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보자가 에러를 쉽게 수정하는 방법입니다.
분류
봇관련
조회 수
2,196
추천 수
28
==================================================================
하기의 내용은 윈도우 익스플로러 8이상에서만 가능합니다.
익스플로러 8의 기본탑재 기능인 소스 뷰어를 이용한 방법이기 때문입니다.
==================================================================
간혹 이니를 이것 저것 건드린 후 봇을 가동시키면
에러 메세지가 뜨면서 봇의 작동이 멈추는 경우가 있습니다.
고수분들의 경우에는 메세지만 보고서도 어디 이니 파일이,
어느 줄에서 에러가 났는지 금방 찾아서 고치실 수 있으실 건데요.
저 같은 초보들에게는 그것을 찾는 것 조차 어려울 때가 많습니다.
그래서 나름 궁리를 하다가 잔머리를 굴려 봤는데요.
에러 메세지를 보고 그 부분을 쉽게 수정하는 방법을 아래의 준비된 이미지를 보며 설명 드리겠습니다.
0. 일단 에러 메세지를 볼까요?

봇을 가동시켰을 때 첫번째 방에 조인을 하면 봇은 각종 이니를 훑어보고 캐쉬로 저장하는 것 같습니다.
그런 동작중에 에러가 나면 그 에러 부분을 메세지로 출력을 하는데요.
위의 에러 메세지는 캐릭터 이니 부분의 420줄에 o이 잘못 적혀있다고 나왔네요.
하지만 캐릭터 이니를 열면 무수한 글자들 속에 420줄을 찾는 것은 그리 쉬운 작업이 아닙니다.
여기서 잔머리가 나오는데요.
1. 일단 에러가 났다고 하는 캐릭터 이니를 바탕화면에 복사를 합니다.
( 저 같은 경우에는 NTConfig_Sorceress_Sabllina.ntl이군요. )
2. 복사된 이니의 확장자를 ntl에서 웹문서 파일 확장자인 htm으로 변경합니다.
(NTConfig_Sorceress_Sabllina.ntl -> NTConfig_Sorceress_Sabllina.htm으로 변경.)
3. 변경된 웹문서를 더블 클릭하여 웹브라우져로 불러옵니다.

그럼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올 건데요.
줄바꿈도 안 된 상태로 출력된 태그속에서 어느 부분이 에러 부분인지, 도대체 뭐가 뭔지 모르겠지요.
걱정하실 필요가 없습니다. 우리에겐 마우스 오른쪽 버튼이 있으니까요. -_-;
4. 불러온 웹 브라우져에서 마우스 오른쪽 클릭한 후 소스보기를 합니다.

친절하게 옆에 라인수가 나와 있네요.
420 라인에서 에러가 났다고 하니, 옆에 잘 나와있는 줄수를 보면서 420으로 내려갑니다.
숫자 0 대신 영어 o이 찍혀 있는 부분이 보이는 군요. 이 부분 때문에 에러 메세지가 출력된 것입니다.
그럼 이 부분을 원본 이니에서 찾아서 고친 후 다시 봇을 구동시킵니다.
5. 그럼 잘 고쳐졌는지 확인을 해야겠지요?

잘 되는군요. ^^;;;
지금까지 초보자들이 에러 메세지를 보고 쉽게 찾아 고칠 수 있는 방법이었습니다.
허접한 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항상 건강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