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팁 게시판

브랜드가 인두라고?

분류 디아관련 조회 수 2,508 추천 수 0

침대가 가구가 아니듯, 브랜드는 인두가 아닙니다. 쿠하핫.
- 사실 침대는 가구가 맞지만.. --;

음... 이 "인두"라는 것은 실로 "평화를 위해 몬스터를 무찔러라"는 헌빛의
위대한 창작과 매우 유사한 경지를 논할 수 있는 작품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어떤 위대한 분의 아이디어인지 몰라도 R.I.P(Rest in Peace)-묘지에 일반적
으로 표기하는 문장, 평한이 쉬시길.-를 저렇게 해석할 수 있다는 것은 평범을
뛰어넘는 멋진 표현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설마 아직도 서양에는 몬스터들이
가득하고 죽는 사람의 99.9999%가 몬스터를 잡다 죽었다는 얘기일까요?

이와 유사하게 1.10패치 이후에 뜬 "인두"라는 주제로 글을 써 보겠습니다.
이 글이 강좌에 어울릴 수 없을 지 모르지만, 나름대로 "강좌성"이라고 강변해
봅니다. R.I.P가 몬스터를 무찌르는 세상인데 뭘 못하겠습니까?

잠시 벗어나서 R.I.P의 정확한 의미는 위에서 기술한 대로 "평안히 쉬는..."
것입니다. 예전에 전설이나 이런 기타 등등에서 구울이나 좀비로 또는 귀신따위로
헤매지 말고 잘 죽으라는 이야기죠. 그래서 바바리안이 시체놀이를 한다거나,
네크로맨서가 해골이나 리바이브를 할 수 없고 악덕 닐라닥의 시폭을 방지할 수
있겠죠.

wikipedia를 보면 "brand"는 아래와 같습니다.

---- wiki ----
In marketing, a brand is the symbolic embodiment of all the information
connected with a company, product or service. A brand typically includes
a name, logo, and other visual elements such as images, fonts, color
schemes, or symbols. It also encompasses the set of expectations associated
with a product or service which typically arise in the minds of people.
Such people include employees of the brand owner, people involved with
distribution, sale or supply of the product or service, and ultimately consumers.

In other contexts the term "brand" may be used where the legal term
trademark is more appropriate.

"마켓팅에서, 브랜드는 ...."으로 시작하는 것으로 보아 "인두"와는 전혀 상관이 없어 보
이지 않습니까? 사실 브랜드의 최초 의미는 낙인, 인두가 맞습니다. 그러나, 제가 몇가지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요즘 삼성의 브랜드 이미지가 최고조에 달하고 있다."
"한국의 브랜드의 가치가 점점 상승중이다"
"귀사의 브랜드 가치는 어떻습니까?"

자... 그럼 생각해 봅시다. "요즘 삼성에서 만드는 인두가 최고조에 달하고 있다?" 웃기지
않습니까? 요즘도 삼성에서 창살형 인두나 납형 인두를 만드는 지는 모르겠지만, 도저히
웃지 않고는 넘어 갈 수 가 없습니다. "한국의 인두 가격이 점점 상승중이다." 이건 요상합니다.
한국에서 요즘 인두를 누군가가 매점매석하는 바람에 인두 가격이 상승하고 있다는 이야기로
해석 가능 합니다. "귀사의 인두 가치는 어떻습니까?" 자.. 이제 인두를 가지고 회사의
가치를 논하는 시대가 왔습니다. 정말 멋지죠?

여러분도 아시다 시피 유럽이라는 곳이 있습니다. 이 유럽은 원래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여인의 이름입니다. "에우로파"라고 합니다. 이 에우로파가 어느날 잘 놀고(?) 있는데,
희대의 난봉꾼인 제우스 신이 지나가다가 뿅~가서 멋진 소로 변신한 다음 그녀를 속여서
해협을 건너편 땅에 데려다 놓고 XXX YYY하는데 그 이후로 그 땅을 "에우로파"가 사는 땅.
즉 유럽이라고 명명하게 된 것입니다. 그리고 여담이지만 그 해협의 이름은 지브롤터
해협으로 소가 넘어가는, 속아 넘어 가는 해협 이라는 의미입니다. 만약, 어떤 사람이 지리책을
쓰는데, 이 해협을 칭할때, "소가 넘어가는 해협"이라고 표기해 놓는다고 생각해 보십시오.
정말 지나가는 소가 웃을 일입니다.
여담 2입니다만, 그 에우로파는 그 멋진 "소"에게 반해서 소를 타(?)는데, 음.... 이건 19금이
아닐까 싶습니다. 제가 아는 최초의 사람+동물 스토리이군요. 변X녀--;

위와 같은 일들이 많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소위 "브랜드" 보우마를 "인두"마라고 칭하는 요즘에, "소가 넘어가는 해협"이 더 정당하다고
생각한다면 제가 잘못 생각하는 걸까요? 물론 "인두마"라고 하는 분들을 지적하고 모욕하기 위해
이 글을 쓴 것이 아니라, "브랜드"는 소위 "명품이라고 할 수 있는, 이름을 걸 만큼 훌륭한" 이
라는 의미를 알려서 널리 인간을 이롭게 하기위함입니다. 낙인을 찍어버리는 활이 아니죠.

제글이 불쾨하셨다면 사정없이 돌을 날려 주시기 바랍니다.
댓글34
  • 비온후의향기[A1L] 2006.04.19 09:47
    재미있게 읽었습니다. 한빛이 댜블로의 아템을 번역하느라 고생하는건 알겠는데 Brand, R.I.P말고도 어색하게 번역한게 꽤 많더군요. 그래도 R.I.P는 너무 심했습니다. 재미있게 읽었네요
  • West H.C 2006.04.19 10:17
    무찔러 옵션 참 난감..
  • 레이[A1HL] 2006.04.19 10:26
    무찔러와 인두 정말 창의적인 번역인 것 같아요. 검은딸기도.. -_-;;; 쏜즈가 있는 걸 보면 '가시나무' 정도의 해석이 적합할텐데 말예요. 근데 brand에 '낙인' 이라는 해석은 괜찮은 것 같습니다. '죽음의 낙인' 정도일까요. 왜냐면.. 100% Chance To Cast Level 18 Bone Spear On Striking Ignore Target's Defense Prevent Monster Heal 이런 게 붙어있으니까 말이예요 ^^; 디펜 무시에 회복 금지(25초)가 명중하면서 죽음을 상징하는 본스피어로 알려주는거죠. '너! 너! 이제 죽을 운명이셔~' ^^;;;;;;;;;
  • 데커드_애인 2006.04.19 11:24
    약간 전제를 다르게 두고 봤습니다.^^ 우리가 디아블로를즐기는 시대는 분명 현 시대라 할 수 있지만.. 디아블로의 원 세계는 먼 옛날 (추측건대 중세 쯤이 되지 않을까..) 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니 역시 브랜드도 요즘 어휘 뜻이 아닌 그때 그 시절의 세계에 맞는 의미를 써야 하는게 아닐까요^^
  • Only활아마[A1S] 2006.04.19 11:50
    저도 brand 하는 것이 일명 브랜드나 품질 이런뜻 보다는 낙인, 각인시키다 이런 뜻의 brand가 아닐까 생각됩니다. brand를 들고 있으면 나는 죽었다는 각인과 너는 죽는다는 낙인을 화살로 찍어버리는거죠
  • 필그림 2006.04.19 13:23
    호홋.. 역쉬.. 댓글이 달려있네요. 눼.. 의견들은 좋습니다만, 몇가지 저도 사족을..^^ 레이님 음.. 검딸 역쉬 대단한 창작이죠.^^ 데커드_애인님. 중세라고 하더라도 브랜드는 역시 현세와 같습니다. 낙인의 의미는 주로, 소유자, 생산자 등을 표기하는 것이지 무기로는 사용되지 않았습니다. 현대와 동일 의미이죠. 언제 인두를 불에 달궈서 싸움에 나서겠습니까. 물론 고문이나 기타 등등 그 외적인 용도로 TV에서 많이 보여 준 관계로 그렇게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만. 영화에서 쉽게 많이 보실 수 있느게 말 궁둥이에 쇠로 달군 인두로 표시를 합니다. 이게 브랜드죠. 그리고, 애인 관리좀 잘하세요. 제가 님의 애인을 구해준게 횟수로만 거의 10만은 넘어갈 듯합니다. 매일 잡혀가구 난리얌. 구찮아 죽겠슴다.--; Only활아마님 역쉬 마찬가지입니다. 물론 낙인 각인이기는 하나, 소유주 또는 창조주의 의미에서의 각인입니다. 악마의 낙인도 이에 해당하겠죠. 많이 아시는 "주홍글씨"도 이에 해당 할 겁니다. 만약, 아마 님께서 활을 쏜 후 "홋~ 넌 내꼬야!"라는 대사를 한다면 정확한 의미의 인두마겠지만, 아직 베넷에서 그런 아마존 분을 뵙지 못했답니다. 혹시 해당자시면 한번 연락주세요^^ 그리고 물론 제가 원어민이 아니고 게임 개발자는 아닙니다만, 님께서 말씀하시는 의미대로의 이름이라면 brand of death나 brand of dying이라고 명명해야 바른 표현이라고 생각됩니다. 이미 베넷 룬워드에 여러 단어로 된 룬워드가 많은 걸로 봐서는 조금 약하지 않나 생각됩니다.
  • 필그림 2006.04.19 13:26
    음 누르고 나니 좀더 붙여야겠군요. 비록 brand of death를 쓰더라도 애니매이티드가 되어 부활 하지 않는 이상은 (신뢰옵션)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
  • 혜인[아빠][TF] 2006.04.19 13:55
    필그림님 영어에 조예가 있는 분인듯 싶습니다. 이건 어떤가요? chains of honor 명예의 굴레라는 해석.. 저는 chains가 chain armor에서 따온 말로 생각됩니다만.. 그리고 또 한가지, voice of reason의 해석 문제..
  • 된장맛초롱이 2006.04.19 13:56
    번역을 할때 직역을 하느냐 의역을 하느냐에따라서 많이 내용이 달라지기도 합니다만 brand 를 단순히 상표인 브랜드로 표현하신것은 약간 ......ㅡ.ㅡ;;; 제추측으론 인두라고 표현해놓은것이 조금은 더 정확하네요...상표가 아닌... 상표의 어원인 브랜드가 자기물건임을 표시하기위해서 낙인을 찍은것에서 유래가되어서 상표가 된것으로 알고있음니다 우리나라 말중에도 하나의 단어가 두개이상의 뜻을 내포하고 있는경우도 많은데 예를들자면....뭐 쉽게 설명하기위해서.... 뽕...하면 뭐가 생각나심니까? 방구소리?...뽕나무?..히로뽕?...여자뽕브라에넣는 뽕? 시골에서 아줌마들이 뽕따러가세~~~ 하는소리가 히로뽕따러 간다는얘기는 아니겠죠? 뽕브라뽕을 나무에서 따오는것도 아닐것이구요 인두라고 표현한것이 좀더 정확한 표현인것 같아서 주저리 주저리.... 다음은 네이버 에서 발췌해온 것입니다 브랜드의 어원 freddie12 (2003-12-09 11:08 작성, 2003-12-09 11:40 수정) 이의제기 | 신고 질문자 평 궁금증이 좋은 답변으로 많이 풀렸습니다 감사 합니다 브랜드의 어원적 기원에 대해서는 많은 학자들의 의견이 분분하지만 다음과 같이 크게 두 가지로 정의하고 있다. 고대 노르웨이에서 목동들이 소의 소유를 구별하기 위해 자신만의 표시를 만들어 인두로 짖었다는 의미인 'Brandr(화인:火印, 낙인:烙印)'에서 파생되었다는 주장과 16세기 초 영국의 위스키 제조업자들이 자신의 위스키와 다른 업자의 위스키를 구분하기 위해 위스키 나무통에 인두로 짖어 표시한다는 의미인 'burned'에서 유래되었다고도 한다. 개인 적으로는 전자에 더 비중을 실어주고 싶다. 그 이유는 독일을 비롯한 유럽의 경우 Brand라는 단어가 불, 낙인 등의 뜻을 가지고 지금까지도 존재하고 있기 때문이다. 검은딸기라고 표현된 blamble 역시 가시나무...들장미...나무딸기...검은딸기....등등으로 볼수 있음니다만....검은딸기가열리는 가시나무도 blamble 이라고 합니다 즉, 검은딸기라 해석하든 가시나무라 해석하든 틀린건 아니란 얘기 ^^;;
  • 된장맛초롱이 2006.04.19 14:05
    chain of honr 의 체인은 사슬이 직역입니다 체인메일은 쇠사슬로 만든 갑옷이구요 다른뜻으론 속박 굴레 목걸이 연쇄 회로.....등등 많슴니다만 명예란 단어와 붙었을때 어울리는건 굴레 네요
  • 된장맛초롱이 2006.04.19 14:17
    아 blamble 는 쏜즈때문에 가시나무 라고 부르는게 좀더 어울릴듯 하네요...^^;
  • 필그림 2006.04.19 14:57
    호홋... 혜인아빠님. 으..으... chains of honour는 명예의 굴레라는 속박의 의미보다는, 명예의 체인메일쯤으로 해석하는게 가장 옳을 듯합니다. 누가, "굴레"라는 의미라면, 입고 다니진 않겠죠. 물론 가장 좋은 건 해석하지 않는 것이겠지만요. 영어에 조예가 있는 것은 아니고요, "가장 좋은 해석은 해석하지 않는 것"이라는 것 정도만 알고 있습니다. 만약 MS-WINDOWS XP를 해석하자면, "엄청 작고 부드러운 회사의 창들 XP(해석불가)"가 되겠죠. 넌센스입니다. 위의 예를 보자면 "소가넘어가는 해협"이 되겠죠^^ 된장맛초롱이님. 으... 그런데, 주장하시는 바를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물론 여러가지 뜻이 있다는 점은 저도 동의를 합니다만, 왜 "인두"인지는 말씀을 하지 않으신듯 합니다. 이점 부가 설명 부탁드립니다. 저는 위에서 설명을 드렸다시피, "인두"는 공격용 무기로는 사용되지 않는 다는 점을 일단 착안 했습니다. 인두 자체는 메이스 보다 못하며, 어떠한 공격무기보다는 빈약 하죠. 그 빈약한 걸 룬워드로 만든다는게 일단 이해를 못하고 있습니다. 무기가 아니 죠. 인두가 무기가 된다면 "쇠자"같은 것도 무기에 포함 해야 겠습니다. 물론, 무협지를 보면 "당가"에는 쇠자를 무기로 사용하는 인물이 종종 나옵니다. 버뜨 여기서는 일반적인 무기를 말하는 것입니다. 내공고수는 동전도 낙엽도 무기로 쓰는데..^^ 체인메일은 단순히 쇠로만 된 사슬 갑옷을 말하진 않습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체인 메일은 체인 메일 만 사용되는 것보다는 ... 가죽 갑옷이나 그외 다른 의류 내부에 입는 일종의 내복(?)입니다. 물론 돈이 없다면 체인메일만을 입을 수도 있지많요. 그리고, 체인메일은 일반적으로 창검류같은 베기공격에는 강한 편이나, 화살 공격 등에는 찌르기 공격또는 둔기(메이스등)에 취약한 면이 없진 않습니다. 그래서 체인메일(얇은)을 입고 그 위에 브레스트 플레이트나 판근갑(플레이트 아머) 따위를 입어주죠. 이때 입는 추가 갑옷류는 기존의 것보다는 얇은 것으로 입습니다. 영화에서는 -주로 영국계열의 영화-를 보면 체인메일을 받쳐 입은것을 많이 볼수 있습니다. 설마 배를 묶는 따위의 굵은 사슬을 생각하시는 분은 .. 어.. 거기.. 안 계시겠죠? 버뜨, 판타지 광이시라면 "영광의 사슬"이라는 엘븐 체인메일의 이름이 결코 낯설지는 않으시리라 생각됩니다. 참, 그리고 Bramble을 검은 딸기로 해석하는 것은 아주... 넌센스 입니다. 가시나무(덤불)정도가 맞는 것이죠. 게임만 아니라면요. 물론 검은 딸기도 bramble의 한 종류입니다만, 지나가는 벤츠를 보고 "그랜져"다 하는 것과 같습니다. 물론 벤츠도 차 이지만, 그랜져는 아니죠. 그래서 "차"다 라고 하는게 맞는 것입니다. 원작자가 "검은 딸기"다 라고 하면 할말 없습니다. 예전에 경주용 모터사이클을 한국에서는 "스즈끼"라고 칭한 것 처럼 말이죠.
  • 페오님[A3HL] 2006.04.19 15:29
    체인스 오브 아너.. 굴레 맞습니다. 체인메일과는 관련이 없다고 생각됩니다
  • 페오님[A3HL] 2006.04.19 15:31
    그리고 브램블이 처음 발표되고 룬워드 목록을 본 저는 바로 가시덤불일거라 생각했습니다.. 능력이나 직역 면에서 딱 어울리는거라서요.. 처음에 누가 검은딸기 이래서 되게 황당했엇죠..알고보니 브램블이더군요
  • 된장맛초롱이 2006.04.19 15:52
    왜 브랜드로 지은것인지는 제작자만 알겟죠 인두가 아니라고 해서 명품으로 단정짓는것도 아니라고 보는데요...^^;; 제가 보는견해가 인두가 더 어울린다는 것이지 인두라고 주장하는것은 아님니다 좀더 황당하게 나가자면....^^;; 무협지 얘기 나와서 말인데 (뭐 무협지를 잘 읽는것은 아님니다만) 무협지처럼 불에 달군 인두를 활로 쏜다...뭐 이런 황당한 얘기가 된다면 ... 무기로 충분하리라 생각됩니다만... 무협만화(?) 용비불패 보면 뱀도 활로 쏘던데... 뭐 인두를 활로 쏘지말란것도 없겠죠...^^ 글구보니 불에달군 인두를 활로 쏜다??...ㅡ.ㅡ;; ㅎㅎ
  • nature_terror 2006.04.19 15:54
    brand 시어나 고어에서 불붙은 막대나 횃불도 의미합니다. 참고 하시길.
  • 된장맛초롱이 2006.04.19 15:55
    디아가 무협지가 되가는듯한.....ㅡ.ㅡ;; 하긴 누군 멀티로 소때 학살 하는것을 본후.... 디아는 슈팅게임이다.....라고 하더군요....ㅡ.ㅡ;;
  • Only활아마[A1S] 2006.04.19 17:23
    슈팅 게임;;; ㅎㅎ 잼나네요~ 비행기 게임같은 ... 예전에 라이딩이었나요? 빨간색 P 먹으면 아마 멀티처럼 미사일이 마구 나간다는 ㅋㅋ;;
  • 된장맛초롱이 2006.04.19 17:41
    저도 라이덴 생각했음니다 멀티+가이디드...딱 아마존 비행기죠..^^;;
  • 도깨비 2006.04.19 19:28
    RIP 글은 인정이 되는데.... BRAND 의 인두로 번역한 것을 딴지로 거는 것은 좀 아니라고 봅니다. 그리고 명품으로써의 브랜드보다는 인두로써의 번역이 더 어울리는 것같네요... 아시다 시피 인두 옵션에 폭팔화살발사 <--- 이 옵션덕에 더 유력하다고 봅니다...
  • 쨉마55(+33업) 2006.04.19 19:49
    brand의 뜻은 [동물,노예,죄수에게 찍은] 낙인 이라는 뜻입니다. 돼지에게 1등급 2등급 3등급을 찍듯이 brand도 상품의 가치를 나타내는 이른바 우리가 사용하는 브랜드의 뜻이 있는거고요. 인두라고 하면 낙인을 찍는 도구인 brander라고 봐야 정확하죠. brand를 써보신분들은 아실겁니다. 몬스터에게 본스피어라는 낙인이 찍힙니다. 그것때문에 낙인이라는 룬워드를 정했는데, 한빛에서 사고친거죠. 낙인을 인두로 둔갑시킨거죠... 이것말고도, 한빛에서 사고친 무찔러라 사건....(무찌르는건 당연히 디아블로의 목적 아닌가요 ㅋㅋㅋ) 모서리 사건 ㅡ.ㅡ; (확실히 모서리는 맞지만, 한국말 모서리로는 날카로운 늬앙스를 전하기는 부족하여, 한국사람이 모서리 보면 정육면체의 모서리 갯수 세는것 생각날겁니다. ㅡ.ㅡ;) 무한의 공간 -_-; (무한의 공간(시간)을 의미하는데, 컨빅션과 라레깍이 무한한 공간을 만들기는 커녕 , 산골자기 논 50평의 공간도 창조하기 힘들겁니다. 무한대에 가까운 데미지를 이끌어낸다는 즉 1킬... 은 이끌어 낼 수 있죠. 그걸 말하는 데미지의 무한, 무한대 란 의미가 강하죠.) 이것말고도 한빛의 삽질은 무궁무진합니다.
  • 쨉마55(+33업) 2006.04.19 19:54
    인두를 뒤져보니, branding iron이라고 나와있네요
  • 허성현 2006.04.19 19:57
    한빛 영어 해석을 제대로 안해놧었네요 -ㅅ-;
  • 야한마음백구日場豚夢 2006.04.19 20:56
    낙인이란 뜻이 적당할 것 같네요
  • 2006.04.20 00:44
    전 계속 영문판으로만 플레이해서 그런지 딴나라 이야기같네요 ㅎㅎ
  • 아즈랑께 2006.04.20 02:00
    아무도 데릴리움에 대해서는 말안하는군요...
  • 아즈랑께 2006.04.20 02:00
    데릴리움에 대표위원이라는 뜻도 있나요?
  • 필그림 2006.04.20 09:29
    음.. 일단 brand에 대해선 더이상 언급을 안해도 좋겠군요.^^ 아즈랑께님 데릴리움은 정확한(!!!!!) 뜻이라 봅니다. 한국의 현실에서는. 한국의 대표의원이라면 구케의원을 말하는데(동의하시죠?), 이 구케의원들의 행태가 그야말로 derilium합니다. 구케의원의 속성을 정확히 꼬집은 의도적인 표현으로 봅니다. derilium의 사전적 의미로는 정신 착란, 헛소리하는 상태, 황홀, 광희(狂喜), 망상, 헛소리 등을 들 수 있는데, 구케의원들의 대다수가 이렇다고 헌빛은 보고 있는거죠. 저도 이점에는 대충 동의하는 바입니다. 쨉마55님 모서리 사건도 음.. 재미있습니다. 원래 edge는 모서리가 맞지만, 버뜨 무기에 관하여 이야기 하자면 칼의 제일 끝쪽 날카로운 바깥부분을 edge 라고 합니다. 그러니까 엄청 날카로운 .... 이라는 의미인데, 그냥 모서리 라고하면 도저히 전달이 안되죠^^ 그리고, infinity도 넌센스 입니다. 제가 생각하는 바로는 이 infinity는 일본에서 의미가 왔다고 봅니다. 일본 자동차 매냐들은 mugen이라는 상호를 잘 알고 계시리라 봅니다. 이게 무한의 일본식 표현이죠. 한국에서도 튜닝한 자동차에 또는 걍 exterior tune 인 경우 이 한자로 무한 또는 mugen이라는 스티커 많이 붙어 있었던 것으로 기억됩니다. 이 mugen을 양넘들은 너므머므 조아라합니다. 특히나 청소년 세대들..^^ 양넘들이 갖고 있지 못한 ...무언가... 그러니까 디지털 적인 것이 아닌 아날로그 적인 개념이죠. 무한 이라고 하는것은 단순히 넓다...라는 의미보다는 계측불가능한 의미에 좀 더 가깝습니다. 좀더 확대 해석하자면 "도"에 가까운 개념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크지만 작고, 넒지만 좁고.. 한마디로 파라독스죠. 그래서 컨빅션에 아주 잘 맞아 들어간다고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런데.... "도에 관심이 있으신지요?"
  • 아즈랑께 2006.04.21 06:36
    ^^ 섬망=대표위원 이라고 생각하신다면 브랜드=인두 도 아무런 하자가 없어보이는군요...단순히flight of idea의 차이입니다
  • 이상현 2006.04.21 16:00
    아하...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ㅎㅎ
  • [Twix] 2006.04.22 00:22
    워낙 답답하셔서 이런글을 올리신것은 알겠지만/..요즘 안그래도 두루네 정강란에 성의가 덜보이거나 디아와 연관이 좀 적은 글들이 올라오는것같은데...개인적으로 이글도 그리보이네요 일단 글쓴이분이 "평화를 위해 몬스터를 무찔러라" 와 "Slain Monsters Rest In Peace" 의 비교에서 "99.99%의 죽은사람들이 몹을 잡다가 죽었단말입니까?" 부분에서부터 영어실력이나 사고방식이 보이기시작하는데...제가보기엔 방향을 잘못짚으신듯합니다. 더이상 자세히 언급을안하겠습니다만 일단 번역상문제가 많은건 초창기부터 애기가 많았던부분이고, 심한건 룬이름을 잘못읽거나 약간 다르게 읽었던것들도 있습니다. 하지만 그런것을따지고보자면 우리나라에는 틀린영어가 너무나도 많고, 솔직히 영어를 잘 못하는국가로서 또 그국가의 국민으로서 우리가 뭐라고 할게 아니라보입니다. 오히려 이런글은 한빛소프트에 보내서 그나마 도움이 될지도모르는 패치를 해달라고하셨으면 하네요. 짧게 표현하자면..."리모두 영어못하니까 이것저것 어설피 따지면 영어잘하는 사람들한테 추해보이니까 그러지맙시다"입니다.
  • 필그림 2006.04.24 22:55
    wix님... 할 얘기는 이것밖엔 없군요. 메롱~ 인신공격은 NO! 비영어권 국가국민이 영어 못하는 건 당연한거지 추한게 아니요! 그리고 한빛에는 여러차례 이러한 내용을 보냈었다오. 알지도 못하는 것을 상상하여 비난하지 마시오. 나름대로 위키나 영어사전, 웹사이트 등을 검색하고 양넘칭구넘들과 얘기해서 정보스럽다고 생각하여 올린 글이오. 본인의 영어실력이나 사고방식에 대한 고찰을 해 주신건 노고에 매우 감사하지만, 감히 그따위 망발을 하시는 건 고~잊음씨와 유사하다고 사료됩니다. 20000
  • Gaboon[A1L] 2006.05.02 11:30
    제 생각에는 blamble을 검은딸기로 해석한거나 글쓴분이 brand를 명품/상표의 의미로 해석하신거나 같은 맥락의 오류라고 생각합니다. 번역상 넌센스라고 지적해주셨는데 같은 잘못을 하고 계신듯한... blamble은 검은딸기/가시나무등으로 여러번역이 가능하지만 디아를 하는 우리들의 센스상 검은딸기가 틀린건 아니지만 가시나무가 더 적절하다고 얘기할수 있는거겠죠. 마찬가지로 brand도 낙인/인두 이런의미가 있겠고, 글쓴분의 상표,명품 이런의미둘다 번역상 맞는거겠으나 디아를 즐기는 우리의 센스상 전자의 의미가 더 잘 어울린다고 생각합니다. 번역상 문제는 맞다/틀리다가 아닌 어느것이 그상황에 좀더 적절하느냐의 문제겠지요.
  • 발기의제왕3-왕의고환 2009.03.17 13:09
    그런데 .. 오크의 심장도 .. 잘못 해석한 것 아닌가요?? "용맹심" 정도로 해석 해야 하는건데 ... ㅡㅡ;; 리플이 엄청 늦었군요~~ ^^;;

팁 게시판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게시판 푸시 알림 / 통합 앱 서비스 31 file 트디개발자 2023.09.20 830.2k
공지 디아관련 에테리얼 벅큐빙 표 219 eunnanoDiablo™ 2008.03.05 140.1k
공지 디아관련 케릭별 갑옷 착용 모습 325 수린[아빠] 2009.06.09 111.3k
공지 디아관련 디아블로 각종 팁과 정보 간추림 입니다 (_ _) 1547 조은아저씨 2010.05.24 211.6k
공지 봇관련 유니크 업글 표 366 file 카인 2013.11.02 412.8k
721 디아관련 [Only활아마 허접강좌2탄] 활 프레임에 대한 이해 3 Only활아마[A1S] 2006.04.20 6.4k
720 봇관련 레어 링/아뮬 이니 입니다. 10 싸그리 2006.04.20 3.0k
719 봇관련 마을에서 홀리쉴드 5번 하시는분들~ 9 Lotus™ 2006.04.20 2.1k
718 디아관련 도끼 삥바바 육성 8 West H.C 2006.04.20 4.3k
717 디아관련 룬워드 번역 몇개.... 16 안타레스 2006.04.19 2.6k
716 디아관련 통찰 용병은 한번 죽으면 필요없다?? 8 sdbboy 2006.04.19 3.9k
> 디아관련 브랜드가 인두라고? 34 필그림 2006.04.19 2.5k
714 봇관련 단군 맵핵 Common init failed........ 6 Lotus™ 2006.04.19 2.6k
713 디아관련 프랜지바바 허접육성기 올려봅니다 ^_^;; 13 이런구라자드 2006.04.18 2.0k
712 봇관련 화이트 이니와 매직 이니입니다..^^* 13 스피드넷 2006.04.18 4.0k
711 디아관련 텔레포트를 쉽게하는 방법(봇을 안쓰시는 분께 유용할수도....) 8 소라의가이드애로우 2006.04.18 1.8k
710 봇관련 XP공방봇용 노매너리스트 관리-노파티 업글버젼V2 5 GAL[A2L] 2006.04.18 1.9k
709 디아관련 XP.bot-Avenger.Ver3.0 17 디아블러네[A1L] 2006.04.18 2.7k
708 캐릭 육성 올힘늑드루 키우기입니다 10 된장맛초롱이 2006.04.18 3.3k
707 봇관련 매직 이니 입니다 ^^ 11 나야[Para] 2006.04.18 2.8k
706 봇관련 나야[PARA]님 올리신 레어이니 받으신분 수정하세여 7 뽀송 2006.04.17 2.0k
705 디아관련 단군으로 로더 설정하는 방법입니다. 12 file 창고케릭 2006.04.17 8.3k
704 봇관련 레어 이니 입니다.. 8 스피드넷 2006.04.17 2.3k
703 디아관련 공방바알런출발시 길막힘방지[방조인과동시에 한발자욱 앞으로 전진^^] 7 핑크티 2006.04.17 1.5k
702 캐릭 육성 평범한 엘리드루 키우기 15 file 완이[Para] 2006.04.16 6.4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