 마나 약을 사옵니다. -_-;;
이 특성의 장점은 마나가 조금이라도 남아 있는 한 죽지 않습니다.
(위의 스샷은 콜투가 없을 때인 엊그제 찍었던 장면입니다.
피와 마나가 1000 정도 입니다. 지금은 장비가 꽤 맞추어져서 피 1100대, 마나 2500정도 됩니다.)
━━━━━━━━━━━━━━━━━━━━━━━━━━━━━━━━━━━━━━━━━━━━━━━
1. 캐릭터의 스탯
■ 힘 : 모너크 스피릿을 들 수 있는 최소한의 힘을 찍습니다.
가능하면 신발에서 힘 스탯 10 이상이 있는 신발이 좋습니다.
■ 생명 : 옷을 모두 착용한 상태에서 피를 1000으로 채웁니다.
1000을 채우는 이유는 원래 에쉴소서는 노피 + 풀마나가 기본이지만, 이 특성은 3원소이고,
템이 구리기 때문에 마나번을 잘못 만났을 때 훅~ 가는 수가 있습니다. -_-;;
무기와 참, 그리고 옷 등을 다 입은 상태에서 피를 1000만큼 올립니다.
혹시 콜투가 있으신 분의 경우에는
옷을 다 입으신 상태에서 필드에서 오더로 피를 올린 후의 상태를 1000만큼만 올려줍니다.
그 후에 모두 마나로 올려주시면 됩니다.
■ 마나 : 힘과 피를 채운 나머지를 모두 마나로 돌립니다. 최소 1000 이상의 마나가 확보되어야 합니다.
추천 마나는 2000이상, 기본 마나는 1000이상입니다.
━━━━━━━━━━━━━━━━━━━━━━━━━━━━━━━━━━━━━━━━━━━━━━━
2. 착용 아이템
현재는 콜투와 소서 횃불이 있어서 피와 마나를 많이 확보한 상태지만, 엊그제까지는 그런 거 없었습니다.
다만, 이 캐릭을 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있어야 하는 장비가 몇 가지 있습니다.
■ 반지 : 반지는 최소한 하나 이상의 조단링이 필요합니다.
+1 스킬과 + 25% 맥스 마나 때문에 에쉴소서에게는 반드시 필요합니다.
가장 이상적인 조합은 쌍조단입니다.
추가로 있으면 좋은 반지로는 피스링 추천합니다.
"Slain Monster slept in peace"는 "평화를 되찾기위해 몬스터를 무찔러라"라고 발번역되어 있으나,
원뜻에서 알 수 있듯이 캐릭터가 죽인 몬스터의 시체를 없애줍니다.
옵션의 기능은 나락처럼 시폭을 하는 공격형 몹에게 시폭을 못하게 합니다.
캐릭의 급사를 방지할 수 있는 아주 좋은 반지입니다.
■ 아뮬 : 목걸이는 추천은 마라, 기본은 마힘또는 아이, 그래도 없다면 세라프를 씁니다.
■ 벨트 : 주력 공격이 콜드계열이기 때문에 소서 전용 벨트인 스노우 클래쉬 벨트가 좋습니다.
옵션중에 2스킬 블리자드, 3스킬 글리셜 스파이크는 프로즌 오브 다음의 주력기술로 아주 요긴합니다.
이 벨트가 있으면 아머를 찍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스킬 3개를 아낄 수 있습니다.
추천은 스노우 벨트, 기본은 탈벨트, 그것도 없으시다면 아무거나 생명력+마나 또는 레지가 좋은 걸 씁니다.
■ 장갑 : 반드시 프로스트번을 사용해야 합니다.
+ 45% 맥스 마나 옵션이 있기 때문입니다. 에쉴 3원소에게 장갑은 대안이 없습니다. 이것 뿐입니다.
프번의 단점은 방어력이 너무 낮다는 것입니다. 방어력이 40대 후반입니다.
따라서 프로즌 아머 이상의 스킬을 사용하시는 소서분들에게는 프번을 업글할 필요가 있는데요.
업글은 딱 한번만 하시길 권해드립니다.
노말 유니크인 프번을 입셉셜을 거쳐, 엘리트 유니크까지 업그레이드 하시면
오우거 건틀릿이 되서 힘제가 189까지 올라갑니다. -_-;;
저도 이거 몰라서 엘리트까지 올렸다가 하나 못쓰게 된 것이 있습니다. 꼭 입셀셜까지만 업글하세요.
■ 신발 : 힘 + 10 이상이면 대충 아무거나 씁니다. (힘을 아껴서 마나를 올려야 합니다.)
■ 뚜껑 : 마나 수급을 위해 탈뚜껑또는 그림 헬름을 써도 되지만, 샤코를 추천합니다.
이 특성은 스킬트리가 모자라기 때문에 최대한 보너스 스킬을 확보해야 합니다.
샤코에 소켓을 뚫어서 패캐 증가, +15올레, 상대의 콜드 레지감소,
생명력 또는 마나 증가 등을 박아주면 좋습니다.
샤코는 방어력을 제외하고 옵션이 모두 같은 명품이기 때문에 오래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러니 소켓을 하나 뚫어주셔서 위에 열거한 것 중에 적당한 게 있으면 일단 채워줍니다.
그 후에 더 좋은 게 생기면 넣은 것을 지우고 다시 넣으시면 됩니다.
추천은 소켓작업한 샤코, 기본은 탈뚜껑또는 그림 헬름입니다.
■ 갑옷 : 추천하는 갑옷은 신교복입니다.
콜드와 파이어 데미지 상승, 마나 리젠 + 10%이상의 좋은 옵션입니다.
랜덤 옵션 +3의 경우 콜드 스킬로 붙어 있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콜드데미지 +15%에 블리자드나 오브 +3이 있으면 3원소 소서에겐 정말 최고의 명품입니다.
단점은 구교복과 달리 올레지가 없기 때문에 소켓 작업으로 올레지 +15를 하실 것을 권합니다.
만약 레지가 넉넉하신 분이라면 신교복의 소켓에는 콜다이가 좋습니다.
기본은 구교복입니다.
소서 교복이 없으시다면 에쉴 소서에게는 세트 아이템인 나즈갑이 아주 좋습니다.
+1 모든 스킬 상승, 45% 데미지 마나로 흡수, +25 올레지, +65 라이프의 빠질 것 없는 옵션입니다.
나즈갑에 Um작을 해주면 올레지 +40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추천은 신교복, 기본은 구교복, 그것도 없으시다면 나즈갑이 좋습니다.
■ 무기 : 주무장은 신오브 추천하지만, 피가 터무니 없이 낮은 캐릭의 경우 비추천입니다.
그 이유는 신오브의 옵션 중에 1스킬 텔레포트 때문에 캐릭이 어디로 튈지 몰라
자칫 몹이 많은 곳으로 이동해서 맞아 죽을 수 있습니다. -_-;
레지가 충분히 확보된 캐릭이라면 엘드리치가 오히려 좋습니다.
주무장에는 소켓 뚫어서 상대의 콜드 레지를 +3이상 깍아주는 주얼이나,
콜드계열 공격력을 +3이상 올려주는 주얼을 박아주면 좋습니다.
부무장은 어차피 콜투가 없는 캐릭을 대상으로 한 설명이기 때문에
매직이나 레어 오브 중에 소서 스킬 +2 이상, +3 에너지 쉴드 또는 +3 인첸트가 있는 소서 오브가 있습니다.
그런 오브를 구하셨을 때는 오브+스피릿 이렇게 해서 7스킬 버프용으로 쓰시면 좋습니다.
■ 방패 : 묻지도 따질 필요도 없이 스피릿입니다.
━━━━━━━━━━━━━━━━━━━━━━━━━━━━━━━━━━━━━━━━━━━━━━━
3. 참 구성
Charm은 애니나 횃불이 있으면 좋습니다. 스탯과 레지를 아낄 수 있으니까요.
그러나 없어도 잘 돌아다녔습니다.
다만, 라이팅 참은 있으면 아주 좋습니다. 사냥 속도가 빨라지는 것이 눈에 보일 정도로 좋아집니다.
참 구성은
추천은 애니와 소서 횃불,
기본은 라이팅참, 그리고 누적 레지를 위한 원소 레지참이 다수 필요합니다.
특히 보스몹의 주력공격 기술인 파이어, 콜드의 누적 레지는 오버 세팅해야 합니다.
라이팅과 포이즌은 대충 75정도 맞추셔도 됩니다.
그것도 없으시다면 피참과 마나참, 레지참으로 도배를 합니다.
템이 안 좋은 서민형 소서에게 매직참을 넣고 다니는 것은 사치입니다. -_-;;;;;;
캐릭의 치킨율이 높을 때는 기드참 같은 자리만 많이 차지하는 참을 빼고,
피참이나 마나참, 레지참을 채워주세요.
━━━━━━━━━━━━━━━━━━━━━━━━━━━━━━━━━━━━━━━━━━━━━━━
4. 스킬 트리
91레벨에 기본 트리가 완성됩니다.
92레벨 후에 추가된 스킬은 파이어 계열에서 파볼트와 파이어 마스터리를 번갈아 찍으시면 됩니다.

일단의 트리는 이렇게 찍습니다.
■ 가장 먼저 완성해야 하는 트리는 콜드 특성입니다.
프로즌 오브와 콜드 마스터리를 20개 모두 채웁니다.
아머 계열은 프로즌 아머와 쉬버 아머 중에 하나를 하시면 되고,
스노우 밸트가 있으신 경우에는 벨트의 기본 옵션인 칠링 아머를 그대로 쓰시면 스킬을 아낄 수 있습니다.
■ 두번째 완성해야 할 트리는 라이트닝 계열입니다.
특성이 에쉴소서이기 때문에 에쉴까지 찍습니다. 에너지 쉴드는 하나 이상을 찍을 필요가 없습니다.
그 후에 에쉴의 시너지 옵션을 위해 텔레키네스를 찍어야 하는데요.
에쉴이 외부의 데미지 (내부의 데미지인 독 같은 경우에는 에쉴이 적용이 안 됩니다) 를 흡수하는 것은
기본일 경우 데미지에 대해 200%의 마나를 소모합니다.
텔레키네스는 이 마나 소모율을 줄여주는 시너지 옵션입니다.
텔레를 16개를 찍어 주었을 경우 마나소비를 100% 줄여주게 되어 데미지와 마나 흡수비가 1:1이 되게 됩니다.
그러나 여기서 짚고 넘어가야 할 것은, 반지나, 아이템 등으로 인해 추가되는 보너스 스킬에 의해서는
이 시너지 옵션이 증가하지 않는 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순수 텔레키네스 16개 찍어주셔야 합니다.
그 후에 에쉴을 찍기 위해 어차피 체라를 찍었으니, 라이트닝 마스터리도 하나 찍어 줍니다.
라이트닝 계열 + 50% 데미지 증가 옵션입니다.
■ 마지막으로 파이어 계열입니다.
콜드 계열의 이뮨을 만났을 때 사용하는 기술은 파볼입니다.
그래서 파볼을 20개 찍어주고, 파볼의 시너지를 위해 파볼트와 파마를 번갈아 가며 하나씩 찍어 줍니다.
이렇게 하면 91레벨에 각각 5개씩 찍어주게 되어 대충 2000 데미지가 나오게 될 겁니다.
인첸트에 1스킬을 투자하는 것은 옵션입니다.
하셔도 좋고, 안 하셔도 좋지만,
인챈트에 1포인트를 투자하시는 것이 사냥 속도가 빨라지고, 용병의 생존력에 좋습니다.
용병의 데미지와 어레를 함께 올려주는 좋은 스킬입니다.
━━━━━━━━━━━━━━━━━━━━━━━━━━━━━━━━━━━━━━━━━━━━━━━
5. 용병 세팅
에쉴 3원소 소서에게 용병은 특히나 중요합니다.
마나의 중요도가 다른 소서보다 월등히 높기 때문에 생명력보다,
마나의 수급이 얼마나 잘 이루어지는가에 따라 본캐의 생존이 달려있기 때문입니다.
통찰력을 들고 있는 용병이 죽어서 본캐의 에너지 쉴드가 꺼지면 죽는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_-;
따라서 최대한 용병 세팅에 신경을 쓰셔야 하고,
용병의 템이 낮아서 사냥중에 용병이 빨리 죽는다면 에쉴 3원소 소서를 하시면 안 됩니다.
■ 머리 : 용병 뚜껑은 +10이상의 생흡이 있는 뚜껑이 좋습니다.
추천은 안다 머리, 기본은 탈뚜껑, 또는 그랜드 크라운입니다.
■ 무기 : 에쉴소서는 마나 수급을 위해 통찰력을 쓰셔야 합니다.
순간 극뎀을 받을 때가 있기 때문에 15메디 이상의 통찰력을 추천합니다.
어차피 본캐가 이뮨을 다 잡아 버리는 3원소이기 때문에 비싼 무공은 필요없습니다.
■ 갑옷 : 추천은 인내 또는 스톤, 기본은 3소켓이 있는 그리스갑을 씁니다.
그리스갑의 경우 기본 디펜스 900이상이며,
소켓이 3개나 있어서 Um작을 할 경우 +45 올레지를 받을 수 있습니다.
올레지 외에 힘이나 생명력을 올려도 좋습니다.
제 용병도 어제까지는 소켓에 2개의 Um과 생명력 주얼작을 한 그리스갑으로 돌아 다녔습니다.
어제 스톤을 만들어서 입고 다니는데 올레지 45의 그리스갑과 별 차이는 없습니다.
차라리 인내를 만들 걸 후회중입니다. -_-;;
━━━━━━━━━━━━━━━━━━━━━━━━━━━━━━━━━━━━━━━━━━━━━━━
6. 봇 설정
■ HP / MP 물약 설정 :
우선 에쉴소서는 피 물약을 거의 먹지 않습니다. 마나만 있으면 죽지 않으니까요.
대신 가지고 있는 HP와 RV 물약은 모두 용병을 위해 쓰여집니다.
NTConfig_LifeThresh = 85; // 라이프가 설정치 미만이면 힐링포션 먹기
NTConfig_LifeRejuvThresh = 55; // 라이프가 설정치 미만이면 활력포션 먹기
NTConfig_MercLifeThresh = 85; // 용병의 라이프가 설정치 미만이면 힐링포션 먹기
NTConfig_MercRejuvThresh = 55; // 용병의 라이프가 설정치 미만이면 활력포션 먹기
본캐와 용병의 물약 수급을 비슷하게 맞춥니다. 그만큼 용병이 중요합니다.
명심하셔야 할 것은 용병이 죽으면 통찰력 효과가 사라져서 마나 수급이 나빠지고,
마나 수급이 나빠지면 에너지 쉴드가 꺼져서 본캐가 죽을 수 밖에 없습니다. -_-
따라서 물약의 설정도 용병에게 신경을 쓰셔서
가급적 용병의 피가 조금이라도 빠졌을 때 바로 수급해줄 수 있게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캐릭터 Config에서
// NTConfig_ManaRejuvThresh = 35; // 마나가 설정치 미만이면 활력포션 먹기
// MyConfig_ManaChickenTown = 25; // 마나가 설정치 미만이면 마을로 치킨하기
// NTConfig_ManaChicken = 0; // 마나가 설정치 미만이면 치킨하기
이 세 부분을 모두 주석처리 합니다.
마나가 없어도 활력포션을 먹지 말고, 마을로 도망가지도 말고, 치킨도 하지 말라고 시킵니다.
이 옵션을 끄는 이유는 마나 물약을 사기 위해 마을을 몇 번 들락 거리는 동안,
포탈 주위에 몹이 뭉쳐있을 수가 있어 이럴 때 치킨 확율이 올라가기 때문입니다.
사냥중에 바닥에 널린 게 마나 포션입니다. 그거 주워 먹으면 됩니다. -_-;;;
바닥에 마나 물약이 없으면 알아서 마을에 가서 사옵니다.
■ RV 물약 설정 :
활력포션은 본캐의 피와 용병의 피를 확보하기 위해 언제든 충분히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따라서 캐릭터 파일에서
MyConfig_SnagPotion = [0, 0, 3, 5] // 이 부분을 적당히 조절해서 RV를 늘 확보하고 있는 것이 좋습니다.
■ 벨트 포션 설정 :
용병이 최대한 살아 있어야 사냥이 빨라지기 때문에
용병의 피 관리를 위해 HP를 항상 많이 가지고 다녀야 합니다.
NTConfig_BeltColType = ["hp", "hp", "mp", "rv"];
벨트에 2줄의 HP 물약은 모두 용병을 위해 준비하는 것입니다.
캐릭은 에쉴때문에 HP 물약을 거의 먹을 일이 없고, 용병이 살아 있는 한 MP를 먹을 일이 거의 없습니다.
다만, 인내와 콜투가 없는 용병일 경우에는 HP물약을 2줄로 해도 모자랄 때가 있습니다.
MP의 경우 마나 1000을 넘기는 데미지를 받을 때가 있고, 마나 번을 당할 때를 대비해서 1줄의 MP를 챙깁니다.
■ 캐릭터의 HP 관리 설정 :
아무리 에쉴 소서라고 하지만, 누적 레지가 낮을 경우 HP가 순식간에 바닥을 칠 수 있습니다.
이럴 때는 일정치 이하로 피가 깍일 경우 마을로 가서 NPC에게 힐을 받을 필요가 있습니다.
MyConfig_LifeChickenTown = 45; // 라이프가 설정치 미만이면 마을로 치킨하기
생명력이 낮을 경우 마을로 포탈타고 가는 설정치를 40 - 45% 정도로 맞추어 줍니다.
에쉴 소서는 다른 소서에 비해 생명력이 아주 낮기 때문에 그 이하로 설정할 경우 위험합니다.
또한 나락을 잡도록 되어 있다면, 나락의 하위 스크립트인 툼 바이퍼 부분도 설정해줍니다.
MyConfig_PindleskinTombViper = true; // 툼 바이퍼 있으면 니라트하크 잡지 않기
나락의 주위에 툼 바이퍼가 있을 경우 캐스팅이 끊길 수 있어 아주 위험합니다.
이렇게 설정을 해 놓으면 툼 바이퍼가 있을 경우 자동으로 다음 경로로 옮겨 갑니다.
■ HP 물약 먹는 속도 설정 :
용병의 생존을 위해 물약 먹는 속도를 조절해 줘야 합니다.
\scripts\NTBot\tools 폴더에서 NTToolsThread.ntj 파일을 찾아서 엽니다.
열려진 문서창에서 검색으로 "if (_My_timerLastDrink[type] && (_time - _My_timerLastDrink[type]) "을 검색하셔서
아래의 스크립트를 찾아 냅니다.
if (_My_timerLastDrink[type] && (_time - _My_timerLastDrink[type]) < 1800) // <- 이 부분의 숫자를 조절합니다.
return false;
_potionType = "hp";
break;
물약을 먹는 속도를 지정하는 부분인데요.
이 부분에서 속도를 조금 바꿔줍니다. 기본이 아마 3000, 3초로 지정되어 있을 건데요.
용병이 몹에게 둘러싸여 있고, 다굴을 맞는 상태라면 3초안에 죽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최대한 용병의 생존을 위해 물약 먹는 시간을 1.8초 정도로 조절합니다. (1800이 1.8초입니다.)
너무 빨리 물약을 먹게 하면 피가 회복되는 속도보다, 물약을 먹는 속도가 빨라
포션을 한번에 모두 소모할 수 있으니 적당히 조절합니다.
단, MP와 RV의 경우 조절할 필요가 없습니다.
에쉴 소서이기 때문입니다. -_-ㅋ
━━━━━━━━━━━━━━━━━━━━━━━━━━━━━━━━━━━━━━━━━━━━━━━
7. 사냥 방법 설정
■ 콜드 스킬 공격 :
MyConfig_AttackSkill[0] = [42, 25]; // 처음 한 번만 공격할 스킬 (42 : 스태틱 )
일단 몹을 만나면 첫방은 스택틱 뿌려줍니다.
보너스 스킬이 많을 경우 몹의 피가 7 - 80%에서 사냥이 시작됩니다.
MyConfig_AttackSkill[1] = [64, 25]; // 대장 공격할 스킬 (64 : 프로즌 오브)
MyConfig_AttackSkill[3] = [64, 25]; // 부하 공격할 스킬 (64 : 프로즌 오브)
그 후에 주력 공격기술인 포로즌 오브 난사합니다.
MyConfig_AttackSkill[2] = [55, 25]; // 1번 쿨타임 동안 공격할 스킬 (55 : 글레셜 스파이크)
MyConfig_AttackSkill[4] = [55, 25]; // 3번 쿨타임 동안 공격할 스킬 (55 : 글레셜 스파이크)
오브의 쿨타임에는 글리셜 스파이크를 뿌려줍니다.
특히 글리셜 스파이크는 캐릭이 다수의 몹에 둘러 싸여있을 때
몹을 3초간 얼려놓고 용병이 처리할 수 있는 시간을 벌어주기 때문에 아주 좋습니다.
알고 보면 이 기술은 범위공격 기술입니다. 그래서 근처에 있는 몹이 얼어서 가만히 있습니다.
■ 파이어 스킬 공격 :
MyConfig_AttackSkill[5] = [47, 25]; // 1, 3번 저항 시 공격할 스킬 (47 : 파이어 볼 )
그러다 콜드 내성을 만나면 파볼로 상대를 합니다.
■ 라이트닝 스킬 공격 :
MyConfig_AttackSkill[7] = [53, 25]; // 1, 3, 5번 저항 시 공격할 스킬 (53 : 체인 라이트닝 )
사냥중에 어쩌다가 파이어와 콜드를 함께 가진 내성몹을 만나면 이때 체라로 승부를 냅니다.
보너스 스킬이 많은 캐릭의 경우 통상 1000의 데미지를 주실 수 있고,
평균적으로 800이상의 데미지를 줄 수 있습니다.
■ 파볼오브 소서가 2가지 특성의 이뮨몹을 만났을 경우 용병이 상대를 하는 동안 기다리는 것 보다
캐릭이 직접 스태틱과 체라로 승부하는 이 특성의 사냥이 안정적입니다.
━━━━━━━━━━━━━━━━━━━━━━━━━━━━━━━━━━━━━━━━━━━━━━━
8. 사냥터
에쉴 3원소 소서는 전 필드가 가능하지만, 추천하는 사냥터는
엑트1 : 머셜리엄-> 피트-> 카운테스-> 안다리엘
엑트2 : 라다먼트-> 고대하수도-> 소환술사-> 듀리얼
엑트3 : 메피
엑트4 : 디아블로
엑트5 : 엘드리치->소켓->핀들+나락->스넵치프쉐터->바알
추가 : 시크리트 카우
이렇게 잡는 것이 좋고,
사냥터의 순서에는 디아블로를 잡기 직전에 머셜리엄이나 피트를 넣어주시고,
바알을 잡기 직전에 고대하수도를 넣어 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그 이유는 보스몹을 잡기 전에 잔몹이 많은 피트와 하수도에서
모자라는 RV를 챙겨서 창고에 넣어둘 수 있기 때문입니다.
■ 주의하셔야 하는 보스몹이 있는데요.
엔야 구하는 동굴에 있는 프로즌 스타인은 이상하게 마나와 피가 쭉쭉 깍입니다.
단지 콜드 내성인 털복숭이일 뿐인데요.
이 몹을 사냥 순서에 넣으면 꼭 여기서 치킨 확율이 엄청나게 올라갑니다.
★빠루님의 제보로 프로즌 스타인은 마나번을 하는 보스몹이라고 하시네요.
마나번 보스는 에쉴소서에게 치명적이니 사냥순서에서 꼭 빼주시길 바랍니다.
■ 나락도 주의하셔야 합니다. 나락의 경우에는 시폭을 쓰는데요.
초반에 마나와 피가 많지 않을 때에는 나락의 시폭 공격으로 한방에 훅~ 갈 수가 있습니다. -_-
이럴때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아이템으로 피스링이 있는데요. 몬스터가 시폭을 쓸 수 없게 만들어 줍니다.
하지만 피스링이 없을 경우에는 나락을 잡는 것을 몇 번 지켜보신 후 잘 잡으면 사냥순서에 넣어두시고,
시폭으로 치킨을 하면 꼭 빼주시길 권해드립니다.
━━━━━━━━━━━━━━━━━━━━━━━━━━━━━━━━━━━━━━━━━━━━━━━
9. 끝맺음
이 정도로 하면 오심, 콜투가 없어도 치킨율 거의 없이 바알도 잡고 풀방도 갈 수 있습니다.
아래의 이미지를 보시면 92레벨의 에쉴 3원소 소서는 9번의 방을 만드는 동안 한번도 치킨을 하지 않았습니다.
첫번째 방의 빨간 글씨는 렉으로 인한 포탈 미스 에러입니다.

위에 말씀드렸듯이 이상하게 몹이 아픈 프로즌 스타인을 제외한
나머지 보스몹과 카우는 충분히 돌 수 있지만, 좋은 걸 먹은 게 없어서 저는 뺏습니다. -_-;;
이렇게 사냥을 하시면 상단의 이미지에 보시듯이 30분정도 걸립니다.
비록 천천히 잡는 편이지만, 이런 세팅으로 사냥을 하시다가 좋은 룬이나 템을 장만하시면
상급의 세팅인 극체라로 넘어가시거나, 또는 좋은 알바생인 팔라로 전환하시면 됩니다.
에쉴 3원소 소서는 래더 초기나, 처음 키우시는 분께서 헬에서 사냥하기 위해 잠시 사용하는 것입니다.
치킨이 없다는 것이 장점이지만, 대신 속도가 느리다는 점 잊지 마시길 바랍니다.
아이템이 안 좋은 서민형 소서를 위한 추천 특성이므로, 태클은 가슴 아파요. ㅜ_-;;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항상 건강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