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T2.X 이상 버젼 아이템이니 왕초보를 위한 메뉴얼
분류
봇관련
조회 수
6,335
추천 수
32
안녕하세요^^
요즘 두루네에 새내기 분들이 많아 지면서 봇에 대한 질문도 많아지고 있습니다.
특히 아이템이니 설정 법에 대해서 문의가 많으셔서 이렇게 글을 적어 보았습니다.
정강란에 찾아보니 1.9 이하 버젼 이니 설정 방법은 예전에 원빵맨님 이 올려주신 자료가 있는데 2.0 버젼 이상은 없더라구요
기존 아이템이니에 옵션수치를 변경하시거나 각 개인이 원하는 특정아이템을 직접 설정하실수 있도록
초보자 분들을 위한 방법을 적어보았습니다
저 또한 아직은 초보자나 마찬가지니 혹시 틀린 부분이 있어서 수정해야 할 부분이 있다면 말씀해주세요^^
일단 설명을 드리기에 앞서 항상 새로운 봇 프로그램을 만들어 주시는 HeavenlyStone 님과
HeavenlyStone 님의 봇에 추가설정을 해주시는 날아다녀님께 항상 감사하다는 말씀 먼저 드립니다^^
===========지금부터 설명 하겠습니다^^====================
1. 일단 먼저 초보자 분들이 기억 하셔야 할것은 아이템이니의 위치와 아이템의 고유이름.옵션코드 등이
어디를 봐야 하는지를 아셔야 할것 같습니다
(아이템이니는 봇폴더안에 보시면 D2NT\scripts\NTBot\item_configs 이 안에 잘 정리가 되어 있습니다
아이템의 고유이름.옵션코드 등은 D2NT\scripts\libs\common 폴더안 NTItemAlias.ntl 파일안에 정리되어져 있습니다)
2. 내가 설정하고자 하는 아이템의 게임상 기본옵션의 범위를 아셔야 겠죠 (예, 샤코의 기본방어 98~141 이런것들 입니다)
(카큐.디아릭스등의 디아블로 아이템정보 홈페이지에 보시면 상세하게 나와 있습니다)
3. 2.0 이상의 버젼에서는 1.9이하의 버젼과는 달리 옵션코드를 넣으실때 꼭 [] 사이에 넣으셔야 한다는 겁니다
(예, 1.9 이하 버젼에서는 Quality 로 표시를 햇지만
2.0 이상 버젼에서는 [Quality] 로 표시를 하셔야 합니다)
4. 1.9 이하 버젼에서는 or 의 개념이 없었지만
2.0 이상 버젼에서는 or 의 개념이 가능해 졌습니다
(이로 인하여 이니 설정은 복작할수 있으나 대신 이니를 여러줄이 아닌 한줄에서 두줄정도에 원하는 아이템을 얻을수 있게
설정이 가능 해 졌다는 겁니다)
5. 아이템이니 설정시 사용되는 기호들의 의미를 기억 하셔야 합니다
1) # 는 property keyword 와 stat keyword 를 구분하는 기호 입니다
(property keyword 는 속성키워드로서 [Type], [Name], [Class], [Quality], [Flag], [Level] 이 속하며
stat keyword 는 [Strength], [Energy], [Dexterity], [EnhancedDefense] 등(너무많네요@@)의 옵션을 말합니다
단, stat keyword 는 [0] 과 같이 숫자로도 나타낼수 있습니다)
2) [A] == B 는 A라는 옵션이 B 일때는 나타냅니다
3) [A] >= B 는 A라는 옵션이 B 이상일때를 나타냅니다
4) [A] <= B 는 A라는 옵션이 B 이하일때를 나타냅니다
5) [A] != B 는 A라는 옵션이 B 가 아니다를 나타냅니다
(대부분 [Quality], [Flag] 이 두가지 옵션을 쓸때 많이 쓰이며 가끔 [Name] 에도 쓰입니다)
6) && 는 AND 라는 의미를 나타냅니다. ( 옵션이 두가지 이상일때 쓰입니다)
(예, [Type] == Ring && [Quality] == Magic )
7) || 는 OR 의 의미를 나타냅니다. (두세줄의 이니를 한줄로 할때 많이 쓰입니다)
(예, [BarbarianSkills] >= 2 || [WarCriesSkillTab] >= 3 )
8) ( ) 는 수학에서의 개념과 같이 ( ) 안을 하나의 옵션으로 인식한다는 뜻입니다
* 예, [BarbarianSkills] >= 2 && ([SkillBattleOrders] >= 3 || [ItemGoldBonus] >= 70)
바바2 스킬 이고 (오더3스킬 또는 매찬70중 둘중하나) 이라는 뜻 입니다
9) // 는 앞에 붙으면 이니를 인식하지 않겠다는 뜻이며, 뒤에 붙일 경우 설정끝 이라는 뜻으로 설명을 붙일때 쓰입니다
(예, [7] >= 20 // 피 )
10) + 는 표시 그대로 더하기 입니다
(예, [FireResist]+[LightResist]+[ColdResist]+[PoisonResist] >= 100 레지 4개의 합이 100 이상일때 라는 설정입니다)
이제 설정하실때 기본적으로 꼭 알아 두셔야 할 부분에 대한 설명은 끝난거 같습니다
이제는 몇몇 아이템 이니의 예를 들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저의 예시 이니는 옵션코드를 영문으로 표시 하였으나 숫자로 표시하셔도 됩니다)
1) 유닉 아이템이니는 가장 많이 사용되는 샤코의 경우로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Name] == Shako && [Quality] == Unique && [Flag] != ethereal # [Defense] >= 100 // [샤코] 98-141방어
이름은 샤코 이고 퀄리티는 유니크 이고 에테가 아니다. 기본디펜스가 100 이상일때 라는 설정입니다.
// 뒤쪽 부분은 아이템 설명입니다
2) 레어 아이템이니는 가장 많이 사용하는 패케링의 경우로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Type] == ring && [Quality] == rare # [ToHit] >= 100 && [Strength] >= 15 && [Dexterity] >= 10
타입은 링류이고 퀄리티는 레어이다. 어레는 100 이상이고 힘은 15이상이고 덱스는 10이상일때 라는 설정입니다.
3) 매직 아이템이니는 가장 많이 쓰는 2스킬 20패케 써클류를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Type] == circlet && [Quality] == magic && [Flag] != ethereal # [itemaddclassskills] == 2 && [FCR] == 20
타입은 써클류이고 퀄리티는 매직이고 에테가 아니다. 클래스스킬이 2이고 패케가 20일때 라는 설정입니다.
4) 화이트 아이템이니는 바바용 대표위원 뚜껑으로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Type] == primalhelm && [Class] == elite && [Quality] <= superior && [Flag] != ethereal # [Sockets] == 0 && [SkillBattleOrders]+[SkillBattleCommand] >= 6
타입은 프리멀헬름(바바전용뚜껑)이고 클래스는 엘리트이고 퀄리티는 슈페이하 퀄리티이고 에테가 아니다. 소켓갯수는 0이고 배틀오더와 배틀커맨드의 합니 6이상일때 라는 설정입니다.
5) 위에 예들은 간단한 이니들만 설명을 드렸습니다. 그랜드참이니를 이용해 조금더 복잡한 이니를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Name] == GrandCharm && [Quality] == magic # (([MaxDamage] >= 10 && [ToHit] >= 70) || [ItemAddSkillTab] >= 1) && ([MaxHP] >= 30 || [Strength] >= 6 || [Dexterity] >= 6 || [FHR] >= 12)
이름은 그랜드참이고 퀄리티는 매직이다. ((멕뎀이10 이상이고 어레가 70이상) 또는 스킬탭이 1 이상인것중에 하나) 이고 (피가30이상 또는 힘이6이상 또는 덱스가6이상 또는 패힛이12이상 인것중에 하나)
일때 라는 설정입니다. 위에서 설명 드린바와 같이 ( ) 안에 있는 거는 하나로 인식 하시면 됩니다
따라서, ( ) 안에 || 이게 있다면 ( ) 안에서 몇개의 옵션중에 하나만 맞으면 된다는 얘기가 됩니다
좀 복작해 보이기는 하지만 윗쪽에 기본적인 사항들을 정확하게 인지 하셨다면 그다지 어려운 이니는 아닙니다
이로써 아이템이니 설정에 관한 설명은 다 드린거 같습니다^^
혹시 부족한 점이나 이해 하기 어려우신점 댓글 달아 주시면 내용에 추가 수정 하도록 하겠습니다^^
허접한 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두루네 가족 여러분 항상 건강 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