렐따 , 방따에 대한 고찰.
분류
디아관련
조회 수
3,568
추천 수
0
먼저 이 글은 렐름 및 방 다운에 관한 다른 분들의 일반적인 의견을 토대로 작성하였습니다.
(특히 털보님 글에 많은 공감을 가졌기에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 )
저도 한 동안 렐따 와의 전쟁을 치뤘었고, 지금은 거의 해방(?) 단계에 있기에 모두가 아시는 내용이겠지만 지금도 렐따의 고충을 겪고 계실 분들에게는 조금이나마 도움이 됬으면 좋겠습니다.
< 렐따를 피하기 위한 철칙 3가지 >
1. 사냥장소를 자신의 캐릭 역량에 맞게 설정한다.
- 봇 사용시 잦은 치킨은 곧 렐따의 주범입니다. 캐릭이 약하면 사냥장소의 난이도를 낮춰야 합니다.
2. 방을 나올경우 일정 시간 이상 (최소 10초 이상) 대기한 후 생성한다.
- 하나의 계정으로 아이템 옮길 때 특히 주의
3. 방 생성부터 나올때까지 최소 3~5 분 이상 유지하고 ,정상적인 종료를 통해서 나온다.
- 봇 사용시도 Kill 이 아닌 스크립트 멈추고 정상 종료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참고 : 렐따를 피하기 위한 봇 설정
( 봉구님이 쓰신 자료입니다. 저도 매우 유용하게 사용하고 있고, 봉구님께 다시한번 감사드리고 싶네요. ^^ )
autostarter.d2j 수정.
var gamesToPauseMin = 10;
var gamesToPauseMax = 20;
var timeToPauseMin = 5*60*1000; //5분
var timeToPauseMax = 10*60*1000; //10분
- 최소 10방, 최대 20방을 돈 후 최소 5분에서 최대 10분 휴식.
< 렐따, 방따의 증상 및 임시 대처법 >
1.방따 : 참가할 수 있는 방이 없다는 오류 메세지와 함께 조인 및 방 생성 불가
- 원인 : 짧은 시간동안 일정 빈도 이상의 조인 or 방 생성
- 증상 : 재 접속 시도때마다 약 5분 의 방따 시간 증가
- 해결책 : 디아를 완전 종료 시킨 상태로 최소 10 - 20 분 경과 후 접속. ( 확인 할때마다 5분씩 증가 주의 )
2. 렐따
- 원인 : 서버의 과부하를 줄만한 모든 사유 ( 예> 짧은 방 생성 시간 , 비 정상적인 종료 등 )
- 증상 : 렐름 접속 불가
- 해결책 : IP 변경 ( Dsl, 케이블, 공유기 환경등에서 IP 변경법은 검색을 통해 각종 팁을 참고하세요. )
** Cd-key 변경, IP 변경시에도 발생하는 문제는 방따, 렐따의 혼합적인 문제일 경우일 수도 있으며 , 각기 다른 네트웍 환경에 맞는 정확한 해결책을 제시할 수 없기에 100% 명확한 해답이 될 수 없습니다.
< 렐따, 방따에 대한 구체적 고찰 (?) >
아래 글은 많은 분들의 의견을 토대로 나름대로 분석해본 내용으로 , 가장 중요한 것은 ...
봇이든 정상적인 방법이든 항상 릴렉스 하게 하시는게 렐따, 방따를 피하는 지름길임을 미리 말씀드립니다.
1. 방따
위에 언급한 대로 잦은 조인, 생성이 원인입니다.
로그인, 조인 , 방 생성 , 아이템 정도 등 게임내의 모든 정보는 DB 에 저장되게 됩니다. 예를 들어 DB 데이터를 토대로 연결했던 라스트 쿼리만 비교해도 간단하게 이 캐릭이 얼마나 잦은 접속을 하는지 알 수 있습니다.
돈 안들이고 서버 부하를 줄이고, 그나마 봇 사용을 막는데는 가장 손쉽고 단순한 해결 방법이기에 블럭대상이 될 수 있다는 뜻입니다.
일정시간 안에 몇번 조인할 경우 방따.
푸는 시간은 10분 (최초 방따) + 방따 후 조인 x 5 분 .. 이런식으로 간단히 막을 수 있기때문에 , 비록 블리자드의 정확한 스캔 이나 블럭 알고리즘을 알수는 없지만 방따가 생기는 경우를 분석하면 충분히 유추 가능한 내용입니다.
2. 렐따
서버의 부하를 줄 수 있는 모든 사유가 해당됩니다.
서버 & 클라이언트 통신에 있어 비 정상적인 세션의 종료는 항상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서버 문제의 여부를 떠나서 TCP 프로토콜을 아시면 충분히 납득할 수 있는 내용입니다.
예를 들어.... " 방 나와도 될까 ?? " 라고 물어놓고 " 방나가라 " 라는 서버의 응답이 미처 오기도 전에 나와버리는 것은 서버가 바라보는 입장에서는 결코 바람직 하지 않은 행위입니다.
아무리 봇이 아닌 정상적으로 게임을 즐겨도 위에 이유를 들어 방따와 마찬가지로 충분히 접근을 제한 할 수 있다는 얘기입니다. ( 물론 블리자드 스타일 이지만... ㅎㅎ ) 또는 반대로 정말 장애일 수도 있습니다. 확률은 희박 ;;;
IP 가 변경되면 일단 최초 접속시 렐따가 풀리는 이유를 생각하면 개념은 DDNS 와 유사하다고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특히 접속자가 많은 시간대에는 이점을 생각하고 더욱더 주의해야 합니다.
비록 저또한 Cd-Key가 1개 인지라 ;;;; 일부러 렐따되는 과정을 테스트 해보진 못했지만 , 조금 더 구체적으로 인증 서버를 거쳐서 게임 서버로 접속하는 과정을 분석해보고 어느정도 확신을 할 수 있었습니다.


< 결론 >
렐따, 방따는 여러가지 원인이 있을 수 있고 나름대로 해결책을 제시할 수는 있습니다.
하지만... 정말 렐따, 방따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최소한 디아2를 즐길때 만은 여유로운 마음으로 하시는게 중요합니다.
방 생성, 종료 등등 게임내의 모든 행위에 10초 여유만 더 가지셔도 ( 저는 담배 한대 피고 와서 하는.. 건강상 비추 ㅎㅎ ;; ) 렐따,방따가 대폭 줄어드는 것을 충분히 느끼실 껍니다.
그럼.. 즐거운 디아 하세요.
P.S > 깨지는 사진은 이해해 주세요. 이눔의 귀차니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