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K용 방구마..
분류
육성
조회 수
13,940
추천 수
0
순전히 제 경험으로 봤을때..
풀방에서 방구마로 사냥하기란 좀 무리가 있었습니다..
그래서 아에 pk 용으로 전향을 해 봤습니다...
이번에도 역시 드리고 싶은 말씀은..
재미로 키워보실 분만 키우세요 ㅋ
pk 시 승률이 생각보다 높진 않습니다...
그리고 141k 방구마보다 뎀지도 좀 떨어지며.. 가격도 더 비싸네요
그럼 설명드러가겠습니다..
1. 아이템 세팅.
머리 - (2아마스킬/30달려/2솟30달려/3솟) 올 -5/5 포다작
제가 독이 부족해서 30달려/3솟을 구하질 못해서 정확한 비교는 하지 못했습니다.
방구마의 주 스킬인 플레이그 재벌린의 뎀지를 올리려면..
스킬을 많이 올려주셔야합니다..
하지만 스킬이 올라갈수록 초당 숫자가 올라갑니다..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플레이그 재벌린..포이즌 재벌린 스킬이 43일때(포이즌 재벌린은 시너지 스킬입니다.)
19.8초당 102k (1초당 약 5k) 가 들어가고.
위의 두 스킬이 41스킬일때 19초당 89k (1초당 약 2k) 가 들어갑니다.
41스킬보다 43스킬일때 0.8초가 더 늘어난 셈이죠..
여기서.. 30달려/3솟을 쓴다면 -5/5 포다주얼의 효과를 더 볼수 있습니다.
5% 포뎀쥐 업이 된다고 해도 2스킬만큼의 뎀지를 채워주진 못할겁니다.
하지만 상대방의 포레지를 -5% 더 깍죠.. 피케시에는 포깍이 중요시 생각됩니다..
아무튼.. 취향에 맞게 고르시길 바랍니다..
가격대 성능비를 생각한다면 2스킬/30달려/2솟 추천.
무기 - 타이탄.
타이탄은 아무거나 들어주심 됩니다..
주 스킬인 플레이그 재벌린은 무기자체의 뎀지에는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하지만 여력이 되신다면 에테 업타이탄이 좋겟네요..
그 이유는 스킬 설명하면서 보충설명하겠습니다.
갑옷 - 수수
피케시 기동력을 높여주기 위해 사용합니다..
네크가 뼈로 가둬버리면 빠져나올 방법이 텔 밖엔 없죠 ㅋ
달려로 커버하려면 상당한 컨트롤이 필요할겁니다 ㅋ
컨트롤이 되신다면 검딸도 괜찮겠네요
저는 메이지수수를 사용합니다..
힘제가 낮고.. 가장중요한것은 메이지의 무게가 가장 가벼운 계열이라는거죠..
갑옷과 방패의 무게는 달려에 영향을 줍니다.. 물론 아칸갑도 가장 가벼운 계열입니다.
방패 - 모넉4솟 -5/5 포다작
모넉을 사용하는 이유는 4솟 방패중 힘제도 가장 낮으며..
무게도 가장 가벼운 계열이라는겁니다..
블럭율도 좋은편이구요..
쌍패모넉을 사용하시면 가장 좋지만 이 또한 후덜덜한 가격입니다..
저는 노말 모넉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쌍패의 옵은 덱스로 커버할수 있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장갑 - 트랑울셋
3자벨스킬/20공속 매직 장갑을 사용해 보았습니다..
뎀쥐가 크게 상승하기는 하나.. 아까도 설명했듯이.. 초당 숫자가 올라갑니다..
그리고 플레이그 재벌린 스킬의 최대 단점인 쿨타임을 줄일 방법이 없다는거..
즉, 공속이 필요없다는겁니다...
트랑장갑은 20패캐에 25%포이즌스킬 뎀지 상승이라는 좋은 옵이 있습니다..
조금 있다 설명을 더 드리겠지만.. 패캐가 필요합니다..
벨트 - 만땅 스웹
1스킬/20패캐/5%맥심마나..
텔을 막 후리고 다니면 마나가 상당히 딸립니다..
스킬로 뎀쥐도 올리고... 패캐도 있고.. 딱입니다..
신발 - 업 샤크스킨부츠
업 샤크부츠의 힘제는 91입니다.. 디펜이 높을수록 피케용 캐릭에겐 좋죠..
여기서는 디펜이 높을수록 공격당할 확률을 줄여준다는 사실만 얘기하고..
왜 그런지에 대한 이야기는 생략하겠습니다..
정보란에 가면 어레와 디펜의 상관관계에 관한 글이 있습니다.. 참조하세요..
스캐럽부츠를 사용하지 않는 이유는 간단합니다..
스캐럽부츠에서 올려주는 바이탈이란 옵 때문입니다..
이것은 콜투로 함성을 질렀을때.. 피를 뻥튀기시켜주지 못한다는 거죠..
많은 분들이 착각하고 계신것중 하나인데..
바이탈/애너지/렙당 피/렙당 마나... 이 네가지 옵은 함성으로 뻥튀기 시킬수 없습니다.
아뮬 - 18패캐 아뮬.
저는 20패캐/40피/13올레 아뮬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스킬이 붙으면 더 좋긴하겠죠... 하지만 구하질 못해서
아무튼.. 기본 18패캐 이상은 되어야 합니다..
장갑20/스웹20/패캐링10/아뮬18... 패캐 합은 68 입니다..
즉, 패캐 프레임은 13프레임이 됩니다..
더 이상의 프레임을 줄이긴 무리더라구요...
아무튼 13프레임을 만족시키기 위해선 18패캐 아뮬이 필요합니다.
피와 올레는.. 위의 세팅에서도 알수 있지만..상당히 딸립니다..
그래서 피와 올레는 높을수록 좋습니다..
링 - 레이븐 + 패캐링
레이븐은 20덱스만 되면됩니다..
플레이그 재벌린은 어레의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자벨마의 생명인 달려가 얼어서 무용지물이 되면 안되니.. 꼭 껴주세요..
패캐링.. 아뮬에서도 설명했듯이 13프레임을 만족시켜 주려면.. 꼭 필요합니다.
여기에서도 피와 올레를 올려주는게 중요하죠..
저는 10패캐/40피/10올레 링을 사용합니다..
스탯과 마나가 붙어주면 더 좋겟죠.. 하지만 가격이
스왑 - 크리콜투 + 드림방패/용방패
피케용 케릭이라면 콜투 수치가 높을수록 좋습니다.. 피 뻥튀기 용이죠..
그리고 드림방패/용방패...
방구로 적을 가격했다고 가정합니다...
이때.. 적의 피는 독때문에 계속 줄어들겁니다..
하지만 죽지는 않죠... 피가 1이 되긴하겠지만 죽진 않습니다..
마무리할 스킬이 없는 방구마에겐 드림방패나 용방패가 필요합니다..
저는 현재 드림방패를 사용하고는 있지만..
용방패가 더 좋을듯 하군요...
피케하는 사람이라면 왠만하면 라이트닝레지는 잘 맞추고 다니는게 일반적입니다..
용방패를 사용해보진 않아서 정확히 말씀드리긴 어렵네요. 취향에 맞춰고르세요..
지난 141k 방구마편에선 제가 콜투활을 사용한다고 말했습니다.
경험상으로.. 피케시 활로 견제를 할수 있어 좋긴합니다만..
역시 방패가 없으니 블럭이 안되더군요... 뎀쥐도 좀 많이 딸리구요..
컨트롤로 커버 하실수는 있을겁니다.. 커버가 된다면 콜투활이 더 좋을수도 있으니..
자신의 상황에 맞게 세팅하세요..
참 - 애니 + 횃불 + 자벨달려참 + 자벨패힛참 + 달려레지참
애니와 횃불을 선택할때 저는 레지 만땅인걸 선호합니다..
앞에서도 말했듯이 방구마는 레지가 취약합니다..
물론 만땅 애니.. 만땅 횃불을 사용하면 더할나위 없겠지만요..
그랜드참은 달려자벨참 6장(총 197%달려).. 자벨패힛참 3장을 깔아줍니다..
패힛참에 대해선 스킬편에서 보충설명 드리겠습니다..
스몰참은 달려스킬에 레지 붙은걸 사용합니다..
상대에 맞춰서 달려 파레참을 도배할수도 잇고. 달려 라레참을 도배할수도 있습니다..
미리 여분을 준비해 둔다면 상황에 맞게 대처할수 있겠습니다..
2. 스탯편
힘 - 아이템 찰만큼
덱스 - 블럭율 75% 까지
바이탈 - 나머지 올 투자.
애너지 - 찍으면 망합니다.
3. 스킬편
방구마는 스킬이 많이 남기 때문에 개인취향에 맞춰서 적절하게 분배하면 되겠습니다..
일단 제가 찍은대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자벨스킬 - 포이즌재벌린20/라이트닝볼트20/플레이그재벌린20/라이트닝퓨리20
라이트닝볼트와 라이트닝퓨리를 마스터한 이유는...
도망다니느라 스왑이 여의치 않은경우..
스왑시 타이탄의 30%달려를 상실.. 느려져서 타 캐릭에게 잡힐우려가 있을경우를
대비한것입니다... 벽에다가 퓨리를 쏘면.. 튕겨나오는 퓨리가지가 있습니다..
이것으로 상대를 가격할수도 있죠...
그래서 아템 설명할때 에테업타이탄이 좋다고 말한겁니다..
라이트닝볼트는 퓨리의 시너지 스킬입니다.
설명이 좀 거창하긴 합니다만.. 거의 사용하진 않습니다 ㅋㅋ
어디까지나 제 취향이니깐요 이건...
그리고 포이즌 자벨린은 플레이그 자벨린의 시너지 스킬이므로 마스터 해줍니다.
보우스킬 - 노터치
콜투활을 쓰실 분이라면 가이드 20개 찍어줍니다...
멀티샷은 길목으로 1개만 찍습니다..
아템 세팅이 활아마 세팅이 아니라 어레가 후달립니다..
즉, 왠만한 피케용 캐릭이라면 이 아마의 멀티샷을 맞을 일은 거의 없다.. 라는겁니다.
가이드는 어레의 영향을 받지않기 때문에
뎀지가 높을수록 유리합니다...
패시브스킬 - 닷지1/어보이드1/이베이드5/나머지 디코이 투자
회피 3형제의 회피율이 너무 높으면 피케시 정말 걸리적 거립니다..
피하느라고 이동을 못하는거죠...
예를 들면... 본넥을 상대로 했을때..
뼈에 둘러싸였다고 가정합니다..
이때 텔을 써서 빠져나가야 하는데...
회피율이 높으면 공격을 피하느라고 텔을 못 씁니다...
그래서 저는 닷지1.어보이드1 을 주었구요..
패힛자벨참을 3장 깔아주었습니다..
아마는 32%패힛에 7프레임이 됩니다...
정확한 검증이 이루어진것은 아니지만..
패힛이 없을때는 거의 회피 3형제에 의해 피하느라 텔을 못 썼습니다만..
패힛참으로 7프레임을 맞춰줬을땐 텔을 쓸수 있더군요...
저는 패힛참의 효과를 본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베이드를 5개 찍어준 이유는.. 위의 세팅처럼 했을시..
패시브스킬은 11개의 스킬이 세팅으로 공짜로 올라갑니다..
이베이드를 5개 찍어주면 16스킬... 콜투질렀을때 17 스킬로 55% 회피율이 됩니다.
이베이드는 이동중 피할수 있는 스킬이어서 상당히 유용합니다..
닷지나 어보이드처럼 버벅이지도 않고요..
더 이상 찍지 않은 이유는 회피율이 올라가는 정도가 미비하기 때문입니다..
회피 3형제를 안찍으실 분은 자벨달려참으로 도배하시면 되겠습니다.
디코이를 나머지 올 투자한 이유는...
발키리만 찍었을때의 발키리의 피 상승률과.. 디코이를 찍었을때
발키리의 피 상승률이 같기 때문입니다.. 물론 디펜은 올라가지 않습니다..
그리고 피케시 발키리의 도움은 거의 받지 못합니다
디코이의 몸빵을 올려 적에게 교란을 주는게 훨씬 이득이더군요..
4. pk시 팁
첫번째, 원거리 공격하는 케릭을 피하라..
대표적인게 활아마죠
활아마가 가만히 서서 가이드를 미친듯이 당기면..
가까이 접근하기가 여간 까다로운게 아닙니다..
플레이그 재벌린의 사정거리가 짧기 때문에 맞히려면 근접전을 해야하는데..
방구마가 몸빵이 좋질 않기때문에.. 이기기 힘듭니다..
두번째, 포이즌 자벨린으로 교란하라..
플레이그 자벨린의 최대단점인 쿨타임은.. 어떠한 방법으로도 줄일수가 없습니다..
한번 던지고 또 던지려면 약 3~4초의 시간이 걸립니다..
피케시에는 이것이 얼마나 길게 느껴지는지
포이즌 자벨린으로 잘 교란시켜서 플레이그 자벨린을 맞히는게 좋습니다..
텔을 쓰는 캐릭이라면.. 먼저 주의깊게 관찰을 합니다
사람은 무의식중에 어떤 일정한 법칙으로 텔을 쓰며 돌아다닙니다..
자세히 관찰하다보면 어디로 이동할것인가 하는 감이 옵니다..
그 길목에 플레이그 재벌린을 뿌려두는것도 좋습니다..
컨트롤로 맞아줄듯 안맞아줄듯 낚시질하는것도 중요하죠..
아.. 여기서 한가지 말씀드리자면..
포이즌 자벨린은 쿨타임이 거의 없습니다..
막 쓰고 돌아다닐수는 있습니다.. 스탯창에 뜨는 뎀지도 포이즌 자벨린이 더 쌥니다..
하지만 중요한건...43스킬일때를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43스킬일때 뎀지는 119k 로 플레이그 재벌린보다 뎀지는 높으나..
92초당 119k 입니다.. 즉 1초당 1.2k 의 뎀지박게 되질 않습니다..
최대한 똥피를 빨리 만들수록 좋기 때문에 플레이그 자벨린으로 승부를 보는게 좋습니다.
세번째, 텔을 잘 활용하라
근접캐릭을 상대할때는 구지 텔을 사용하지 않아도
달려가 빨라서 컨트롤을 좀 해주면 충분히 상대가 가능합니다.
하지만 법사캐릭일 경우 달려만으론 부족하죠..
텔을 잘 활용해서 낚시질을 해줍니다..
그리고 상대가 똥피가 되었을 때 대부분은 도망갑니다..
스왑해서 드림/용 방패를 들고 텔을 써주면서 주위를 멤돕니다..
5. 고찰
분명한건 방구마는 상당히 매력 있는 캐릭입니다.
희소성있는 케릭이기도 하구요..
나름 버젼 업을 시켜보았습니다만..
실전경험이 부족하고.. 순전히 제 개인적인 주관에 의해 만들어본 케릭이라..
더 좋은 방법을 미처 발견하지 못했을수도 있습니다..
더 좋은 의견이나.. 잘못된점은.. 댓글로 지적해주셨음 좋겟네요..
질문같은것도 좋구요..
긴글 읽으시느라 고생 많으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