팀봇/쫄봇 설정방법 v0.6.1
분류
봇관련
조회 수
6,567
추천 수
5
위 스샷은, 리더-햄딘, 쫄1-블리메테, 쫄2-극블리, 셋이서 팀봇팅하는거...
일단, 제가 수정해서 올린 파일을 자료실에서 받으세요.
########## 파티안하는 현상 해결법 ###########
카오스,바알,피트 스크립에 보면
if (XP_RunMode > 0 && !_TPXP_UseLoader) {
load(XP_PartyPath);
DT_DrinkAll=true;
}
이부분을,
if (XP_RunMode > 0 ) {
load(XP_PartyPath);
DT_DrinkAll=true;
}
요렇게, 수정하고 사용하세요
##############################################
v 0.6.1
- 쫄봇이, 리더 따라서 마을왔다가, 리더가 필드로 갔는데, 안따라올 경우.
팀/쫄봇 실행되는 리더 케릭 설정파일,
// Attack configuration 부분에,
XP_TeamMode = 1;
을 넣으세요.
v 0.6
- LoaderXP.d2j 대신사용하기 에서 autod2jsp 와 메시지 문제 해결한
FollowXP.d2j, FollowXP1.d2j, FollowXP2.d2j, FollowXP3.d2j 를, 포함시킴.
쫄봇 한개만 쓸경우는 FollowXP.d2j 만 사용하고,
쫄봇 한개 이상 사용시는,
쫄봇1 은 FollowXP1.d2j,
쫄봇2 는 FollowXP2.d2j,
쫄봇3 은 FollowXP3.d2j 을 사용하세요.
v 0.5
- FollowXP.d2j 를 LoaderXP.d2j 대신사용하기
사용리소스를 줄여서
저사양 컴터에서도(램512), 리더, 쫄 2개 를 돌릴수 있습니다.
세팅방법은,
bot 폴더에 FollowXP.d2j 을, FollowXP1.d2j, FollowXP2.d2j, ... 이런식으로 쫄봇갯수 만큼 만듧니다.
autod2jsp 에서 쫄봇 세팅을 에디트 눌러서
쫄봇1 세팅의 default script 를 bots\FollowXP1.d2j,
쫄봇2 세팅의 default script 를 bots\FollowXP2.d2j,
.
.
.
이렇게 쫄봇 갯수만큼 세팅해줍니다, 최대 4개가 되겠죠, 한방에 4개만 들어갈 수 있으니까요.
위에서 만들어논 각 FollowXP1.d2j,FollowXP2.d2j 을 열어서, 앞부분 다음 변수 세팅 ,
아래 변수 세팅과 각 쫄봇케릭 설정파일 function FWXP_Variables() 변수 세팅은 반드시 일치 시켜야 합니다.
//////////////////////////////////////////////////////////////////////
// Script public variables
//////////////////////////////////////////////////////////////////////
var FWXP_LeechMode = false; //비전투시 true, 전투시 false
var FWXP_AutoFollow = true;
var FWXP_AutoGuard = true; //비전투시 false, 전투시 true
var FWXP_AutoUseTP = true; //포탈사용명령(tp up, tp clear) 사용시 false
var FWXP_LeashDistMin = 1;
var FWXP_LeashDistMax = 4;
var FWXP_Flyer = false; //플라이어면 true
var FWXP_Cryer = false; //함성담당이면 true
//////////////////////////////////////////////////////////////////////
// Script private variables
//////////////////////////////////////////////////////////////////////
var _FWXP_UseLoader = false;
var _FWXP_LeaderName = "리더케릭명";
var _FWXP_PartyLeader=0;
var _FWXP_pEvent = 0;
var _FWXP_FlagFollow = false;
var _FWXP_FlagGuard = false;
var _FWXP_LeaderPosition = { x:0, y:0 };
각 쫄봇 케릭파일설정은 아래 설명된 세팅 참조.
- 리더케릭이 bo 명령시, 함성담당으로 지정된 케릭(함성바바)가 함성을 수행. (오리에서 유용)
- 기타 등등...
v 0.4
- 각종 에러최소화
- 전투/비전투 모두 지원 (방법은 아래 설명참조)
- 리더케릭인 경우, 용병사용하지 말고 해야 좋습니다.
- 리더,쫄 케릭 모두 돈을 충분히 넣고 해줍니다.
- 컴터사양이 좋은 경우, nip 이니 모두 사용해도 됩니다.
- 팀/쫄봇시 사용 명령어
채팅으로 명령을 내립니다.
tp up 포탈 타기 (포탈열림)
tp clear 포탈 타기 (포탈지점 몹잡음)
stay 현위치에서 대기
wait in town 마을에서 대기, (리더가 있는 액트의 마을로 자동이동됨)
bo 콜투암 장착한 쫄 ,혹은 바바쫄 에게 리더에게 와서 오더
guard 같이 전투 (전투설정시)
follow me 따라옴
opentp 현위치서 포탈열기
다음은 해당 웨이포인트 가서 포탈열기 (플라이 봇이 반드시, 해당웨이포인트가 있어야 됨)
액트1
cold
stony
dark
black
outer
jail
inner
catacombs
액트2
sewer
dry
halls
far
lost
palace
arcane
canyon
액트3
spider
great
flayer
lower
kurast
upper
trav
durance
액트4
city
river
액트5
frigid
arreat
crystal
glacial
pain
frozen
ancient
worldstone
다음은, 해당지역가서 포탈열기
chaos
throne
andy
countess
pit
tunnel
mephy
v 0.3
- 카오스런시 입구부터 사냥 가능
- 피트추가
- 기타 등등...
카오스런시, 리더 케릭 설정파일에서.
function CSXP_Variables() {
CSXP_ClearRiver = false;
CSXP_ClearChaos = true; // 요거를 true 로 하면 입구, 중앙부터는 false
CSXP_Retries = 3;
CSXP_KillDiablo = true;
CSXP_NoDiabloQuit = false;
XP_SwitchOnKill=false;
XP_SwitchHP=40;
XP_StallKill=false;
XP_StallHP=40;
XP_StallSkipPhys=true;
DA_CheckImmunes=true;
DA_CheckEnchantements=true;
DA_CheckAuras=true;
XP_KillMinions=true;
XP_KillMinionsFirst=false;
XP_RunMode = 2;
}
v 0.2
-수동(사람이 리더인경우) 에서, 쫄봇(플라이지정된) 특정지역 플라이 가능
채팅으로, 다음 명령 입력
chaos - 카오스생츄어리 플라이
throne - 쓰론 플라이
andy - 카타콤4층 플라이
countess - 포카튼 5층 플라이
pit - 피트 플라이
tunnel - 액2 고대하수도 플라이
mephy - 증오3층 플라이
쫄봇 세팅
function FWXP_Variables() {
FWXP_LeechMode = false; //비전투 쫄인 경우 true, 전투쫄인 경우 false
FWXP_AutoFollow = true; //봇, 수동 모두 true 로 세팅 추천
FWXP_AutoGuard = true; //비전투 쫄인 경우 false, 전투쫄인 경우 true
FWXP_AutoUseTP = true; //포탈만 열리면 들어오게 할때 true, 포탈명령 (tp up, tp clear) 로 할때는 false
FWXP_LeashDistMin = 1; //리더와 최소 유지거리
FWXP_LeashDistMax = 4; //리더와 최대 유지거리
FWXP_Flyer = false; //플라이어면 true
FWXP_Cryer = false; //함성담당이면 true
}
v 0.1
-타운매니저와 관련된 에러 완전 해결(?)
v 0.0
-thething 님의 오류수정 적용했습니다.
-포탈 타는 부분과 타운매니저 부분, 에러 최소화되게 수정했습니다.
-리더가 팅길경우, 쫄도 알아서 나가게 수정했습니다.
아직 베타버전 정도입니다.
여러분들이 사용하시면서, 수정의견 말씀하시면,
최적화 시키도록 노력할게요 ^^;
팔로우, 카오스 , 바알, 피트 스크립만 수정한겁니다.
%%%%%% 카오스런 먼저 하고, 바알런 을 하는 순서로 하세요. %%%%%%%
현재 햄딘, 블리/파볼(메테) 소서, 극블리 소서
이렇게 셋이 돌구있는데, 에러 없이 잘도구 있습니다. ^^
[설치 방법]
bot 폴에, 기존 파일 백업하고, 덮어쓰기 하세요.
[설정 방법]
==== 리더 케릭을 사람이(수동) 조정할 경우 ====
-autod2jsp 에서,
Follow Bot Options 사용은...
0. v1.2.0 과 같이 배포된 , autostarter.d2j 를 사용해야합니다.
(이버전과 같이 배포된 몇가지 파일들은 꼭 사용해주는게 좋습니다,
기존파일에 걍 덮어쓰기하면 되겠죠, 기존 파일 백업해두는거 잊지말고요.)
1. 쫄케릭과 리더 케릭이 서로 친추 되어 있어야 됩니다.
2. Use Follow Bot Mode 체크한후,
Leader Name 에, 리더역활(방장)할 케릭명을 정확히 넣어 줍니다.
Okay 누르고, 맨위 Save 버튼을 눌러서 저장해 줍니다.
이렇게 한후, 봇을 스타트 합니다.
3. 리더케릭으로 방을 만듧니다. (방이름이 baalrun-01, 비번이 1 이라하면)
4. 리더케릭이 방에서 채팅으로,
/f m join game baalrun-01/1
이라고 메시지를 날립니다.
Follow Bot 설정된 봇들이, 해당방으로 조인합니다.
비번이 없는 방이라면,
/f m join game baalrun-01/
요렇게, 비번 없어도 끝에 꼭 슬래시를 넣어 줘야 됩니다.
조인을 지시하는 명령어는 기본적으로 join game 으로 설정되있습니다.
이걸 바꿀려면,
autostarter.d2j 파일에서
/******** FOLLOW BOT CONFIGURATION VARIABLES ***********************/
var joinGameCommand = "join game"; //<= 이부분을 찾아서
/******** FOLLOW BOT CONFIGURATION VARIABLES ***********************/
var joinGameCommand = "join"; //<= 이런식으로 바꾸주면 됩니다.
조인명령어를 join 으로 바꿧다면,
/f m join baalrun-01/1
이렇게 조인 메시지도 바꿔서 해줘야 됩니다.
방에 조인후에는,
1.파티해주고
2.채팅으로, wait in town 한후
3.원하는 곳으로 이동 포탈열고,
채팅으로 guard 하고, follow me 하면
졸졸따라 댕기면서, 같이 싸웁니다.
4. 장소를 다른곳으로 옮길경우 포탈열고 마을가면, 마을로 따라옵니다.
이때 wait in town 한후,
3 번 반복 하면 됩니다.
!!!!!!! 주의사항은, 쫄이 상점에 간경우에는, 상점처리 다끝날때까지,
기다렸다가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세요.
이래야, 에러가 최소화 됩니다. !!!!!!!
==== 리더케릭이 봇인 경우 ====
1. autod2jsp 에서, 리더케릭은 Use Follow Bot Mode 을 사용하면 안됩니다.
2. 팀/쫄봇 지원되는 피트,고대하수도,카오스,바알 코스만, 사냥코스로 설정 합니다.
==== 쫄봇 공통 설정 ====
1. autod2jsp 에서 , Use Follow Bot Mode 체크한후,
Leader Name 에, 리더역활(방장)할 케릭명을 정확히 넣어 줍니다.
2. default script 를,
쫄봇1 = bots\FollowXP.d2j
쫄봇2 = bots\FollowXP1.d2j
쫄봇3 = bots\FollowXP2.d2j
쫄봇4 = bots\FollowXP3.d2j
로, 설정 합니다.
3. Okay 누르고, 맨위 Save 버튼을 눌러서 저장해 줍니다.
4. 아래 쫄봇/팀봇 세팅 을 해줍니다.
이렇게 한후, 쫄봇을 먼저 스타트 합니다. !!!!!!!!!!
autod2jsp 쫄봇(들) location 에 모두 Lobby Chat 으로 표시되면
리더케릭을 스타트 합니다.
==== 수동/봇 공통 세팅 사항 ====
XP_Config.d2l 파일에서
DM_ChangeAreaTimeout = 13000; //포탈시 타임아웃 시간을 충분히 줍니다.
DM_UsePortal 에러메시지 내면서 팅길경우, 위 시간을 좀더 주면 됩니다.(컴터사양과, 네트웍 환경에 따라...)
-리더 케릭 설정 파일에서 세팅할 사항 (아래 변수 위치 찾아서 설정 하세요, 각각 다른 위치에 있습니다.)
// 현재는 카오스, 바알, 피트 만 지원됩니다.
LXP_Script.push("PitXP.d2j",1);
LXP_Script.push("ChaosXP.d2j",4);
LXP_Script.push("BaalXP.d2j",5);
// LoaderXP configuration 부분
LXP_StartGameDel = 20000; // 파티를 안할 경우 20초 정도 게임시작전 딜레이를 줍니다.
// Teambot options 부분
LXP_InviteOthers = true; // 반드시 true
// Teambotting configuration (Leader side) 부분
XP_RunMode = 2; // 2로 세팅
// Follower commands configuration 부분
XP_JoinMessage = "join game";
XP_TPMessage = "tp up";
XP_TPLeechMessage = "tp clear";
XP_WaitTownMessage = "wait in town";
XP_NextGameMessage = "next game";
XP_RunMode = 2; // 아래 3변수는, 바알변수 설정부분 끝에 있습니다.
BXP_LogRunsToMIRC = false;
BXP_PortalPosition = 1;
//카오스 변수
function CSXP_Variables() {
CSXP_ClearRiver = false;
CSXP_ClearChaos = false;
CSXP_Retries = 3;
CSXP_KillDiablo = true;
CSXP_NoDiabloQuit = false;
XP_SwitchOnKill=false;
XP_SwitchHP=40;
XP_StallKill=false;
XP_StallHP=40;
XP_StallSkipPhys=true;
DA_CheckImmunes=true;
DA_CheckEnchantements=true;
DA_CheckAuras=true;
XP_KillMinions=true;
XP_KillMinionsFirst=false;
XP_RunMode = 2; // 카오스런시 반드시 넣어줍니다.
}
// Attack configuration 부분에,
XP_TeamMode = 1;
- 쫄봇/팀봇 세팅
// 나머지 코스는 전부 주석처리 하고, 팔로우만 사용합니다.
LXP_Script.push("FollowXP.d2j",0);
// FollowXP configuration 부분
function FWXP_Variables() {
FWXP_LeechMode = false; //전투시 false, 비전투시 true
FWXP_AutoFollow = true;
FWXP_AutoGuard = true; //전투시 true, 비전투시 false
FWXP_AutoUseTP = true; // tp up, tp clear 로 포탈타게 할경우 ,, false
FWXP_LeashDistMin = 1;
FWXP_LeashDistMax = 4;
FWXP_Flyer = false; //플라이어면 true
FWXP_Cryer = false; //함성담당이면 true
}
// Teambotting configuration (Leader side) 부분
XP_RunMode = 2;
XP_PartyPath = "tools/PartyXP.d2j";
// Follower commands configuration 부분
XP_JoinMessage = "join game";
XP_TPMessage = "tp up";
XP_TPLeechMessage = "tp clear";
XP_WaitTownMessage = "wait in town";
XP_NextGameMessage = "next game";
// BaalXP Public mode configuration 부분
XP_RunMode =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