듀얼용 Only 파이어소서 육성기 (수정)_2006/4/30
분류
육성
조회 수
6,993
추천 수
0
스샷2 - 최근에 바바함성+에테큐빙현명갑 착용시 방어력입니다.
안녕하세요 선형동물입니다.
이 글은 저의 첫번째 소서리스 육성기입니다.. 사실 소서리스 육성은 많이 해봤지만 아주 괜찮은 캐릭은 키운적이 없기에 육성기를 올릴 일이 없었군요.
언제나처럼 저의 디아목표는 [저렴하게] 그리고 [효율적인] 입니다^^ 이 점 상기해주시기 바랍니다.
@@@@ 1. 목표 @@@@
이 캐릭은 [듀얼]을 목적으로 합니다. 사냥하고는 별로 인연이 없죠^^ 듀얼전을 위해 키운 캐릭인 만큼 사냥용 파이어소서를 키우실 분이라면 살며시 <<뒤로가기<< 를 눌러주세요~
그 중 제가 특징로 잡은 것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파이어볼트와 파이어볼의 데미지의 극대화
2. 블럭률과 방어력
@@@@ 2. 스킬트리 @@@@
간단합니다. 파이어볼 계열의 스킬트리를 탑니다.
火계통-
파이어볼트 20
파이어볼 20
메테오 20
파이어마스터리 20
웜쓰 1
그리고 길목스킬 하나씩-
電계통-
텔레포트까지 하나씩, 텔레포트 1
氷계통-
쉬버아머까지 길목 하나씩 찍고, 쉬버아머는 레벨되는 데까지 눌러줍니다.
설명: 방어력의 극대화를 위해 콜드계열에서 쉬버아머를 찍습니다. 처음에는 프로즌아머를 올려서 스킬을 하나라도 아낄까 고민했습니다만 프로즌 아머는 레벨당 방어력 증가가 5%이고, 쉬버 아머는 6%이기에 쉬버 아머로 정했습니다.(더구나, 프로즌 아머의 경우 1레벨 방어력 증가가 30%이지만, 쉬버 아머의 경우 45%였습니다.) 칠링 아머는 역시 5% 증가이므로 제외했습니다.
이렇게 스킬트리를 구성할 경우 총 110 스킬포인트가 필요하며, 98+12개의 스킬포인트 이므로, 레벨 99에서 쉬버아머를 20을 달성할 수 있습니다.
(물론 전 귀찮아서 90까지만 키웠습니다)
@@@@ 3. 아이템 세팅 @@@@
앞서서 말씀드렸던 부분으로, 전 블럭률과 함께 [방어력]도 올릴 생각이었습니다. 특히 어레가 낮은 잡씬, 잡딘의 경우 방어력만 높으면 우습게 잡을 수 있다는 장점도 있습니다.. 멀티샷도 조금 막아줍니다. (하지만 제가 예상한 만큼은 아니었습니다.)
고로 전사전용 세팅은 이렇습니다-
★★★★ 전사전용 세팅! (극방어력)
투구: [sheal]작 샤코
무기: 파이어 유닉주얼작 3스킬 엘드리치 (물론 파이어증뎀이 높을수록 좋습니다)
☆갑옷: 스톤작 발록(힘제를 맞추기 위해) 또는 샤작 발록스킨.
방패: 유닉 모너크(리콰주얼작)
신발: 돌석이
장갑: 업글매피장 (2업글은 비싸므로;;)
링 1,2: 힘 패캐링 - 천상링을 추천합니다.
아뮬: 천상아뮬
벨트: 유닉 스파이어웹 벨트
W 스왑용 무기-
콜투암 + 그림쉴드(또는 스피릿)
☆패스트 캐스팅은 엘드리치(40)+매피장(20)+쌍 패캐링(20)+스웹(20)+천상아뮬(10) = 딱 110 입니다.
★패힛은 발록스킨(50)+샤코(20)+돌석이(20) 으로 딱 90 입니다.
하지만 이렇게 세팅할 경우, 레지가 상당히 낮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레지문제는 돌석이와 천상아뮬로는 부족하고, 필히 워자드를 창고에 준비해두시는게 좋습니다.
[유닉 발록스킨]의 장점은 높은 생명력 증가, 2스킬이라는 매리트, 패힛, 그리고 무엇보다 높은 방어력(!)입니다. (제 것은 1400짜리였습니다)
즉, 소서의 필수인 스킬과, 방어력까지 증가시켜주는 점에서 매우 좋은 갑옷이었습니다. 또한 리콰주얼작 모넉의 힘제가 133이지만, 모넉에 힘이 30붙어있으므로 굳이 리콰주얼작을 하지 않아도 착용가능합니다.(165힘제입니다) 그리고 샤작을 할 경우 패힛이 50 입니다.
즉 전사전에서 소서에게 발록스킨만한 갑옷은 없었습니다. 이렇게 세팅하고 쉬버아머를 외친 결과(90렙) 약 6000~7000 대의 방어력을 보였습니다.
또다른 세팅인 [스톤작 발록]도 매우 쓸만합니다.
현존하는 방어구중, 힘제가 165이하(모넉에서 받는 힘 이상으로 투자하는 것은 스탯낭비죠)이면서 가장 높은 방어력을 보여주며, 때문에 제 소서는 전사전 세팅으로 스톤작 발록을 쓰고 있습니다. 지금 렙 90에 방어력이 9000이 넘으니까.. 대충 99까지 가면 10000은 가뿐히 넘길 수 있습니다.
(하지만 1만을 넘긴다고해도 어디까지나 보조적인 역활입니다. 솔직히 혼돈씬, 잡딘 상대시나 좋습니다)
★ 그럼 이런 질문을 하실 분이 계실겁니다.
Q. 법사전에서는 딸리는 레지를 어떻게 보충하나요?
A. 그럴 경우, 필요없는 스톤이나 발록스킨을 [소서구교복]으로 대체하는 것으로 해결 가능합니다. 움작 소서교복의 경우 50레지가 보충되며, 30패캐가 붙어서 패스트캐스팅 세팅에도 자유로워집니다.
@@@@ 4. 스탯 @@@@
힘: 리콰모넉을 낄 수 있는 힘(133)에 맞게 참(수단)과 아이템(방법)을 가지리 말고 끌어내리시길 바랍니다. 대충 소서라지참+애니참+힘 스킬참+천상링 정도로 압축될 수 있습니다.
민첩: 최소치는 레이븐(20)을 끼고 75% 블럭률을 달성해야합니다.
생명력: 힘, 민첩을 제외하고 투자하시길 바랍니다.
에너지: .................아,이런 게 있긴 있었군요! (무시하시면 됩니다)
@@@@ 5. 듀얼에서의 요령 @@@@
주로 아시아3 스탠다드에서 카오스큐브 맴버분들과 공방사람들을 상대로 했습니다. 결과부터 말씀드리면,
① 상대가 컨트롤이 미숙하면, 어떤 캐릭이건 간에 쉽습니다. 불변의 진리이자, 디아블로는 컨트롤이 가장 중요하다는 것을 알려줍니다. (이 말은 반대로, 파이어소서의 경우에도 초보자가 다루면 쉽게 자빠진다는 결론에 이릅니다.)
② 상성을 넘어서는 것이 있으니 '세팅'입니다. 원소캐릭의 비운이지만, 상대가 극강의 파이어레지와 흡수세팅으로 무장한다면, 제 아무리 컨트롤이 신의 경지라 할지라도 [절대로] 이길 수 없습니다. 데미지를 못주니까요.
③ 상대가 세팅을 하지 않는다는 전제조건하의 대전 결과는-
바바리안 : 상대가 어떤 바바이건 상관없이, 높은 승률을 보입니다. 왜냐면 바바리안은 접근전 캐릭이고(쓰로잉바바 보기가 하늘의 별따기보다 힘들죠..) 이 캐릭은 블럭과 리듀가 '만땅' 입니다. +a로 방어력까지 높습니다.
그리고 바바리안의 약점인 휠윈드는 휠을 도는 사이에 컨트롤이 불가능하므로, 상대가 바바리안이라면 유인해서 휠을 돌게 하고 살짝 빠져서 [파이어볼]을 먹여주면 됩니다.
(물론 일부의 극한의 데미지를 가진 바바리안의 경우 [원샷원킬]을 보여줍니다. 이 경우는 최대한 맞지 않게 하면서 견제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마존 : [운]이 상당히 작용합니다. 아마존은 [어보이드]가 있고, 소서는 [블럭]이 있습니다. 결국 둘 다 피가 적기 때문에 누가 더 많이 [회피]가 일어나냐가 중요합니다.
하지만 상성적으로는 제 아무리 신뢰마라고 할지라도, 파고 들어가서 맞추기 시작하면 소서가 이깁니다. [파이어볼트] 보다는 [파이어볼]이 좋습니다.
자벨마 : 원샷원킬의 데미지만 피한다면, 매우 쉬운 상대입니다.
해머딘 : 해머딘은 두 종류가 있습니다. 첫째는 위렉을 쓰는 해머딘. 상대가 [보이지 않기]때문에 까다롭습니다. 해머도 안보이므로 상당히 주의를 요합니다. 요령은, 상대가 위렉을 쓰며 유인하면 [절대] 다가가지 않고 견제만 하면서 뒤로 빠지는 게 상책입니다. 또한 같은 자리에 오래 있으면, 갑자기 나타난 상대의 해머에 사망하는 경우가 종종 생깁니다.
그리고 상대적으로 위렉을 쓰지 않고 텔레포트를 쓰는 해머딘은 잡기 쉽습니다.
차지딘/슴딘 : 이 캐릭이 무슨 캐릭이죠? 바로 '극차'를 막기위해 블럭과 리듀, 방어력을 높인 소서입니다. 즉 상성상 최고의 효과을 보여주는 캐릭들이며, 매우 [손쉽게] 잡을 수 있습니다. 물론 이것은 소서리스의 컨트롤이 뒷받침줘야 합니다.
피스트딘 : 피스트딘의 레지깍기에 맞춰, 그 누적레지만 맞춰주면 쉽게 이길 수 있습니다. 물론 레지가 부족하면 원샷에 골로가는 수가 있습니다.. 워자드 정도는 들어주시길. 일단 붙으면 소서가 이깁니다.
전사형 드루 : 묶어서 전사형 드루로 표현하겠습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싸워본 적은 없지만 과히 슴차딘보다 떨어지는 상대입니다.
엘리드루 : 싸이클론 아머가 비록 한방에 깍인다고 해도, 매우 무서운 상대입니다. 피통도 크고 우선 맞기 시작하면 그자리에 누울 가능성이 매우 크죠. 고난이도의 태크닉이 요하며 상대의 유인과 머리찍기에 절대 당하지 않아야합니다. 그리고 엘리드루가 세팅하는 것 같으면- 싸우지 마세요. 정말 대책이 안섭니다.
소서리스 : 서로 신사적으로 세팅하지 않는다면, 한방싸움입니다. 파이어소서는 말 그대로 컨트롤 싸움이고, 라이트닝 소서전에서는 너무 붙지 마세요. 썬더 떨어지면 패힛이 감소하므로 위험합니다. 블리소서는 블리자드만 피하면서 견제하는 것이 좋습니다.
본넥 : 최악의 상대입니다. 레지까지 어느정도 맞춘 네크로는 버거운 상대입니다. 컨트롤이 되는 네크로맨서는 세팅도 안합니다. 할 필요도 없죠. 온몸의 신경을 곤두세우고 상대의 모습과 스피어/스피릿을 피하면서 상대하세요. 본스피릿의 경우 일단 발견만 당하면 추격하기 때문에 장소를 잘 잡아야하고, 한번 걸렸다 싶으면 충분히 도망치세요. 어설프게 도망치면 보이지않지만 따라온 스피릿에 맞아죽습니다. 스피어 연사도 한방에 들어가면 연타에 죽는 수가 있습니다.
결론은 끊임없이 피하면서 상대에게 [파이어볼트] 를 밀어넣어주시길 바랍니다.
독넥 : 본넥에 비해 수월합니다. 근접캐릭에 가까우므로.. 다만 파골이 파이어내성이므로, [파이어볼트]보다는 [파이어볼]이 유용합니다.
조폭넥 : 싸운적이 없어서 뭐라고 드릴 말이 없지만, 아마 소서리스가 전력으로 도망가면 절대 못따라올듯 합니다..
혼돈씬 : 골치아픈 캐릭입니다. 우선 페이드를 시전하면, 레지가 급격히 올라가고, 상악과 독이 매우 무섭죠. 멀리서 견제하되 상대가 들어오면 '뒤로 돌격' 하는 게 좋습니다. 특히 위폰블럭때문에 파이어볼이 잘 맞지 않으므로 정면승부는 상당히 위험합니다. 레지가 된다면 트랩은 무시해도 됩니다.(데미지가 별로라서요)
트랩씬 : 트랩지역을 피해서 본체를 노리면 됩니다. 솔직히 싸워본 적은 없습니다.
킥신 : 바바리안도 못뚫는 블럭을 킥신이? 무리죠. 드플로 날라오면 [파이어볼]을 날려주세요. 알아서 사망합니다.
여기까지 저의 경험을 토대로 작성한 듀얼전 결과입니다. 결론은, 전사전은 강하고 법사전에는 약하다- 정도랄까요?(퍽)
④ 마지막으로 당부드리면-
듀얼은 어디까지나 하나의 캐릭터를 조종하는 겁니다. 슷하처럼 물량전도 아니고, 카오스처럼 단일 캐릭을 조종하는 것이기 때문에 장비, 상성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컨트롤입니다. 컨트롤~ 이야말로 말로 표현할 수 없는 오묘한 세계죠.
pS: 저는 천상아뮬과 함께, 송윤아 아뮬도 가지고 다닙니다. 힘 19가 붙어있기때문에 세팅이 조금 자유로워지죠.
추가: 지금 세팅은 약간 변경했습니다. 전사전 세팅으로 샤코/엘드리치/천상아뮬/에테큐빙작 [현명]/모넉/쌍패캐링/매피장/스웹을 끼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