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환네크의 달인이 되자 - 상급자 정보편
분류
정보
조회 수
33,886
추천 수
0
※※※ 들어가는 말 ※※※
안녕하세요 앙골라네꼬 입니다.
오늘은 오래간만에 추천게시물에 글을 올리게 되었습니다.
오늘 소개할 캐릭은 네크로맨서입니다.
소환넥, 혹은 조폭넥 등으로 불리는 캐릭이죠.
죄송한 말이지만, 초보자가 보기에는 이 글은 좀 복잡하고 어려울 수 있습니다.
그리고 지금부터 제가 풀어가는 정보를 몰라도 충분히 소환넥을 즐길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어떤식으로 캐릭을 키워라는 지침서를 적자고 시작한 글이 아니고, 기존에 어림짐작으로 알고는
있었으나, 자세히는 몰랐던 그런 내용들에 대한 정보들을 종합한 글이라고 보시면 되겠네요.
어렵게 말할 것 없고 바로 들어가겠습니다.
※※※ 내 소환수의 정확한 능력치가 궁금하다면 ※※※
직접 소환넥을 키워보셨다면 아시겠지만, 과연 내 소환수들이 어느정도의 능력치를 가지고
있는지 정확히 스탯창 등에 표시가 되지 않습니다. 그냥 어림짐작으로 아... 뭐 이정도면
쎄네, 라던지, 그런거 몰라도 사냥만 잘 하면 되니까... 등등의 이유로 자세히 짚고 넘어가지
않았던 부분이 크게 작용했다고 봅니다.
공식 자체를 설명드리면 너무 복잡합니다만, 소환수의 능력치를 파악하는데 도움이 되는,
계산기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NECROMANCER PET CALCULATOR 바로가기
네크 전용 스킬 계산기
몇몇 소환수들은 난이도에 따라 (노말/나메/헬) 능력치가 달라집니다.
따라서 계산기 등에서 입력을 할 때에는 난이도를 반드시 입력하셔야 정확한 수치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그냥 넘어가면 너무 아쉬우니, 위에 링크를 이용해서 소환수들의 능력치를 한번 확인해봅시다.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샤코,수수,스웹,오심,호우먼,마라,쌍조던,5스킬콜투,스왑용스피릿,애니,횃불,소환참7장
이렇게 셋팅한 소환네크로 계산했습니다. 용병 마이트레벨을 22로 맞추고 (템빨로 18에서 22로 맞춰집니다)
20컨센 자존심으로 무장을 한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능력치를 각각 갖추고 나옵니다.
소환스킬빨 26 (올스킬 포함)
배틀 오더스 19
여기에, 기본적인 소환네크 (스켈레톤 마스터리, 레이즈스켈레톤, 골렘마스터리를 마스터하는 경우) 스킬을
분배하고 나면 다음과 같은 최종 능력치가 나옵니다.
*** 스켈레톤 (해골병사) ***
라잎 : 9589
어레 : 4984
데미지 : 2021 ~ 2031
공속프레임 : 18프레임
패힛 : 7프레임
올레지 : 69
소환가능 개수 : 17
1초간 라잎회복 수치 : 234
*** 아이언 골렘 ***
라잎 : 10917
어레 : 4965
데미지 : 84~231
공속프레임 : 15프레임
패힛 : 없음
올레지 : 69/69/119/169
소환가능 개수 : 1
1초간 라잎회복 수치 : 199.8
위에 나온 라잎은 콜투암스로 함성을 받은 뒤의 라잎입니다.
이건 한 예시일 뿐이고, 자신의 실제 스킬레벨을 직접 반영해주시면, 금새 확인이 되시리라 믿습니다.
자, 17마리의 스켈레톤을 소환하는 경우에는 각 해골들이 한대씩만 때려도 34K를 넘기는데, 또
앰플이 걸려있기 때문에, 이 수치는 실제로는 더 늘어납니다.
※※※ 스켈레톤 병사를 강하게 하는 요소 ※※※
( 1 ) 마이트 용병
나이트 메어 액트2 용병이 마이트 오오라를 쓰는 것은 아마 소환넥 유저라면 기본적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내 마이트 용병의 마이트 오오라 스킬은 도대체 몇인가 ? 그리고 어떻게 하면 마이트 오오라를
강화시켜줄 수 있을까 하고 한번쯤은 생각해보셨을 겁니다.
용별레벨 83 >>> 17레벨 마이트 오라 = 200증뎀
용병레벨 87 >>> 18레벨 마이트 오라 = 210증뎀
용병레벨 91 >>> 19레벨 마이트 오라 = 220증뎀
용병레벨 95 >>> 20레벨 마이트 오라 = 230증뎀
용병레벨4가 올라갈때 마다, 마이트 오오라는 1레벨씩 올라가게 됩니다.
그리고 여기서 말하는 증뎀이란 최종데미지의 두배 증가는 아니고, 우리가 일반 타격하는 데미지를 계산
하는 공식중의 일부분으로서 더해지는 수치입니다.
*** 마이트 오라는 아이템에서 얻는 올스킬 보너스에 의해 스킬레벨이 증가할 수 있다
만약에 내 용병의 레벨이 91레벨(19레벨 마이트) 이라면, 안다뚜껑과 명굴갑옷을 입히게 될 때, 총 4스킬
이 추가가 되므로, 23레벨 마이트 오오라로 만들 수 있게 됩니다. 별것 아닌 것 같지만, 40증뎀 차이라면
적지 않은 수치라는건 아시리라 생각합니다.
( 2 ) 룬워드 자존심
자존심에는 최대20스킬의 컨센트레이션 오라가 붙을 수 있습니다.
20스킬 컨센이면, 345증뎀 입니다. 마이트 오오라보다 더 많은 양의 데미지 증가를 꾀할 수 있는 무기이죠.
스켈레톤 위주의 소환넥이라면 무공보다는 자존심쪽에 훨씬 더 해골데미지를 높일 수 있는 요소가 많으니,
자존심을 꼭 추천합니다. (무공이 완전 나쁘다는 말은 아닙니다)
종종 자존심을 들면, 도저히 몹을 잡기가 어려워서 처음에 시체를 만들기 어렵다고 푸념을 많이 듣습니다.
진짜로 몹을 잡기가 너무 어렵다면,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시체를 확보하세요.
*** 해골 소환을 위한 시체 확보 방법 ***
액트5 마을에 엔야 옆에 있는 빨간 포탈로 들어갑니다.
빨간 포탈로 들어가면 해골들이 열마리 이상 누워있습니다.
이 해골들은 시간이 지나면 일어나서 아군을 공격해오는데, 해골들이 일어나기 전에는 시체로 인식이 되
기 때문에, 해골소환, 리바이브 등으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 3 ) 룬워드 야수
야수에는 9스킬의 파나티시즘 오오라가 붙어 있습니다.
9스킬 파낙이면 93% 증뎀이죠. (파티원 증뎀) 거기에 어레 증가와 공속 증가는 무시못할 정도의 효과를
낼 수 있습니다. 위에 소개드린 계산기를 통해 확인해보면 소환수들의 공속 증가가 있습니다.
계산상으로는 기본 18프레임에서 14프레임으로 낮아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만, 다만 이것은
매 14프레임마다 타격을 한다는 말과는 약간 다릅니다. 해골들의 경우 1타 공격후 15프레임의 딜레이
를 가지고, 다음 2타째 공격을 가합니다. 그래도 타격 속도가 2~3프레임이라도 빨라진다는 것은 분명
데미지를 더 높일 수 있는 방법이라고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보통은 오심을 본캐릭의 무기로 많이 드는데, 오심은 올스킬에 패캐와 올레가 있어 아주 균형이 잘 잡혀
있습니다. 다만 해골의 공격력을 높이기 위해서라면 3스킬 스킬렙 보다는 야수를 본캐릭이 직접 들어주는
편이 좋습니다. (장단점이 있다는 말이니, 선택은 본인의 취향에 달렸다고 보면 됩니다)
※※※ 시폭의 모든 것 ※※※
1. 시폭 데미지 계산
소환넥을 키워본 사람이라면 누구나 한번쯤 고민하는 주제입니다.
시폭의 데미지를 구해봅시다.
Damage = 0.5(CBL)(RF)((100 – EFR)/100 + (200 – EPR)/100)
Damage = 0.5(CBL)(RF)((100 – EFR)/100 + (150 – EPR)/100)
CBL = Corpse base life (몹의 기본 체력)
RF = random factor (0.6 에서 0.8 로 랜덤으로 붙는 데미지 공식상의 factor )
EFR = Enemy's fire resistance (적의 파이어 저항력)
EPR = Enemy's physical resistance (적의 물리저항력)
첫번째는 앰플을 걸어준 상태에서의 데미지 공식이며, 두번째는 디크리를 걸어준 상태에서의 데미지입니다.
이 공식을 천천히 뜯어보면, 그리고 몹 체력을 하나씩 넣어주면 실제 시폭 데미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몹의 기본정보들은 Areat Summit 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자 꽤나 복잡한 공식이라서 저도 하나하나 뜯어가면서 설명드리기 애매합니다만, 확실한 Fact 만 짚고
넘어가면 다음과 같은 핵심(밑줄 쫙) 내용으로 추릴 수 있습니다.
** 시폭 데미지는 물리데미지와 파이어데미지가 혼합된 것이다
** 시폭 데미지중의 물리데미지는 앰플을 걸어도 물리이뮨이 풀리지 않는 경우에는 전혀 들어가지 않는다
** 시폭 데미지중의 파이어데미지는 파이어내성에게는 전혀 들어가지 않는다
*** 혼자서 방만들었을 때 나오는 몹의 체력이 기준이 되며, 이 데미지는 인원수가 늘어나도 고정이다
*** 시폭의 파이어 데미지는 유닉쥬얼(파이어)에 의해 증가될 수 있다
*** 시폭 물리데미지는 항상 고정적이지 않다, 데미지 Factor (0.6~0.8)에 의해 변하게 된다.
2. 시폭 레벨 증가에 따른 범위 해설
(출처 - 섬게이트 "오바다"님)
그림을 보시면 일목요연합니다.
야드 단위, 그리고 시폭 레벨 단위가 늘어날 수록 시폭 범위가 얼마나 늘어나는가에 대해 한눈에 알 수 있게,
그림이 만들어져 있습니다. 섬게의 오바다님께서 그림을 사용해도 된다고 하여, 냉큼 빌려왔습니다.
소환넥을 키울 때 참 고민하는 부분이 이것이죠.
시폭을 만땅 줄까, 다른데 투자를 할까...
그림에서 원형이 스킬레벨에 따라 점점 늘어나는데, 그림에서는 사람을 중심으로 표시되지만,
실제 몹에서 얼마나 범위가 늘어나는지 본인의 스킬레벨을 대비해서 생각해주시면 되겠습니다.
제가 이 부분에서 말씀드리고자 하는건 시폭을 만땅 찍어라... 라고 하는건 아닙니다.
본인의 취향에 맞게 찍는걸 도와드리자는 것이죠.
저는 시폭에 만땅도 찍어보고, 1스킬도 찍어봤습니다만, 둘다 장단점이 확실히 있습니다.
※※※ 아이언 골렘에 대한 정보 ※※※
소환넥 유저라면, 대부분 아이언골렘을 사용합니다.
아이템의 옵션들을 그대로 간직한 소환물을 만들어낸다는 점은 다른 캐릭에서는 느낄 수 없는
정말 멋진 매력이라고 할 수 있죠. 앞서 소개해드렸던 소환수의 능력치를 계산하는 것을 이용하면,
충분히 필요한 정보를 뽑을 수는 있습니다. 다만 기왕에 상급자용 공략글을 쓰는만큼 조금 더
자세한 내용을 소개해드릴까 합니다.
Fact 1 ) 아이언골렘은 방에 새로 조인할 때마다 새로 만들어진다
아이언골렘을 뽑을 때, 각종 스킬빨이 붙어 있는 템들을 들고, 1스킬이라도 높은 아골을 뽑으려고
하는 유저들이 많습니다. 다만 아쉽게도 만들은 그 순간에는 스킬빨이 그대로 지속되지만, 그 이후에
방에서 나갔다가 새로 다른 방에 조인하는 경우, 방에 조인하는 순간의 스킬레벨(아골)에 의해
아골이 재소환됩니다.
Fact 2 ) 아골은 금속성의 아이템으로만 소환이 가능하다
너무 당연하다고 느낄 수도 있습니다만, 일단 중요한 사실이니 짚고 넘어가겠습니다.
아이언이 쇠붙이등을 나타내는 말이라서 그런지는 모르겠지만, 무조건 금속성 아이템으로만 소환이
가능합니다. 목재 스태프 등으로는 소환이 안된다는 말이지요.
Fact 3 ) 매찬(find magic item)이 있는 아이템으로 아골을 소환해도 효과가 없다
Areat Summit 에서는 아골에는 매찬적용이 되지 않는다고 나와있습니다.
뭐 일반적으로 아골은 통찰이라던지, 기타 오오라가 가능한 아이템으로 만들기 때문에 별로
신경을 쓰지 않는 부분이지만, 예를 들어 6솟 버석에 이슷룬을 다 작업해서 아골을 만들어도,
매찬은 적용이 되지 않는다는 말입니다.
Fact 4 ) 스킬빨 시너지가 가능하다
아골에 한정하지 않고, 클레이골렘, 블러드골렘, 파이어골렘 등 모든 종류의 골렘은 서로가 시너지
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시너지 스킬은 직접 찍은 만큼만 시너지 적용이 되고,
템빨로 올라가는 스킬레벨만큼은 시너지 적용이 되지 않습니다만, 골렘들의 경우에는 스킬빨로
올라가는 만큼도 시너지 적용이 됩니다. 그리고 이것은 드루이드의 소환스킬도 마찬가지입니다.
Fact 5 ) 아이언골렘은 5% 확률로 크리티컬 힛 공격을 한다
크리티컬 힛은 2배 데미지를 가진 공격입니다.
5% 확률이 매우 적지만, 두배의 데미지를 가진 공격이 종종 터질 수 있다는 말이 됩니다.
소환수 능력 계산기에 공격1과 공격2로 나누어져 있는데, 이것은 바로 크리티컬 힛 공격치를
감안한 것입니다. 카오스 통찰로 만든 아골이라면 크리티컬을 때리나 마나 별 차이가 없지만,
데미지가 매우 높은 죽숨 등으로 만든 아골은 크리티컬이 나오면 꽤 따끔하겠죠 ??
그리고 이것만으로는 좀 아쉽다...
원래 내가 알던 내용이다... 라고 하시는 분께는 아래 링크글을 소개하겠습니다.
DIII Golem information all
모든 종류의 골렘에 대한 종합 정보를 싣고 있습니다.
※※※ 스켈레톤 메이지는 쓰레기인가 ※※※
쓰레기냐 아니냐... 쓸모가 있나 아닌가에 대한 논의를 하는 것은 아니지만, 우선 메이지에 대한
일말의 가능성을 찾아보기로 합시다. 이 글이 상급자용으로 적은 것도 있지만, 일단은
메이지는 정말 약하다... 라는 점에 대해서는 다들 공감하시리라 생각합니다. 이유가 뭘까요 ??
1. 맷집이 너무 약하다
메이지는 함성빨을 받아봤자 최대 2500 라잎을 넘기지 못합니다.
표면상의 라잎도 낮은데, 일반 스켈레톤 병사와 확연히 차이가 나는 점은 자동 회복 부분입니다.
스켈레톤 (병사) 가 강력한 점 중의 하나는 자동라잎회복이 뛰어나다는 점입니다.
보통 올스킬빨을 25넘게 받고, 18~20레벨의 함성을 받는 경우, 해골병사는 230 정도의 라잎을
1초 마다 회복합니다. 그런데 메이지는 끽 해야 50~60 사이이지요.
따라서 보통 스켈레톤은 그냥 냅두더라도 체력이 회복하는 반면에 메이지는 라잎이 회복하기 전에
죽어버리는 경우를 자주 경험하게 됩니다.
2. 데미지가 약하다
스켈레톤(병사)의 한방 데미지는 보통 2000 정도입니다. 스킬빨에 따라 좀 차이가 납니다만...
그런데 메이지는 한방 데미지가 매우매우 낮습니다.
실험삼아 총 27스킬 소환스킬보너스를 받는 경우에 메이지의 데미지를 분석해봤습니다.
파이어 메이지 : 472~476
콜드 메이지 : 266~269
라이트닝메이지 : 68~742
포이즌 메이지 : 39.94 초당 데미지
이들 4종류의 메이지는 랜덤으로 소환됩니다.
파이어만 뽑고 싶다고 파이어만 나오는게 아니고, 콜드만 뽑고 싶다고 콜드만 나오는게 아니죠.
그리고 4종류 모두 원거리 공격을 가하는데, 원거리 공격의 속도가 그리 빠르지도 않다보니,
이래저래 실망하는 경우가 많이 생깁니다.
그렇다면 메이지를 완전히 배제하고 게임을 하면 되지만, 또 게임이라는게 딱 고정된 것만 하면
재미가 없지 않겠습니까 ?? 메이지 주력의 소환넥을 키워보고 싶다...!!! 라고 생각할 수도 있으니,
그런 분들께는 무공과 로우어레지스트(저주)를 같이 섞어서 써보라고 권하고 싶습니다.
16~17 마리의 메이지라면 집중화력이 그렇게 낮지는 않으니까 말이죠.
또 보기에도 화려하구요 ... 다만 저는 메이지는 소환하지 않습니다. (되살리는게 귀찮아서)
※※※ 리바이브 관련 기본 정보 ※※※
소환넥이라면 누구나 리바이브를 잘 이용해보고자 한번쯤은 생각해보셨을 겁니다.
그리고 또 생각보다 약한 리바이브 몹들로 실망도 하셨을거구요.
리바이브에 대해 열거하게되면 정말 한도끝도 없어집니다.
왜냐하면 몬스터의 능력치를 고스란히 이어받아서 소생되는 것들이다보니, 제각각의 몬스터
들의 능력치가 다 다를 수밖에 없기 때문이죠.
우선 리바이브에 대한 FACT 부터 짚고 넘어가겠습니다.
1 ) 리바이브는 1스킬당 1마리씩 소환할 수 있는 몬스터의 숫자가 늘어난다. 그외에 다른 보너스는 없다.
2 ) 리바이브의 몬스터는 스켈레톤 마스터리에 의해 능력치가 더 늘어난다.
3 ) 리바이브로 소생시킨 몬스터는 3분만에 소멸된다
4 ) 리바이브로 소생시키지 못하는 몬스터들도 있다. (보스몹, 유니크몹, 기타 특정 몹들, 어빌리언나이트등등)
5 ) 개별 몬스터들의 체력은 매우 높은 편이지만, 데미지는 그렇게 강하지 않다
6 ) 이뮨 몬스터나 특정 스킬을 가진 몬스터를 리바이브로 사용하면 우버 잡이나 횃불 잡을 때 유용하다
7 ) 화면상에서 보이지 않는 곳으로 리바이브 몹들이 흩어지면 종종 사라지는 경우도 생긴다
8 ) 텔레포트로 이동할 때, 시야밖의 몬스터는 인식하지 못한다
9 ) 스켈레톤 병사에 비해 인공지능이 매우 떨어진다
대부분은 알고 계신 내용들이라 생각됩니다.
워낙에 기본적인 내용들이고, 이들 FACT 중에 우리가 꼭 알아야 하는 점은, 리바이브 몹은
몸빵은 좋은데, 인공지능이 거의 없다시피 해서, 컨트롤이 용이하지 않다는 점과,
데미지가 낮기 때문에 굳이 20만땅으로 스킬을 찍어서 리바이브를 주력 데미지 원으로 삼을 필요가
없다는 사실입니다.
* 리바이브로 살려낼 몬스터들의 기본정보 *
아리앗 서밋의 몬스터 정보 링크
위 링크에 들어가보시면 여러종류의 몬스터 정보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일치하지 않는 데이터가 약간 있는데, 대부분의 데이터는 신빙성이 있는 편입니다.
※※※ 우버 횃불 잡을 때 리바이브를 활용하기 ※※※
리바이브가 아무래도 스켈레톤보다는 데미지가 약한건 사실입니다만, 활용하기에 따라서는
아주 좋은 대안이 될 수도 있습니다.
어다의 몬스터 기본정보
액트4 에 나오는 어다 계열은 강타를 때릴 수 있는 특수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즉 우버 디아라던지, 횃불 3군주등 라잎이 어마어마하게 많은 보스몹을 상대하기에는
강타를 최대한 활용해주는 것이 크게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그 외에 위에 아리앗 서밋의 몬스터 정보들을 찾아보시면 물리 이뮨, 라이트닝 이뮨 등의 몬스터들을
하나하나 찾아볼 수 있습니다. 자신만의 필승 조합을 만드셔서 최단기간내에 횃불을 클리어 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 마치는 글 ※※※
이번 글은 제가 작성하기 전에 제가 잘 모르는 부분들을 정리한 것입니다.
평소 자유게시판에 올라오는 글들을 하나씩 읽어보고 댓글로 답을 드리는 편인데, 가끔가다보면,
저도 잘 모르고 있던 내용을 날카롭게 질문하시는 분들이 계셔서 이 기회에 소환넥에 대해서도
좀 공부를 해보자... 하고 시작한 글입니다.
그렇다보니, 소환넥은 스킬을 어떻게 찍냐, 소환넥의 스탯은 어떻게 ? 등등의 기본적인 내용은
일절 배제를 하고 시작하게 된 부분이 좀 아쉽습니다. 물론 제가 이것저것 설명을 드릴 수도 있겠지만,
위 글은 소환넥에 대해 잘 알고 계시는 분들께 오히려 도움이 되지 않을가 하는 생각입니다.
글을 올리기 전에 쪽지로나마 자료에 대한 조언을 주신 오바다님께 다시 한번 고맙다는 말씀드리고
싶고, 의외로 외국싸이트에 소환넥에 대한 방대한 자료가 많은 것에 다시 한번 놀라게 되었습니다.
(사실 제가 위에 작성한 자료들도 정말 방대한 자료중에서 극히 일부분이라는걸 글을 적을 수록
느끼게 되었지요)
이것만으로 모든 소환넥에 대한 지식을 만족할 수는 없겠지만, 적어도 제 스스로 적으면서 만족했고,
또 이 내용으로 도움을 받을 수 있는 분이 계시다면 그것만으로 만족하려고 합니다.
구체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면 제게 말씀해주시고, 댓글이나 쪽지로 지적 받겠습니다. ^_^
항상 좋은 하루 되세요~~~
안녕하세요 앙골라네꼬 입니다.
오늘은 오래간만에 추천게시물에 글을 올리게 되었습니다.
오늘 소개할 캐릭은 네크로맨서입니다.
소환넥, 혹은 조폭넥 등으로 불리는 캐릭이죠.
죄송한 말이지만, 초보자가 보기에는 이 글은 좀 복잡하고 어려울 수 있습니다.
그리고 지금부터 제가 풀어가는 정보를 몰라도 충분히 소환넥을 즐길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어떤식으로 캐릭을 키워라는 지침서를 적자고 시작한 글이 아니고, 기존에 어림짐작으로 알고는
있었으나, 자세히는 몰랐던 그런 내용들에 대한 정보들을 종합한 글이라고 보시면 되겠네요.
어렵게 말할 것 없고 바로 들어가겠습니다.
※※※ 내 소환수의 정확한 능력치가 궁금하다면 ※※※
직접 소환넥을 키워보셨다면 아시겠지만, 과연 내 소환수들이 어느정도의 능력치를 가지고
있는지 정확히 스탯창 등에 표시가 되지 않습니다. 그냥 어림짐작으로 아... 뭐 이정도면
쎄네, 라던지, 그런거 몰라도 사냥만 잘 하면 되니까... 등등의 이유로 자세히 짚고 넘어가지
않았던 부분이 크게 작용했다고 봅니다.
공식 자체를 설명드리면 너무 복잡합니다만, 소환수의 능력치를 파악하는데 도움이 되는,
계산기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몇몇 소환수들은 난이도에 따라 (노말/나메/헬) 능력치가 달라집니다.
따라서 계산기 등에서 입력을 할 때에는 난이도를 반드시 입력하셔야 정확한 수치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그냥 넘어가면 너무 아쉬우니, 위에 링크를 이용해서 소환수들의 능력치를 한번 확인해봅시다.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샤코,수수,스웹,오심,호우먼,마라,쌍조던,5스킬콜투,스왑용스피릿,애니,횃불,소환참7장
이렇게 셋팅한 소환네크로 계산했습니다. 용병 마이트레벨을 22로 맞추고 (템빨로 18에서 22로 맞춰집니다)
20컨센 자존심으로 무장을 한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능력치를 각각 갖추고 나옵니다.
소환스킬빨 26 (올스킬 포함)
배틀 오더스 19
여기에, 기본적인 소환네크 (스켈레톤 마스터리, 레이즈스켈레톤, 골렘마스터리를 마스터하는 경우) 스킬을
분배하고 나면 다음과 같은 최종 능력치가 나옵니다.
*** 스켈레톤 (해골병사) ***
라잎 : 9589
어레 : 4984
데미지 : 2021 ~ 2031
공속프레임 : 18프레임
패힛 : 7프레임
올레지 : 69
소환가능 개수 : 17
1초간 라잎회복 수치 : 234
*** 아이언 골렘 ***
라잎 : 10917
어레 : 4965
데미지 : 84~231
공속프레임 : 15프레임
패힛 : 없음
올레지 : 69/69/119/169
소환가능 개수 : 1
1초간 라잎회복 수치 : 199.8
위에 나온 라잎은 콜투암스로 함성을 받은 뒤의 라잎입니다.
이건 한 예시일 뿐이고, 자신의 실제 스킬레벨을 직접 반영해주시면, 금새 확인이 되시리라 믿습니다.
자, 17마리의 스켈레톤을 소환하는 경우에는 각 해골들이 한대씩만 때려도 34K를 넘기는데, 또
앰플이 걸려있기 때문에, 이 수치는 실제로는 더 늘어납니다.
※※※ 스켈레톤 병사를 강하게 하는 요소 ※※※
( 1 ) 마이트 용병
나이트 메어 액트2 용병이 마이트 오오라를 쓰는 것은 아마 소환넥 유저라면 기본적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내 마이트 용병의 마이트 오오라 스킬은 도대체 몇인가 ? 그리고 어떻게 하면 마이트 오오라를
강화시켜줄 수 있을까 하고 한번쯤은 생각해보셨을 겁니다.
용별레벨 83 >>> 17레벨 마이트 오라 = 200증뎀
용병레벨 87 >>> 18레벨 마이트 오라 = 210증뎀
용병레벨 91 >>> 19레벨 마이트 오라 = 220증뎀
용병레벨 95 >>> 20레벨 마이트 오라 = 230증뎀
용병레벨4가 올라갈때 마다, 마이트 오오라는 1레벨씩 올라가게 됩니다.
그리고 여기서 말하는 증뎀이란 최종데미지의 두배 증가는 아니고, 우리가 일반 타격하는 데미지를 계산
하는 공식중의 일부분으로서 더해지는 수치입니다.
*** 마이트 오라는 아이템에서 얻는 올스킬 보너스에 의해 스킬레벨이 증가할 수 있다
만약에 내 용병의 레벨이 91레벨(19레벨 마이트) 이라면, 안다뚜껑과 명굴갑옷을 입히게 될 때, 총 4스킬
이 추가가 되므로, 23레벨 마이트 오오라로 만들 수 있게 됩니다. 별것 아닌 것 같지만, 40증뎀 차이라면
적지 않은 수치라는건 아시리라 생각합니다.
( 2 ) 룬워드 자존심
자존심에는 최대20스킬의 컨센트레이션 오라가 붙을 수 있습니다.
20스킬 컨센이면, 345증뎀 입니다. 마이트 오오라보다 더 많은 양의 데미지 증가를 꾀할 수 있는 무기이죠.
스켈레톤 위주의 소환넥이라면 무공보다는 자존심쪽에 훨씬 더 해골데미지를 높일 수 있는 요소가 많으니,
자존심을 꼭 추천합니다. (무공이 완전 나쁘다는 말은 아닙니다)
종종 자존심을 들면, 도저히 몹을 잡기가 어려워서 처음에 시체를 만들기 어렵다고 푸념을 많이 듣습니다.
진짜로 몹을 잡기가 너무 어렵다면,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시체를 확보하세요.
*** 해골 소환을 위한 시체 확보 방법 ***
액트5 마을에 엔야 옆에 있는 빨간 포탈로 들어갑니다.
빨간 포탈로 들어가면 해골들이 열마리 이상 누워있습니다.
이 해골들은 시간이 지나면 일어나서 아군을 공격해오는데, 해골들이 일어나기 전에는 시체로 인식이 되
기 때문에, 해골소환, 리바이브 등으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 3 ) 룬워드 야수
야수에는 9스킬의 파나티시즘 오오라가 붙어 있습니다.
9스킬 파낙이면 93% 증뎀이죠. (파티원 증뎀) 거기에 어레 증가와 공속 증가는 무시못할 정도의 효과를
낼 수 있습니다. 위에 소개드린 계산기를 통해 확인해보면 소환수들의 공속 증가가 있습니다.
계산상으로는 기본 18프레임에서 14프레임으로 낮아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만, 다만 이것은
매 14프레임마다 타격을 한다는 말과는 약간 다릅니다. 해골들의 경우 1타 공격후 15프레임의 딜레이
를 가지고, 다음 2타째 공격을 가합니다. 그래도 타격 속도가 2~3프레임이라도 빨라진다는 것은 분명
데미지를 더 높일 수 있는 방법이라고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보통은 오심을 본캐릭의 무기로 많이 드는데, 오심은 올스킬에 패캐와 올레가 있어 아주 균형이 잘 잡혀
있습니다. 다만 해골의 공격력을 높이기 위해서라면 3스킬 스킬렙 보다는 야수를 본캐릭이 직접 들어주는
편이 좋습니다. (장단점이 있다는 말이니, 선택은 본인의 취향에 달렸다고 보면 됩니다)
※※※ 시폭의 모든 것 ※※※
1. 시폭 데미지 계산
소환넥을 키워본 사람이라면 누구나 한번쯤 고민하는 주제입니다.
시폭의 데미지를 구해봅시다.
Damage = 0.5(CBL)(RF)((100 – EFR)/100 + (200 – EPR)/100)
Damage = 0.5(CBL)(RF)((100 – EFR)/100 + (150 – EPR)/100)
CBL = Corpse base life (몹의 기본 체력)
RF = random factor (0.6 에서 0.8 로 랜덤으로 붙는 데미지 공식상의 factor )
EFR = Enemy's fire resistance (적의 파이어 저항력)
EPR = Enemy's physical resistance (적의 물리저항력)
첫번째는 앰플을 걸어준 상태에서의 데미지 공식이며, 두번째는 디크리를 걸어준 상태에서의 데미지입니다.
이 공식을 천천히 뜯어보면, 그리고 몹 체력을 하나씩 넣어주면 실제 시폭 데미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몹의 기본정보들은 Areat Summit 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자 꽤나 복잡한 공식이라서 저도 하나하나 뜯어가면서 설명드리기 애매합니다만, 확실한 Fact 만 짚고
넘어가면 다음과 같은 핵심(밑줄 쫙) 내용으로 추릴 수 있습니다.
** 시폭 데미지는 물리데미지와 파이어데미지가 혼합된 것이다
** 시폭 데미지중의 물리데미지는 앰플을 걸어도 물리이뮨이 풀리지 않는 경우에는 전혀 들어가지 않는다
** 시폭 데미지중의 파이어데미지는 파이어내성에게는 전혀 들어가지 않는다
*** 혼자서 방만들었을 때 나오는 몹의 체력이 기준이 되며, 이 데미지는 인원수가 늘어나도 고정이다
*** 시폭의 파이어 데미지는 유닉쥬얼(파이어)에 의해 증가될 수 있다
*** 시폭 물리데미지는 항상 고정적이지 않다, 데미지 Factor (0.6~0.8)에 의해 변하게 된다.
2. 시폭 레벨 증가에 따른 범위 해설
(출처 - 섬게이트 "오바다"님)
그림을 보시면 일목요연합니다.
야드 단위, 그리고 시폭 레벨 단위가 늘어날 수록 시폭 범위가 얼마나 늘어나는가에 대해 한눈에 알 수 있게,
그림이 만들어져 있습니다. 섬게의 오바다님께서 그림을 사용해도 된다고 하여, 냉큼 빌려왔습니다.
소환넥을 키울 때 참 고민하는 부분이 이것이죠.
시폭을 만땅 줄까, 다른데 투자를 할까...
그림에서 원형이 스킬레벨에 따라 점점 늘어나는데, 그림에서는 사람을 중심으로 표시되지만,
실제 몹에서 얼마나 범위가 늘어나는지 본인의 스킬레벨을 대비해서 생각해주시면 되겠습니다.
제가 이 부분에서 말씀드리고자 하는건 시폭을 만땅 찍어라... 라고 하는건 아닙니다.
본인의 취향에 맞게 찍는걸 도와드리자는 것이죠.
저는 시폭에 만땅도 찍어보고, 1스킬도 찍어봤습니다만, 둘다 장단점이 확실히 있습니다.
※※※ 아이언 골렘에 대한 정보 ※※※
소환넥 유저라면, 대부분 아이언골렘을 사용합니다.
아이템의 옵션들을 그대로 간직한 소환물을 만들어낸다는 점은 다른 캐릭에서는 느낄 수 없는
정말 멋진 매력이라고 할 수 있죠. 앞서 소개해드렸던 소환수의 능력치를 계산하는 것을 이용하면,
충분히 필요한 정보를 뽑을 수는 있습니다. 다만 기왕에 상급자용 공략글을 쓰는만큼 조금 더
자세한 내용을 소개해드릴까 합니다.
Fact 1 ) 아이언골렘은 방에 새로 조인할 때마다 새로 만들어진다
아이언골렘을 뽑을 때, 각종 스킬빨이 붙어 있는 템들을 들고, 1스킬이라도 높은 아골을 뽑으려고
하는 유저들이 많습니다. 다만 아쉽게도 만들은 그 순간에는 스킬빨이 그대로 지속되지만, 그 이후에
방에서 나갔다가 새로 다른 방에 조인하는 경우, 방에 조인하는 순간의 스킬레벨(아골)에 의해
아골이 재소환됩니다.
Fact 2 ) 아골은 금속성의 아이템으로만 소환이 가능하다
너무 당연하다고 느낄 수도 있습니다만, 일단 중요한 사실이니 짚고 넘어가겠습니다.
아이언이 쇠붙이등을 나타내는 말이라서 그런지는 모르겠지만, 무조건 금속성 아이템으로만 소환이
가능합니다. 목재 스태프 등으로는 소환이 안된다는 말이지요.
Fact 3 ) 매찬(find magic item)이 있는 아이템으로 아골을 소환해도 효과가 없다
Areat Summit 에서는 아골에는 매찬적용이 되지 않는다고 나와있습니다.
뭐 일반적으로 아골은 통찰이라던지, 기타 오오라가 가능한 아이템으로 만들기 때문에 별로
신경을 쓰지 않는 부분이지만, 예를 들어 6솟 버석에 이슷룬을 다 작업해서 아골을 만들어도,
매찬은 적용이 되지 않는다는 말입니다.
Fact 4 ) 스킬빨 시너지가 가능하다
아골에 한정하지 않고, 클레이골렘, 블러드골렘, 파이어골렘 등 모든 종류의 골렘은 서로가 시너지
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시너지 스킬은 직접 찍은 만큼만 시너지 적용이 되고,
템빨로 올라가는 스킬레벨만큼은 시너지 적용이 되지 않습니다만, 골렘들의 경우에는 스킬빨로
올라가는 만큼도 시너지 적용이 됩니다. 그리고 이것은 드루이드의 소환스킬도 마찬가지입니다.
Fact 5 ) 아이언골렘은 5% 확률로 크리티컬 힛 공격을 한다
크리티컬 힛은 2배 데미지를 가진 공격입니다.
5% 확률이 매우 적지만, 두배의 데미지를 가진 공격이 종종 터질 수 있다는 말이 됩니다.
소환수 능력 계산기에 공격1과 공격2로 나누어져 있는데, 이것은 바로 크리티컬 힛 공격치를
감안한 것입니다. 카오스 통찰로 만든 아골이라면 크리티컬을 때리나 마나 별 차이가 없지만,
데미지가 매우 높은 죽숨 등으로 만든 아골은 크리티컬이 나오면 꽤 따끔하겠죠 ??
그리고 이것만으로는 좀 아쉽다...
원래 내가 알던 내용이다... 라고 하시는 분께는 아래 링크글을 소개하겠습니다.
모든 종류의 골렘에 대한 종합 정보를 싣고 있습니다.
※※※ 스켈레톤 메이지는 쓰레기인가 ※※※
쓰레기냐 아니냐... 쓸모가 있나 아닌가에 대한 논의를 하는 것은 아니지만, 우선 메이지에 대한
일말의 가능성을 찾아보기로 합시다. 이 글이 상급자용으로 적은 것도 있지만, 일단은
메이지는 정말 약하다... 라는 점에 대해서는 다들 공감하시리라 생각합니다. 이유가 뭘까요 ??
1. 맷집이 너무 약하다
메이지는 함성빨을 받아봤자 최대 2500 라잎을 넘기지 못합니다.
표면상의 라잎도 낮은데, 일반 스켈레톤 병사와 확연히 차이가 나는 점은 자동 회복 부분입니다.
스켈레톤 (병사) 가 강력한 점 중의 하나는 자동라잎회복이 뛰어나다는 점입니다.
보통 올스킬빨을 25넘게 받고, 18~20레벨의 함성을 받는 경우, 해골병사는 230 정도의 라잎을
1초 마다 회복합니다. 그런데 메이지는 끽 해야 50~60 사이이지요.
따라서 보통 스켈레톤은 그냥 냅두더라도 체력이 회복하는 반면에 메이지는 라잎이 회복하기 전에
죽어버리는 경우를 자주 경험하게 됩니다.
2. 데미지가 약하다
스켈레톤(병사)의 한방 데미지는 보통 2000 정도입니다. 스킬빨에 따라 좀 차이가 납니다만...
그런데 메이지는 한방 데미지가 매우매우 낮습니다.
실험삼아 총 27스킬 소환스킬보너스를 받는 경우에 메이지의 데미지를 분석해봤습니다.
파이어 메이지 : 472~476
콜드 메이지 : 266~269
라이트닝메이지 : 68~742
포이즌 메이지 : 39.94 초당 데미지
이들 4종류의 메이지는 랜덤으로 소환됩니다.
파이어만 뽑고 싶다고 파이어만 나오는게 아니고, 콜드만 뽑고 싶다고 콜드만 나오는게 아니죠.
그리고 4종류 모두 원거리 공격을 가하는데, 원거리 공격의 속도가 그리 빠르지도 않다보니,
이래저래 실망하는 경우가 많이 생깁니다.
그렇다면 메이지를 완전히 배제하고 게임을 하면 되지만, 또 게임이라는게 딱 고정된 것만 하면
재미가 없지 않겠습니까 ?? 메이지 주력의 소환넥을 키워보고 싶다...!!! 라고 생각할 수도 있으니,
그런 분들께는 무공과 로우어레지스트(저주)를 같이 섞어서 써보라고 권하고 싶습니다.
16~17 마리의 메이지라면 집중화력이 그렇게 낮지는 않으니까 말이죠.
또 보기에도 화려하구요 ... 다만 저는 메이지는 소환하지 않습니다. (되살리는게 귀찮아서)
※※※ 리바이브 관련 기본 정보 ※※※
소환넥이라면 누구나 리바이브를 잘 이용해보고자 한번쯤은 생각해보셨을 겁니다.
그리고 또 생각보다 약한 리바이브 몹들로 실망도 하셨을거구요.
리바이브에 대해 열거하게되면 정말 한도끝도 없어집니다.
왜냐하면 몬스터의 능력치를 고스란히 이어받아서 소생되는 것들이다보니, 제각각의 몬스터
들의 능력치가 다 다를 수밖에 없기 때문이죠.
우선 리바이브에 대한 FACT 부터 짚고 넘어가겠습니다.
1 ) 리바이브는 1스킬당 1마리씩 소환할 수 있는 몬스터의 숫자가 늘어난다. 그외에 다른 보너스는 없다.
2 ) 리바이브의 몬스터는 스켈레톤 마스터리에 의해 능력치가 더 늘어난다.
3 ) 리바이브로 소생시킨 몬스터는 3분만에 소멸된다
4 ) 리바이브로 소생시키지 못하는 몬스터들도 있다. (보스몹, 유니크몹, 기타 특정 몹들, 어빌리언나이트등등)
5 ) 개별 몬스터들의 체력은 매우 높은 편이지만, 데미지는 그렇게 강하지 않다
6 ) 이뮨 몬스터나 특정 스킬을 가진 몬스터를 리바이브로 사용하면 우버 잡이나 횃불 잡을 때 유용하다
7 ) 화면상에서 보이지 않는 곳으로 리바이브 몹들이 흩어지면 종종 사라지는 경우도 생긴다
8 ) 텔레포트로 이동할 때, 시야밖의 몬스터는 인식하지 못한다
9 ) 스켈레톤 병사에 비해 인공지능이 매우 떨어진다
대부분은 알고 계신 내용들이라 생각됩니다.
워낙에 기본적인 내용들이고, 이들 FACT 중에 우리가 꼭 알아야 하는 점은, 리바이브 몹은
몸빵은 좋은데, 인공지능이 거의 없다시피 해서, 컨트롤이 용이하지 않다는 점과,
데미지가 낮기 때문에 굳이 20만땅으로 스킬을 찍어서 리바이브를 주력 데미지 원으로 삼을 필요가
없다는 사실입니다.
* 리바이브로 살려낼 몬스터들의 기본정보 *
아리앗 서밋의 몬스터 정보 링크
위 링크에 들어가보시면 여러종류의 몬스터 정보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일치하지 않는 데이터가 약간 있는데, 대부분의 데이터는 신빙성이 있는 편입니다.
※※※ 우버 횃불 잡을 때 리바이브를 활용하기 ※※※
리바이브가 아무래도 스켈레톤보다는 데미지가 약한건 사실입니다만, 활용하기에 따라서는
아주 좋은 대안이 될 수도 있습니다.
어다의 몬스터 기본정보
액트4 에 나오는 어다 계열은 강타를 때릴 수 있는 특수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즉 우버 디아라던지, 횃불 3군주등 라잎이 어마어마하게 많은 보스몹을 상대하기에는
강타를 최대한 활용해주는 것이 크게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그 외에 위에 아리앗 서밋의 몬스터 정보들을 찾아보시면 물리 이뮨, 라이트닝 이뮨 등의 몬스터들을
하나하나 찾아볼 수 있습니다. 자신만의 필승 조합을 만드셔서 최단기간내에 횃불을 클리어 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 마치는 글 ※※※
이번 글은 제가 작성하기 전에 제가 잘 모르는 부분들을 정리한 것입니다.
평소 자유게시판에 올라오는 글들을 하나씩 읽어보고 댓글로 답을 드리는 편인데, 가끔가다보면,
저도 잘 모르고 있던 내용을 날카롭게 질문하시는 분들이 계셔서 이 기회에 소환넥에 대해서도
좀 공부를 해보자... 하고 시작한 글입니다.
그렇다보니, 소환넥은 스킬을 어떻게 찍냐, 소환넥의 스탯은 어떻게 ? 등등의 기본적인 내용은
일절 배제를 하고 시작하게 된 부분이 좀 아쉽습니다. 물론 제가 이것저것 설명을 드릴 수도 있겠지만,
위 글은 소환넥에 대해 잘 알고 계시는 분들께 오히려 도움이 되지 않을가 하는 생각입니다.
글을 올리기 전에 쪽지로나마 자료에 대한 조언을 주신 오바다님께 다시 한번 고맙다는 말씀드리고
싶고, 의외로 외국싸이트에 소환넥에 대한 방대한 자료가 많은 것에 다시 한번 놀라게 되었습니다.
(사실 제가 위에 작성한 자료들도 정말 방대한 자료중에서 극히 일부분이라는걸 글을 적을 수록
느끼게 되었지요)
이것만으로 모든 소환넥에 대한 지식을 만족할 수는 없겠지만, 적어도 제 스스로 적으면서 만족했고,
또 이 내용으로 도움을 받을 수 있는 분이 계시다면 그것만으로 만족하려고 합니다.
구체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면 제게 말씀해주시고, 댓글이나 쪽지로 지적 받겠습니다. ^_^
항상 좋은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