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팁 게시판

[강좌]가상메모리 그것을 정복하여 시스템 성능을 올려보자

분류 일반 조회 수 3,242 추천 수 5

두루네 가입한지도 어언 3년이 넘어가는군요.


항상 도움만 받고 있습니다.


여러가지 봇관련 팁들을 올려주시는 분들에게 감사를 드립니다.


저도 뭔가를 한가지쯤 도움을 드려야 하지 않을까 생각해보다가 잠깐 짬을 내서
윈도우 최적화 팁 한가지를 설명드릴까 합니다.


윈도우가 실행될 때(프로그램) 작동되는 중요 부분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메인프로세서(계산작용) 사람으로 치면 두뇌에 해당 (예; 펜티엄4 3.0G )


2 메모리( 작업공간) 사람으로 치면 작업하는 책상 (책상이 넓으면 작업량도 많다(예;
RAM 256메가 512메가)


3 하드(프로그램 설치공간) 운영체제와 프로그램등이 설치되는 공간 즉 디아블로도
여기에 설치됩니다.


이하 데이터나 자료들은 다 하드에 저장되는 것이지요. ( 예; 80기가 120기가
200기가등등 최근엔 400기가도 출시)


 


그외 성능을 좌우하는부분이 위의 3가지 부품들이 작업을 해서 출력으로 보내면
(화면) 표현해주는 성능부분이 바로 그래픽 카드


(예;VGA 카드 모델명...지포스 5200 /지포스6600 / ATI X600 등등)


그래픽 카드에도 메인 프로세서 (계산) 와 메모리가 (작업)있습니다 화면 출력만을
전담하는 전문 칩셋이지요.


(그래픽 카드의 메모리와 메모리 클럭(동작속도)도 그래서 중요합니다.)


 


운도우 시스템의 최적화는 많이 있습니다만 오늘은 가상메모리에 대하여 말씁을
드리겠습니다.


가상메모리는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기본메모리 (위의2항)만으로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하드의 일정 공간을 시스템이 자체적으로 잡아놓고 메모리 대용으로
사용하는 것입니다.


이부분이 하드 공간부족등으로 문제가 생길 경우 엄청난 렉이나 버벅거림이 발생하게
됩니다.


오늘의 요점은 어떻게 하면 가상메모리를 최대한 매끄럽게 운영하는가에 있습니다.


위의 설명에서 보듯이 하드디스크에서 일어나는 일은 프로그램의 로딩과 가상메모리
작업입니다 즉 두가지 작업이 하드에서 일어나게 되는 것이죠.


하드의 읽고 쓰는 속도가 요사이 많이 빨라졌지만 그래도 위의 규칙 때문에 컴퓨터의
성능저하가 일어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점을 줄이기 위하여 최적의 방법은 하드를 두 개 다는 것입니다. 첫 번째 하드에
윈도우와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두 번째 하드로 가상메모리를 잡아주는 것이죠.


프로그램 실행할 때 컴 본체에서 "다다닥 다락" 소리가 많은 경우를
보게 됩니다 이것은 하드디스크의 읽고 쓰는 와중에 스핀들 암이(레코드판 바늘형식으로
 되어있음) 왔다갔다 자주 하면서 소리입니다.


즉 프로그램실행과 가상메모리 실행 두영역을 하드디스크의 바늘이 왔다 갔다
하면서 읽느라 바뻐서 생기는 소리입니다.


어차피 하드디스크는 사용하면 할수록 단편화라는것이 발생하여 느려지게 되어
있습니다. 하드디스크 조각모음으로 어느정도는


해결이 된다지만 완전한 해결책은 아닙니다.


컴퓨터를 오래 사용하면 할수록 프로그램들의 단편화 즉 조각현상이 많이 발생하고
읽기 소음은 더욱 늘어나며 또한 컴퓨터 실행 속도는 현저하게 떨어지게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우리가 컴이 잘 말을 안들을 때 포맷을 하고 윈도우를 다시 설치 하게
되는데 속도가 빨라지게 되는 것입니다.


만약 포맷을 하지 않고 그대로 윈도우만 제설치 할 경우 속도 저하 현상이 해결되지
않는 경우를 볼 수 있습니다.


하드 두 개 이야기를 하면 없는 주머니 생각하시는 분들은 의미 없는 소리로 들릴
것입니다.


그래서 두 번째 방법을 설명합니다


요즘 하드는 고용량이라 하드를 두 개 또는 3개로 논리적으로 나누어 사용합니다.


나누는 이유는 위의 설명의 이유와 같습니다 프로그램 방과 데이터 방을 따로
해둠으로서 하드 단편화(파일조각)를 좀더 막아보자는 의미와 프로그램이 날아가도
다른영역(논리적 두 번째 하드)에 평소 저장되는 데이터의 안전도와 관리 편의 얻을
수 있씁니다.


또한.오늘 설명드릴 가상 메모리의 효율적 관리에도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드의 파티션을 나누실 때 (예:80기가) C를 35기가로, D를 40기가로, E를 나머지로
나눕니다.


C는 윈도우와 디아등 프로그램 설치영역


D는 데이터 (멀티로더 봇등 자주 편집하여 손대는 자료들) 또는 음악 영화 사진들...저장소.


E는 테이블 명을 TEMP 로 정하고 가상메모리 영역으로 설정하는 것입니다.


이처럼 하면 컴퓨터가 빨라지는 것 뿐만아니라 하드 디스크의 스핀들 모타와 암의
과부하 방지로 인해 하드 사용 수명도 대폭 늘어납니다.


저는 개인 및 기관의 3000여대의 컴퓨터를 유지보수 하는 업체를 운영하고 있으며
날마다 셀수 없을 만큼의 시스템 작업과 데이터 백업및 윈도우 셋팅을 하고 있습니다.


하루에 포맷과 윈도우 설치 최적화만 평균적으로 10대 이상을 처리 합니다.


즉 별의 별 컴을
다 만져본다는 이야기죠.


 


서론이 너무 길었습니다.


가상메모리를 변경하는 방법입니다.


원래는 윈도우 설치하면서 최적화 해야 가장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데 사용중에
해줘도 좋습니다.


아울러 조각모음과 쓰레기 파일의 정리등을 같이 해주시면 더 좋을 것입니다.


 


 


[강좌]가상메모리 그것을 정복하여 시스템 성능을 올려보자 - 1


 


[강좌]가상메모리 그것을 정복하여 시스템 성능을 올려보자 - 2


[강좌]가상메모리 그것을 정복하여 시스템 성능을 올려보자 - 3


[강좌]가상메모리 그것을 정복하여 시스템 성능을 올려보자 - 4


[강좌]가상메모리 그것을 정복하여 시스템 성능을 올려보자 - 5


[강좌]가상메모리 그것을 정복하여 시스템 성능을 올려보자 - 6


[강좌]가상메모리 그것을 정복하여 시스템 성능을 올려보자 - 7


[강좌]가상메모리 그것을 정복하여 시스템 성능을 올려보자 - 8


[강좌]가상메모리 그것을 정복하여 시스템 성능을 올려보자 - 9


[강좌]가상메모리 그것을 정복하여 시스템 성능을 올려보자 - 10


[강좌]가상메모리 그것을 정복하여 시스템 성능을 올려보자 - 11


첨부한 스샷은 고객의 컴퓨터를 시스템 작업하고 나서 테스트겸 작업한것이라


하드가 2개로 되어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하드를 여러개 달고 사용하고 있어서 시스템 하드와 가상메모리
하드


데이터 하드가 서로 다릅니다만 변경하는 법은 같습니다.


여유 되시거나 이미 하드가 두개이신분은 가상메모리 영역열 두번째 하드로 지정해주시면
훨씬 쾌적해 집니다.


사실 개인들 서비스 해주면서는 가상메모리용 하드만을 분할해서 해주지는 않죠
^^


성능이 좋아져서 너무 고장이 없으면 제가 밥줄이 약해지니까요 ^^


오늘아침에 보니까 우리 봇돌이가 오움룬을 줏어왔군요 ^^


콜투암 하나 더 만들어야겠습니다 ^^




댓글26
  • 움작수수 2006.02.12 09:10
    가상메모리 크기는 처음과 최대크기를 동일하게 잡아주는것이 더 좋다고 네이버지식검색에 소개되어있던데.... 제가 잘못본것인지요.....?
  • 무명검 2006.02.12 09:12
    그것은 증명되지 않았습니다 ^^ 최소량을 충분이 주면 마찬가지인것으로 결론 지었습니다.
  • '㉦'날개달린[소년] 2006.02.12 09:14
    가상메모리 설정땐 최소값과 최대값을 같게 해주는게 좋습니다. 자기 램 용량의 1~3배정도내에서 하는게 좋은데 가상메모리가 많으면 속도저하의 원인이 되고 적으면 부족오류가 많이 나니 자신의 시스템에 맞게 설정하세요 램 1기가 이상이면 베틀필드2나 포샵 같은거 안하는이상 가상메모리 필요 없고요(평소 하는 프로그램이 실행되어있을때 메모리 전체 사용률이 1기가가 안넘을때 할 수 있음...) 램2기가 이상이면 가상메모리 없애고 윈도우 커널을 아예 메모리에 집어넣고 살아도 됩니다. 램 2기가에서 가상메모리 없애고 윈도우 커널을 메모리에 다 집어넣으면 체감향상이 상당히 있습니다.
  • '㉦'날개달린[소년] 2006.02.12 09:15
    가상메모리와 최소최대값을 같게 주어지는건 하드디스크의 특징때문입니다. 최대최소가 변하면 가상메모리도 조각이 생겨서 최대최소값을 같게 하는거보다 좀 느려진다고 알고 있습니다.
  • 겔루 2006.02.12 09:16
    오~ 좋은 정보 !! 감사합니다 한 번 해봐야겠군요.
  • 무명검 2006.02.12 09:24
    그렇군요 문제는 해보면서 얻은 체감인데 가상메모리 관리 안한것에서 관리한것의 체감은 차이가 나지만 그 외의 변경은 체감을 느낄 수가 없더군요^^ 단편화를 줄이기 위하여 가상메모리 하드는 가상 메모리만큼만 잡고 다른것을 일체 넣지 않는 방법을 사용합니다 (물론 스샷에는 가상메모리 지정하드 안나오지만요 ^^) 새로 하시는분들은 일단 날개달린 소님의 말씀대로 최저와 최고의 용량을 동일하게 맞춰 보시기 바랍니다. 요점은 가상메모리 지정을 프로그램이 사용하는 하드에 넣으면 가상메모리까지도 단편화로 인하여 속도 저하가 생긴다는 것이겠죠 그래서 메모리 영역만큼만을 파티션 하나로 잡아서 주는것이 최적이더군요. 제일 쾌적한 방법은 c를 윈도우만 설치 (윈도우 이외는 설치 안함) 프로그램 설치할때 두번째 하드에 경로를 강제 지정하여 설치 (항상 모든 프로그램 경로를 윈도우 설치 하드와 다르게.... 그리고 마지막으로 가상메모리 설정을 제2의 하드에... 이렇게 하는것이 최적입니다. 이럴경우 시스템을 많이 사용해도 속도 저하가 현상이 안나오더군요. 마지막으로 윈도우 temp 폴더를 역시 다른 하드에 지정해주는것이 좋겠습니다.
  • 창가에앉아 2006.02.12 10:38
    가상메모리를 늘린다고 속도가 빨라지진 않습니다. 하드디스크를 램처럼 쓰는것이기에 오히려 구동은 느려지죠. 다만, 큰 용량을 사용하더라도 느려지지 않게 막는 것인데, 이걸 최대 최소를 다르게 하면 덩치가 다른 프로그램들을 실행할때마다 조각이 나서 나중엔 느려집니다.
  • Freezer [A1LH] 2006.02.12 10:42
    좋은 글 감사합니다~~~
  • GAL[A2L] 2006.02.12 10:44
    하드가 여러개일때..가상메모리는 두군데쯤..나눠서 쓰고있죠..전..^^ 좋은정보~
  • 항상행복하길~ 2006.02.12 10:46
    추천한방하고 갑니다..
  • Death[A1OL] 2006.02.12 11:46
    가장좋은건 램을 늘리는 방법이죠 ㅎㅎ 일단 가상메모리 쓰기 시작하면 컴퓨터가 덜덜덜
  • 올림포스[A2L] 2006.02.12 13:07
    전 256렘인데 봇순이2마리 겨우돌리다가 얼마전 가상메모리 늘리는글 보고 지금은 3마리 돌리고있습니다. 가상메모리 늘리기 전에는 3마리돌리면 헤이가이즈오류뜨면서 자주 팅겼는데, 이제는 3마리 그럭저럭 겨우겨우 돌아갑니다 ㅎㅎ
  • 앤쵸비 2006.02.12 20:34
    기본적인 속도가 메모리>하드디스크라는걸 이용해서 가지고 있던 1기가짜리 USB 플래쉬메모리를 가상메모리 페이징 공간으로 이용해 봤는데요... 속도가 하드로 설정했을 때보다 훨씬 느리더군요 CPU가 1기가도 안돼서 디아 하나만 띄워도 버버벅 =ㅁ=;;;
  • 참고하세요 2006.02.12 21:19
    정말 좋은 강좌임은 맞습니다.. 그런데 가장 기초적인 부분은 빼놓고 이야기를 하신것 같아서 죄송하나마 몇자 적습니다. 잘 아시는데로 렘은 컴터의 주 기억장치입니다. 그리고 하드디스크는 보조기억장치죠.. 우리 몸도 기억하는곳은 다름아닌 뇌입니다. 서로 하는일이 다를뿐이지 렘도 뇌입니다. 주기억장치인데 하드가 달린이유는 전원이 꺼지면 저장한 내용이 날아간다는 것이지요? 위의 이야기를 하는 이유는 글에서 혹시나 생기는 잘못된 편견이 생기지 않을까 하는 것입니다. 주기억장치인 렘의 특징은 빠르고 비싸다른 것.. 그리고 최대의 단점은 전원이 꺼지면 데이터가 지워진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보조기억장치인 하드디스크는 느린반면 싸고 전원이 꺼져도 지워지지않는다는것이죠... 그러니 시스템이 충분히 허용하는 범위에서는 가상메모리의 양은 아무런 필요가 없을것이구요... 만일 그러한 상태에서 괜히 그것을 높게 잡는다면 더더욱 렉현상을 발생시킬수도 있는거죠. 느린 하드를 구테어 가상메모리로까지 잡아서 쓰는 이유는 느리지만 모자란것보다는 낮다입니다. 털털거리고 불편하지만 경운기 뒷자석이라도 타고가면 더 빨리간다.. 라는 이치. 10명 옮기는데 오토바이로 2명씩 5번 옮기는거보다는 자전거의 도움으로 4번옮기는게 빨르다는 이치. 가상메모리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도 그렇습니다. 최대 최소값을 정해주는 이유는 느린하드인데 될수있으면 적게쓰려고 하는것이 최소값입니다. 당연히 크게 안쓰인다면 적을수록 좋죠.. 그리고 최대값은 하드는 2.4기가인데 저것이 2기가를 차지하면 안되겠죠? 그래서 최대값을 지정해주는것이구요. 요즘 컴터들이 워낙좋으니 펜3이상의 컴터에서는 두 설정이 같은게 더 좋겠습니다. 가상메모리의 값을 렘의 1~3배정도로 정하는것은 렘의 용량은 씨피유의 성능과도 어느정도 발맞추어 발전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렘용량의 몇배라는 수치가 대략 나온거죠? 그것은 지금까지 1~2배정도가 가장 안정적이라고 "들" 합니다. 그리고 추천한방 하고갑니다. ^^;;;;;;
  • DUKI 2006.02.13 00:09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저두 추천~~
  • 완이[Para] 2006.02.13 08:44
    아이램을 달고 싶다는..-_-;;
  • 피트좋아좋아~[A2L] 2006.02.13 11:04
    팔레 2800+ 1기가 렘을 쓰고 XP봇으로 2녀석 간신히 돌렸는데 강좌대로 해보고 나서 4녀석도 동시에 문제 없이 돌아가더군요~! 감사합니다.
  • BlackSerena 2006.02.13 15:47
    거의 정석이지만 자기 램에 1.5배가 가장 좋습니다 . 물론 렘이 1기가 이상되면 가상메모리 거의 필요 없구요.. 512 이하 이신분들이 설정하는게 좋습니당.
  • BlackSerena 2006.02.13 15:49
    한국에서 만든 아이램 비슷 한게 있던뎅 .. 아이램 좋긴하지만 2기가 렘이 비싸서 ㅡㅡ 아참 아이램이 세컨드 버전이 나올려고 하던뎅 .. 배터리까지 달아서 -_-.. 자세한건 파코즈를 참조하세여 완이님 ㅋ
  • 무명검 2006.02.14 16:29
    몇일못봤더니 리플이 많이 달렸군요 ^&^& 기억해 두셨다가 나중에 시스템을 포맷하고 다시설치 할 일이 있을때 시스템 최적화 한후에 작업해주시면 더욱 효과가 좋습니다.
  • 한단지몽 2006.02.15 13:30
    질문좀 할께요 제컴이 펜4 3.0에 렘1기가인데요 윈2k 부팅속도가 너무 느리네요 한 3분에서 그이상걸리는것 같네요 예전에 팬400컴이 47초 걸렸는데 왜그런지 통 모르겠네요 하드용량도 별로 안찬편이고요 일부러 가상렘잡을려고 40기가 하드사서 달았거든요 셋팅도 물론 되었구요 이유가 뭘까요?? 꼭좀 알려주세요 레지스트리는 새로깐지는 좀 됐지만 별로 안써서 깨끗합니다.
  • 비밀경찰 2006.02.16 08:09
    날개달린소님 현재 램2기가인데 `가상메모리 없애고 윈도우 커널을 메모리에 다 집어넣으면 '부분에 대해서 좀더 자세히 설명해 주실수있겠는지요?
  • 니르바나 2006.02.16 11:24
    무명검님 저의 경우 파티션이 4개인데 램은 1기가를사용 중입니다.. 이럴땐 어떻게 설정해야 합니까?
  • 잉간지 2006.02.16 21:31
    이런건 솔직히 별 효과 없음 컴을 바꾸는게 최고
  • 냐냐 2006.02.17 02:34
    윗 글이랑 딱히 많이 상관있는건 아닙니다만.. 램디스크 사용도 괜찮다고 봅니다~ 임시인터넷파일 저장소를 램에다 잡아주는건데요~(한50메가정도) 램 1기가 이상분들이라면 충분히 할수있다고 합니다 (인터넷 창 뜨는속도가 장난아니네요~)
  • 무한렐따 2011.05.05 09:25
    지나간 정보지만 잘봣음니다 ^^

팁 게시판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게시판 푸시 알림 / 통합 앱 서비스 31 file 트디개발자 2023.09.20 830.2k
공지 디아관련 에테리얼 벅큐빙 표 219 eunnanoDiablo™ 2008.03.05 140.1k
공지 디아관련 케릭별 갑옷 착용 모습 325 수린[아빠] 2009.06.09 111.3k
공지 디아관련 디아블로 각종 팁과 정보 간추림 입니다 (_ _) 1547 조은아저씨 2010.05.24 211.6k
공지 봇관련 유니크 업글 표 366 file 카인 2013.11.02 412.8k
561 아이템/앵벌 너 인내슴딘? 나 메쉬슴딘이야.... 한판해!!(슴딘의 갑옷선택??) 22 SS오지명 2006.02.13 4.9k
560 디아관련 증뎀주얼 vs 맥뎀주얼 두루네에서 약간 편향된 정보를 얻어서 제가 직접해본결과입니다. 7 Jum 2006.02.12 5.4k
559 봇관련 XP 봇, 안다 길찾기 6 봉구입니다 2006.02.12 2.2k
558 봇관련 XP 봇, 피트 길찾기 26 봉구입니다 2006.02.12 2.9k
557 봇관련 AutoD2Jsp 사용시, 아무리 잘돌아가더라도 리스타트1~2번정도 생기는 이유 9 쨉마22 2006.02.12 3.1k
556 캐릭 육성 저렴하고 안정적인 봇순이를 키워보자! (수정) 27 뇌출혈시티 2006.02.12 4.7k
> 일반 [강좌]가상메모리 그것을 정복하여 시스템 성능을 올려보자 26 무명검 2006.02.12 3.2k
554 캐릭 육성 노헬프 맨땅 봇순이 육성기 - XP봇의 기초와 실행과 연계 29 빨강공룡 2006.02.12 6.2k
553 봇관련 XP봇 기초와 실행 127 빨강공룡 2006.02.11 21.4k
552 봇관련 게임명 뒷번호, 짝수/홀수 로 만들기 12 봉구입니다 2006.02.11 2.1k
551 봇관련 Failed, no space에 대한 제 경험입니다. 5 necro 2006.02.11 1.5k
550 디아관련 이니수정 할 때 에디터 프로그램 19 잠도리zZ 2006.02.11 3.3k
549 봇관련 xp 붓 상급 참이니 (2차) 21 Dark[Para] 2006.02.11 4.8k
548 일반 신종 트레이드핵 정보입니다. 12 LPG가스통 2006.02.11 2.9k
547 아이템/앵벌 오리지널 아이템의 거래에 대해서 5 a.k.a_Mephisto 2006.02.10 2.3k
546 디아관련 이번에 새로 바뀐 D2event 주소입니다. 5 LPG가스통 2006.02.10 1.6k
545 디아관련 단군 블로그에서 퍼왔습니다. 어제 올라온 공지네요.. 15 잠도리zZ 2006.02.10 3.8k
544 디아관련 JSP 사용자인데 블럭당했다는 사람이 있군요.. 8 LPG가스통 2006.02.10 2.7k
543 캐릭 육성 [예민육성기] 요청자료,, 엘리파클드루 7 다솜예민™ 2006.02.09 2.5k
542 봇관련 [XP봇]이제 조폭네크도 마음데로 수정하자!![Config파일 스킬 수정편] 7 운명의주인 2006.02.09 2.9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