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리티컬 스트라이크와 데들리 스트라이크의 만남
조회 수
5,434
추천 수
0
크리티컬 스트라이크(아마존의 패시브 스킬이나 바바리안의 마스터리로 오르는 치명타율)과 데들리 스트라이크(무기에 붙은 '치명적 공격'옵션)은 서로 더하기만 해서 최종 치명타율이 나오는 것이 아닙니다.
그 이유는 'Double Damage Formula'라고 알려진 치명타율 계산식 때문입니다. 흔히 다음과 같은 형태로 알려져 있습니다.

z=Double Damage, x=Critical Strike, y=Deadly strike 입니다.
보기 좀 껄끄럽죠? 전개하겠습니다.

깔끔하군요.
그럼, 이 계산식에 의한 치명타율이 최대가 되려면 크리티컬 스트라이크와 데들리 스트라이크가 각각 얼마여야 하는지를 알아봅시다.

Double Damage는 위와 같은 그래프로 그려집니다. 보기에는 그냥 경사면이 하나 버티고 있는 것 같지만 그래디언트를 구해 실제로 그러한가를 알아보겠습니다.

앗.. 편미분값이 상수가 아니로군요. 그렇다는 것은 위 그래프가 반듯한 평면이 아닌, 둥글게 움푹 패인 곡면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위로 볼록한 형상이군요.
그 이유는, 더블 데미지가 크리티컬 스트라이크에 데들리 스트라이크를 더한 평범한 덧셈식이 아니라 두 변수를 곱한 다른 항이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xy/100 말이죠. 치명타율의 손실은 이 항 때문에 생겨난 것이었군요.
그러면, 이해하기 쉽게 z=xy/100 그래프를 그려 어느 때 치명타율 손실이 가장 큰지 알아보겠습니다.

*Z축의 레이블이 잘못되었습니다. Double Damage가 아니라, xy/100 값입니다.
과연. 크리티컬 스트라이크 = 데들리 스트라이크 일 때 손해가 가장 크군요. 크리티컬 스트라이크나 데들리 스트라이크 어느 한 쪽으로만 치우쳐져 있으면 손해가 적은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크리티컬 스트라이크와 데들리 스트라이크가 같아지는 경우는 피해야 치명타율 손실이 적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만약 두 수치가 비슷비슷하다면, 레벨 업을 할 수록 '하이로드의 레이쓰'에 붙은 데들리 스트라이크가 늘어나 더 많은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입니다.
결론은 다음과 같습니다.
*치명타율을 계산할 때는 'Double Damage Formula'를 이용하라
*치명타 세팅을 할 때에는 크리티컬 스트라이크나 데들리 스트라이크 중 어느 한 쪽에 편중되도록 맞추어라. (물론 둘 다 높으면 좋습니다)
*크리티컬 스트라이크와 데들리 스트라이크는 'Double Damage'에 모두 공평하게 적용된다.
그 이유는 'Double Damage Formula'라고 알려진 치명타율 계산식 때문입니다. 흔히 다음과 같은 형태로 알려져 있습니다.

z=Double Damage, x=Critical Strike, y=Deadly strike 입니다.
보기 좀 껄끄럽죠? 전개하겠습니다.

깔끔하군요.
그럼, 이 계산식에 의한 치명타율이 최대가 되려면 크리티컬 스트라이크와 데들리 스트라이크가 각각 얼마여야 하는지를 알아봅시다.

Double Damage는 위와 같은 그래프로 그려집니다. 보기에는 그냥 경사면이 하나 버티고 있는 것 같지만 그래디언트를 구해 실제로 그러한가를 알아보겠습니다.

앗.. 편미분값이 상수가 아니로군요. 그렇다는 것은 위 그래프가 반듯한 평면이 아닌, 둥글게 움푹 패인 곡면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위로 볼록한 형상이군요.
그 이유는, 더블 데미지가 크리티컬 스트라이크에 데들리 스트라이크를 더한 평범한 덧셈식이 아니라 두 변수를 곱한 다른 항이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xy/100 말이죠. 치명타율의 손실은 이 항 때문에 생겨난 것이었군요.
그러면, 이해하기 쉽게 z=xy/100 그래프를 그려 어느 때 치명타율 손실이 가장 큰지 알아보겠습니다.

*Z축의 레이블이 잘못되었습니다. Double Damage가 아니라, xy/100 값입니다.
과연. 크리티컬 스트라이크 = 데들리 스트라이크 일 때 손해가 가장 크군요. 크리티컬 스트라이크나 데들리 스트라이크 어느 한 쪽으로만 치우쳐져 있으면 손해가 적은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크리티컬 스트라이크와 데들리 스트라이크가 같아지는 경우는 피해야 치명타율 손실이 적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만약 두 수치가 비슷비슷하다면, 레벨 업을 할 수록 '하이로드의 레이쓰'에 붙은 데들리 스트라이크가 늘어나 더 많은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입니다.
결론은 다음과 같습니다.
*치명타율을 계산할 때는 'Double Damage Formula'를 이용하라
*치명타 세팅을 할 때에는 크리티컬 스트라이크나 데들리 스트라이크 중 어느 한 쪽에 편중되도록 맞추어라. (물론 둘 다 높으면 좋습니다)
*크리티컬 스트라이크와 데들리 스트라이크는 'Double Damage'에 모두 공평하게 적용된다.