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차 오리지널 만능쫄을 이용하여 디아런과 카우런을 동시에..
분류
봇관련
조회 수
2,615
추천 수
6
오리지널 만능쫄을 이용하여 디아런과 카우런을 동시에..
기사는 소서, 만능쫄 바바, 팔라(햄딘), 네크(조폭)를 사용합니다.
오리지널 유저이기에 디아런 셋팅만을 알려드리며
공격 설정 및 기타 셋팅은 아래와 같이 진행 해주시면 됩니다.
단점은 디아블로를 못잡는다는 점이 조금 아쉽네요..
⋆⋆⋆⋆⋆⋆[설정 작업]⋆⋆⋆⋆⋆⋆
1. d2nt3.1 and ntbot 4.2_20\ 엔티봇길잡이.exe 실행
2. 케릭이니 하단에 쫄봇 클릭
3. 자동 체크
쫄봇 창에 기사계정이름 => 소서계정명
쫄계정이름/지연시간 => 바바계정명/1,팔라계정명/2,네크계정명/3
추가 후 저장
⋆⋆⋆⋆⋆⋆[기사 설정 작업]⋆⋆⋆⋆⋆⋆
0. 해당글을 복사하여 메모장에 붙여넣어 활용하시기 바라며, 메모장 상단 메뉴중 서식-> 자동줄바꿈 해제 하신후 보시면 글 보기 편리 합니다.
1. \scripts\NTBot\char_configs 안에 소서 캐릭명 ntl를 설정
예) NTConfig_Sorceress_캐릭터이름.ntl -> NTConfig_Sorceress_소서캐릭터이름.ntl 변경
캐릭터명은 대소문자 구별합니다.
2. NTConfig_Sorceress_소서캐릭터이름.ntl 메모장으로 열기 [참고:메모장 상단 메뉴중 서식-> 자동줄바꿈 해제]
아래 부분을 보시고, 따라해 보시기 바랍니다.
//--------------------------------------------------------------------------
// 함성봇과 퀘드랍봇
//--------------------------------------------------------------------------
//NTConfig_Script.push(["MyHamseongBot.ntj", []]); // 함성봇 * 참고: 여러 번 설정해서 실행할 수 있습니다. 함성을 해 줍니다.
.
.
.
.
.
.
NTConfig_Script.push(["MyQueDropBot.ntj", []]); // 퀘드랍봇 * 참고: 여러 번 설정해서 실행할 수 있습니다. 함성을 받습니다.
MyConfig_QueDropBotHamseongBot = ["바바케릭명", 120, 0, 120]; // 함성봇 = ["함성봇 캐릭터이름", 함성봇을 확인할 최대 시간(초), 함성 받을 웨이포인트(0: 함성봇이 있는 웨이포인트), 함성 받을 최대 시간(초)] * 주의: 함성 받을 웨이포인트를 0으로 설정하면 마을 밖(웨이포인트가 있는 지역만 해당)에 함성봇이 있으면 그 지역으로 함성을 받으러 갑니다. 즉, 함성봇의 '함성해 줄 웨이포인트'가 아닌 다른 지역으로 함성을 받으러 갈 수도 있습니다.
//--------------------------------------------------------------------------
//--------------------------------------------------------------------------
// 만능 쫄봇
//--------------------------------------------------------------------------
NTConfig_Script.push(["MyJjolBotGisa.ntj", []]); // 기사용 만능 쫄봇 * 참고: 'scripts/NTBot/MyConfigs/Key.ntl'에서 명령키를 설정합니다. 'NTConfig_PublicMode = true'로 자동 설정됩니다.
MyConfig_JjolBotGisaJjol = ["팔라케릭명","바바케릭명","네크케릭명"]; // 쫄 명단 = ["쫄 캐릭터이름" . . .] * 주의: 수동 기사(기사를 직접할 경우)는 "쫄 캐릭터이름"을 설정하지 않습니다. 자동 기사(기사가 봇일 경우)는 "쫄 캐릭터이름"을 설정합니다. * 참고: 수동 기사일 경우, 기사가 지역 이동 후 쫄이 따라오지 않으면 기사를 이리저리 움직입니다. 예) 수동 기사 = [], 자동 기사 = ["ㄱ", "ㄴ"]
MyConfig_JjolBotGisaWait = 120; // 쫄 기다릴 최대 시간(초)
//NTConfig_Script.push(["MyJjolBotJjol.ntj", []]); // 쫄용 만능 쫄봇 * 참고: 'NTConfig_PublicMode = false'로 자동 설정됩니다.
MyConfig_JjolBotJjolItem = [true, false]; // 방에 입장하면 아이템 정비하기 = [사용 여부, 도박하기]
MyConfig_JjolBotJjolDistance = [10, 20]; // 기사와의 간격 = [최소, 최대]
MyConfig_JjolBotJjolPrecast = 0; // 프리캐스트하기 = 확인 시간(1/1000초) 간격 * 참고: '이동이나 사냥 중에 할 프리캐스트 설정하기'가 적용됩니다.
MyConfig_JjolBotJjolAttack = [0, 25, 1000]; // 몬스터 잡기 = [0: 사용 안 함/ 1: 쫄 기준으로 잡기/ 2: 기사 기준으로 잡기, 몬스터와의 간격, 공격 시간(1/1000초) 간격] * 참고: '이동이나 사냥 중에 할 프리캐스트 설정하기'가 적용됩니다.
MyConfig_JjolBotJjolPick = 0; // 아이템 줍기 = 확인 시간(1/1000초) 간격
MyConfig_JjolBotJjolGisa = ""; // 방에 있는 특정 캐릭터를 기사로 설정하기 = "기사가 될 캐릭터이름" * 주의: 기사가 될 캐릭터가 MyJjolBotGisa.ntj를 사용할 때는 설정하지 마십시오. * 참고: 설정하지 않으면 기사는 'scripts/NTBot/MyConfigs/JjolBot.ntl'에 설정한 기사가 적용됩니다.
MyConfig_JjolBotJjolMessage = ["!쫄봇 준비 완료!"]; // 수동용 쫄봇의 준비 완료 메시지 = ["보낼 메시지" _ _ _] * 참고: 특수문자 '%G'는 다음 방이름입니다.
//--------------------------------------------------------------------------
// 액트 4
//--------------------------------------------------------------------------
//NTConfig_Script.push(["MyIzual.ntj", []]); // 액트 4: 지옥 망령의 도시로 이동 -> 절망의 평원으로 이동 -> 이주얼 사냥
MyConfig_IzualClear = [[0, 0x01], [0, 0x01]]; // [지옥 망령의 도시, 절망의 평원]
//NTConfig_Script.push(["MyHephasto.ntj", []]); // 액트 4: 불길의 강으로 이동 -> 대장장이 헤파스토 사냥
MyConfig_HephastoClear = [[0, 0x01]]; // [불길의 강]
NTConfig_Script.push(["MyDiaBot.ntj", []]); // 액트 4: 불길의 강으로 이동 -> 카오스 생츄어리로 이동 -> 씨일 열고 소환 몬스터 사냥 -> 디아블로 사냥
MyConfig_DiaBotDiaJjolBot = [0, ""]; // 디아봇용 쫄봇 = [0: 사용 안 함/ 1: 기사/ 2: 부기사/ 3: 쫄, "기사 캐릭터이름"] * 기사 캐릭터이름: 부기사와 쫄일 때만 설정하며, 설정하지 않으면 기사 캐릭터이름은 'scripts/NTBot/MyConfigs/JjolBot.ntl'에 설정한 기사의 캐릭터이름이 적용됩니다. * 주의: 디아봇용 쫄봇과 만능 쫄봇을 같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 참고: 기사는 'NTConfig_PublicMode = true', 부기사와 쫄은 'NTConfig_PublicMode = false'로 자동 설정됩니다.
MyConfig_DiaBotJjolBot = 2; // 만능 쫄봇 = 0: 사용 안 함/ 1: 쫄봇(멈춤)/ 2: 쫄봇(움직임) * 주의: 만능 쫄봇은 디아봇용 쫄봇, MyConfig_DiaBotPortalOpen, MyConfig_DiaBotPortalUse 등과 같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MyConfig_DiaBotHelp = 0; // 채팅 메시지 'ㄷ', 'h', 'H' 등을 외친 플레이어의 주위에 있는 몬스터 잡아 주기 = 잡아 줄 횟수
MyConfig_DiaBotPotion = [2, 2]; // 사 먹을 포션 개수 = [해독포션, 해빙포션]
MyConfig_DiaBotHostile = [true, true, true, [], 10, 15]; // 적대적 플레이어가 출몰했을 때의 출발점 = [입구, 지옥 망령의 도시, 불길의 강, ["자신을 제외한 디아봇용 쫄봇의 기사와 부기사의 캐릭터이름" . . .], 디아봇용 쫄봇의 기사와 부기사의 위치를 확인할 시간(초), 디아봇용 쫄봇의 기사와 부기사의 유지할 간격] * 주의: 확장만 적용되니 오리지널은 설정하지 마십시오. "자신을...캐릭터이름", '디아봇용...확인할 시간(초)', '디아봇용...유지할 간격' 등은 디아봇용 쫄봇의 기사와 부기사만 설정합니다. * 참고: 설정한 출발점 중에서 무작위로 한 곳을 선택합니다. 예) [true, true, true, ["ㄱ", "ㄴ"], 10, 15]
MyConfig_DiaBotClear = [[0, 0x01], [0, 0x01], [1, 0x01]]; // [웨이포인트부터 입구까지, 입구부터 중앙까지, 중앙부터 디아블로 소환 전까지]
MyConfig_DiaBotPortalOpen = [false, 0, 120, true]; // 카오스 생츄어리에 타운포탈 열기 = [사용 여부, 0: 사용 안 함/ 1: 어다/그로테스크/머어 피엔드/대장장이 헤파스토가 있으면 타운포탈 열기(길목)/ 2: 같이 잡기(길목)/ 3: 타운포탈 열기(전체)/ 4: 같이 잡기(전체), 카오스 생츄어리에 파티원이 있는지 확인할 최대 시간(초), 카오스 생츄어리에서 사냥하기] * 주의: 만능 쫄봇과 같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MyConfig_DiaBotPortalUse = [0, true, true]; // 카오스 생츄어리에 열린 타운포탈 이용하기 = [타운포탈이 열렸는지 확인할 최대 시간(초), 어다/그로테스크/머어 피엔드/대장장이 헤파스토 잡기, 카오스 생츄어리에 타운포탈 열기] * 주의: 디아봇용 쫄봇의 부기사와 쫄 및 만능 쫄봇과는 같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 참고: 타운포탈을 이용하는데 실패하면 웨이포인트를 통해 카오스 생츄어리로 이동합니다. 디아봇용 쫄봇의 기사는 카오스 생츄어리에 타운포탈을 엽니다.
MyConfig_DiaBotPortalPosition = [0, 1, 10, 5, 2, 18]; // 타운포탈 열 위치 = [0: 입구/ 1: 중앙, 입구 첫 번째 타운포탈 연 후 대기 시간(초), 입구 두 번째, 중앙 첫 번째 타운포탈 연 후 대기 시간(초), 중앙 두 번째, 중앙 대기 시 사냥 범위] * 참고: 공방이거나 디아봇용 쫄봇, 만능 쫄봇, MyConfig_DiaBotPortalOpen 등을 사용할 때 적용됩니다.
//MyConfig_DiaBotPortalPosition = [0, 1, 2, 5, 2, 18]; // 타운포탈 열 위치 = [0: 입구/ 1: 중앙, 입구 첫 번째 타운포탈 연 후 대기 시간(초), 입구 두 번째, 중앙 첫 번째 타운포탈 연 후 대기 시간(초), 중앙 두 번째, 중앙 대기 시 사냥 범위] * 참고: 공방이거나 디아봇용 쫄봇, 만능 쫄봇, MyConfig_DiaBotPortalOpen 등을 사용할 때 적용됩니다.
MyConfig_DiaBotPortalCenter = true; // 중앙 근처에 타운포탈 열기 * 참고: 공방에서 중앙 근처에 타운포탈을 열지 않았을 때만 적용됩니다.
MyConfig_DiaBotKill = [2, 25, 12]; // 디아블로 잡기 = [0: 잡기/ 1: 대기/ 2: 포기, 디아블로 나오기 전 대기 시간(초), 디아블로 나온 후 대기 시간(초)]
MyConfig_DiaBotInventory = 0; // 디아블로 잡기 전 인벤토리에 있는 아이템 정리하기 = 0: 사용 안 함/ 1: 마지막 씨일 연 후 아이템 정리하기/ 2: 아이템 정리 후 마지막 씨일 열기
MyConfig_DiaBotParty = [false, ["[경험치 오류] %L 레벨 %N 님, 파티에서 탈퇴하십시오!"]]; // 디아블로 잡기 전 주위에 파티원 8명이 있으면 탈퇴하라는 메시지 보내기 = [사용 여부, ["보낼 메시지" _ _ _]] * 참고: 특수문자 '%L'은 레벨, '%N'은 이름입니다.
MyConfig_DiaBotMessage[0] = ["도움이 필요할 땐 'ㄷ', 'h', 'H' 등을 외칩니다!"]; // ["보낼 메시지" _ _ _] * 참고: 특수문자 '%G'는 다음 방이름입니다.
MyConfig_DiaBotMessage[1] = ["타운포탈, 위험합니다!"]; // ["위험한 타운포탈 열 때 보낼 메시지" _ _ _] * 참고: 특수문자 '%G'는 다음 방이름입니다.
MyConfig_DiaBotMessage[2] = ["타운포탈, 안전합니다!"]; // ["안전한 타운포탈 열 때 보낼 메시지" _ _ _] * 참고: 특수문자 '%G'는 다음 방이름입니다.
MyConfig_DiaBotMessage[3] = ["디아블로를 공격합니다. !"]; // ["디아블로 잡을 때 보낼 메시지" _ _ _] * 참고: 특수문자 '%G'는 다음 방이름입니다.
MyConfig_DiaBotMessage[4] = ["다음 '%G' 방으로 갑니다!"]; // ["디아봇 종료할 때 보낼 메시지" _ _ _] * 참고: 특수문자 '%G'는 다음 방이름입니다.
//--------------------------------------------------------------------------
// 카우봇
//--------------------------------------------------------------------------
NTConfig_Script.push(["MyCowBot.ntj", ["시작_엔티스크립트/NTConfig_OpenChest[1] = true"]]); // 주의: 마지막 사냥터로 설정한 카우봇이 종료될 때 응답 없음이 될 경우에는 종료 전에 시간을 지연하는 기능을 추가합니다.
MyConfig_CowBotClear = [[0, 0x01], [0, 0x01]]; // [스토니 필드, 트리스트럼]
MyConfig_CowBotGriswold = false; // 그리스월드 잡기
MyConfig_CowBotChicken = 127; // 헬에서 카우킹의 라이프(최대치 128)가 설정치 이하면 치킨하기
MyConfig_CowBotPortalXy = 0; // 시크리트 카우 레벨 포탈 열 위치 = 0: 큐브가 있는 곳/ 1: 3시 구석/ 2: 6시 구석/ 3: 9시 구석/ 4: 12시 구석/ 5: 무작위(1~4)
MyConfig_CowBotPortalOpen = false; // 사냥하지 않고 시크리트 카우 레벨 포탈만 열기
//##########################################################################
// 시간 설정하기
//==========================================================================
MyConfig_MaxGameTime = 3000; // 최대 게임 시간(초, 0: 무한정)
MyConfig_WaypointDelay = 8; // 웨이포인트 이동 시도 시간(초)
NTConfig_AreaDelay = 0; // 지역 이동 후 지연 시간(1/1000초)
MyConfig_MaxHpMpDelay = 150; // 라이프 및 마나의 최대치가 바뀔 때의 지연 시간(1/1000초) * 참고: 오크 세이지로 인한 치킨 오류를 방지합니다.
MyConfig_ExitGameDelay = [4000, true]; // 방 나가기 전 시간 지연하기 = [지연 시간(1/1000초), 마을에서 시간 지연하기]
MyConfig_TimeManager = [0, 0, "[시간 관리자] 샵봇 실행 중 (%T)"]; // 시간 관리자 = [만들 방 수, 실행 시간(분), "전체 창에 보낼 메시지"] * 참고: 특수문자 '%T'는 남은 시간입니다. 예) [20, 100, "[시간 관리자] 샵봇 실행 중 (%T)"] = 봇이 20방을 돈 시간이 100분 보다 적으면 21번 방에서 샵봇으로 100분을 채운 후 사냥을 시작합니다.
//##########################################################################
// 기타 옵션 설정하기
//==========================================================================
NTConfig_PublicMode = true; // 공방 * 참고: 자동으로 파티하기, 타운포탈 열어 놓기, 전체 창에 메시지 보내기 등을 합니다. 일부 스크립트에서는 자동으로 설정됩니다.
MyConfig_PartyMaster = ""; // 특정 캐릭터의 파티 초대만 승인하기 = "파티 초대를 승인할 캐릭터이름" * 참고: NTConfig_PublicMode의 설정과 무관하게 작동합니다.
MyConfig_CheckHostile = [4, [], [], []]; // 적대적 플레이어 감시하기 = [0: 사용 안 함/ 1: 적대적 메시지가 있으면 방 나가기/ 2: 마을 밖에서 적대적 플레이어 만나면 방 나가기/ 3: 적대적 플레이어가 방을 나갈 때까지 마을에서 대기하기/ 4: 적대적 플레이어 공격하기, ["적대적 플레이어 명단에 등록된 플레이어가 방에 들어왔을 때 보낼 메시지" _ _ _], ["적대적 플레이어를 발견했을 때 보낼 메시지" _ _ _], ["적대적 플레이어가 죽었을 때 보낼 메시지" _ _ _]] * 참고: 'scripts/NTBot/MyData/Hostile/HostileName.txt'에 적대적 플레이어의 이름을 기록합니다. 특수문자 '%H'는 적대적 플레이어의 이름입니다. 예) [4, ["죽을래?"], ["죽어라!"], ["%H, 죽었다!"]]
NTConfig_CheckCloneDiablo = [false, false]; // 위버디아 메시지 검사하기 = [사용 여부, 위버디아 로그] * 참고: 위버디아 로그는 'scripts/NTBot/MyData/CloneDiabloLog' 폴더에 저장합니다.
MyConfig_JordanMessage = [false, 1800, 3]; // 조던 메시지 검사하기 = [사용 여부, 조던 메시지를 확인할 시간(초), 확인할 조던 메시지 수] * 참고: '조던 메시지를 확인할 시간(초)' 동안 '확인할 조던 메시지 수' 이상을 확인하면 무한 대기합니다.
MyConfig_VisitHratli = 3; // 액트 3에 있는 흐라틀리 대신 다른 액트에 있는 엔피씨 만나기 = 액트 * 참고: 아이템 수리와 키를 살 때 흐라틀리를 만납니다.
MyConfig_ChickenLog = false; // 치킨 로그 * 참고: 'scripts/NTBot/MyData/ChickenLog' 폴더에 저장합니다.
MyConfig_Suicide = [0, 90]; // 자살 = [레벨, 경험치(%)] * 참고: 트라빈컬에서 30초간 자살을 시도합니다.
MyConfig_ExitServerIp = [true, [204], ["다음 방으로 갑니다!"]]; // 설정한 서버 아이피면 방 나가기 = [사용 여부, [확인할 서버 아이피('XXX.XXX.XXX.OOO'에서 마지막 OOO) . . .], ["방 나갈 때 보낼 메시지" _ _ _]] * 참고: 특수문자 '%G'는 다음 방이름입니다.
MyConfig_ExitJjolBot = ["", 0]; // 특정 캐릭터가 방을 나가면 따라 나가기 = ["따라 나갈 캐릭터이름", 따라 나갈 캐릭터가 처음부터 방에 없었다면 설정한 시간(초) 동안 기다린 후 방 나가기]
MyConfig_ExitHalt = 0; // 마을 밖에서 멈춰 있으면(멍때림) 방 나가기 = 멈춰 있는 시간(초)
MyConfig_SorceressTelekinesis = true; // 텔레키네시스로 스태쉬, 웨이포인트, 포탈 이용하기 * 참고: 텔레키네시스 거리 내에 있으면 설정과 관계 없이 이용합니다.
⋆⋆⋆⋆⋆⋆[만능쫄 설정 작업]⋆⋆⋆⋆⋆⋆
[[바바]]
1. \scripts\NTBot\char_configs 안에 소서 캐릭명 ntl를 설정
예) NTConfig_Barbarian_캐릭터이름.ntl -> NTConfig_Barbarian_바바캐릭터이름.ntl 변경
캐릭터명은 대소문자 구별합니다.
2. NTConfig_Barbarian_바바캐릭터이름.ntl 메모장으로 열기 [참고:메모장 상단 메뉴중 서식-> 자동줄바꿈 해제]
아래 부분을 보시고, 따라해 보시기 바랍니다.
//--------------------------------------------------------------------------
// 함성봇과 퀘드랍봇
//--------------------------------------------------------------------------
NTConfig_Script.push(["MyHamseongBot.ntj", []]); // 함성봇 * 참고: 여러 번 설정해서 실행할 수 있습니다. 함성을 해 줍니다.
// 퀘드랍봇에게만 함성해 줄 경우
//...............................
MyConfig_HamseongBotQueDropBot = ["소서케릭명","팔라케릭명","네크케릭명"]; // 함성해 줄 퀘드랍봇 캐릭터이름 = ["함성해 줄 퀘드랍봇 캐릭터이름" . . .] * 참고: "함성해 줄 퀘드랍봇 캐릭터이름"을 설정하지 않으면 '최대 게임 시간까지 파티원에게 함성해 줄 경우'가 적용됩니다. 예) ["ㄱ", "ㄴ"]
MyConfig_HamseongBotWait = 120; // 함성해 줄 퀘드랍봇을 기다릴 최대 시간(초)
// 최대 게임 시간까지 파티원에게 함성해 줄 경우
//..............................................
MyConfig_HamseongBotLeftTime = 10; // 배틀 오더스 남은 시간(초)이 설정한 시간보다 적으면 함성해 주기
MyConfig_HamseongBotMessage = [0, 0]; // 배틀 오더스 메시지 = [메시지 보내기(배틀 오더스 남은 시간(초)이 설정한 시간보다 적으면 메시지를 보냅니다), 메시지 안 보내기(배틀 오더스 남은 시간이 설정한 시간보다 적으면 메시지를 안 보냅니다)]
MyConfig_HamseongBotEnchanter = ""; // MyConfig_HamseongBotLeftTime와 MyConfig_HamseongBotMessage를 적용하지 않을 캐릭터이름
// 기타
//......
MyConfig_HamseongBotWaypoint = 107; // 함성해 줄 웨이포인트
//MyConfig_HamseongBotPortal = false; // 함성해 줄 웨이포인트로 이동 후 타운포탈 열기
MyConfig_HamseongBotWeapon = [1, 1, 1]; // 함성해 줄 때 장착할 무기 번호 = [배틀 커맨드, 샤우트, 배틀 오더스]
//--------------------------------------------------------------------------
// 만능 쫄봇
//--------------------------------------------------------------------------
//NTConfig_Script.push(["MyJjolBotGisa.ntj", []]); // 기사용 만능 쫄봇 * 참고: 'scripts/NTBot/MyConfigs/Key.ntl'에서 명령키를 설정합니다. 'NTConfig_PublicMode = true'로 자동 설정됩니다.
MyConfig_JjolBotGisaJjol = []; // 쫄 명단 = ["쫄 캐릭터이름" . . .] * 주의: 수동 기사(기사를 직접할 경우)는 "쫄 캐릭터이름"을 설정하지 않습니다. 자동 기사(기사가 봇일 경우)는 "쫄 캐릭터이름"을 설정합니다. * 참고: 수동 기사일 경우, 기사가 지역 이동 후 쫄이 따라오지 않으면 기사를 이리저리 움직입니다. 예) 수동 기사 = [], 자동 기사 = ["ㄱ", "ㄴ"]
MyConfig_JjolBotGisaWait = 60; // 쫄 기다릴 최대 시간(초)
NTConfig_Script.push(["MyJjolBotJjol.ntj", []]); // 쫄용 만능 쫄봇 * 참고: 'NTConfig_PublicMode = false'로 자동 설정됩니다.
MyConfig_JjolBotJjolItem = [true, false]; // 방에 입장하면 아이템 정비하기 = [사용 여부, 도박하기]
MyConfig_JjolBotJjolDistance = [10, 25]; // 기사와의 간격 = [최소, 최대]
MyConfig_JjolBotJjolPrecast = 40000; // 프리캐스트하기 = 확인 시간(1/1000초) 간격 * 참고: '이동이나 사냥 중에 할 프리캐스트 설정하기'가 적용됩니다.
MyConfig_JjolBotJjolAttack = [2, 20, 10]; // 몬스터 잡기 = [0: 사용 안 함/ 1: 쫄 기준으로 잡기/ 2: 기사 기준으로 잡기, 몬스터와의 간격, 공격 시간(1/1000초) 간격] * 참고: '이동이나 사냥 중에 할 프리캐스트 설정하기'가 적용됩니다.
MyConfig_JjolBotJjolPick = 10; // 아이템 줍기 = 확인 시간(1/1000초) 간격
MyConfig_JjolBotJjolGisa = ""; // 방에 있는 특정 캐릭터를 기사로 설정하기 = "기사가 될 캐릭터이름" * 주의: 기사가 될 캐릭터가 MyJjolBotGisa.ntj를 사용할 때는 설정하지 마십시오. * 참고: 설정하지 않으면 기사는 'scripts/NTBot/MyConfigs/JjolBot.ntl'에 설정한 기사가 적용됩니다.
MyConfig_JjolBotJjolMessage = ["!쫄봇 준비 완료!"]; // 수동용 쫄봇의 준비 완료 메시지 = ["보낼 메시지" _ _ _] * 참고: 특수문자 '%G'는 다음 방이름입니다.
//--------------------------------------------------------------------------
//##########################################################################
// 시간 설정하기
//==========================================================================
MyConfig_MaxGameTime = 3000; // 최대 게임 시간(초, 0: 무한정)
MyConfig_WaypointDelay = 8; // 웨이포인트 이동 시도 시간(초)
NTConfig_AreaDelay = 0; // 지역 이동 후 지연 시간(1/1000초)
MyConfig_MaxHpMpDelay = 150; // 라이프 및 마나의 최대치가 바뀔 때의 지연 시간(1/1000초) * 참고: 오크 세이지로 인한 치킨 오류를 방지합니다.
MyConfig_ExitGameDelay = [700, false]; // 방 나가기 전 시간 지연하기 = [지연 시간(1/1000초), 마을에서 시간 지연하기]
MyConfig_TimeManager = [0, 0, "[시간 관리자] 샵봇 실행 중 (%T)"]; // 시간 관리자 = [만들 방 수, 실행 시간(분), "전체 창에 보낼 메시지"] * 참고: 특수문자 '%T'는 남은 시간입니다. 예) [20, 100, "[시간 관리자] 샵봇 실행 중 (%T)"] = 봇이 20방을 돈 시간이 100분 보다 적으면 21번 방에서 샵봇으로 100분을 채운 후 사냥을 시작합니다.
//##########################################################################
// 기타 옵션 설정하기
//==========================================================================
NTConfig_PublicMode = true; // 공방 * 참고: 자동으로 파티하기, 타운포탈 열어 놓기, 전체 창에 메시지 보내기 등을 합니다. 일부 스크립트에서는 자동으로 설정됩니다.
MyConfig_PartyMaster = "소서케릭명"; // 특정 캐릭터의 파티 초대만 승인하기 = "파티 초대를 승인할 캐릭터이름" * 참고: NTConfig_PublicMode의 설정과 무관하게 작동합니다.
MyConfig_CheckHostile = [4, [], [], []]; // 적대적 플레이어 감시하기 = [0: 사용 안 함/ 1: 적대적 메시지가 있으면 방 나가기/ 2: 마을 밖에서 적대적 플레이어 만나면 방 나가기/ 3: 적대적 플레이어가 방을 나갈 때까지 마을에서 대기하기/ 4: 적대적 플레이어 공격하기, ["적대적 플레이어 명단에 등록된 플레이어가 방에 들어왔을 때 보낼 메시지" _ _ _], ["적대적 플레이어를 발견했을 때 보낼 메시지" _ _ _], ["적대적 플레이어가 죽었을 때 보낼 메시지" _ _ _]] * 참고: 'scripts/NTBot/MyData/Hostile/HostileName.txt'에 적대적 플레이어의 이름을 기록합니다. 특수문자 '%H'는 적대적 플레이어의 이름입니다. 예) [4, ["죽을래?"], ["죽어라!"], ["%H, 죽었다!"]]
NTConfig_CheckCloneDiablo = [false, false]; // 위버디아 메시지 검사하기 = [사용 여부, 위버디아 로그] * 참고: 위버디아 로그는 'scripts/NTBot/MyData/CloneDiabloLog' 폴더에 저장합니다.
MyConfig_JordanMessage = [false, 1800, 3]; // 조던 메시지 검사하기 = [사용 여부, 조던 메시지를 확인할 시간(초), 확인할 조던 메시지 수] * 참고: '조던 메시지를 확인할 시간(초)' 동안 '확인할 조던 메시지 수' 이상을 확인하면 무한 대기합니다.
MyConfig_VisitHratli = 3; // 액트 3에 있는 흐라틀리 대신 다른 액트에 있는 엔피씨 만나기 = 액트 * 참고: 아이템 수리와 키를 살 때 흐라틀리를 만납니다.
MyConfig_ChickenLog = false; // 치킨 로그 * 참고: 'scripts/NTBot/MyData/ChickenLog' 폴더에 저장합니다.
MyConfig_Suicide = [0, 90]; // 자살 = [레벨, 경험치(%)] * 참고: 트라빈컬에서 30초간 자살을 시도합니다.
MyConfig_ExitServerIp = [true, [204], ["다음 방으로 갑니다!"]]; // 설정한 서버 아이피면 방 나가기 = [사용 여부, [확인할 서버 아이피('XXX.XXX.XXX.OOO'에서 마지막 OOO) . . .], ["방 나갈 때 보낼 메시지" _ _ _]] * 참고: 특수문자 '%G'는 다음 방이름입니다.
MyConfig_ExitJjolBot = ["소서케릭명", 0]; // 특정 캐릭터가 방을 나가면 따라 나가기 = ["따라 나갈 캐릭터이름", 따라 나갈 캐릭터가 처음부터 방에 없었다면 설정한 시간(초) 동안 기다린 후 방 나가기]
MyConfig_ExitHalt = 0; // 마을 밖에서 멈춰 있으면(멍때림) 방 나가기 = 멈춰 있는 시간(초)
// 사냥터로 가기 전에 할 프리캐스트 설정하기
//-------------------------------------------
// MyConfig_Precast.push([무기 번호, 프리캐스트 스킬, [범위, 몬스터 수]])
// 주의: 범위 내의 몬스터 수가 설정치 이상이면 프르캐스트를 하지 않습니다.
// 참고: 설정하지 않으면 기본값으로 프리캐스트합니다.
// 설정한 순서대로 프리캐스트합니다.
//==========================================================================
MyConfig_Precast.push([1, 155, [0, 6], 5000]); // Battle Command * 주의: [무기 번호, 프리캐스트 스킬, [범위, 몬스터 수], 남은 시간(1/1000초)이 설정치 미만이면 프리캐스트하기]
MyConfig_Precast.push([1, 138, [0, 6], 5000]); // Shout * 주의: [무기 번호, 프리캐스트 스킬, [범위, 몬스터 수], 남은 시간(1/1000초)이 설정치 미만이면 프리캐스트하기]
MyConfig_Precast.push([1, 149, [0, 6], 5000, 0, 0]); // Battle Orders * 주의: [무기 번호, 프리캐스트 스킬, [범위, 몬스터 수], 남은 시간(1/1000초)이 설정치 미만이면 프리캐스트하기, 라이프가 설정치 초과면 프리캐스트하지 않기, 오크 세이지가 있는 상태에서 라이프가 설정치 초과면 프리캐스트하지 않기]
// 이동이나 사냥 중에 할 프리캐스트 설정하기
//-------------------------------------------
// MyConfig_PrecastCheck.push([무기 번호, 프리캐스트 스킬, [범위, 몬스터 수]])
// 주의: 범위 내의 몬스터 수가 설정치 이상이면 프르캐스트를 하지 않습니다.
//==========================================================================
MyConfig_PrecastCheck.push([1, 155, [0, 2], 40000]); // Battle Command * 주의: [무기 번호, 프리캐스트 스킬, [범위, 몬스터 수], 남은 시간(1/1000초)이 설정치 미만이면 프리캐스트하기]
MyConfig_PrecastCheck.push([1, 138, [0, 2], 40000]); // Shout * 주의: [무기 번호, 프리캐스트 스킬, [범위, 몬스터 수], 남은 시간(1/1000초)이 설정치 미만이면 프리캐스트하기]
MyConfig_PrecastCheck.push([1, 149, [0, 2], 40000, 0, 0]); // Battle Orders * 주의: [무기 번호, 프리캐스트 스킬, [범위, 몬스터 수], 남은 시간(1/1000초)이 설정치 미만이면 프리캐스트하기, 라이프가 설정치 초과면 프리캐스트하지 않기, 오크 세이지가 있는 상태에서 라이프가 설정치 초과면 프리캐스트하지 않기]
[[팔라]]
1. \scripts\NTBot\char_configs 안에 소서 캐릭명 ntl를 설정
예) NTConfig_Paladin_캐릭터이름.ntl -> NTConfig_Paladin_팔라캐릭터이름.ntl 변경
캐릭터명은 대소문자 구별합니다.
2. NTConfig_Paladin_팔라캐릭터이름.ntl 메모장으로 열기 [참고:메모장 상단 메뉴중 서식-> 자동줄바꿈 해제]
아래 부분을 보시고, 따라해 보시기 바랍니다.
//--------------------------------------------------------------------------
// 함성봇과 퀘드랍봇
//--------------------------------------------------------------------------
//NTConfig_Script.push(["MyHamseongBot.ntj", []]); // 함성봇 * 참고: 여러 번 설정해서 실행할 수 있습니다. 함성을 해 줍니다.
// 퀘드랍봇에게만 함성해 줄 경우
//...............................
MyConfig_HamseongBotQueDropBot = []; // 함성해 줄 퀘드랍봇 캐릭터이름 = ["함성해 줄 퀘드랍봇 캐릭터이름" . . .] * 참고: "함성해 줄 퀘드랍봇 캐릭터이름"을 설정하지 않으면 '최대 게임 시간까지 파티원에게 함성해 줄 경우'가 적용됩니다. 예) ["ㄱ", "ㄴ"]
MyConfig_HamseongBotWait = 120; // 함성해 줄 퀘드랍봇을 기다릴 최대 시간(초)
// 최대 게임 시간까지 파티원에게 함성해 줄 경우
//..............................................
MyConfig_HamseongBotLeftTime = 0; // 배틀 오더스 남은 시간(초)이 설정한 시간보다 적으면 함성해 주기
MyConfig_HamseongBotMessage = [0, 0]; // 배틀 오더스 메시지 = [메시지 보내기(배틀 오더스 남은 시간(초)이 설정한 시간보다 적으면 메시지를 보냅니다), 메시지 안 보내기(배틀 오더스 남은 시간이 설정한 시간보다 적으면 메시지를 안 보냅니다)]
MyConfig_HamseongBotEnchanter = ""; // MyConfig_HamseongBotLeftTime와 MyConfig_HamseongBotMessage를 적용하지 않을 캐릭터이름
// 기타
//......
MyConfig_HamseongBotWaypoint = 107; // 함성해 줄 웨이포인트
MyConfig_HamseongBotPortal = false; // 함성해 줄 웨이포인트로 이동 후 타운포탈 열기
MyConfig_HamseongBotWeapon = [1, 1, 1]; // 함성해 줄 때 장착할 무기 번호 = [배틀 커맨드, 샤우트, 배틀 오더스]
NTConfig_Script.push(["MyQueDropBot.ntj", []]); // 퀘드랍봇 * 참고: 여러 번 설정해서 실행할 수 있습니다. 함성을 받습니다.
MyConfig_QueDropBotHamseongBot = ["바바케릭명", 120, 0, 120]; // 함성봇 = ["함성봇 캐릭터
//--------------------------------------------------------------------------
// 만능 쫄봇
//--------------------------------------------------------------------------
//NTConfig_Script.push(["MyJjolBotGisa.ntj", []]); // 기사용 만능 쫄봇 * 참고: 'scripts/NTBot/MyConfigs/Key.ntl'에서 명령키를 설정합니다. 'NTConfig_PublicMode = true'로 자동 설정됩니다.
MyConfig_JjolBotGisaJjol = []; // 쫄 명단 = ["쫄 캐릭터이름" . . .] * 주의: 수동 기사(기사를 직접할 경우)는 "쫄 캐릭터이름"을 설정하지 않습니다. 자동 기사(기사가 봇일 경우)는 "쫄 캐릭터이름"을 설정합니다. * 참고: 수동 기사일 경우, 기사가 지역 이동 후 쫄이 따라오지 않으면 기사를 이리저리 움직입니다. 예) 수동 기사 = [], 자동 기사 = ["ㄱ", "ㄴ"]
MyConfig_JjolBotGisaWait = 60; // 쫄 기다릴 최대 시간(초)
NTConfig_Script.push(["MyJjolBotJjol.ntj", []]); // 쫄용 만능 쫄봇 * 참고: 'NTConfig_PublicMode = false'로 자동 설정됩니다.
MyConfig_JjolBotJjolItem = [true, false]; // 방에 입장하면 아이템 정비하기 = [사용 여부, 도박하기]
MyConfig_JjolBotJjolDistance = [10, 25]; // 기사와의 간격 = [최소, 최대]
MyConfig_JjolBotJjolPrecast = 100; // 프리캐스트하기 = 확인 시간(1/1000초) 간격 * 참고: '이동이나 사냥 중에 할 프리캐스트 설정하기'가 적용됩니다.
MyConfig_JjolBotJjolAttack = [2, 20, 10]; // 몬스터 잡기 = [0: 사용 안 함/ 1: 쫄 기준으로 잡기/ 2: 기사 기준으로 잡기, 몬스터와의 간격, 공격 시간(1/1000초) 간격] * 참고: '이동이나 사냥 중에 할 프리캐스트 설정하기'가 적용됩니다.
MyConfig_JjolBotJjolPick = 10; // 아이템 줍기 = 확인 시간(1/1000초) 간격
MyConfig_JjolBotJjolGisa = ""; // 방에 있는 특정 캐릭터를 기사로 설정하기 = "기사가 될 캐릭터이름" * 주의: 기사가 될 캐릭터가 MyJjolBotGisa.ntj를 사용할 때는 설정하지 마십시오. * 참고: 설정하지 않으면 기사는 'scripts/NTBot/MyConfigs/JjolBot.ntl'에 설정한 기사가 적용됩니다.
MyConfig_JjolBotJjolMessage = ["!쫄봇 준비 완료!"]; // 수동용 쫄봇의 준비 완료 메시지 = ["보낼 메시지" _ _ _] * 참고: 특수문자 '%G'는 다음 방이름입니다.
//--------------------------------------------------------------------------
//##########################################################################
// 기타 옵션 설정하기
//==========================================================================
NTConfig_PublicMode = true; // 공방 * 참고: 자동으로 파티하기, 타운포탈 열어 놓기, 전체 창에 메시지 보내기 등을 합니다. 일부 스크립트에서는 자동으로 설정됩니다.
MyConfig_PartyMaster = "소서케릭명"; // 특정 캐릭터의 파티 초대만 승인하기 = "파티 초대를 승인할 캐릭터이름" * 참고: NTConfig_PublicMode의 설정과 무관하게 작동합니다.
MyConfig_CheckHostile = [4, [], [], []]; // 적대적 플레이어 감시하기 = [0: 사용 안 함/ 1: 적대적 메시지가 있으면 방 나가기/ 2: 마을 밖에서 적대적 플레이어 만나면 방 나가기/ 3: 적대적 플레이어가 방을 나갈 때까지 마을에서 대기하기/ 4: 적대적 플레이어 공격하기, ["적대적 플레이어 명단에 등록된 플레이어가 방에 들어왔을 때 보낼 메시지" _ _ _], ["적대적 플레이어를 발견했을 때 보낼 메시지" _ _ _], ["적대적 플레이어가 죽었을 때 보낼 메시지" _ _ _]] * 참고: 'scripts/NTBot/MyData/Hostile/HostileName.txt'에 적대적 플레이어의 이름을 기록합니다. 특수문자 '%H'는 적대적 플레이어의 이름입니다. 예) [4, ["죽을래?"], ["죽어라!"], ["%H, 죽었다!"]]
NTConfig_CheckCloneDiablo = [false, false]; // 위버디아 메시지 검사하기 = [사용 여부, 위버디아 로그] * 참고: 위버디아 로그는 'scripts/NTBot/MyData/CloneDiabloLog' 폴더에 저장합니다.
MyConfig_JordanMessage = [false, 1800, 3]; // 조던 메시지 검사하기 = [사용 여부, 조던 메시지를 확인할 시간(초), 확인할 조던 메시지 수] * 참고: '조던 메시지를 확인할 시간(초)' 동안 '확인할 조던 메시지 수' 이상을 확인하면 무한 대기합니다.
MyConfig_VisitHratli = 3; // 액트 3에 있는 흐라틀리 대신 다른 액트에 있는 엔피씨 만나기 = 액트 * 참고: 아이템 수리와 키를 살 때 흐라틀리를 만납니다.
MyConfig_ChickenLog = false; // 치킨 로그 * 참고: 'scripts/NTBot/MyData/ChickenLog' 폴더에 저장합니다.
MyConfig_Suicide = [0, 90]; // 자살 = [레벨, 경험치(%)] * 참고: 트라빈컬에서 30초간 자살을 시도합니다.
MyConfig_ExitServerIp = [true, [204], ["다음 방으로 갑니다!"]]; // 설정한 서버 아이피면 방 나가기 = [사용 여부, [확인할 서버 아이피('XXX.XXX.XXX.OOO'에서 마지막 OOO) . . .], ["방 나갈 때 보낼 메시지" _ _ _]] * 참고: 특수문자 '%G'는 다음 방이름입니다.
MyConfig_ExitJjolBot = ["소서케릭명", 0]; // 특정 캐릭터가 방을 나가면 따라 나가기 = ["따라 나갈 캐릭터이름", 따라 나갈 캐릭터가 처음부터 방에 없었다면 설정한 시간(초) 동안 기다린 후 방 나가기]
MyConfig_ExitHalt = 0; // 마을 밖에서 멈춰 있으면(멍때림) 방 나가기 = 멈춰 있는 시간(초)
//##########################################################################
// 공격 설정하기
//---------------
// MyConfig_AttackSkill[X] = [공격 스킬, 몬스터와의 간격, 무기 번호, 오라 스킬]
// 참고: MyConfig_AttackSkill[1 또는 3]의 공격 스킬이 -1이면 기본값이 적용됩니다.(기본값: 블레시드 해머, 질, 피스트 오브 더 헤븐, 스마이트)
//==========================================================================
MyConfig_AttackSkill[0] = [112, 2, 1, 113]; // 처음 한 번만 공격할 스킬
MyConfig_AttackSkill[1] = [112, 2, 1, 113]; // 대장을 공격할 스킬
MyConfig_AttackSkill[2] = [112, 2, 1, 113]; // 1번 쿨타임 동안 공격할 스킬
MyConfig_AttackSkill[3] = [112, 2, 1, 113]; // 부하를 공격할 스킬
MyConfig_AttackSkill[4] = [112, 2, 1, 113]; // 3번 쿨타임 동안 공격할 스킬
MyConfig_AttackSkill[5] = [112, 2, 1, 113]; // 1, 3번 내성 시 공격할 스킬
MyConfig_AttackSkill[6] = [112, 2, 1, 113]; // 5번 쿨타임 동안 공격할 스킬
MyConfig_AttackSkill[9] = [112, 2, 1, 113]; // 적대적 플레이어를 공격할 스킬 * 참고: 공격 스킬이 -1이면 MyConfig_AttackSkill[1]이 적용됩니다.
MyConfig_AttackSkill[10] = [112, 2, 1, 113]; // 9번 쿨타임 동안 공격할 스킬 * 참고: 공격 스킬이 -1이면 MyConfig_AttackSkill[2]가 적용됩니다.
MyConfig_PaladinCharge = 1; // 달리기로 이동 시 차지 사용하기 = 0: 사용 안 함/ 1: 왼쪽 차지/ 2: 오른쪽 차지
MyConfig_PaladinAura = [115, 115, 115, 115, 115, 115]; // 켜고 다닐 오라 = [마을 액트 1, 액트 2, 액트 3, 액트 4, 액트 5, 마을 밖]
MyConfig_PaladinMagic = true; // 쓰론 오브 디스트럭션 외의 지역에서 몬스터가 마법공격 내성이면 공격 안 하기
MyConfig_PaladinSmite = 0; // MyConfig_AttackSkill[1, 3, 5]에 스마이트 설정 시 몬스터의 라이프(%)가 설정치 미만이면 쿨타임 적용하기
MyConfig_PaladinRedemption = [80, 70]; // 리뎀션하기 = [라이프(%)가 미만일 때, 마나]
MyConfig_Pumping = [0, 0, [0, 1], 0, 140, true, false]; // 펌핑 = [투구 펌핑 횟수, 갑옷 펌핑 횟수, [무기 펌핑 횟수, 무기 번호], 펌핑 순서(0: 투구 -> 갑옷/ 1: 갑옷 -> 투구), 지연 시간(1/1000초), 펌핑 후 용병 무기 재장착하기, 펌핑에 실패하면 방에서 무한 대기하기] * 경고: 아이템을 잃어버릴 수 있습니다. * 주의: 펌핑하기 위해 교체하는 아이템은 아이템이니에 줍도록 설정합니다. 무기 펌핑은 오른쪽에 있는 무기로 합니다. * 참고: 'scripts/NTBot/MyData/Pumping' 폴더에 펌핑 관련 파일을 저장합니다. 아이템 원위치 실패 시에는 무한 대기합니다.
MyConfig_WarcriesCry = [0, 2, 0, 2]; // 파티원에게 함성해 주기 = [범위, 배틀 커맨드 무기 번호(0: 사용 안 함/ 1: 1번 무기/ 2: 2번 무기), 샤우트, 배틀 오더스]
MyConfig_UsePhoenix = [0, 80, 60]; // 불사조로 리뎀션하기 = [무기 번호(0: 사용 안 함/ 1: 1번 무기/ 2: 2번 무기), 라이프(%)가 미만일 때, 마나]
MyConfig_ClearRoom = 2; // 전체 사냥 = 0: 지형을 확인해 가며 꼼꼼히 잡기/ 1: 꼼꼼히 잡기/ 2: 적당히 잡기
NTConfig_OpenChest = [true, false, false, false, false, false]; // 상자 열기 = [사용 여부, 사냥하면서 모든 상자 열기, 통, 항아리, 바구니, 병]
NTConfig_ClearPosition = [false, false, false]; // 주변 몬스터 정리하기 = [대장 몬스터 잡은 후, 상자 열기 전, 대기할 때]
MyConfig_TeleportMove = 0; // 텔레포트로 이동하기 = 0: 사용 안 함/ 1: 1번 무기/ 2: 2번 무기
MyConfig_TeleportSafe = [0, 4]; // 안전하게 사냥하기 = [확인할 범위, 몬스터 수] * 참고: 이동할 지점을 중심으로 확인할 범위 내의 몬스터 수가 설정치 이상이면 텔레포트 대신 달리기로 이동하며 사냥합니다.
MyConfig_TeleportEnigma = false; // 텔레포트 버그 시 수수께끼 재장착하기 * 경고: 아이템을 잃어버릴 수 있습니다.
MyConfig_SwapRunWalk = 0; // 달리기나 걷기로 이동할 때 장착할 무기 번호 = 0: 사용 안 함/ 1: 1번 무기/ 2: 2번 무기 * 참고: 마을 밖에서만 작동합니다.
NTConfig_UseMerc = me.gametype; // 용병 고용하기 * 참고: 오리지널에서는 용병을 고용할 수 없습니다.
MyConfig_MercCheck = [NTConfig_UseMerc, [107]]; // 용병 죽으면 살리러 마을 가기 = [사용 여부, [살린 후 프리캐스트할 웨이포인트 _ _ _]]
MyConfig_MercAttack = [NTConfig_UseMerc, []]; // 대장 몬스터가 내성이면 용병으로 잡기 = [사용 여부, [[대장 몬스터의 ClassID 및 "이름", 잡지 않을 대장 몬스터의 내성(1: 물리/ 2: 매직/ 3: 파이어/ 4: 라이트닝/ 5: 콜드/ 6: 포이즌) . . .] . . .]] * 참고: 쓰론 오브 디스트럭션에서는 무조건 용병으로 잡습니다. 예) [NTConfig_UseMerc, [[1, 2], ["ㄱ", 1, 4]]]
MyConfig_MercConviction = [0, false]; // 부하 몬스터가 파이어, 콜드, 라이트닝 내성이면 컨빅션 오라 적용하기 = [접근할 몬스터와의 간격, 물리 내성이 아니면 공격하기] * 주의: 무한의 공간을 용병이 착용했을 때만 사용합니다. * 참고: 파이어, 콜드, 라이트닝 내성 116 이하만 적용됩니다.
MyConfig_CheckMonster = [true, [19, 20, 21, 22, 23, 184, 194, 212, 213, 214, 215, 216, 237, 301, 302, 303, 371, 642, 643, 644, 690, 691]]; // 몬스터 사냥하지 않기 = [사용 여부, [사냥하지 않을 몬스터 ClassID . . .]] * 참고: 노말 몬스터만 적용됩니다. 쓰론 오브 디스트럭션과 자동 버스의 기사와 부기사는 false로 자동 설정됩니다.
MyConfig_CheckCurse = [[false, [2, 9, 19, 55, 60, 61]], [false, [2, 9, 19, 55, 60, 61]]]; // 공격할 때 저주에 걸리면 마을 가서 풀기 = [[캐릭터, [검사할 저주(2: Poison/ 9: Amplify Damage/ 19: Weaken/ 55: Iron Maiden/ 60: Decrepify/ 61: Lower Resist) . . .]], [용병, [검사할 저주 . . .]]]
// 사냥터로 가기 전에 할 프리캐스트 설정하기
//-------------------------------------------
// MyConfig_Precast.push([무기 번호, 프리캐스트 스킬, [범위, 몬스터 수]])
// 주의: 범위 내의 몬스터 수가 설정치 이상이면 프르캐스트를 하지 않습니다.
// 참고: 설정하지 않으면 기본값으로 프리캐스트합니다.
// 설정한 순서대로 프리캐스트합니다.
//==========================================================================
//MyConfig_Precast.push([2, 155, [0, 6], 5000]); // Battle Command * 주의: [무기 번호, 프리캐스트 스킬, [범위, 몬스터 수], 남은 시간(1/1000초)이 설정치 미만이면 프리캐스트하기]
MyConfig_Precast.push([1, 117, [0, 6]]); // Holy Shield
//MyConfig_Precast.push([2, 149, [0, 6], 5000, 0, 0]); // Battle Orders * 주의: [무기 번호, 프리캐스트 스킬, [범위, 몬스터 수], 남은 시간(1/1000초)이 설정치 미만이면 프리캐스트하기, 라이프가 설정치 초과면 프리캐스트하지 않기, 오크 세이지가 있는 상태에서 라이프가 설정치 초과면 프리캐스트하지 않기]
// 이동이나 사냥 중에 할 프리캐스트 설정하기
//-------------------------------------------
// MyConfig_PrecastCheck.push([무기 번호, 프리캐스트 스킬, [범위, 몬스터 수]])
// 주의: 범위 내의 몬스터 수가 설정치 이상이면 프르캐스트를 하지 않습니다.
//==========================================================================
//MyConfig_PrecastCheck.push([2, 155, [0, 6], 5000]); // Battle Command * 주의: [무기 번호, 프리캐스트 스킬, [범위, 몬스터 수], 남은 시간(1/1000초)이 설정치 미만이면 프리캐스트하기]
MyConfig_PrecastCheck.push([1, 117, [0, 6]]); // Holy Shield
//MyConfig_PrecastCheck.push([2, 149, [0, 6], 5000, 0, 0]); // Battle Orders * 주의: [무기 번호, 프리캐스트 스킬, [범위, 몬스터 수], 남은 시간(1/1000초)이 설정치 미만이면 프리캐스트하기, 라이프가 설정치 초과면 프리캐스트하지 않기, 오크 세이지가 있는 상태에서 라이프가 설정치 초과면 프리캐스트하지 않기]
MyConfig_PrecastCheck.push([1, 115, [0, 20]]); // Vigor(팔라딘: 비거)
[[네크-조폭넥]]
1. \scripts\NTBot\char_configs 안에 소서 캐릭명 ntl를 설정
예) NTConfig_Necromancer_캐릭터이름.ntl -> NTConfig_Necromancer_네크캐릭터이름.ntl 변경
캐릭터명은 대소문자 구별합니다.
2. NTConfig_Necromancer_네크캐릭터이름.ntl 메모장으로 열기 [참고:메모장 상단 메뉴중 서식-> 자동줄바꿈 해제]
아래 부분을 보시고, 따라해 보시기 바랍니다.
//--------------------------------------------------------------------------
// 함성봇과 퀘드랍봇
//--------------------------------------------------------------------------
//NTConfig_Script.push(["MyHamseongBot.ntj", []]); // 함성봇 * 참고: 여러 번 설정해서 실행할 수 있습니다. 함성을 해 줍니다.
// 퀘드랍봇에게만 함성해 줄 경우
//...............................
MyConfig_HamseongBotQueDropBot = []; // 함성해 줄 퀘드랍봇 캐릭터이름 = ["함성해 줄 퀘드랍봇 캐릭터이름" . . .] * 참고: "함성해 줄 퀘드랍봇 캐릭터이름"을 설정하지 않으면 '최대 게임 시간까지 파티원에게 함성해 줄 경우'가 적용됩니다. 예) ["ㄱ", "ㄴ"]
MyConfig_HamseongBotWait = 120; // 함성해 줄 퀘드랍봇을 기다릴 최대 시간(초)
// 최대 게임 시간까지 파티원에게 함성해 줄 경우
//..............................................
MyConfig_HamseongBotLeftTime = 0; // 배틀 오더스 남은 시간(초)이 설정한 시간보다 적으면 함성해 주기
MyConfig_HamseongBotMessage = [0, 0]; // 배틀 오더스 메시지 = [메시지 보내기(배틀 오더스 남은 시간(초)이 설정한 시간보다 적으면 메시지를 보냅니다), 메시지 안 보내기(배틀 오더스 남은 시간이 설정한 시간보다 적으면 메시지를 안 보냅니다)]
MyConfig_HamseongBotEnchanter = ""; // MyConfig_HamseongBotLeftTime와 MyConfig_HamseongBotMessage를 적용하지 않을 캐릭터이름
// 기타
//......
MyConfig_HamseongBotWaypoint = 107; // 함성해 줄 웨이포인트
MyConfig_HamseongBotPortal = false; // 함성해 줄 웨이포인트로 이동 후 타운포탈 열기
MyConfig_HamseongBotWeapon = [1, 1, 1]; // 함성해 줄 때 장착할 무기 번호 = [배틀 커맨드, 샤우트, 배틀 오더스]
NTConfig_Script.push(["MyQueDropBot.ntj", []]); // 퀘드랍봇 * 참고: 여러 번 설정해서 실행할 수 있습니다. 함성을 받습니다.
MyConfig_QueDropBotHamseongBot = ["바바케릭명", 120, 0, 120]; // 함성봇 = ["함성봇 캐릭터이름", 함성봇을 확인할 최대 시간(초), 함성 받을 웨이포인트(0: 함성봇이 있는 웨이포인트), 함성 받을 최대 시간(초)] * 주의: 함성 받을 웨이포인트를 0으로 설정하면 마을 밖(웨이포인트가 있는 지역만 해당)에 함성봇이 있으면 그 지역으로 함성을 받으러 갑니다. 즉, 함성봇의 '함성해 줄 웨이포인트'가 아닌 다른 지역으로 함성을 받으러 갈 수도 있습니다.
//--------------------------------------------------------------------------
//--------------------------------------------------------------------------
// 만능 쫄봇
//--------------------------------------------------------------------------
//NTConfig_Script.push(["MyJjolBotGisa.ntj", []]); // 기사용 만능 쫄봇 * 참고: 'scripts/NTBot/MyConfigs/Key.ntl'에서 명령키를 설정합니다. 'NTConfig_PublicMode = true'로 자동 설정됩니다.
MyConfig_JjolBotGisaJjol = []; // 쫄 명단 = ["쫄 캐릭터이름" . . .] * 주의: 수동 기사(기사를 직접할 경우)는 "쫄 캐릭터이름"을 설정하지 않습니다. 자동 기사(기사가 봇일 경우)는 "쫄 캐릭터이름"을 설정합니다. * 참고: 수동 기사일 경우, 기사가 지역 이동 후 쫄이 따라오지 않으면 기사를 이리저리 움직입니다. 예) 수동 기사 = [], 자동 기사 = ["ㄱ", "ㄴ"]
MyConfig_JjolBotGisaWait = 60; // 쫄 기다릴 최대 시간(초)
NTConfig_Script.push(["MyJjolBotJjol.ntj", []]); // 쫄용 만능 쫄봇 * 참고: 'NTConfig_PublicMode = false'로 자동 설정됩니다.
MyConfig_JjolBotJjolItem = [true, false]; // 방에 입장하면 아이템 정비하기 = [사용 여부, 도박하기]
MyConfig_JjolBotJjolDistance = [10, 25]; // 기사와의 간격 = [최소, 최대]
MyConfig_JjolBotJjolPrecast = 0; // 프리캐스트하기 = 확인 시간(1/1000초) 간격 * 참고: '이동이나 사냥 중에 할 프리캐스트 설정하기'가 적용됩니다.
MyConfig_JjolBotJjolAttack = [2, 20, 10]; // 몬스터 잡기 = [0: 사용 안 함/ 1: 쫄 기준으로 잡기/ 2: 기사 기준으로 잡기, 몬스터와의 간격, 공격 시간(1/1000초) 간격] * 참고: '이동이나 사냥 중에 할 프리캐스트 설정하기'가 적용됩니다.
MyConfig_JjolBotJjolPick = 10; // 아이템 줍기 = 확인 시간(1/1000초) 간격
MyConfig_JjolBotJjolGisa = ""; // 방에 있는 특정 캐릭터를 기사로 설정하기 = "기사가 될 캐릭터이름" * 주의: 기사가 될 캐릭터가 MyJjolBotGisa.ntj를 사용할 때는 설정하지 마십시오. * 참고: 설정하지 않으면 기사는 'scripts/NTBot/MyConfigs/JjolBot.ntl'에 설정한 기사가 적용됩니다.
MyConfig_JjolBotJjolMessage = ["!쫄봇 준비 완료!"]; // 수동용 쫄봇의 준비 완료 메시지 = ["보낼 메시지" _ _ _] * 참고: 특수문자 '%G'는 다음 방이름입니다.
//--------------------------------------------------------------------------
//##########################################################################
// 시간 설정하기
//==========================================================================
MyConfig_MaxGameTime = 3000; // 최대 게임 시간(초, 0: 무한정)
MyConfig_WaypointDelay = 8; // 웨이포인트 이동 시도 시간(초)
NTConfig_AreaDelay = 0; // 지역 이동 후 지연 시간(1/1000초)
MyConfig_MaxHpMpDelay = 150; // 라이프 및 마나의 최대치가 바뀔 때의 지연 시간(1/1000초) * 참고: 오크 세이지로 인한 치킨 오류를 방지합니다.
MyConfig_ExitGameDelay = [5000, false]; // 방 나가기 전 시간 지연하기 = [지연 시간(1/1000초), 마을에서 시간 지연하기]
MyConfig_TimeManager = [0, 0, "[시간 관리자] 샵봇 실행 중 (%T)"]; // 시간 관리자 = [만들 방 수, 실행 시간(분), "전체 창에 보낼 메시지"] * 참고: 특수문자 '%T'는 남은 시간입니다. 예) [20, 100, "[시간 관리자] 샵봇 실행 중 (%T)"] = 봇이 20방을 돈 시간이 100분 보다 적으면 21번 방에서 샵봇으로 100분을 채운 후 사냥을 시작합니다.
//##########################################################################
// 기타 옵션 설정하기
//==========================================================================
NTConfig_PublicMode = true; // 공방 * 참고: 자동으로 파티하기, 타운포탈 열어 놓기, 전체 창에 메시지 보내기 등을 합니다. 일부 스크립트에서는 자동으로 설정됩니다.
MyConfig_PartyMaster = "소서케릭명"; // 특정 캐릭터의 파티 초대만 승인하기 = "파티 초대를 승인할 캐릭터이름" * 참고: NTConfig_PublicMode의 설정과 무관하게 작동합니다.
MyConfig_CheckHostile = [4, [], [], []]; // 적대적 플레이어 감시하기 = [0: 사용 안 함/ 1: 적대적 메시지가 있으면 방 나가기/ 2: 마을 밖에서 적대적 플레이어 만나면 방 나가기/ 3: 적대적 플레이어가 방을 나갈 때까지 마을에서 대기하기/ 4: 적대적 플레이어 공격하기, ["적대적 플레이어 명단에 등록된 플레이어가 방에 들어왔을 때 보낼 메시지" _ _ _], ["적대적 플레이어를 발견했을 때 보낼 메시지" _ _ _], ["적대적 플레이어가 죽었을 때 보낼 메시지" _ _ _]] * 참고: 'scripts/NTBot/MyData/Hostile/HostileName.txt'에 적대적 플레이어의 이름을 기록합니다. 특수문자 '%H'는 적대적 플레이어의 이름입니다. 예) [4, ["죽을래?"], ["죽어라!"], ["%H, 죽었다!"]]
NTConfig_CheckCloneDiablo = [false, false]; // 위버디아 메시지 검사하기 = [사용 여부, 위버디아 로그] * 참고: 위버디아 로그는 'scripts/NTBot/MyData/CloneDiabloLog' 폴더에 저장합니다.
MyConfig_JordanMessage = [false, 1800, 3]; // 조던 메시지 검사하기 = [사용 여부, 조던 메시지를 확인할 시간(초), 확인할 조던 메시지 수] * 참고: '조던 메시지를 확인할 시간(초)' 동안 '확인할 조던 메시지 수' 이상을 확인하면 무한 대기합니다.
MyConfig_VisitHratli = 3; // 액트 3에 있는 흐라틀리 대신 다른 액트에 있는 엔피씨 만나기 = 액트 * 참고: 아이템 수리와 키를 살 때 흐라틀리를 만납니다.
MyConfig_ChickenLog = false; // 치킨 로그 * 참고: 'scripts/NTBot/MyData/ChickenLog' 폴더에 저장합니다.
MyConfig_Suicide = [0, 90]; // 자살 = [레벨, 경험치(%)] * 참고: 트라빈컬에서 30초간 자살을 시도합니다.
MyConfig_ExitServerIp = [true, [204], ["다음 방으로 갑니다!"]]; // 설정한 서버 아이피면 방 나가기 = [사용 여부, [확인할 서버 아이피('XXX.XXX.XXX.OOO'에서 마지막 OOO) . . .], ["방 나갈 때 보낼 메시지" _ _ _]] * 참고: 특수문자 '%G'는 다음 방이름입니다.
MyConfig_ExitJjolBot = ["소서케릭명", 0]; // 특정 캐릭터가 방을 나가면 따라 나가기 = ["따라 나갈 캐릭터이름", 따라 나갈 캐릭터가 처음부터 방에 없었다면 설정한 시간(초) 동안 기다린 후 방 나가기]
MyConfig_ExitHalt = 0; // 마을 밖에서 멈춰 있으면(멍때림) 방 나가기 = 멈춰 있는 시간(초)
//##########################################################################
// 공격 설정하기
//---------------
// MyConfig_AttackSkill[X] = [공격 스킬, 몬스터와의 간격, 무기 번호, 저주 스킬]
// 참고: 커프스 익스플로전은 물리와 파이어 저항력이 모두 내성일 때만 내성으로 처리되며, 시체가 없으면 쿨타임이 적용됩니다.
//==========================================================================
MyConfig_AttackSkill[0] = [74, 2, 1, 66]; // 처음 한 번만 공격할 스킬
MyConfig_AttackSkill[1] = [84, 2, 1, 66]; // 대장을 공격할 스킬----- 기본공격
MyConfig_AttackSkill[2] = [74, 2, 1, 66]; // 1번 쿨타임 동안 공격할 스킬
MyConfig_AttackSkill[3] = [74, 2, 1, 66]; // 부하를 공격할 스킬----- 기본공격
MyConfig_AttackSkill[4] = [74, 2, 1, 66]; // 3번 쿨타임 동안 공격할 스킬
MyConfig_AttackSkill[5] = [74, 2, 1, 66]; // 1, 3번 내성 시 공격할 스킬
MyConfig_AttackSkill[6] = [74, 2, 1, 66]; // 5번 쿨타임 동안 공격할 스킬
MyConfig_AttackSkill[9] = [-1, 2, 1, -1]; // 적대적 플레이어를 공격할 스킬 * 참고: 공격 스킬이 -1이면 MyConfig_AttackSkill[1]이 적용됩니다.
MyConfig_AttackSkill[10] = [-1, 2, 1, -1]; // 9번 쿨타임 동안 공격할 스킬 * 참고: 공격 스킬이 -1이면 MyConfig_AttackSkill[2]가 적용됩니다.
MyConfig_NecromancerCorpseExplosion = [0, 3]; // 커프스 익스플로전으로 공격할 때 범위 내의 몬스터 수가 설정치 미만이면 '이동이나 사냥 중에 할 프리캐스트' 안 하기 = [범위, 몬스터 수]
MyConfig_NecromancerLowerResist = 113; // MyConfig_AttackSkill[1, 3, 5]에 포이즌 노바(공격 스킬)와 로우어 레지스트(저주 스킬)를 설정했을 때 몬스터의 포이즌 저항력이 설정치 이상이면 내성으로 처리하기
MyConfig_NecromancerPoisonNova = 1500; // 포이즌 노바의 쿨타임(1/1000초)
MyConfig_NecromancerSummon = 1; // 소환 몬스터의 뭉침 푸는 방식 = 0: 사용 안 함/ 1: 적당히 빨리 풀기/ 2: 확실하고 안전하게 풀기
MyConfig_NecromancerIronGolem = 0; // 아이언 골렘의 라이프(%)가 설정치 미만이면 치킨하기
MyConfig_Pumping = [0, 0, [0, 1], 0, 140, true, false]; // 펌핑 = [투구 펌핑 횟수, 갑옷 펌핑 횟수, [무기 펌핑 횟수, 무기 번호], 펌핑 순서(0: 투구 -> 갑옷/ 1: 갑옷 -> 투구), 지연 시간(1/1000초), 펌핑 후 용병 무기 재장착하기, 펌핑에 실패하면 방에서 무한 대기하기] * 경고: 아이템을 잃어버릴 수 있습니다. * 주의: 펌핑하기 위해 교체하는 아이템은 아이템이니에 줍도록 설정합니다. 무기 펌핑은 오른쪽에 있는 무기로 합니다. * 참고: 'scripts/NTBot/MyData/Pumping' 폴더에 펌핑 관련 파일을 저장합니다. 아이템 원위치 실패 시에는 무한 대기합니다.
MyConfig_WarcriesCry = [0, 2, 0, 2]; // 파티원에게 함성해 주기 = [범위, 배틀 커맨드 무기 번호(0: 사용 안 함/ 1: 1번 무기/ 2: 2번 무기), 샤우트, 배틀 오더스]
MyConfig_UsePhoenix = [0, 80, 60]; // 불사조로 리뎀션하기 = [무기 번호(0: 사용 안 함/ 1: 1번 무기/ 2: 2번 무기), 라이프(%)가 미만일 때, 마나]
MyConfig_ClearRoom = 2; // 전체 사냥 = 0: 지형을 확인해 가며 꼼꼼히 잡기/ 1: 꼼꼼히 잡기/ 2: 적당히 잡기
NTConfig_OpenChest = [true, false, false, false, false, false]; // 상자 열기 = [사용 여부, 사냥하면서 모든 상자 열기, 통, 항아리, 바구니, 병]
NTConfig_ClearPosition = [false, false, false]; // 주변 몬스터 정리하기 = [대장 몬스터 잡은 후, 상자 열기 전, 대기할 때]
MyConfig_TeleportMove = 0; // 텔레포트로 이동하기 = 0: 사용 안 함/ 1: 1번 무기/ 2: 2번 무기
MyConfig_TeleportSafe = [0, 4]; // 안전하게 사냥하기 = [확인할 범위, 몬스터 수] * 참고: 이동할 지점을 중심으로 확인할 범위 내의 몬스터 수가 설정치 이상이면 텔레포트 대신 달리기로 이동하며 사냥합니다.
MyConfig_TeleportEnigma = false; // 텔레포트 버그 시 수수께끼 재장착하기 * 경고: 아이템을 잃어버릴 수 있습니다.
MyConfig_SwapRunWalk = 0; // 달리기나 걷기로 이동할 때 장착할 무기 번호 = 0: 사용 안 함/ 1: 1번 무기/ 2: 2번 무기 * 참고: 마을 밖에서만 작동합니다.
NTConfig_UseMerc = me.gametype; // 용병 고용하기 * 참고: 오리지널에서는 용병을 고용할 수 없습니다.
MyConfig_MercCheck = [NTConfig_UseMerc, [107]]; // 용병 죽으면 살리러 마을 가기 = [사용 여부, [살린 후 프리캐스트할 웨이포인트 _ _ _]]
MyConfig_MercAttack = [NTConfig_UseMerc, []]; // 대장 몬스터가 내성이면 용병으로 잡기 = [사용 여부, [[대장 몬스터의 ClassID 및 "이름", 잡지 않을 대장 몬스터의 내성(1: 물리/ 2: 매직/ 3: 파이어/ 4: 라이트닝/ 5: 콜드/ 6: 포이즌) . . .] . . .]] * 참고: 쓰론 오브 디스트럭션에서는 무조건 용병으로 잡습니다. 예) [NTConfig_UseMerc, [[1, 2], ["ㄱ", 1, 4]]]
MyConfig_MercConviction = [0, false]; // 부하 몬스터가 파이어, 콜드, 라이트닝 내성이면 컨빅션 오라 적용하기 = [접근할 몬스터와의 간격, 물리 내성이 아니면 공격하기] * 주의: 무한의 공간을 용병이 착용했을 때만 사용합니다. * 참고: 파이어, 콜드, 라이트닝 내성 116 이하만 적용됩니다.
MyConfig_CheckMonster = [false, [19, 20, 21, 22, 23, 184, 194, 212, 213, 214, 215, 216, 237, 301, 302, 303, 371, 642, 643, 644, 690, 691]]; // 몬스터 사냥하지 않기 = [사용 여부, [사냥하지 않을 몬스터 ClassID . . .]] * 참고: 노말 몬스터만 적용됩니다. 쓰론 오브 디스트럭션과 자동 버스의 기사와 부기사는 false로 자동 설정됩니다.
MyConfig_CheckCurse = [[false, [2, 9, 19, 55, 60, 61]], [false, [2, 9, 19, 55, 60, 61]]]; // 공격할 때 저주에 걸리면 마을 가서 풀기 = [[캐릭터, [검사할 저주(2: Poison/ 9: Amplify Damage/ 19: Weaken/ 55: Iron Maiden/ 60: Decrepify/ 61: Lower Resist) . . .]], [용병, [검사할 저주 . . .]]]
// 사냥터로 가기 전에 할 프리캐스트 설정하기
//-------------------------------------------
// MyConfig_Precast.push([무기 번호, 프리캐스트 스킬, [범위, 몬스터 수]])
// 주의: 범위 내의 몬스터 수가 설정치 이상이면 프르캐스트를 하지 않습니다.
// 참고: 설정하지 않으면 기본값으로 프리캐스트합니다.
// 설정한 순서대로 프리캐스트합니다.
//==========================================================================
//MyConfig_Precast.push([2, 155, [0, 6], 5000]); // Battle Command * 주의: [무기 번호, 프리캐스트 스킬, [범위, 몬스터 수], 남은 시간(1/1000초)이 설정치 미만이면 프리캐스트하기]
//MyConfig_Precast.push([1, 75, [0, 6]]); // Clay Golem
//MyConfig_Precast.push([1, 94, [0, 6]]); // Fire Golem
MyConfig_Precast.push([1, 85, [0, 6]]); // Blood Golem
MyConfig_Precast.push([1, 68, [0, 6]]); // Bone Armor
//MyConfig_Precast.push([1, 70, [0, 6]]); // Raise Skeleton
//MyConfig_Precast.push([1, 80, [0, 6]]); // Raise Skeletal Mage
//MyConfig_Precast.push([1, 95, [0, 6], [], []]); // Revive * 주의: [무기 번호, 프리캐스트 스킬, [범위, 몬스터 수], [리바이브를 하지 않을 몬스터의 ClassID 및 "이름" . . .], [우선적으로 리바이브할 몬스터의 ClassID 및 "이름" . . .]] * 참고: '우선적으로 리바이브할 몬스터의 ClassID 및 "이름"'은 설정한 순서대로 리바이브하며, 이미 리바이브된 몬스터보다 우선하는 시체가 있으면 언써몬 후 리바이브합니다.
//MyConfig_Precast.push([2, 149, [0, 6], 5000, 0, 0]); // Battle Orders * 주의: [무기 번호, 프리캐스트 스킬, [범위, 몬스터 수], 남은 시간(1/1000초)이 설정치 미만이면 프리캐스트하기, 라이프가 설정치 초과면 프리캐스트하지 않기, 오크 세이지가 있는 상태에서 라이프가 설정치 초과면 프리캐스트하지 않기]
// 이동이나 사냥 중에 할 프리캐스트 설정하기
//-------------------------------------------
// MyConfig_PrecastCheck.push([무기 번호, 프리캐스트 스킬, [범위, 몬스터 수]])
// 주의: 범위 내의 몬스터 수가 설정치 이상이면 프르캐스트를 하지 않습니다.
//==========================================================================
//MyConfig_PrecastCheck.push([2, 155, [0, 6], 5000]); // Battle Command * 주의: [무기 번호, 프리캐스트 스킬, [범위, 몬스터 수], 남은 시간(1/1000초)이 설정치 미만이면 프리캐스트하기]
//MyConfig_PrecastCheck.push([1, 75, [0, 6]]); // Clay Golem
//MyConfig_PrecastCheck.push([1, 94, [0, 6]]); // Fire Golem
//MyConfig_PrecastCheck.push([1, 85, [0, 6]]); // Blood Golem
//MyConfig_PrecastCheck.push([1, 68, [0, 6]]); // Bone Armor
MyConfig_PrecastCheck.push([1, 70, [0, 6]]); // Raise Skeleton
MyConfig_PrecastCheck.push([1, 80, [0, 6]]); // Raise Skeletal Mage
MyConfig_PrecastCheck.push([1, 95, [0, 6]]); // Revive * 주의: [무기 번호, 프리캐스트 스킬, [범위, 몬스터 수], [리바이브를 하지 않을 몬스터의 ClassID 및 "이름" . . .], [우선적으로 리바이브할 몬스터의 ClassID 및 "이름" . . .]] * 참고: '우선적으로 리바이브할 몬스터의 ClassID 및 "이름"'은 설정한 순서대로 리바이브하며, 이미 리바이브된 몬스터보다 우선하는 시체가 있으면 언써몬 후 리바이브합니다.
//MyConfig_PrecastCheck.push([1, 95, [0, 6], [], []]); // Revive * 주의: [무기 번호, 프리캐스트 스킬, [범위, 몬스터 수], [리바이브를 하지 않을 몬스터의 ClassID 및 "이름" . . .], [우선적으로 리바이브할 몬스터의 ClassID 및 "이름" . . .]] * 참고: '우선적으로 리바이브할 몬스터의 ClassID 및 "이름"'은 설정한 순서대로 리바이브하며, 이미 리바이브된 몬스터보다 우선하는 시체가 있으면 언써몬 후 리바이브합니다.
MyConfig_PrecastCheck.push([1, 66, [0, 10]]); // Amplify Damage
MyConfig_PrecastCheck.push([1, 74, [0, 10]]); // Corpse Explosion
//MyConfig_PrecastCheck.push([1, 71, [0, 6]]); // Dim Vision
//MyConfig_PrecastCheck.push([1, 72, [0, 6]]); // Weaken
//MyConfig_PrecastCheck.push([1, 76, [0, 6]]); // Iron Maiden
//MyConfig_PrecastCheck.push([1, 77, [0, 6]]); // Terror
//MyConfig_PrecastCheck.push([1, 81, [0, 6]]); // Confuse
//MyConfig_PrecastCheck.push([1, 82, [0, 6]]); // Life Tap
//MyConfig_PrecastCheck.push([1, 86, [0, 6]]); // Attract
//MyConfig_PrecastCheck.push([1, 87, [0, 6]]); // Decrepify
//MyConfig_PrecastCheck.push([1, 91, [0, 6]]); // Lower Resist
//MyConfig_PrecastCheck.push([2, 149, [0, 6], 5000, 0, 0]); // Battle Orders * 주의: [무기 번호, 프리캐스트 스킬, [범위, 몬스터 수], 남은 시간(1/1000초)이 설정치 미만이면 프리캐스트하기, 라이프가 설정치 초과면 프리캐스트하지 않기, 오크 세이지가 있는 상태에서 라이프가 설정치 초과면 프리캐스트하지 않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